KR101534827B1 -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벼 잎집무늬마름병 방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벼 잎집무늬마름병 방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827B1
KR101534827B1 KR1020130162359A KR20130162359A KR101534827B1 KR 101534827 B1 KR101534827 B1 KR 101534827B1 KR 1020130162359 A KR1020130162359 A KR 1020130162359A KR 20130162359 A KR20130162359 A KR 20130162359A KR 101534827 B1 KR101534827 B1 KR 101534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
extract
exocellular
rice
sheath b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5157A (ko
Inventor
오태석
윤혜려
정남수
장명준
임현구
Original Assignee
예산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산군 filed Critical 예산군
Priority to KR1020130162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827B1/ko
Publication of KR20150075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Abstract

본 발명은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벼 잎집무늬마름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이용하여 벼 잎집무늬마름병을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벼 잎집무늬마름병 방제용 조성물은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있어서 원예작물의 식물병에 대한 천연 방제제로서 활용이 기대된다.

Description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벼 잎집무늬마름병 방제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PREVENTING SHEATH BLIGHT OF RICE CONTAINING AN EXTRACT OF GINKGO SPERMODERM}
본 발명은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벼 잎집무늬마름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이용하여 벼 잎집무늬마름병을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작물생산체계는 생산성 향상에 저해요인이 되는 유해생물의 끊임없는 위협으로부터 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발전을 계속해 왔다. 현대사회는 건강 지향적 욕구의 증대와 안정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합성농약의 사용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로 인하여 천연물에서 각종 병원성미생물과 식물병 유발균에 대해 항균력을 보이는 물질을 이용하는 친환경농자재의 생산과 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식물체 및 한약재 중에는 미생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향균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주로 유기산, 지방산, 플라보노이드 등의 페놀성 물질 및 배당체 등에 기인한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식품, 의약 및 생물공학산업 등의 분야에서도 항균성 소재의 연구를 위한 천연물의 추출성분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항균력이 뛰어나고 안정성이 확인된 항균물질을 분리하여 응용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Han, 2004 : Park et al., 2001).
현대 농업에서 살균제를 제외하고는 식물병의 효율적인 방제는 생각할 수 없다. 특히 농업선진국에서의 살균제에 대한 의존도는 더욱 높아서, 전세계의 살균제 생산량 중 서구 유럽이 39%, 극동아시아지역이 28%, 미국이 12%를 사용하고 있고 나머지 21%만이 전세계의 나머지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살균제에 의한 식물병의 방제는 1850년대 Alexis Millardet에 의해 개발된 Bordeaux Mixture가 Plasmopara viticola 에 의한 포도나무 노균병을 방제하는데 사용되면서 부터이다. 1900년대 중반에 많은 수의 유기살균제가 개발되어 다양한 식물병의 방제를 위해 사용되기 시작된 이후로, 현재 113종의 유효성분을 지닌 200여가지 살균제가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농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가지는 것은 벼로써 다른 작물에 비하여 높은 경작면적과 생산량을 보이고 있다. 19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120만ha의 재배되었고 현재에도 100만ha 재배되고 있다. 그러나 지구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한반도의 기온이 지난 100년간 약 1.5℃상승하였고 봄과 여름이 길어지고 있다(기상청, 2008).
이중에서도 잎집무늬마름병은 고온 및 다습한 조건에서 발병이 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Endo, 1935; Yoshimura, 1955), 벼의 병해충 발생조사에 따르면 2001년에는 10.2%의 병반고율로 가장 적게 발생하였고 2007년에 21.4%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보고에 비추어 볼 때 향후에는 잎집무늬마름병의 발생이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대사회는 친환경농자재의 생산과 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식물체 및 한약재 중에는 미생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향균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주로 유기산, 지방산, flavonoid 등의 페놀성 물질 및 배당체 등에 기인한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식품, 의약 및 생물공학산업 등의 분야에서도 항균성 소재의 연구를 위한 천연물의 추출성분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항균력이 뛰어나고 안정성이 확인된 항균물질을 분리하여 응용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은행나무는 우리나라에서 조경수로 많이 식재되어 있으며 은행잎은 의약품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으며 은행종실은 식용 등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은행외종피의 경우에는 폐기되고 있으며 은행 외종피에서 발생되는 악취 등으로 인하여 환경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폐기되는 은행 외종피는 강한 살충 및 항균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Choi(2000) 등의 연구에서는 은행 외종피 추출물이 살충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으며 박 등(2011)은 은행 외종피 메탄올 추출물의 chloroform 분획물에서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냈다고 보고하였다. 은행나무 외종피에는 폴리사카라이드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폴리사카라이드는 항암 (Tong et al., Bioresource Technology, 100(4), 1682-1686(2009)), 항바이러스 (Yim et al., Marine Biotechnology, 6(1), 17-25(2004)), 항산화 (Rout & Banerjee, Bioresource Technology, 98(16), 3159-3163(2007)) 등의 biological activity들이 밝혀지면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여러 다방면에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은행 외종피의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방제효과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친환경 벼 재배를 위하여 천연물을 이용한 벼 잎집무늬마름병 방제제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물질 탐색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벼 잎집무늬마름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벼 잎집무늬마름병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벼 잎집무늬마름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이용하여 벼 잎집무늬마름병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은행 외종피 추출물은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있어서 원예작물의 식물병에 대한 천연 방제제로서 활용이 기대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은행 외종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방제 활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은행 외종피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폴리사카라이드의 NMR 데이터이다.
도 3은 폴리사카라이드의 농도에 따른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방제 활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은행 외종피 추출물의 포장방제실험을 통한 방제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은행 외종피 추출물의 포장방제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는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벼 잎집무늬마름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은행 외종피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는데, 유기용매로는 저급 알콜,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저급알콜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을 예시할 수 있으며, 에탄올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extract)"은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의미한다.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용매를 이용하는 추출과정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추출액, 이의 건조 분말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형화된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은행 외종피 추출물은 물, 유기 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기 용매, 특히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한다. 추출한 액은 바로 사용하거나 또는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경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유기용매를 사용하며 생약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약제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이 있다. 여과는 추출액으로부터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는 과정으로, 면, 나일론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걸러내거나 한외여과, 냉동여과법, 원심분리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출액의 농축에는 감압농축, 역삼투압 농축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농축 후 건조 단계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감압건조, 포말건조, 고주파건조, 적외선건조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최종 건조된 추출물을 분쇄하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가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켜 비극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헥산, 에테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비극성용매 가용층을 추출, 분리하여 수득하도록 하고, 이를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은행 외종피 분말에 90 내지 99%의 에탄올을 1:4 내지 1:6 (w/v)의 비율, 바람직하게는 1:5 (w/v)의 비율로 첨가하고 상온, 예를 들어 15 내지 30℃의 온도에서 15 내지 35시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은행 외종피의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들에서 추출 공정은 필요에 따라 2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여과 후 얻어진 추출물을 동결 건조 또는 감압 건조시켜 분말 형태로 만들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은행 외종피 추출물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S1) 은행 외종피를 열풍 건조하고 분쇄기로 분쇄하는 단계; 및
(S2) 상기 분쇄된 은행 외종피를 에탄올을 1:4 내지 1:6 (w/v)의 비율로 혼합하여 상온에서 20 내지 25시간 동안 교반 추출하고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여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바람직하게, 상기 여과공정은 예를 들어 Whatman, No.2 여과지를 사용하여 수행하며, 감압농축은 회전 진공증발기(Rotary evaporator N-1000, Eyela, Japan)로 43 내지 47℃ 수욕 상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벼 잎집무늬마름병 방제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유효량 함유하고 농화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식의 농약 제제화 방식에 따라, 예컨대 유효성분을 분말화, 펠렛화 또는 과립화하여 제형화함으로써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표면 활성화제, 비활성 담체, 보존제, 습윤제, 공급 촉진제, 유인제, 캡슐화제, 결합제, 유화제, 염료, UV 보호제, 완충제 등 목적 병원균 및 작물에 따라 적용하기 용이한 다른 성분을 부가함으로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용하기 전에 적당한 양의 물 또는 다른 희석제로 희석을 하여 직접 적용하기에 적합한 형태 또는 농축액 또는 1차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항균성 물질인 은행 외종피 추출물의 농도는 특정 제제의 성질, 적용 식물의 종류, 재배지역의 토양 및 기후 등에 따라 적절히 조설할 수 있음이 당업계에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이용하여 벼 잎집무늬마름병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벼 100중량부에 대해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1 내지 50 중량부의 양으로 분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은행 외종피 추출물은 기존의 벼 잎집무늬마름병 방제제인 헥사코나졸 유제(일명: 안질)의 방제효과와 필적할 정도의 방제효과가 있어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있어서 원예작물의 식물병에 대한 천연 방제제로서 활용이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은행 외종피 추출물의 제조
본 실험에 사용한 은행 외종피는 2011년 10월에 충남 예산군 예산읍 대회리에 위치한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내에 있는 조경수에 은행을 채취한 은행외종피를 분리하여 60℃에서 4일간 열풍건조한 후에 분쇄기 (HMF-34 0,Hanil, Korea)로 분쇄하여 추출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추출용매는 99% Ethanol(HPLC grade, Burdick & Jackson, USA)을 사용하였고 은행 외종피 분말시료 250 mg과 Ethanol을 1.25L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24동안 교반추출 후에 여과지(Whatman, No.2)로 여과한 후 회전 진공증발기(Rotary evaporator N-1000, Eyela, Japan)로 45℃ 수욕상에서 감압 농축 하여 은행 외종피 추출물 20 ml를 얻었다.
<실시예 2> 은행 외종피 항균 활성능 검정
벼 입짚마름병의 공시균주는 KACC(Korea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에서 분양받은 Rhizoctonia solani AG-1(IA) Kuhn (KACC40101)를 이용하였다. 은행 외종피의 항균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PDA 배지를 제조시에 배지가 굳기 전에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62.5, 125, 250 및 500mg·L-1 수준이 되게 혼합한 후에 9cm 직경의 petri dish에 넣고 20ml씩 넣고 굳힌 후에 1X104개/ml의 농도로 조절된 R. solani균 총원판(직경 5mm)을 취하여 배지 중앙에 올려놓고 25℃에서 배양하여 72시간 후에 균사생장의 지름을 측정하여 은행외종피의 항균력을 측정하였고 비교군으로서 기존의 살균제인 헥사코나졸 유제를 은행 외종피와 같은 농도로 혼합 후에 같은 방법으로 항균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도 1 및 표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A는 무처리 대조군이고, B는 비교군인 헥사코나졸 유제 125mg·L-1를 사용한 군이고, C는 은행 외종피 추출물 500mg·L-1를 사용한 군이고, D는 은행 외종피 추출물 250mg·L-1를 사용한 군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무처리 대조군(A)의 경우에는 72시간 후 petri dish 전체가 균주로 덮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Figure 112013118297040-pat00001
상기 표 1 및 도 1에서 보듯이, 비교군으로 사용한 헥사코나졸 유제가 은행 외종피에 비하여 높은 수준의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은행 외종피 500mg·L-1농도에서는 균사의 지름이 27mm이었고 250mg·L-1에서는 29mm이었으며 125mg·L-1과 62.5mg·L-1에서는 52mm과 59mm의 균사의 생장지름이 확인되어 균사의 생장억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은행 외종피 추출물은 250mg·L-1 농도가 벼 잎집무늬마름병을 방제하기 위한 효과적인 농도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 은행 외종피 추출물로부터 폴리사카라이드의 분리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은행 외종피 추출물로부터 폴리사카라이드를 분리하기 위해 HP 20 column chromatography을 100% H2O부터 100% MeOH까지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8개의 소분획을 얻었다. 각각의 소분획에 대한 활성검색결과 강한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 3을 이동상 MeOH-H2O(0:100)로 C18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다시 2개의 분획으로 나누었다. 그 중 강한 활성을 나타나내는 분획 3-2의 당 구성을 1H-NMR을 통해 확인한 결과 anomeric signal들이 4.0 내지 5.0 mg·L-1에서 관찰되었고, sugar backbone에서 기인하는 oxymethine과 oxymethylene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1H-NMR을 통해 이 물질이 polysaccharide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실시예 4> 폴리사카라이드의 당 분석
은행 외과피에서 분리한 폴리사카라이드 샘플에 대해 당 분석을 실시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118297040-pat00002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polysaccharide의 당 구성은 glucose, rhamnose, mannose 또는 mannose, glucose, galactose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5> 폴리사카라이드의 polysaccharide의 항균활성능 검정
isk Paper Method
전배양된 Rhizoctonia solani AG-1(IA) Kuhn를 Spread stick 을 이용하여 PDA배지에 각 1mL씩 도말하여 준비하였고 폴리사카라이드를 500, 250, 125, 62.5mg·L-1로 제조한 다음에 8mm disk paper에 흡수시켜 완전히 건조시킨 후 건조된 disk를 Rhizoctonia solani AG-1(IA) Kuhn가 도말된 평판 배지 위에 완전히 밀착시킨 상태로 25℃ incubator 에서 24 시간 배양 후 disk 주변에 생성된 clear zone을 측정하여 농도별 항균활성을 비교하였다. 비교군으로 헥사코나졸 유제를 사용하였고, 각 시험은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118297040-pat00003
그 결과, 도 3에서 보듯이, 무처리구의 경우에는 콜로니 숫자를 확인하기 어려울 정도로 벼 잎집무늬마름병 균주가 생장하여 배지를 덮었으며, 헥사코나졸 유제를 사용한 비교군의 경우 모든 처리농도수준에서 벼 잎집무늬마름병의 균의 생육이 억제되어 콜로니가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았다.
폴리사카라이드는 무처리구와 비교시에는 항균력이 높은 수준이었는데, 500mg·L-1에서의 콜로니는 79개로 가장 많았으며 나머지 처리농도 수준에서는 125mg·L-1 처리농도 수준에서는 18개로 가장 낮은 수준이었으며 250과 62.5mg·L-1에서도 30개미만의 콜로니 숫자가 확인되어 비교군에 비하여 비하여 낮은 항균력이 확인되었지만 무처리구에 비해서는 벼 잎집무늬마름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방제제로서는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6> 벼 잎집무늬마름병 포장방제실험
벼의 잎집무늬마름병의 포장방제실험은 2013년 7월30일 충남 서천군 농업기술센타 병해충예찰포에서 진행되었으며 공시품종은 새누리품종이었다. 벼의 잎집무늬마름병이 발생한 포장에서 12주를 선발하고 62.5, 125, 250mg·L-1 농도별로 각4주씩 8월1일과 8월7일 2회 엽면살포를 진행하였고 비교군으로는 헥사코나졸 유제를 250mg·L-1로 5주에 살포 후 2013년 8월 14일에 벼의 잎집에 형성된 병반의 높이에 따라 0부터 10까지 11단계로 조사하였으며 방제가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2013년 8월 14일 최종 조사하였다. Rhizoctonia solani AG-1(IA) Kuhn를 포장의 방제실험이 진행된 충남 서천군 농업기술센타의 병해충예찰포의 기상환경은 2013년8월1일부터 최종조사일인 8월14일까지 평균기온이 28.5℃로 벼의 잎집무늬마름병 발생에 적합한 온도가 유지되었다. 그 결과를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118297040-pat00004
그 결과, 비교군의 평균 방제가는 80%이상으로 가장 높은 방제가를 확인하였으며 은행 외종피의 농도에 따른 방제가는 250mg·L-1수준에서는 67.4%이었고 125mg·L-1에서는 51.6%이었으며, 62.5mg·L-1에서는 11%로 방제가를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보듯이, 은행 외종피의 방제효율은 비교군에 비하여 모든 농도에서 낮은 수준이었으나 250mg·L-1의 수준에서는 61.7%로서 유기 농업자재의 기준치인 60%이상의 통계적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방제가가 증명되고 있으며 125mg·L-1의 저농도 수준에서도 계면활성제등의 항균력을 높일 수 있는 혼합물을 첨가하면 유기농업자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과 같이 은행 외종피 추출물은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있어서 원예작물의 식물병에 대한 천연 방제제로서 활용이 기대된다.

Claims (3)

  1. 삭제
  2.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벼 잎집무늬마름병 방제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은행 외종피 추출물이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벼 잎집무늬마름병 방제용 조성물:
    (S1) 은행 외종피를 열풍 건조하고 분쇄기로 분쇄하는 단계; 및
    (S2) 상기 분쇄된 은행 외종피를 에탄올을 1:4 내지 1:6 (w/v)의 비율로 혼합하여 상온에서 20 내지 25시간 동안 교반 추출하고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여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수득하되,
    상기 열풍건조는 60℃에서 4일간 열풍건조하고,
    상기 감압 농축은 회전진공증발기로 43 내지 47℃ 수욕 상에서 수행하며,
    상기 여과는 whatman, No.2 여과지를 사용하고,
    상기 에탄올은 99% 에탄올(HPLC grade, Burdick & Jackson, USA)을 사용하는 단계.
  3. (S1) 은행 외종피를 열풍 건조하고 분쇄기로 분쇄하는 단계; 및
    (S2) 상기 분쇄된 은행 외종피를 에탄올을 1:4 내지 1:6 (w/v)의 비율로 혼합하여 상온에서 20 내지 25시간 동안 교반 추출하고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여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수득하되,
    상기 열풍건조는 60℃에서 4일간 열풍건조하고,
    상기 감압 농축은 회전진공증발기로 43 내지 47℃ 수욕 상에서 수행하며,
    상기 여과는 whatman, No.2 여과지를 사용하고,
    상기 에탄올은 99% 에탄올(HPLC grade, Burdick & Jackson, USA)을 사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방법에 따라 수득된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벼 잎집무늬마름병 방제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벼 잎집무늬마름병을 방제하되,
    상기 벼 잎집무늬마름병 방제용 조성물은 벼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50 중량부의 양으로 분무하여 사용하는 방법.

KR1020130162359A 2013-12-24 2013-12-24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벼 잎집무늬마름병 방제용 조성물 KR101534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359A KR101534827B1 (ko) 2013-12-24 2013-12-24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벼 잎집무늬마름병 방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359A KR101534827B1 (ko) 2013-12-24 2013-12-24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벼 잎집무늬마름병 방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157A KR20150075157A (ko) 2015-07-03
KR101534827B1 true KR101534827B1 (ko) 2015-07-09

Family

ID=53788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359A KR101534827B1 (ko) 2013-12-24 2013-12-24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벼 잎집무늬마름병 방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8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818A (ko) * 2016-12-23 2018-07-03 이용순 은행 외피 분쇄가루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은행 외피 분쇄가루 및 그를 이용하여 항균력과 살균력을 상승시킨 방제용 약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0698A (ko) * 2011-11-08 2013-05-16 최종경 은행 외과피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0698A (ko) * 2011-11-08 2013-05-16 최종경 은행 외과피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818A (ko) * 2016-12-23 2018-07-03 이용순 은행 외피 분쇄가루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은행 외피 분쇄가루 및 그를 이용하여 항균력과 살균력을 상승시킨 방제용 약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157A (ko) 2015-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350416B2 (en) Novel biopesticide compositions and method for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ame
KR101441614B1 (ko)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
CN101212907B (zh) 来自“百子莲”的提取物和化合物及其作为生物学植物保护剂的应用
JP2014508803A (ja) 殺虫剤及びその使用
KR100754053B1 (ko) 식물의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37622B1 (ko) 빌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KR101143033B1 (ko)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KR101799420B1 (ko) 머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진딧물 방제용 조성물
KR101534827B1 (ko) 은행 외종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벼 잎집무늬마름병 방제용 조성물
KR101860558B1 (ko) 칠엽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문고병 방제용 조성물
Narasimhan et al. Efficacy of new EC formulations of neem oil and pungam oil for the management of sheath rot disease of rice
KR100976037B1 (ko) 살균·살충제로써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세균 Paenibacillus polymyxa KC028 및 식물 추출물의 용도
WO2012150573A1 (en) Molluscicidal agents and uses thereof
CN103719115B (zh) 一种杀虫组合物
KR101679048B1 (ko)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벼의 잎집무늬마름병 방제용 조성물
KR102120131B1 (ko) 머귀나무 및 칠엽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줄기마름병 방제용 조성물
KR102120130B1 (ko) 머귀나무 및 칠엽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살비제
KR101680854B1 (ko) 녹나무 및 사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추역병 방제용 조성물
KR20170041954A (ko) 은행외종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벼키다리병 방제를 위한 종자소독용 조성물
KR102060196B1 (ko) 머귀나무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충방법
KR20040056061A (ko) 식물 흰가루병의 방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91611A (ko) 유채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
KR101631825B1 (ko) 미국자리공 잎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마름병 방제 조성물
Emitaro et al. Efficacy of Bidens pilosa and Euphorbia hirta Extracts in Control of Bacterial Leaf Spot Disease of Solanum scabrum
KR101673377B1 (ko)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추 역병 방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