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1611A - 유채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채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1611A
KR20100091611A KR1020090010893A KR20090010893A KR20100091611A KR 20100091611 A KR20100091611 A KR 20100091611A KR 1020090010893 A KR1020090010893 A KR 1020090010893A KR 20090010893 A KR20090010893 A KR 20090010893A KR 20100091611 A KR20100091611 A KR 20100091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plant
controlling
rape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1038B1 (ko
Inventor
이인철
김선태
Original Assignee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10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038B1/ko
Publication of KR20100091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01N25/06Aeros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01N25/14Powders or granules wettab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8Vapour or smoke emitting compositions with delayed or sustain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in coated particulate for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채의 추출물, 농축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식물 유해곤충 방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은 주기적인 합성살충제 살포시 문제가 되는 농약 저항성이 없으며 사람과 가축에 대한 유해성과 잔류독성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기능성 천연 살충제로서 이용가능 할 것이다.
유채, 유해성, 잔류독성, 살충제

Description

유채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Brassica napus extracts for controlling noxious insects in horticultural crops and u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채의 추출물, 농축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식물 유해곤충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 수십 년 동안 해충 방제는 유기합성 살충 및 살균제들에 의존해 왔다. 비록 이들의 효과가 우수할지라도 연용과 남용으로 인해 천적에 대한 역효과 및 곤충·식물병 저항성 발달, 비목적 생물 그리고 인축에 대한 독성을 유발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이 신규의 보다 안전한 저독성 살충·살균제의 개발에 대한 욕구를 불러일으켰다. 특히 식물체 유래물질에 근간하여 살충제나 살균제를 개발하기 위한 전략이 다른 어느 분야보다도 폭넓게 연구되고 있다. 식물체는 광범위한 생리활성물질의 자원으로서 곤충방제제로 사용될 수 있는 잠재적인 대안을 제공하는데, 그들의 대부분은 유해한 부작용이 많았다. 그러므로 많은 노력들이 상업적인 곤충방제제의 잠재적인 자원 또는 선도화합물로써 식물체에서 유래한 물질들에 관심을 갖 게 된 배경을 제시하였다.
상기 화학 농약을 대체하기 위한 천연 농약 및 천적 미생물 등 생물농약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천연 농약 및 천적 미생물들이 방제효과가 미약하거나 효과가 극히 제한적이며, 가격 또한 고가인 관계로 실효성 및 경제성이 없어 농민들로부터 호응을 얻지 못함으로써 친환경 농업을 실현하기 위한 화학 농약의 대체 물질로서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상당한 면적의 유채가 전국적으로 재배 혹은 자생되고 있으나 관상용 이외의 유채 자원 활용에 대한 체계적인 방안이 모색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나, 유채 식물 중에서 활용 방안이 연구 되고 있는 부위는 종자 기름으로서 식용 또는 바이오연료(bio-diesel)의 생산 원료로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상기 유채를 대상으로 하는 농업해충과 위생해충에 대한 방제제로서의 이용 및 개발에 대한 연구는 거의 행해지지 않고 있으며, 또한 유채의 종자 기름을 제외한 잎이나 줄기 혹은 종자로부터 기름을 짜고 남은 유박에 대한 처리 방안은 아직 제시된 바 없어, 이에 농업해충, 위생해충, 산림해충 등의 방제제로서 유채의 이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유채의 추출물, 농축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식물 유해곤충 방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합성살충제를 살포했을 경우와 유사한 수준으로 식물의 유해곤충을 방제함으로서 화학농약을 대체할 수 있으며 주기적인 합성살충제가 가지는 농약 저항성이 없는 천연 살충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채의 추출물, 농축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식물 유해곤충 방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해곤충 방제용 살충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채(Brassica napus)의 추출물, 농축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유채는 전 식물체, 잎, 줄기, 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되며 바람직하게는 잎, 줄기 또는 종자인 것으로 상기 종자는 유채 기름을 추출하고 남은 유박을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채 추출물에 있어서 추출물은 유채 부위를 각각 추출한 후 얻어진 추출물을 서로 혼합하거나, 이들 식물을 함께 추출하여 얻어진 혼합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일 예로 냉침추출법, 온침추출법, 열추출법 또는 환류추출법에 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용매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알코올로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을 사용한다. 상기 추출물 제조온도는 4 내지 12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추출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10분 내지 300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과정은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감압 여과하거나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농축할 수 있으며, 감압 여과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고 상기 감압 여과는 감압농축기를 이용한 저온 감압 농축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예로, 본 발명의 유채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하여 유박 또는 잎 및 줄기 500g에 70% 메탄올을 넣고 균질기(waring blendor)를 사용하여 파쇄하여 추출물을 수득한 후, 치즈 클로스(cheese cloth)에 여과한 다음 증류 농축장치(rotary evaporator)로 40℃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유채의 추출물을 수득한다.
상기 유채의 추출을 위한 주 용매는 70% 메탄올로 메탄올은 감압 농축 과정 에서 거의 전량 회수되는데 본 실험실에서 사용한 감압 농축기로 회수된 메탄올의 농도는 약 50 내지 55% 정도이다. 이는 100% 메탄올과 1:1로 혼합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며, 알코올 회수가 좀 더 효율적인 감압 농축기를 사용한다면 용매의 재활용율은 더욱 높아지게 되어 경제성 문제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천연 유채의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그 공정이 매우 단순하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을 부피비 10 내지 500배로 물을 희석하여 살포하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배로 물로 희석하여 유해 곤충에 살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물 유해곤충의 방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채 추출물은 천연물로서 도포를 위해 희석 용매로 물을 사용하며 이는 이차 오염에 대하여 안정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은 유해곤충인 큰빗줄가지나방(Descoreba simplex Butler), 개나리잎벌(Apareophora forsythiae Sato), 큰붉은잎밤나방(Anomis commod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큰붉은잎밤나방(Anomis commoda)이다.
상기 큰빗줄가지나방은 다양한 활엽수 잎을 섭식하는 대표적인 광식성 해충으로서 숲에서 대 발생하면 상당치 큰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개나리잎벌은 개나리 나무만을 섭식하는 해충으로서 주기적인 대 발생에 의해 개나리 나무에 피해를 주는 곤충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큰붉은잎밤나방은 가장 광식성의 해충으로 밤나무뿐만 아니라 무궁화의 최대 해충이며 무궁화는 우리나라에서 상징성으로 인하여 상당히 식재가 많이 되어 있는 실정이라 주로 무궁화 잎을 섭식함으로서 매년 8월에 서 9월 사이에 무궁화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는 종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해곤충 방제용 살충제를 제공한다.
상기의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살충제에 함유되는 물질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유채의 추출물, 농축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상기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채의 추출물의 함량은 살충제가 사용되는 방법이나 제시되는 제형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는것은 당연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제형의 나머지는 임의의 계면활성제(들) 및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기타 불활성 성분, 예를 들면, 보호 콜로이드, 접착제, 증점제, 틱소트로픽제, 침투제, 보존제, 안정화제, 소포제, 동결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염료, 안료, 착색제 및 중합체와 함께 고체 및/또는 액체 담체(예: 물)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로 활성 물질과 배합하여 식물, 종자 또는 토양 도포를 용이하게 하는 천연 또는 합성, 유기 또는 무기 물질의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판되는 생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농축물로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최종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묽은 제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들 모두가 그 자체로 식물에 처리 도포되고 필수 식물 보호를 제공하는 유동 가능한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해곤충 방제용 살충제의 제제로 현탁액, 서스포에멀젼, 습윤 가능한 분말, 과립 농축물, 마이크로 에멀젼, 수화제, 입제, 분제, 유제, 스프레이상, 연막제, 캡슐형 및 젤상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형으로, 살충성 조성물의 부력을 위해 도넛형과 같은 제형을 통한 접촉제로서 제공되며, 식물체의 엽에 잔류토록 분무하여 접촉독이나 섭식저해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제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은 주기적인 합성살충제 살포시 문제가 되는 농약 저항성이 없으며 사람과 가축에 대한 유해성과 잔류독성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능성 천연 살충제로서 이용가능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곤충 방제용 살충제는 방제효과가 제한적이지 않으며, 가격 또한 문제가 되지 않아 실효성 및 경제성이 있어 농민들로부터 호응을 얻게 됨으로써 친환경 농업을 실현하기 위한 화학 농약의 대체 물질로서 성공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유채 추출물의 제조
1) 유채의 유박 추출물 제조
유채 식물의 종자는 역시 대전광역시 하천변에서 5월 24일 경 채집하여 일광 하여 약 5일간 건조한 후, 건조한 종자는 압착식 기름 추출기를 사용하여 기름을 짜내었다. 상기 종자로부터 기름을 추출하고 남은 유박 약 500g에 70% 메탄올(methyl alcohol) 500mL을 넣고 균질기(waring blendor)를 사용하여 파쇄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치즈 클로스(cheese cloth)에 여과한 후 증류 농축장치(rotary evaporator)로 40℃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유채 유박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2) 유채의 잎 및 줄기 추출물 제조
유채 식물의 잎과 줄기는 2008년 5월 초 대전시 하천변 일원에서 채집한 후 채집한 잎과 줄기는 사용할 때 까지 -70℃에서 냉동 보관하였다. 상기 냉동 보관 중이던 잎과 줄기의 각 시료 약 500g에 70% 메탄올(methyl alcohol) 500mL을 넣고 균질기(waring blendor)를 사용하여 파쇄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치즈 클로스(cheese cloth)에 여과한 후 증류 농축장치(rotary evaporator)로 40℃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유채의 잎 및 줄기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유채 추출물의 살충 효과
본 실험에서 조사된 곤충은 대전시 근교에 서식하고 있는 해충의 애벌레로, 다양한 활엽수의 해충인 큰빗줄가지나방(Descoreba simplex Butler)의 애벌레는 2008년 5월 말에 계룡산 갑사와 신원사 일대에서, 개나리의 최대 해충인 개나리잎벌(Apareophora forsythiae Sato)의 애벌레는 6월 말에 용운동 대전대학교 인근에서, 무궁화의 최대 해충인 큰붉은잎밤나방(Anomis commoda)은 2008년 8월 초에 대청호 변 추동 길 인근에서 채집하여 대전대학교 생명과학과 곤충학 연구실의 도움 을 받아 동정, 분리하여 실험 재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채집된 각 애벌레의 개체수는 큰빗줄가지나방 256 개체, 개나리잎벌 85개체, 큰붉은잎밤나방 121 개체였으며 크기와 색으로 연령을 판단하여 유사한 연령군의 애벌레를 모아서 실험을 하였다.
1) 큰빗줄가지나방( Descoreba simplex Butler)의 살충효과
상기 제조예부터 제조된 유채 추출물의 곤충에 대한 살충 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5월경 큰빗줄가지나방의 채집된 애벌레 256개체에서 크기, 형태, 색 등으로 2령 이하의 애벌레와 3령 이상의 애벌레로 구분하여 각각 실험을 하였다. 상기 애벌레는 각 한 마리씩 큰빗줄가지나방의 주 섭식 식물인 벚나무잎 3 내지 4장과 함께 소량의 물을 함유한 여과지가 깔려 있는 직경 12 cm의 petri dish에 넣은 후 세 군으로 나누어 각각 증류수, 잎 및 줄기 추출액, 유박 추출액을 잎에 분무기로 적당량을 분무하여 공급하였으며 각각은 단일 개체 배양을 하였다. 상기 제조예 1 및 2에서 제조된 잎 및 줄기 추출액과 유박 추출액은 약 10 mL로 농축한 후 증류수로 최종 부피 100 mL가 되도록 희석하여 분무기로 적당량 도포하였다.
상기 실험군들은 약 20℃ 내지 25℃ 실내에서 자연 배양하였으며 매일 일정한 시각에 성장 상태를 관찰하고, 새로운 먹이로 교체한 후 다시 각 추출액을 도포하였다. 관찰 기간은 2령 이하의 애벌레는 애벌레에서 번데기 상태로 변태를 완료할 때 까지 약 10일 간이였으며 3령 이상의 애벌레는 약 7일간 소요되었으며 각각의 애벌레는 사육 기간 동안에 생존율과 치사율을 조사하였다.
큰빗줄가지나방의 2령 이하의 애벌레는 모두 75개체로 25 개체씩 각 실험군 에 포함 되었다. 하기 표 1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큰빗줄가지나방의 경우 2령 미만의 경우 5일 안에 치사된 개체는 대조군에서 7 개체, 유박 처리군에서 12 개체, 잎 및 줄기 추출물 처리군에서 8 개체로 치사율은 각각 대조군에서 28%, 유박 처리군에서 48%, 잎 처리군에서 32% 로 확인되었다.
Figure 112009008341526-PAT00001
또한 하기 표 2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5일 이상을 생존한 개체는 모두 번데기 상태까지 도달하였다. 한편 3령 이상의 경우에는 대조군 61 개체, 유박 추출물 처리군 60 개체, 잎 및 줄기추출물 처리군 60 개체 중에서 번데기까지 도달한 개체가 각각 56개체, 53개체, 57개체로 치사율은 8%, 12%, 5% 정도로 나타났다.
Figure 112009008341526-PAT00002
이러한 결과는 큰 빗줄 가지 나방의 경우 2령 이하에서 유박 추출물이 치사 작용이 있으나 3령 이상의 애벌레에는 효과가 크지 않은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2) 개나리잎벌( Apareophora forsythiae Sato )의 살충효과
상기 제조예로부터 제조된 유채 추출물의 곤충에 대한 살충 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6월경 채집된 개나리잎벌 85개체를 동정한 후, 모두 3령 이상으로 동정된 개나리잎벌의 애벌레를 가지고 실험을 하였다. 상기 애벌레는 각 한 마리씩 개나리잎벌의 주 섭식 식물인 개나리 잎 3 내지 4장과 함께 소량의 물을 함유한 여과지가 깔려 있는 직경 12 cm의 petri dish에 넣은 후 세 군으로 나누어 각각 증류수, 잎 및 줄기 추출액, 유박 추출액을 잎에 분무기로 적당량을 분무하여 공급하였으며 각각은 단일 개체 배양을 하였다. 상기 제조예 1 및 2에서 제조된 잎 및 줄기 추출액과 유박 추출액은 약 10 mL로 농축한 후 증류수로 최종 부피 100 mL가 되도록 희석하여 분무기로 적당량 도포하였다.
상기 실험군들은 약 20℃ 내지 25℃ 실내에서 자연 배양하였으며 매일 일정한 시각에 성장 상태를 관찰하고, 새로운 먹이로 교체한 후 다시 각 추출액을 도포하였다. 관찰 기간은 개나리 잎벌의 경우 채집된 애벌레가 모두 3령 이상으로 대부분의 개체가 4일 이내에 번데기로 변태하였으며 각각 세 군으로 나누어 사육 기간 동안에 생존율과 치사율을 조사하였다.
Figure 112009008341526-PAT00003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5일 안에 대조군 3 개체, 유박 처리군 2 개체, 잎 처리군 3 개체로 치사율은 각각 대조군에서 10%, 유박 추출물 처리군에서 7%, 잎 및 줄기추출물 처리군에서 11% 로 확인되어 크게 의미 있는 결과를 보여 주지 않았다.
3) 큰붉은잎밤나방( Anomis commoda )의 살충효과
상기 제조예로부터 제조된 유채 추출물의 곤충에 대한 살충 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8월 초 채집된 큰붉은잎밤나방 121개체에서 크기, 형태, 색 등으로 2령 이하의 애벌레와 3령 이상의 애벌레로 구분하여 각각 실험을 하였다. 상기 애벌레는 각 한 마리씩 큰붉은잎밤나방의 주 섭식 식물인 무궁화나무의 잎 3 내지 4장과 함께 소량의 물을 함유한 여과지가 깔려 있는 직경 12 cm의 petri dish에 넣은 후 세 군으로 나누어 각각 증류수, 잎 및 줄기 추출액, 유박 추출액을 분무기로 적당량을 분무하여 공급하였으며 각각은 단일 개체 배양을 하였다. 상기 제조예 1 및 2에서 제조된 잎 및 줄기 추출액과 유박 추출액은 약 10 mL로 농축한 후 증류수로 최종 부피 100 mL가 되도록 희석하여 분무기로 적당량 도포하였다.
실험군들은 약 20℃ 내지 25℃ 실내에서 자연 배양하였으며 매일 일정한 시각에 성장 상태를 관찰하고, 새로운 먹이로 교체한 후 다시 각 추출액을 도포하였다. 관찰 기간은 2령 이하의 애벌레는 애벌레에서 번데기 상태로 변태를 완료할 때 까지 약 10일 간이였으며 3령 이상의 애벌레는 약 7일간 소요되었으며 본 실험에서는 2령 이하 49개체, 3령 이상 72 개체를 채집하여 각각 세 군으로 나누어 사육 기간 동안에 생존율과 치사율을 조사하였다.
하기 표 4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큰붉은잎밤나방의 2령 이하의 경우 대조군 16 개체 중에서 5일 이내에 치사 2 개체, 애벌레 14 개체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치사된 2 개체 중에서 한 개체는 기생벌에 기생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박 추출물을 처리한 17 개체 중에는 5일 이내에 9 개체가 치사 하였고 8개체는 애벌레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생존 한 개체들도 먹이로 공급된 무궁화 잎을 거의 섭식하지 못하는 상태로 그 성장 상태가 극히 저조하였다.
Figure 112009008341526-PAT00004
반면에 잎 및 줄기추출물을 도포한 실험군 17개체 중에서 5일 이내 치사한 개체는 5개체였으나 2 개체는 기생에 의한 치사로 밝혀져 실제로 치사한 개체는 3 마리였음. 배양 10일째에는 대조군에서 치사 3개체(1마리는 기생) 애벌레 8개체, 번데기 5개체의 상태로 치사율은 20%였고, 유박 처리군은 치사 15 마리 애벌레 2 마리로 치사율은 88% 에 달하였다. 한편 잎 및 줄기추출물 처리군은 치사 5개체(2마리는 기생) 애벌레 9개체, 고치 2개체의 상태로 치사율 31%나 기생에 의한 치사를 제외하고 나면 대조군과 커다란 차이는 없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잎 및 줄기추출물이 유박 추출물과는 달리 애벌레에 대한 살충 작용이 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3령 이상의 애벌레에 대한 실험 결과는 하기 표 5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대조군 총 24개체 중에서 5일 이내에 치사 4개체(3마리 기생), 애벌레 상태 2개체, 번데기 상태 18개체로 치사율 17%, 10일 이내에는 치사 4 개체 외에 20마리가 번데기 상태에 도달하였음. 한편 유박 처리군은 5일 이내에 치사 12 개체(1마리는 기생), 애벌레 7 개체, 번데기 4 개체로 치사율 52%, 10일 이내에는 6 개체가 번데기 상태로 도달하였고 17 개체는 치사하여 치사율 74% 정도인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09008341526-PAT00005
이와는 대조적으로 잎 및 줄기추출물의 경우 총 개체 25 개체 중에서 5일 이내에 치사 2 개체(1개체는 기생), 애벌레 9 개체, 고치 14 개체였고, 10 일 후에는 치사 4 개체, 고치 21 개체의 상태가 되어 치사율 16% 정도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유박 추출물이 큰붉은잎밤나방의 애벌레에 대하여 살충효과가 있음을 보여 주는 결과로서 유채 부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물질을 개발을 위한 긍정적 실험 결과라고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채의 유박과 잎 추출물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채 추출물을 이용한 큰붉은잎밤나방(Anomis commoda)의 배양전 유충의 대조군의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채 유박추출물(처리군)을 이용한 큰붉은잎밤나방(Anomis commoda)의 배양전 유충의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채 잎 및 줄기추출물(처리군)을 이용한 큰붉은잎밤나방(Anomis commoda)의 배양전 유충의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채 추출물을 이용한 큰붉은잎밤나방(Anomis commoda)의 배양 9일차 대조군 유충의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채 유박추출물(처리군)을 이용한 큰붉은잎밤나방(Anomis commoda)의 배양 9일차 유충의 사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채 잎 및 줄기추출물(처리군)을 이용한 큰붉은잎밤나방(Anomis commoda)의 배양 9일차 유충의 사진이다.

Claims (9)

  1. 유채(Brassica napus)의 추출물, 농축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채는 전 식물체, 잎, 줄기, 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는 기름을 추출하고 남은 유박을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
  6. 제 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곤충은 큰빗줄가지나방(Descoreba simplex Butler), 개나리잎벌(Apareophora forsythiae Sato), 큰붉은잎밤나방(Anomis commod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을 부피비 10 내지 500배로 물을 희석하여 살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물 유해곤충의 방제방법.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해곤충 방제용 살충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살충제는 현탁액, 서스포에멀젼, 습윤 가능한 분말, 과립 농축물, 마이크로 에멀젼, 수화제, 입제, 분제, 유제, 스프레이상, 연막제, 캡슐형 및 젤상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곤충 방제용 살충제.
KR1020090010893A 2009-02-11 2009-02-11 유채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 KR101061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893A KR101061038B1 (ko) 2009-02-11 2009-02-11 유채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893A KR101061038B1 (ko) 2009-02-11 2009-02-11 유채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611A true KR20100091611A (ko) 2010-08-19
KR101061038B1 KR101061038B1 (ko) 2011-09-01

Family

ID=42756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893A KR101061038B1 (ko) 2009-02-11 2009-02-11 유채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0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816A (ko) 2015-09-11 2017-03-22 경상남도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소나무재선충 방제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제용 제제 및 방제방법.
KR20190136803A (ko) 2018-05-31 2019-12-10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희카마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2069A (ja) 2006-06-14 2007-12-27 Musashino Shubyoen:Kk オゾンガスを用いたアブラナ科植物種子における黒腐病菌の殺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1038B1 (ko) 201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68087B1 (en) Pesticidal compositions for pest control
Fleming Integrating control of the Japanese beetle: a historical review
EP1896045B1 (en) Composition comprising brassicacea seeds meal and their use as biopesticides in plants
KR101061038B1 (ko) 유채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
Sawsan et al. Efficiency of zinc sulfate and some volatile oils on some insect pests of the tomato crop
Mwangi Evaluation of botanical pesticides and coloured sticky insect traps For Management of Insect pests (Thrips, Whiteflies And Aphids) In French Beans (Phaseolus Vulgaris L.)
KR20200014646A (ko) 고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국선녀벌레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Borden et al. Natural products for managing landscape and garden pests in Florida: ENY-350/IN197 major, 9/2018
KR101632246B1 (ko) 제충국 꽃 파우더 또는 슬러지를 이용한 살충 고형제 및 그 제조방법
Arutselvi et al. Formulation of natural insecticides against Panchaetothrips indicus Bagnall in Curcuma longa L. leaves of PTS and Erode varieties
KR20220099794A (ko) 제충국, 배초향, 및 윈터그린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Azimi Zadeh et al. The Impact of Several Plant Extracts and Essential Oils on Pistachio Psylla (Agonoscena pistaciae) and Its Natural Enemy, Chrysoperla carnea
Childers Practical use of horticultural mineral oils in integrated pest and disease management programs and their impact on natural enemies
Ojo et al. Effectiveness of the powders of Securidaca longepedunculata (Fres.) as Bioinsecticides against cowpea beetle, Callosobruchus maculatus (Fab.)(Coleoptera: Chrysomelidae)
Deshmukh A Case Study: Traditional Methods of Pest Control in Some Villages of KolhapurDistrict
KR101740560B1 (ko) 살충 활성을 갖는 녹두 추출물
Sharma et al. Population dynamics of major insect pests on Ailanthus excelsa Roxb. and their management in arid and semi-arid areas of Rajasthan and Gujarat
Gahukar Control of cotton insect and mite pests in subtropical Africa: current status and future needs
Soundararajan et al. Botanical Plant Products against Insect Pests of Rice
Rohim et al. Repellency of Lemongrass Extract (Cymbopogon nardus) in Solid and Liquid Formulation on Diaphorina citri and Menochilus sexmaculatus
Mekonnen et al. Screening of botanical extracts for the control of Artemisia rehan (Artemisia absinthium L.) Aphid (Coloradoa absinthii Li.) in green house and field condition
KR102060196B1 (ko) 머귀나무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충방법
JP4188893B2 (ja) 害虫忌避剤及び害虫の被害を低減する栽培方法
Reda et al. Efficacy of two plant extracts against Pectinophora gossypiella (Saunders) and affected biological aspect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Mahulikar et al. Botanicals as ecofriendly pestic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