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593B1 -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593B1
KR101534593B1 KR1020147003004A KR20147003004A KR101534593B1 KR 101534593 B1 KR101534593 B1 KR 101534593B1 KR 1020147003004 A KR1020147003004 A KR 1020147003004A KR 20147003004 A KR20147003004 A KR 20147003004A KR 101534593 B1 KR101534593 B1 KR 101534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front patch
edge
notch
upper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3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7549A (ko
Inventor
킨야 아사이
Original Assignee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7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 A61F13/5644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having more than one pair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7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characterised by the loop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된 때, 복부주위에 있어서 착용자에게 압박감을 주지 않는 전면패치를 구비한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는, 전면패치중 착용자의 복부가 닿을 가능성이 있는 부분에 노치를 설치하므로써, 착용자의 배가 전면패치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사실에 기초한다. 즉, 본 발명은, 고정테이프와 전면패치를 가지는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며, 적어도, 전면패치의 위 테두리 부근 방향으로, 전면패치의 안쪽방향으로 향하여 움푹들어간 중앙 노치부가 형성되며, 이 중앙 노치부의 오목 정상부는 전면패치의 중앙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TAPE-TYPE 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몸통 후면부에 설치된 고정테이프를 몸통 전면부에 고정하므로써 착용자의 신체에 장착되는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몸통 후면부에 고정테이프가 장착되어 몸통 전면부에 전면패치가 설치된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 고정테이프 와 전면패치는, 예를 들면 후크 재(凸부재)와 루프 재(凹부재)의 체결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몸통 후면부에 설치된 고정테이프를 몸통 전면부에 설치된 전면패치에 고정하므로써,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전면패치는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에 고정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면패치는 고정테이프를 쉽게 고정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넓은 면적으로 몸통 전면부의 외부 표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의 전면패치는 일반적으로, 그 형상이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1및 특허 문헌2참조). 예를 들면, 종래의 전면패치는 일회용 기저귀의 몸통 전면부의 좌우 방향을 길게 하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었다. 종래의 사각형 모양의 전면패치는 일회용 기저귀 제조 라인에서 비교적 쉽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대량 생산하기 쉽다.
[특허 문헌1] 특개2010-057713호 공보 [특허 문헌2] 특개2011-30604호 공보
한편, 일회용 기저귀 착용자에는 고령자나 유아가 많고, 일회용 기저귀 착용시에 자세가 앞쪽으로 기우는 경향이 있다. 특히 고령자는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한 채 상체를 앞으로 기울인 자세를 취하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한 사람이, 앞쪽으로 기울인 자세 나 앉은 자세를 취하면 그 복부와 허벅지 관절의 거리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 몸통 전면부가 모아져 주름이 형성되는 상황이 생기고 있다.
이러한 상황 아래, 종래 기술과 같이 고정테이프의 고정 용이성을 고려하여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전면패치를 몸통 전면부의 외부 표면에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하면 착용자가 앞으로 구부림 상태시, 그 복부가 전면패치의 위쪽 테두리에 닿아버려 착용감이 저하한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특히 전면패치는 그 전체면에 고정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면 패스너(fastener)를 가지며, 비교적 딱딱한 소재로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직접 착용자의 복부가 닿으면 그 피부를 다치게 해버릴 우려도 있었다.
마찬가지로 전면패치를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하면 착용자가 앞으로 구부림시, 그 허벅지 관절이 전면패치 아래 테두리에 닿게 된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감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전면패치 아래 테두리 중 착용자의 다리가 닿는 부분은 다리의 가동 영역에 있어서 주름지게 되어, 고정테이프를 고정시킨다는 전면패치 본래 기능을 가지지 못하는 것이 였다.
또한, 도10은 종래의 전면패치가 설치된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10에서는,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자가 앞쪽으로 기움 자세 나 앉은 자세를 취한 때, 착용자의 복부와 다리의 관절이 닿을 가능성이 있는 전면패치 부분을 원으로 둘러싸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 종래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단에 대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전면패치 중, 착용자의 복부 또는 양허벅지 부분의 관절이 닿을 가능성이 있는 부분에 노치(notch)를 설치하므로써 착용자의 복부 또는 양허벅지 부분의 관절이 전면패치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본 발명자는 상기 연구 결과에 근거하면,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생각에 이르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고정테이프(10)와 전면패치(20)를 갖는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는 착용시에 착용자의 등부를 덮는 몸통 후면부(1)와, 착용자의 복부를 덮는 몸통 전면부(2)와 몸통 후면부(1)와 몸통 전면부(2)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부(3)로 구성된다.
몸통 후면부(1)에는 몸통 후면부(1)의 좌우측 테두리에서 연장 돌출하도록 고정테이프(10)가 설치되어 있다.
몸통 전면부(2)에는 고정테이프(10)를 붙이기 위한 전면패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전면패치(20)를 중앙 영역(20a)과 중앙 영역보다 좌측 방향에 위치하는 좌측 방향 영역(20b)과 중앙 영역보다도 우측 방향에 위치하는 우측 방향 영역(20c)으로 구분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들 영역의 구분은 전면패치(20)를 중앙 영역(20a), 좌측 방향 영역(20b) 및 우측 방향 영역(20c)에 좌우 방향으로 삼등분 한 것이라도 좋고, 중앙 영역(20a) , 좌측 방향 영역(20b) 및 우측 방향 영역(20c)을, 예를 들면 4:3:3이나 6:2:2와 같이 임의의 비율로 구분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방향에 전면패치(20)의 안쪽 방향으로 움푹 들어간 중앙 노치부(21)가 형성되고, 이 중앙 노치부(21)의 凹정상부(a top of the indentation)(211)는 전면패치(20)의 중앙 영역(20a)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과 같이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쪽 중앙에 중앙 노치부(21)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착용자의 복부형상에 따라 중앙 노치부(21)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앞쪽으로 기움 자세 나 앉은 자세 자세를 취한 경우에도 그 복부가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와 비교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정테이프(10)를 붙이는 전면패치(20)의 기능을 감안하여, 전면패치(20)를 필요한 부분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비싼 자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좌측 방향 영역(20b) 또는 우측 방향 영역(20c)에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가 위치하고,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과 중앙 노치부의 凹정상부(211)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간의 거리는, 5mm 이상 8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는 좌측 방향 영역(20b)과 우측 방향 영역(20c) 중 어디에 위치 하는 것이라도 좋고, 또한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는, 실질적으로 좌측 방향 영역(20b)과 우측 방향 영역(20c)의 두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 구성과 같이 중앙 노치부(21)의 함몰 폭을 5mm 이상으로 하므로써 일회용 기저귀를 장착 한 채로 앞으로 구부림이 되었을 경우에도 전면패치(20)에 의해 복부가 압박되어 착용감이 저하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앙 노치부(21)의 함몰 폭이 80mm 이하이면, 몸통 후면부(1)에 설치된 고정테이프(10)를 몸통 전면부(2)에 고정한다고 하는 전면패치(20)의 기능을 손상하는 일도 없다.
본 발명에서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는 중앙 노치부(21)의 凹정상부(211)와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를 연결하는 곡선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는, 위 테두리(201)와 좌측 테두리(205)의 교점, 중앙 노치부의 凹정상부(211) 및 위 테두리(201)와 우측 테두리(206)의 교점을 연결하는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구성과 같이, 중앙 노치부(21)의 凹정상부(211)와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를 곡선으로 연결하므로써, 착용자의 복부 형상에 맞게 중앙 노치부(21)가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중앙 노치부(21)의 凹정상부(211)와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를 연결하는 곡선은 S자 모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S자 모양의 곡선은 상단부(202)에서 凹정상부(211)로 향하여 일단 외부로 불룩하게 하고, 그 후 凹정상부(211)를 향하여 안쪽으로 움푹한 S자 모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과 같이 중앙 노치부(21)의 凹정상부(211)와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를 연결하는 곡선이 S자 모양인 것에서, 착용자의 복부가 S자 모양의 구덩이에 따라서 피트한다. 이 때문에, 착용자의 복부가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에 접촉했을 경우라도 착용자의 복부에 불필요한 압박감을 주는 사태를 방지 할 수 있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면패치(20)의 아래 테두리(203)쪽에는, 전면패치(20)의 좌측 아래 모서리를 잘라낸 좌측 아래 노치부(22)와, 전면패치(20)의 우측 아래 모서리를 잘라낸 우측 아래 노치부(23)가 형성되고, 좌측 아래 노치부(22)의 凹정상부(221)는 좌측 방향 영역(20b)에 위치하고, 우측 아래 노치부(23)의 凹정상부(231)는 우측 방향 영역(20c)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과 같이 전면패치(20)의 아래 테두리(203)의 좌우 모서리 부에 노치(22,23)를 형성하므로써 착용자가 앞쪽으로 기움 자세 나 앉은 자세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경우라도, 양다리 부의 관절 (허벅지 관절 주변)의 가동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와 비교하여 착용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중앙 영역(20a)에는 전면패치(20)의 하단부(204)가 위치하며, 전면패치(20)의 하단부(204)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과, 좌측 아래 노치부(22)의 凹정상부(221)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및 우측 아래 노치부(23)의 凹정상부(231)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사이의 거리는 5mm 이상 8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과 같이 좌측 아래 노치부(22)의 함몰 폭과 우측 아래 노치부(23)의 함몰폭을 5mm 이상으로 하므로써 일회용 기저귀를 장착 한 채로 앞으로 구부림이 되었을 경우에도 전면패치(20) 아래방향 모서리부에 허벅지 관절이 닿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좌측 아래 노치부(22)의 함몰 폭과 우측 아래 노치부(23)의 함몰 폭이 80mm 이하이면, 몸통 후면부(1)에 설치된 고정테이프(10)를 몸통 전면부(2)에 고정한다고 하는 전면패치(20) 기능을 손상 하는 일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전면패치(20)의 아래 테두리(203)는 좌측 아래 노치부의 凹정상부(221), 전면패치(20)의 하단부(204) 및 우측 아래 노치부의 凹정상부(231)를 연결하는 곡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전면패치(20)의 아래 테두리(203)는, 아래 테두리(203)와 좌측 테두리(205)의 교점, 전면패치(20)의 하단부(204) 및 아래 테두리(203)와 우측 테두리(206)의 교점을 연결하는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과 같이 좌측 아래 노치부의 凹정상부(221), 전면패치(20)의 하단부(204) 및 우측 아래 노치부의 凹정상부(231)를 곡선에 의해 연결하여 착용자의 양다리 부의 가동영역의 형상에 맞추어 전면패치(20)의 아래 테두리(203)를 만곡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를 형성하는 곡선과 전면패치(20)의 아래 테두리(203)를 형성하는 곡선은, 동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패치(20)는 그 제조 공정에서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와 아래 테두리(20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재단되므로써 형성된다. 이 때문에, 위 테두리(201)와 아래 테두리(203)를 동일한 곡선형상으로 하므로써, 전면패치(20)를 동일한 재단 칼날로 재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와 아래 테두리(203)를 재단하는 재단 수단(재단 칼날)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는 동시에 트림 회수 수단도 필요없기 때문에 제조기계에 투입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면패치(20)는, 위 테두리(201)와 아래 테두리(203)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좌측 테두리(205)와, 위 테두리(201)와 아래 테두리(203)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우측 테두리(206)를 가진다.
또한,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는, 위 테두리(201)와 각 측 테두리(205,206) 의 교점과 일치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각 측 테두리(205,206) 와, 각 측 테두리(205,206) 와의 교점에 있어서 위 테두리(201)의 접선이 이루는 각은 둔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가지므로써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는, 상단부(202)에 있어서 둥근 모양이 된다. 따라서,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의 감촉이 좋아지고, 전면패치의 사각형 네모서리가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는, 위 테두리(201)와 각 측 테두리(205,206) 의 교점과 일치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각 측 테두리(205,206) 와 각 측 테두리(205,206)와의 교점에 있어서 위 테두리(201)의 접선이 이루는 각은 예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가지므로써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와 중앙 노치부의 凹정상부(211)를 연결하는 곡선은 凹정상부(221)쪽으로 보다 느린 움푹 들어간 형상이 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복부가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에 접촉했을 때 생기는 불필요한 압박감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면패치(20)는 중앙 영역(20a)과, 좌측 방향 영역(20b)과, 우측 방향 영역(20c)으로 분할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처럼 전면패치(20)는 중앙 영역(20a)에 속하는 제 1 조각과 좌측 방향 영역(20b)에 속하는 제2조각과 우측 방향 영역(20c)에 속하는 제3조각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처럼 전면패치(20)를 별도로 형성된 3개의 조각을 조합하여 제조하는 경우 중앙 영역(20a)에 속하는 제1편(조각)을 2편이나 3편과 비교하고, 몸통 전면부(2) 아래로 늘려 설치하므로써 중앙 노치부(21), 좌측 아래 노치부(22) 및 우측 아래 노치부(23)가 형성된 전면패치(2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에 노치를 형성시키지 않고, 아래 테두리(203)에만 노치를 형성하는 것이어도 좋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서는, 전면패치(20)의 아래 테두리(203) 측에만 전면패치(20)의 좌측 아래 각을 자른 좌측 아래 노치부(22)와, 전면패치(20)의 우측 아래 노치부의 우측 아래각을 자른 우측 아래 노치부(23)를 형성하고 좌측 아래 노치부의 凹정상부(221)를 좌측 방향 영역(20b)에 위치시키고, 우측 아래 노치부의 凹정상부(231)를 우측 방향 영역(20c)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 특정 사항을 가지므로써 착용자의 복부 또는 양허벅지 부분의 관절이 전면패치(20)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착용감이 향상된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유아용(乳幼兒用) 혹은 개호(介護)를 필요로 하는 고령자나 장애인 등의 성인용 일회용 기저귀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육아 산업이나 개호 산업 등에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1은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의 예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3은 어느 실시형태에 따른 전면패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4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전면패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5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전면패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6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전면패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7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전면패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8은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전면패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9는 전면패치 제조 공정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10는 종래의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의 형태에서 당업자가 자명한 범위에서 적절하게 수정한 것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좌우 방향"이란, 도2에 표시된 전개(展開) 된 일회용 기저귀의 짧은 방향 (도2중의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상하 방향」이란 도2에 표시된 전개 된 일회용 기저귀의 길이 방향 (도2중의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A ~ B」란, A 이상 B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1. 일회용 기저귀의 기본 구성)
도1은,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몸통 전면부(2)의 외 표면에 부착된 전면패치(20)가 보이도록, 몸통 전면부(2)를 접은 상태를 그린 것이다. 도2는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의 예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며, 일회용 기저귀를 장착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지 않는 면 (피부 닿지 않는 면) 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
도1과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100)는 장착시에 착용자의 등부를 덮는 몸통 후면부(1), 착용자의 복부를 덮는 몸통 전면부(2), 및 착용자의 가랑이에 대는 가랑이부(3)의 각 부로 구성된다.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100)의 몸통 후면부(1)와 몸통 전면부(2)에는, 좌우 방향으로 사이드 플랩이 연장되어 있다. 또한 몸통 후면부(1)에는, 각 사이드 플랩의 측면 테두리에서 돌출되도록 고정테이프(10)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몸통 전면부(2)의 피부 닿지 않는 면쪽에는 고정테이프(10)를 고정하여 붙이기 위한 전면패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100)는 몸통 후면부(1)를 착용자의 등부에 대고, 몸통 전면부(2)를 착용자의 복부에 댄 상태에서 몸통 후면부(1)에 붙어 있는 고정테이프(10)를, 몸통 전면부(2)에 설치된 전면패치(20)에 고정하므로써 착용자에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몸통 후면부(1)와 몸통 전면부(2) 사이에는 가랑이부(3)가 위치한다. 이 가랑이부(3)를 중심으로, 몸통 후면부(1)에서 몸통 전면부(2)에 걸쳐, 소변 등의 액체를 흡수하고 유지하기 위한 흡수체(31)가 배치(配置)되어 있다. 이 흡수체(31)는,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면 (피부 맞닿음면) 측에서 액체 투과성의 탑시트(32)에 의해 피복되고, 상대방의 피부 비 맞 닿음면 측에서 액체 불 투과성 백 시트(33)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따라서, 소변 등의 액체는 탑시트(32)를 투과하여 흡수체(31)에 흡수 유지되고, 액체 투과성 백시트33에 의해 외부로의 누출이 방지된다.
또한, 탑시트(32)의 양쪽 테두리에는 사이드 시트(34)를 배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사이드 시트(34)는 소수성(疏水性)을 가지면서도 통기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이드 시트(34)의 한 끝을 탑시트(32)의 표면위에 고정하고 다른 끝에 탄성 신축재 (입체주름 신축재) (41)를 신장 상태로 배치하므로써, 입체주름(35)를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입체주름(35)은 입체주름 신축재(41)가 수축하면, 그 수축력을 이용하여 기립한다. 기립한 입체주름(35)은 탑시트(32)의 측면에서 액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누설방지벽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백 시트(33)의 외부 표면에는 백 시트(33)를 보강하고, 그 감촉을 좋게 하기 위하여 커버 시트(36)를 붙여 맞추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커버 시트(36)를 형성하는 재료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폴리 에스테르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부직포, 또는 습식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2. 일회용 기저귀의 각부 구성)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의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2-1. 고정테이프 )
고정테이프(10)는, 일회용 기저귀(100) 착용자에 장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11)을
구비한 부재이다. 이 고정테이프(10)는, 몸통 전면부(2)에 설치된 전면패치(20)와 함께 고정기구를 구성한다. 고정테이프(10)는, 몸통 후면부(1)의 사이드 플랩(side flap)의 측면 테두리에서 연장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몸통 전면부(2)에 설치된 전면패치(20)를 고정하여 붙일 수 있게 되어 있다.
고정테이프(10)는 몸통 전면부(2)에 배치된 전면패치(20)에 닿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면 좋고, 그 형상은 도시 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1과 도2에서는 고정테이프(10)가 몸통 후면부(1)의 좌우 각 측 테두리에 2 개씩 설치된 예가 나타나있다. 그러나 고정테이프(10)의 수는 좌우 각측 테두리에 하나씩 설치된 것이라도 좋고, 3 개 이상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각 고정테이프(10)의 끝 부근에는, 고정수단(11)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수단(11)은, 예를 들어, 접착제 나 접착 테이프로 더욱 고정하는 것으로서도 좋고, 전면패치(20)에 기계적으로 결합 된 면상 지퍼(loop fastener) 이어도 좋다. 고정테이프(10) 과 전면패치(20)와 고정하는 패스닝(fastening)기구로는 후크 재(凸부재)와 루프 재(凹부재)의 기계적 결합에 의해 고정할 면상 지퍼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면상 지퍼는, 예를 들어, 표면에 다수의 돌기 (대패모양, 버섯 모양 등)가 형성된 후크 재와 표면에 루프 모양의 섬유가 배치된 루프 재와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고정테이프(10)의 고정수단(11)으로서 후크 재를 채용하고, 전면패치(20)에는 루프 재를 형성하면 좋다. 면상 지퍼는, 루프 재의 표면에 후크 재를 접합한 때, 후크 재의 다수의 돌기를 루프 재료의 표면에 계합시킨다. 따라서 면상 지퍼는 후크 재와 루프 재를 박리 가능한 상태로 더욱 견고하게 고착시킬 수 있는 것이며, 반복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 그리고 고착 강도가 높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고정테이프(10)의 기재(基材)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직포, 부직포, 기타 천, 종이 또는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직물을 구성하는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계, 폴리 프로필렌 계, 폴리 아미드 계, 폴리 에스테르 계, 폴리염화 비닐 계 또는 폴리스틸렌 계 합성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2-2. 전면패치)
전면패치(20)는, 몸통 후면부(1)에 설치된 고정테이프(10)를, 몸통 전면부(2)에 고정하여 유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전면패치(20)는 몸통 전면부(2)의 외부 표면 (피부 비 맞 닿음면 측)에 설치되고, 상술한 고정테이프(10)과 함께 패스닝기구(fastening mechanism)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고정테이프(10)의 고정수단(11)으로서 접착 테이프가 채용된 경우에는 전면패치(20)는 표면이 매끄러운 플라스틱 필름 등으로 형성하면 좋다. 한편, 고정테이프(10)의 고정수단(11)으로 면상 지퍼의 후크 재가 채용된 경우에는, 전면패치(20)로서는 면상 지퍼의 루프 재를 채용하면 좋다.
(2-2-1. 전면패치의 일 실시형태)
도3은, 본 발명에서 채용되는 전면패치가 있는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면패치의 형상은 도3에 나타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전면패치의 형상에 대하여 먼저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채택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3에서는 전면패치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 요소에 "검은색 원"을 붙여 표시하고 있지만, 이 "불릿"는 실재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3 (b)에서는 "점선"을 표시하고 있지만, 이 " 검은색 원"은 존재하지 않는 가상 선이다.
도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패치(20)는 중앙 영역(20a)과 중앙 영역(20a) 보다도 좌측 방향에 위치하는 좌측 방향 영역(20b)과 중앙 영역(20a) 보다도 우측 방향에 위치하는 우측 방향 영역(20c)으로 구분된다. 도3 (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전면패치(20)의 좌측 끝에서 우측 끝까지의 길이를 삼등분하여 중앙 영역(20a), 좌측 방향 영역(20b) 및 우측 방향 영역(20c)으로 구분하고 있다. 단, 이러한 구분은 전면패치(20)의 각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념으로 전면패치(20)의 영역을 구분한 것이며, 삼등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면패치(20)의 중앙 영역(20a), 좌측 방향 영역(20b) 및 우측 방향 영역(20c)을2:4:4나 4:3:3 또는 6:2:2와 같이 임의의 비율로 구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단, 좌측 방향 영역(20b)과 우측 방향 영역(20c)는 좌우 방향에 있어 길이가 같은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패치(20)는 좌우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상하 방향을 짧게 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면패치(20)는 만곡(?曲) 또는 굴절한 위 테두리(201)와, 위 테두리(201)에 대향하여 만곡 또는 굴절한 아래 테두리(203)와, 위 테두리(201)의 좌측 부분과 아래 테두리(203)의 좌측 부분을 연결하는 좌측 테두리(205)와 위 테두리(201)의 우측 끝부분(右端部)과 아래 테두리(203)의 우측 끝부분을 연결하는 우측 테두리(206)를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3 (a)에 나타난 예에서, 전면패치(20)는, 좌측 방향 영역(20b)과 우측 방향 영역(20c)의 2 부분에, 상단부(202)를 가지고 있다. 즉, 좌측 방향 영역(20b)에 위치하는 상단부(202)에서 전면패치(20)의 좌우 방향으로 직선을 그리면, 이 직선 상에는 우측 방향 영역(20c)에 위치하는 상단부(202)가 존재한다. 단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는 적어도 좌측 방향 영역(20b) 또는 우측 방향 영역(20c)의 어느 한 쪽에 속하는 것이면 좋고, 전면패치(20)의 좌측 방향 영역(20b)과 우측 방향 영역(20c)에는 높낮이 차이가 있어도 좋다.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쪽에는, 중앙 노치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앙노치부(21)가 형성되므로써, 위 테두리(201)가 곡선 또는 굴절한다. 도3 (a)에는, 위 테두리(201)가 만곡한 예가 나타나 있다. 중앙 노치부(21)은, 전면패치(20)의 안쪽 방향으로 향하여 움푹 들어간 것이며, 그 凹정상부(211)가 중앙 영역(20a)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凹정상부는 형성된 노치의 가장 오목한 부분을 의미한다. 도3 (a)에서 凹정상부(211)는 점으로 표시되는 것이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凹정상부(211)는 직선상의 것이라도 좋다. 凹정상부(211)가 점으로 형성되는 경우 凹정상부(211)는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凹정상부(211)는 적어도 중앙 영역(20a)으로 구분한 영역에 속해 있으면 좋고, 위 테두리(201)의 중심에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 벗어난 것이라도 좋다.
도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 테두리(201)는 중앙 노치부의 凹정상부(211)와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를 연결하는 곡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 (a)에 도시 된 실시형태에서는, 좌측 방향 영역(20b)과 우측 방향 영역(20c)의 각각에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가 위치하고 있으며, 각각의 상단부(202)와 중앙 노치부의 凹정상부(211)가 곡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단부(202)와 凹정상부(211)를 연결하는 곡선은 도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만 한 S자 모양의 곡선이어도 좋고, 완만한 원호 모양의 곡선 이어도 좋다.
도3 (a)에 도시 된 실시형태에서는,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가, 위 테두리(201)와 각 측 테두리(205,206) 의 교점과 일치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각 측 테두리(205,206) 와 각 좌측 테두리와의 교점에 있어서 위 테두리(201)의 접선이 이루는 각 θ1은 둔각으로 되어 있다 (θ1> 90도). 예를 들면, θ1의 각도는 95도~135도, 100도~130도 또는 105도~11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도4 (a)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를, 위 테두리(201)와 각 측 테두리(205,206)의 교점과 일치시킬 수도 있다. 도3 (a)에 도시 된 실시형태와 같이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가 위 테두리(201)와 각 테두리 주위(205,206)의 교점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위 테두리(201)의 상단부(202)와 중앙 노치부(21)의 凹정상부(211)를 완만한 S자 모양의 곡선에 의해 연결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따라서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의 전체를 완만 한 곡선에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령 착용자의 복부가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에 접촉했을 경우라도 착용자에게 불필요한 압박감을 주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와, 위 테두리(201)와 각 테두리 주위(205,206)의 교점의 엇갈림의 차이 (부호 K의 거리)는, 예를 들어, 0.5mm~10mm, 1mm~8mm, 2mm~6mm 또는 3mm~4mm로 할 수 있다.
또한 도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 테두리(201)의 상단부(202)와 중앙 노치부(21)의 凹정상부(211)를 연결하는 S자모양의 곡선은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에서 중앙 노치부(21)의 凹정상부(211)를 향하여 일단 외측으로 팽출(膨出)하고, 그 다음 안쪽으로 움푹 패인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는, 대칭적으로 연속한 2개의 S자 모양의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에, 안 쪽으로 향하여 움푹 패인 중앙 노치부(21)가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는, 대칭적으로 연속적인 2개의 S자 모양의 완만한 곡선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완만한 곡선이란, 이 곡선에 대한 접선의 각도가 완만하게 변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접선 각도의 변화량은 1도~20도 또는 1도~10도로 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3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는, 상단부(202)와 凹정상부(211)를 연결하는 S자 모양의 곡선이, 상단부(202)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을 넘지 않는 정도로, 외측으로 팽출하고 있다. 또한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는 상단부(202)와 凹정상부(211)를 연결하는 S자 모양의 곡선이, 凹정상부(211)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을 넘지 않는 정도로, 안쪽으로 움푹 패여 있다. 또한 위 테두리(201)와 凹정상부(211)를 연결하는 S자 모양의 곡선이 「팽출한다」나「움푹 팬다」라는 표현은, 위 테두리(201)와 凹정상부(211)를 연결하는 직선과 대비한 경우의 표현이다.
위와 같이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를, 대칭적으로 연속한 2개의 S자 모양의 완만한 곡선에 의하여 형성하므로써, 예를 들면 착용자가 앞으로 구부린 상태가 된 경우에도, 착용자의 복부가 중앙 노치부(21)에 맞는 다. 따라서, S자 모양의 곡선이 좌우의 상단부(202)와 凹정상부(211)를 연결하므로써, 착용자의 복부가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에 접촉했을 때라도, 착용자에게 불필요한 압박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전면패치(20) 아래 테두리(203)는 중앙 영역(20a)에 하단부(204)가 위치하며, 좌측 방향 영역(20b)에 좌측 아래 노치부(22)가 형성되고, 우측 방향 영역(20c)에 우측 아래 노치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 아래 노치부(22)는 전면패치(20)의 좌측 아래 각을 자른 것이며, 좌측 아래 노치부(22)의 凹정상부(221)는 좌측 방향 영역(20b)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우측 아래 노치부(23)는 전면패치(20)의 오른 쪽 아래각을 자른 것이며, 우측 아래 노치부의 凹정상부(231)는 전면패치(20)의 우측 방향 영역(20c)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좌측 아래 노치부(22) 및 우측 아래 노치부(23)가 형성되므로써, 전면패치(20)의 아래 테두리(203)는, 굴절 또는 만곡한다. 도3 (a)에서는 전면패치(20)의 아래 테두리(203)가 만곡한 예가 나와있다.
도3 (a)의 실시형태에서, 좌측 아래 노치부(22)의 凹정상부(221)에서 좌우 방향으로 직선을 그릴 때 그 직선 상에는 실질적으로 우측 아래 노치부(23)의 凹정상부(231)가 존재한다. 단, 좌측 아래 노치부(22)의 凹정상부(221)와 우측 아래 노치부(23)의 凹정상부(231)는,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차를 갖는 것이라도 좋다..
도3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패치(20)의 하단부(204)는, 중앙 영역(20a) 에 위치하고 있다. 하단부(204)는, 전면패치(20) 아래 테두리(203)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중앙 영역(20a)에 속하는 범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 벗어난 곳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도3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패치(20)의 아래 테두리(203)는, 좌측 아래 노치부(22)의 凹정상부(221)와, 전면패치(20)의 하단부(204)와, 우측 아래 노치부(23)의 凹정상부(231)를 연결하는 곡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단부(204)와 좌측 아래 노치부(22)의 凹정상부(221) (또는 우측 아래 노치부(23)의 凹정상부(231))를 연결하는 곡선은, 도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만한 S자 모양의 곡선이라도 좋으며, 완만한 원호 모양의 곡선 이어도 좋다.
또한 도3 (a)에 도시 된 실시형태는, 좌측 아래 노치부(22)의 凹정상부(221)와 우측 아래 노치부(23)의 凹정상부(231)가, 아래 테두리(203)와 각 측 테두리(205,206)의 교점(交点)에 일치하지 않는 예이다. 바꾸어 말하면 각 측 테두리(205,206)와, 각 좌측 테두리와의 교점에 있어 아래 테두리(203)의 접선이 이루는 각 θ2는, 예각으로 되어 있다 (θ2<90도). 예를 들어, θ2의 각도는 45도~85도, 50도~80도 또는 70도~7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θ2의 각도는 상기 θ1의 각도와의 합이, 180도가 되는 것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θ1 + θ2 = 180도). 그러나 θ1과 θ2의 합은 180도를 넘는 것이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3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 테두리(203)와 각 측 테두리(205,206)의 교점과 전면패치(20)의 하단부(204)를, 완만한 S자 모양의 곡선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따라서 전면패치(20)의 아래 테두리(203)의 전체를 완만한 곡선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령 착용자의 양다리 부분의 관절이 전면패치(20)의 아래 테두리(203)에 접촉했을 경우에도 착용자에게 불필요한 압박감을 주는 경우가 없다.
또한 도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 테두리(201)와 아래 테두리(203)의 형상은 일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위 테두리(201)의 곡선과 아래 테두리(203)의 곡선과는,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위 테두리(201)와 아래 테두리(203)의 형상은 일치시키기 위하여는, 위 테두리(201)와 아래 테두리(203)를 재단할 때 같은 재단 칼날 (커터)을 사용하면 좋다. 위 테두리(201)와 아래 테두리(203)의 형상을 일치시키므로써, 전면패치(20)를 보다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즉, 도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패치(20)의 아래 테두리(203)는, 위 테두리(201)와 마찬가지로, 대칭적으로 연속한 2개의 S자 모양의 곡선에 의해 형성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위 테두리(201)와 아래 테두리(203)가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써, 전면패치(20)는 좌우 방향으로 신장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신체에 따라 적절하게 기저귀를 맞출수 있게 된다. 즉,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는 착용자의 복부에 기저귀의 몸통 전면부를 맞추기 위하여, 기저귀의 몸통 전면부를 좌우 방향으로 인장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몸통 전면부에 부착된 전면패치(20)가, 구조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신장하기 쉽게 되어 있으면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에 보다 잘 맞게 하여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3 (b)를 참조하여 전면패치(20)의 형상 치수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을 성인용 일회용 기저귀에 적용한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단, 전면패치(20)의 형상 치수는 다음 설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하게 변경하므로써 예를 들어, 유아용 일회용 기저귀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3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패치(20)의 좌우 방향의 길이 (선분A)는, 200mm ~ 600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280mm~500mm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전면패치(20)의 상하 방향의 길이, 즉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에서 하단부(204)까지의 상하방향의 길이 (선분B)는 100mm~200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140mm ~ 180mm 이다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면패치(20)의 상하 방향의 길이 (선분B)는, 그 좌우 방향의 길이 (선분A)에 대하여 20 %~60 %의 길이 인 것이 바람직하고, 25%~50%의 길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도3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에서 좌우 방향으로연장되는 직선과, 중앙 노치부(21)의 凹정상부(211)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사이의 거리 (선분C) 는 5mm~80mm나, 10mm~60mm, 15mm~50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mm~40mm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전면패치(20)의 좌측 테두리(205) 및 우측 테두리(206)의 길이 (선분D)는 50mm~200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mm~160mm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좌측 테두리(205)의 길이와 우측 테두리(206)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치하지 않아도 좋다. 여기서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에서 중앙 노치부(21)의 凹정상부(211)까지의 상하방향의 거리 (선분C)는 전면패치(20)의 좌측 테두리(205) 및 우측 테두리(206)의 길이 (선분D)에 대하여 1%~50% 및 10%~40%의 거리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30%의 거리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도3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영역(20a)에서 중앙 노치부(21)의 凹정상부(211)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과, 전면패치(20)의 하단부(204)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사이의 거리 (선분E)는 50mm~200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mm~160m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좌측 방향 영역(20b)에서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과, 좌측 아래 노치부(22)의 凹정상부(211)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사이의 거리 (선분F)는 50mm~200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mm~160mm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우측 방향 영역(20c)에서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과, 우측 아래 노치부(23)의 凹정상부(231)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사이의 거리 (선분G)는 50mm~20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mm~160mm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3 (b)에 나타난 선분E, 선분F 및 선분G는 실질적으로 동일하여도 좋고, 다른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선분F 또는 선분G는, 선분E에 대하여 50%~90%의 거리라도 좋으며, 60%~80%의 거리로 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선분E와 선분F와 선분G는 전면패치(20)의 좌측 테두리(205) 및 우측 테두리(206)의 길이 (선분D)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여도 좋고, 다른 것이어도 좋다.
또한, 중앙 영역(20a)에서, 중앙 노치부(21)의 凹정상부(211)는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의 중앙에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 벗어나 있는 것이라도 좋다. 즉, 중앙 노치부(21)의 凹정상부(211)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과 좌측 테두리(205) 사이의 거리 (선분H)와 중앙 노치부(21)의 凹정상부(211)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과 우측 테두리(206)사이의 거리 (선분I)는, 다른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선분H는 선분I에 대하여 70%~90%의 거리로 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중앙 영역(20a)에서 전면패치(20)의 하단부(204)는 전면패치(20) 아래 테두리(203)의 중앙에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 벗어나 있는 것이어도 좋다.
도3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패치(20)의 하단부(204)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과 좌측 아래 노치부(22)의 凹정상부(221) (또는 우측 아래 노치부(23)의 凹정상부(231))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사이의 거리 (선분J)는 5mm~80mm와 10mm~60mm, 15mm~5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20mm~40mm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면패치(20)의 하단부(204)에서 좌측 아래 노치부(22)의 凹정상부(221) (또는 우측 아래 노치부(23)의 凹정상부(231))까지의 상하방향의 거리 (선분J)는 전면패치(20) 의 좌측 테두리(205) 및 우측 테두리(206)의 길이 (선분D)에 대하여, 1%~50% 나 10%~40%의 거리인 것이 바람직하고, 20%~30%의 거리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도3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분C와 선분J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한데, 양자는 다른 것이어도 좋다. 선분C는 즉, 중앙 노치부(21)의 함몰 폭이며, 선분J는 좌측 아래 노치부(22) 및 우측 하단 노치부(23)의 함몰 폭이다. 예를 들면, 중앙 노치부(21)의 함몰 폭은 좌측 아래 노치부(22) (또는 우측 아래 노치부(23))의 함몰 폭보다 깊은 것이라도 좋다.
또한 도3 (b)에서는,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가, 위 테두리(201)와 각 측 테두리(205,206)의 교점과 일치하고 있지 않다.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에서 상기 교점까지의 좌우방향의 거리 (선분K)는, 예를 들면, 5mm~5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mm~30mm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도3 (b)에서는, 좌측 아래 노치부(22)의 凹정상부(221)와 우측 아래 노치부(23)의 凹정상부(231)가 아래 테두리(203) 각 측 테두리(205,206)의 교점과 일치하고 있지 않다. 좌측 아래 노치부(22)의 凹정상부(221)와 우측 아래 노치부(23)의 凹정상부(231)에서 상기 교점까지의 좌우방향 거리 (L)는 예를 들면, 5mm~5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mm~30mm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예를 들면,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를, 위 테두리(201)와 각 측 테두리(205,206)의 교점과 일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므로써, 전면패치(20)의 각도부의 각도를 90도 이상인 직각 또는 둔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피부가 접한 경우에도, 착용자가 위화감을 기억할 수 없게 된다.
도3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 측에서, 중앙 노치부(21)의 凹정상부(211)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과,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사이의 거리 (선분M)는 50mm~250mm 또는 100mm~20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mm~170mm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도3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패치(20)의 아래 테두리(203) 측에서 전면패치(20)의 하단부(204)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과, 좌측 아래 노치부(22)의 凹정상부(221) (또는 우측 아래 노치부(23)의 凹정상부(231))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사이의 거리 (선분N)는 50mm~250mm 또는 100mm~200m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mm~170mm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선분M과 선분N의 거리는 동일하여도 좋고, 다른 것이라도 좋다.
(2-2-2. 전면패치의 다른 실시형태)
이하, 도4에서 도7 참조하여 전면패치(20)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실시형태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4 (a)에 도시 된 실시형태에서는,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가 위 테두리(201)와 각 측 테두리(205,206)의 교점과 일치하고 있다. 또한 좌측 아래 노치부(22)의 凹정상부(221)가, 아래 테두리(203)와 좌측 테두리(205)의 교점과 일치하고, 우측 아래 노치부(23)의 凹정상부(231)가, 아래 테두리(203)와 우측 테두리(206)의 교점과 일치하고 있다. 그리고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와 중앙 노치부(21)의 凹정상부(211)가, S자 모양의 완만한 곡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전면패치(20)의 하단부(204)와 좌측 아래 노치부(22)의 凹정상부(221) 및 전면패치(20)의 하단부(204)와 우측 아래 노치부(23)의 凹정상부(231)도 S자 모양의 완만한 곡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4 (a)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착용자의 복부와 양다리부의 형상에 따라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및 아래 테두리(203)가 만곡하고 있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불필요한 위화감을 줄 수 없어서 바람직하다.
도4 (b)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가, 위 테두리(201)와 각 측 테두리(205,206) 의 교점과 일치하고 있다. 또한 좌측 아래 노치부(22)의 凹정상부(221)가, 아래 테두리(203)와 좌측 테두리(205)의 교점과 일치하고 우측 아래 노치부(23)의 凹정상부(231)가, 아래 테두리(203)와 우측 테두리(206)의 교점과 일치하고 있다. 그리고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는,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와 중앙 노치부(21)의 凹정상부(211)를 통과하는 완만한 원호 모양의 곡선을 그리듯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패치(20)의 아래 테두리(203)는 좌측 아래 노치부(22)의 凹정상부(221) 전면패치(20)의 하단부(204) 및 우측 아래 노치부(23)의 凹정상부(231)를 통과하는 완만한 원호 모양의 곡선을 그리듯이 형성되어 있다. 도4 (b)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위 테두리(201)및 아래 테두리(203)가 심플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면패치(20)를 절단 형성시 비(非) 조각을 방지 할 수 있고, 게다가 대량 생산하기 쉽다.
도4 (c)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에서, 그 상단부(202)를, 위 테두리(201)와 각 측 테두리(205,206)의 교점과 일치시키지 않고 전면패치(20) 모서리를 둥글게 잘라낸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전면패치(20) 아래 테두리(203)에서는, 좌측 아래 노치부(22)에서 전면패치(20)의 좌측 아래 각을 둥글게 잘라 내고, 마찬가지로 우측 하단 노치부(23)에서 전면패치(20)의 우측 아래 모서리를 둥글게 잘라 내고 있다. 이처럼 전면패치(20)의 네개의 모서리를 둥글게 잘라내므로써 착용자의 피부가 접한 경우에도 그 피부 손상의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4 (d)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 중앙 노치부(21)의 凹정상부(211), 좌측 아래 노치부(22)의 凹정상부(221), 전면패치(20)의 하단부(204) 및 우측 아래 노치부(23)의 凹정상부(231)가 각각, 좌우 방향으로 평행한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및 아래 테두리(203)는, 굴절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5는 도4 (a)~(d)에 나타난 형상에서,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쪽에 중앙 노치부(21)를 형성하고 전면패치(20)의 아래 테두리(203)쪽에는 좌측 노치부(22) 및 우측 하단 노치부(23)를 형성하지 않은 상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5 (a)~(d)는 각각 도4 (a)~(d)에 대응하고 있다.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쪽에 중앙 노치부(21)만을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한편, 도6은 도4(a)~(d)에 나타난 형상에서,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쪽에 중앙 노치부(21)를 형성하지 않고, 전면패치(20) 아래 테두리(203)쪽에, 좌측 아래 노치부(22) 및 우측 하단 노치부(23)를 형성한 상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6 (a)~(d)는 각각 도4 (a)~(d)에 대응하고 있다.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패치(20)의 아래 테두리(203)쪽에, 좌측 아래 노치부(22) 및 우측 하단 노치부(23)만을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도7에서는, 전면패치(20)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7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와 아래 테두리(203)의 형상을 다른 형상으로 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7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 테두리(201)를 전면패치(20)의 내측을 향해 움푹 패인 완만한 원호 모양으로 형성하고, 아래 테두리(203)를 좌측 아래 노치부(22)의 凹정상부(221)와 전면패치(20)의 하단부(204)를 연결하는 S자 모양의 곡선 및 우측 아래 노치부(23)의 凹정상부(231)와 전면패치(20)의 하단부(204)를 연결하는 S자 모양의 곡선에 의해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도7 (a)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위 테두리(201)가 복부의 형상에 따르도록 하여 만곡하여 있고, 또한 아래 테두리(203)도 양다리 부의 형상을 따라 만곡하여(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도7 (b)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전면패치(20)가 중앙 영역(20a)과, 좌측 방향 영역(20b)과, 우측 방향 영역(20c)으로 분할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중앙 영역(20a)이 제 1편(片;조각) 으로 되고, 좌측 방향 영역(20b)이 제2편(片;조각) 으로 되며, 우측 방향 영역(20c)가 제3편으로 된다. 그리고 제1편 20a가, 제2편 20b와 제3편 20c에 비해 아래로 늦춰지는 중앙 노치부(21), 좌측 아래 노치부(22) 및 우측 하단 노치부(23)가 형성된다. 이처럼 전면패치(20)를3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설치하고, 중앙 노치부(21), 좌측 아래 노치부(22) 및 우측 하단 노치부(23)를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도7 (c)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와, 중앙 노치부(21)의 凹정상부(211)가 직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면패치(20)의 하단부(204)와 좌측 아래 노치부(22)의 凹정상부(221) 및 전면패치(20)의 하단부(204)와 우측 아래 노치부(23)의 凹정상부(231)가 각각 직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처럼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와 아래 테두리(203)는 직선을 굴절시킨 형상이어도 좋다.
도8은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전면패치(20)를 나타내고 있다. 도8에 표시된 대로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쪽에는 중앙 노치부(21)가 형성되고, 凹정상부(211)가 중앙 영역(20a)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가, 위 테두리(201)와 각 측 테두리(205,206)의 교점에 위치하고 있다. 이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와 凹정상부(211)는 완만한 S자 모양 또는 원호 모양의 곡선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도8에 나타난 실시형태에서는, 각 측 테두리(205,206)와 각 좌측 테두리와의 교점에서 위 테두리(201)의 접선이 이루는 각 θ1이 예각이다 (θ1 <90 도). 예를 들어, 도8에 표시된 θ1의 각도는 45도 ~ 85도, 50도 ~ 80도 또는 70도 ~ 7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전면패치(20)의 아래 테두리측(203)에는 중앙 영역(20a)에 하단부(204)가 위치하고 좌측 방향 영역(20b)에 좌측 아래 노치부(22)가 형성되며, 우측 방향 영역(20c)에 우측 아래 노치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 아래 노치부(22)의 凹정상부(221)와 우측 아래 노치부(23)의 凹정상부(231)가, 아래 테두리(203)와 각 측 테두리(205,206)의 교점에 위치하고 있다. 이 전면패치(20)의 하단부(204)와 凹정상부(221,231)은, 완만한 S자 모양 또는 원호 모양의 곡선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도8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각 측 테두리(205,206)와 각 좌측 테두리와의 교점에 있어서 아래 테두리(203)의 접선이 이루는 각 θ2가 둔각으로 되고있다 (θ2> 90도). 예를 들어, 도8에 나타낸 θ2의 각도는 95도~135도, 100도~130도 또는 105도~11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θ2의 각도는 상기 θ1의 각도와의 합이 180도가 되는 것이다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θ1 + θ2 = 180도). 단, θ1과 θ2의 합은, 180도를 넘는 것이어도 좋다.
도8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전면패치(20)는, 좌우 방향 (전면패치의 길이 방향)에 직선을 그은 경우에 그 직선과 위 테두리(201)가, 3점 이상에서 만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8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전면패치(20)는, 좌우 방향으로 직선을 그은 경우에, 이 직선과 아래 테두리(203)가, 3점 이상에서 만나지 않는다. 즉, 위 테두리 주위(201)와 아래 테두리(203)는, 어느 점의 접선을 취했다 하여도, 이 접선이 좌우 방향과 평행이 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위 테두리 주위(201)와 아래 테두리(203)에서 좌우 방향과 평행이 되는 부분을 만들지 않도록 설계하므로써, 전면패치(20)를 제조할 때 시트가 잘리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면패치(20)를 제조할 때 전면패치(20)가 길고 연속적인 시트재를, 위 테두리(201)와 아래 테두리(203)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절단하고 각각의 전면패치(20)로 분리 한다. 따라서, 위 테두리(201)와 아래 테두리(203)는, 시트재의 절단선에 상당한다. 여기서, 시트재의 절단선 (위 테두리(201)와 아래 테두리(203))에, 좌우 방향과 평행한 부분이 있으면, 시트재를 절단할 때, 그 평행한 부분에서 선 압력이 약해진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도4 (d)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같이 위 테두리(201)가 각 측 테두리(205,206)에 만나는 점이 좌우 방향으로 평행하면, 그 평행 한 부분에 시트재의 잘리지 않은 부분이 생기기 쉽다. 이 점, 도8에 나타난 실시형태의 전면패치(20)에서는, 위 테두리(201)와 아래 테두리(203)에, 좌우 방향과 평행이 되는 부분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도8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따르면, 위 테두리(201)와 아래 테두리(203)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시트재를 절단하는 경우에도, 잘리지 않은 부분이 생기지 않고, 효율적으로 전면패치(20)를 제조하기 쉬워진다.
(2-3. 흡수체)
흡수체(31)는 착용자의 소변을 흡수하여 유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흡수체(31)는, 착용자의 소변이나 체액을 흡수하여 유지하기 위해, 흡수성 재료로 구성된다. 흡수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플러프 펄프(fluff pulp), 고 흡수성 폴리머 (Super Absorbent Polymer; 「SAP」), 친수성 시트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플러프 펄프의 예는 목재 펄프 나 비 목재 펄프를 면상에 해섬(解纖) 한 것이다. 고 흡수성 폴리머의 예는 폴리 아크릴산 나트륨이다. 친수성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티슈, 흡수지, 친수화 처리를 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흡수체(31)는 탑시트(32)와 백 시트(33)의 사이에 삽입되어, 양 시트의 테두리부가 봉착(封着)되므로써, 탑시트(32)와 백 시트(33) 사이에 봉입된다. 흡수체(31)의 형상은 도시된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사각형상, 표주박 형, T자형으로 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나타낸 테이프형 기저귀(100)에서는, 흡수체(31)로서 모래시계형 흡수체를 채용하고 있다.
(2-4. 탑시트)
탑시트(32)는, 흡수체(31)의 피부 맞 닿음면 쪽을 피복하도록 배치되는 액체 투과성 시트이다. 탑시트(32)는, 소변 등의 액체를, 그 아랫면 쪽에 배치된 흡수체(31)에 침투시킨다.
탑시트(32)를 구성하는 액체 투과성 재료로서 예를 들면, 직포, 부직포, 다공성 필을 채용할 수 있다. 특히. 폴리 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 에스테르, 나일론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부직포에 친 수화 처리를 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시트(32)는 단일 시트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여러 시트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흡수체의 표면부에 배치된 시트와, 사이드 플랩(side flap)부분에 배치 되는 시트를 조합한 구성이어도 좋다.
(2-5 백 시트)
백 시트(33)는, 흡수체(31)를 피부 비 맞 닿음면 측으로부터 피복하도록 배치되는 액체 불 투과성의 시트이다. 백 시트(33)는, 흡수체(31)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액체가 기저귀 외부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백 시트(33)를 구성하는 액체 불 투과성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이루어진 액체 불 투과성 필름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특히 미세 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미세 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은 0.1μm 정도의 미세한 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액체 불 투과성이지만 투습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저귀 내부의 무더움을 방지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백 시트(33)의 외부 표면에는 백 시트(33)를 보강하고, 그 감촉을 좋게 하기 위해 커버 시트(36)를 접합시킨 것으로 해도 좋다. 커버 시트(36)를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폴리 에스테르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부직포 또는 습식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2-6 입체 주름(gather))
입체주름(35)은 착용자가 배설한 소변 등이 기저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누설 방지벽으로서 기능을 하는 부재이다. 입체주름(35)은 탑시트(32)와 백 시트(33)와는 다른 사이드 시트(34)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사이드 시트(34)의 일단 측을 탑시트(32)의 표면에 고착하고, 타단측에 입체주름 신축재(41) 를 신장(伸張) 상태로 배치한다. 따라서 입체주름(35)은, 입체주름 신축재 (41)의 수축력에 의해 기립하고, 기저귀의 다리 주위 개구부 등으로부터 소변 등의 액체가 누출하는 횡 누설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입체주름(35)은 가랑이부(3)에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가랑이부(3)에 형성되어 있으면 좋지만, 몸통 후면부(1)나 몸통 전면부(2)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입체주름(35)은, 가랑이 아래 부분의 좌우 측방에, 적어도1쌍 이상 형성되어 있으면 좋으며, 예를 들면, 가랑이 아래 부분의 좌우 측방에 2쌍 이상 형성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2-7 각종 주름)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상기 입체주름(35) 외에, 다리 주위 주름(37) 이나 허리 주위 주름(38)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리(허벅지) 주위 주름(37)은 일회용 기저귀의 다리부 주위 개구부에서 소변 등의 액체가 누출되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다리 주위 개구부에 따라 다리부 주위 신축재(42)가 신장 상태로 배치되며, 이 다리부 주위 신축재(42)의 수축력을 이용하여 다리부 주위 주름(37)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다리 주위에 틈새가 형성되기 어렵게 되고, 다리 주위 개구부에서 소변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리부 주위 주름(37)을 형성하면, 기저귀를 교환할 때 흡수체(31)의 양측에서 다리부 주위 신축재 (42)가 수축하기 때문에 가랑이부(3)가 전체적으로 주발(그릇)모양으로 변형된다. 이 때문에, 소변이나 체액이 그릇 모양으로 형성된 가랑이 부(3)에 모여, 소변을 흘리지 않고 쉽게 기저귀를 교체할 수 도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2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일회용 기저귀의 다리부 주위에 기저귀 길이 방향 (상하 방향)을 따라 직선적 인 3개의 다리부 주위 신축재(42)를 배치한 예이다. 이 다리부 주위 신축재(42)는 예를 들면, 실 고무 및 평 고무로 구성되어 있다. 단, 다리부 주위 신축재(42)는 반드시 직선으로 배치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기저귀의 다리 주위 개구부의 커브를 따라 곡선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허리 주위 주름(38)은 일회용 기저귀의 허리 둘레의 개구부에서 소변 누출을 방지하고, 일회용 기저귀의 피트성을 향상시키고, 기저귀의 질질 끌려 내려감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허리 둘레의 개구부에 있어 허리테두리 신축재(43)가 신장 상태로 배치되고, 이 허리 주위 신축재(43)의 수축력을 이용하여 허리 주위 주름(38)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일회용 기저귀의 허리 둘레개구부가 착용자의 복부와 등부에 밀착하기 때문에, 소변 누설을 방지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2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일회용 기저귀의 허리 둘레에, 기저귀의 짧은 방향 (좌우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4 개의 허리 주위 신축재(43)를 배치한 예이다. 이 허리 주위 신축재(43)는, 다리부 주위 신축재(42)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실 고무 나 평 고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다리부 주위 신축재(42)와 허리주위 신축재(43)로서는, 예를 들어 천연 고무 나 합성 고무 (우레탄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진 고무, 신축성 넷(net) 신축성 필름, 신축성 폼 (우레탄 폼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들의 신축재는 기저귀의 다른 구성 부재에 대하여 접착제 기타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핫멜트 접착제, 기타 유동성이 높은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이어도 좋고, 히트씰링(heat-sealing) 같은 열이나 초음파 등에 의한 용착이어도 좋다.
(3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형 기저귀의 제조 방법의 전체의 흐름을 설명한다.
첫째, 백 시트(33)의 재료가 되는 긴 백 시트 재료의 표면에 흡수체(31)를 적재한다. 그리고 이들의 더욱 윗면에 탑시트(32)의 재료가 되는 긴 탑 시트 재를 적재한다. 이에 따라 일회용 기저귀가 연속적으로 이어진 중간체가 생성된다. 이때, 탑 시트 재에, 사이드 시트(34)의 재료가 되는 긴 사이드 시트 재가 접합되고, 사이드 시트 재에 입체주름 신축재(41)을 배치하여, 입체주름(35)이 형성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일회용 기저귀의 중간체는, 기저귀의 다리 주위 개구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원호 모양으로 잘라내 제거 (R컷)하여, 다리 주위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런 다음 다른 라인에서 형성된 고정테이프(10)과 전면패치(20)를 각각, 몸통 후면부(1)와 몸통 전면부(2)에 붙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일회용 기저귀의 중간체를 개별적으로 절단하므로써, 테이프형 기저귀(100)를 제조할 수 있다.
다음에, 도9 참조하여 전면패치(20)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특히, 이하에서는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와 아래 테두리(203)가 동일한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9는 전면패치(20)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 라인의 상류에는, 전면패치(20)의 재료가 되는 긴 전면패치재(51)가 감겨 멈춘 전면패치 롤(52)이 위치하고 있다. 이 전면패치 롤(52)에서 전면패치재(51)가 인출되고, 화살표 A 방향에 따라 제조 라인의 하류로 운반된다. 전면패치 롤(52)의 하류에는 재단용 커터롤러(53)가 위치하고 있다. 재단용 커터롤러(53)는 회전축을 가지며,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한다. 재단용 커터롤러(53)는, 제조 라인을 따라 이송되어 온 전면패치 재(51)를,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재단하고, 각각의 전면패치(20)를 형성한다.
여기서, 재단용 커터롤러(53)의 절단 날(54)은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와 아래 테두리(203)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만곡하여(구부러져) 있다. 따라서 하나의 재단용 커터롤러(53)를 이용하여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와 아래 테두리(203)를 재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 테두리(201)와 아래 테두리(203)의 형상이 일치하고 있으면, 재단용 커터롤러(53)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전면패치(20)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전면패치(20)를 생산하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재단용 커터롤러(53)는, 평탄면을 가진 앤빌롤(anvil roll)과의 사이에 전면패치재(51)를 끼워 회전하여, 전면패치재(51)를 재단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도9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위 테두리(201)와 아래 테두리(203)가 모두 곡선에 의해 형성된 전면패치(20)가 나타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도4 (d)에 도시 된 실시형태와 같이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나 아래 테두리(203)가 직선적으로 형성되고, 또한, 위 테두리(201)나 아래 테두리(203)의 일부에 좌우 방향으로 수평 부분이 존재하면 해당 수평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에서 재단시 선(線) 압력이 변화하기 때문에 전면패치(20)를 재단함에 있어서 잘리지 않은 조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 점, 도8에 도시 된 실시형태와 같이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와 아래 테두리(203)에 좌우 방향으로 수평이 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면패치(20)를 재단함에 있어서 잘리지 않은 조각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도8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위 테두리(201)와 각 측 테두리(205,206)의 교점, 및 아래 테두리(203)와 각 측 테두리(205,206)의 교점에서도 좌우 방향으로 수평이 되는 경우가 없다.
이 때문에, 전면패치(20)의 위 테두리(201)와 아래 테두리(203)를 곡선으로 형성하므로써 전면패치(20)를 개별적으로 재단할 때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1 몸통 후면부
10 고정테이프
11 고정수단
2 몸통 전면부
20 전면패치
20a 중앙 영역
20b 좌측 방향 영역
20c 우측 방향 영역
201 위 테두리
202 상단부
203 아래 테두리
204 하단부
205 좌측 테두리
206 우측 테두리
21 중앙 노치부
211 중앙 노치부의 凹정상부
22 좌측 아래 노치부
221 좌측 아래 노치부의 凹정상부
23 우측 아래 노치부
231 우측 아래 노치부의 凹정상부
3 가랑이 부
31 흡수체
32 탑 시트
33 백 시트
34 사이드 시트
35 입체주름
36 표지
37 다리부 주위 주름
38 허리 주위 주름
41 입체주름 신축재
42 다리부 주위 신축재
43 허리둘레 신축재
51 전면패치재
52 전면패치롤
53 재단용 커터롤러
54 절단부
100 일회용 기저귀

Claims (3)

  1. 삭제
  2. 몸통 후면부(1), 몸통 전면부(2) 및 상기 몸통 후면부(1)와 상기 몸통 전면부(2)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부(3)로 구성되며,
    상기 몸통 후면부(1)에 상기 몸통 후면부(1)의 좌우 양쪽 테두리에서 연장 돌출하도록 고정테이프(10)가 설치되며,
    상기 몸통 전면부(2)에, 상기 고정테이프(10)를 붙이기 위한 전면패치(20)가 설치된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치(20)를 중앙 영역(20a)과, 상기 중앙 영역보다 좌측 방향에 위치하는 좌측 방향 영역(20b)과, 상기 중앙 영역보다 우측 방향에 위치하는 우측 방향 영역(20c)으로 구분한 경우에,
    상기 전면패치의 위 테두리(201)측에는, 상기 전면패치의 안쪽 방향으로 움푹 들어간 중앙 노치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노치부(21)의 凹정상부(211)는 상기 중앙 영역(20a)에 위치하며,
    상기 좌측 방향 영역(20b) 및 상기 우측 방향 영역(20c)에는 상기 전면패치의 상단부(202)가 위치하며,
    상기 전면패치의 위 테두리(201)는, 상기 중앙 노치부(21)의 凹정상부(211)와 상기 전면패치의 상단부(202)를 연결하는 S자 모양의 곡선을 포함하고,
    상기 S자 모양의 곡선은 상기 상단부(202)에서 상기 凹정상부(211)를 향하여, 일단 바깥쪽으로 팽출(膨出:불룩)하고, 그 후 안쪽으로 움푹들어간 형상이며,
    상기 전면패치의 아래 테두리(203)측에는 상기 전면패치(20)의 좌측 아래 모서리를 자른 좌측 아래 노치부(22)와, 상기 전면패치(20)의 우측 아래 모서리를 자른 우측 아래 노치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 아래 노치부의 凹정상부(221)는 상기 좌측 방향 영역(20b)에 위치하고,
    상기 우측 아래 노치부의 凹정상부(231)는, 상기 우측 방향 영역(20c)에 위치하고,
    상기 전면패치의 아래 테두리(203)는, 상기 좌측 아래 노치부의 凹정상부(221),
    상기 전면패치의 하단부(204) 및 상기 우측 하단 노치부의 凹정상부(231)를 연결하는 곡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패치의 위 테두리(201)를 형성하는 곡선과, 상기 전면패치의 아래 테두리(203)를 형성하는 곡선은, 동일한 형상이되,
    상기 전면패치(20)는, 상기 위 테두리(201)와 상기 아래 테두리(203)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좌측 테두리(205)와, 상기 위 테두리(201)와 상기 아래 테두리(203)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우측 테두리(206)를 가지며,
    상기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는 상기 위 테두리(201)와 각 측 테두리(205,206) 의 교점과 일치하고 있지 않으며, 또한,
    상기 각 측 테두리(205,206) 와, 상기 각 좌측 테두리 (205,206)와의 교점에 있어 위 테두리(201)의 접선이 이루는 각은, 둔각인 일회용 기저귀.
  3. 몸통 후면부(1), 몸통 전면부(2) 및 상기 몸통 후면부(1)와 상기 몸통 전면부(2)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부(3)로 구성되며,
    상기 몸통 후면부(1)에 상기 몸통 후면부(1)의 좌우 양쪽 테두리에서 연장 돌출하도록 고정테이프(10)가 설치되며,
    상기 몸통 전면부(2)에, 상기 고정테이프(10)를 붙이기 위한 전면패치(20)가 설치된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치(20)를 중앙 영역(20a)과, 상기 중앙 영역보다 좌측 방향에 위치하는 좌측 방향 영역(20b)과, 상기 중앙 영역보다 우측 방향에 위치하는 우측 방향 영역(20c)으로 구분한 경우에,
    상기 전면패치의 위 테두리(201)측에는, 상기 전면패치의 안쪽 방향으로 움푹 들어간 중앙 노치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노치부(21)의 凹정상부(211)는 상기 중앙 영역(20a)에 위치하며,
    상기 좌측 방향 영역(20b) 및 상기 우측 방향 영역(20c)에는 상기 전면패치의 상단부(202)가 위치하며,
    상기 전면패치의 위 테두리(201)는, 상기 중앙 노치부(21)의 凹정상부(211)와 상기 전면패치의 상단부(202)를 연결하는 S자 모양의 곡선을 포함하고,
    상기 S자 모양의 곡선은 상기 상단부(202)에서 상기 凹정상부(211)를 향하여, 일단 바깥쪽으로 팽출(膨出:불룩)하고, 그 후 안쪽으로 움푹들어간 형상이며,
    상기 전면패치의 아래 테두리(203)측에는 상기 전면패치(20)의 좌측 아래 모서리를 자른 좌측 아래 노치부(22)와, 상기 전면패치(20)의 우측 아래 모서리를 자른 우측 아래 노치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 아래 노치부의 凹정상부(221)는 상기 좌측 방향 영역(20b)에 위치하고,
    상기 우측 아래 노치부의 凹정상부(231)는, 상기 우측 방향 영역(20c)에 위치하고,
    상기 전면패치의 아래 테두리(203)는, 상기 좌측 아래 노치부의 凹정상부(221),
    상기 전면패치의 하단부(204) 및 상기 우측 하단 노치부의 凹정상부(231)를 연결하는 곡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패치의 위 테두리(201)를 형성하는 곡선과, 상기 전면패치의 아래 테두리(203)를 형성하는 곡선은, 동일한 형상이되,
    상기 전면패치(20)는, 상기 위 테두리(201)와,
    상기 아래 테두리(203)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좌측 테두리(205)와, 상기 위 테두리(201)와 상기 아래 테두리(203)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우측 테두리(206)를 가지며,
    상기 전면패치(20)의 상단부(202)는 상기 위 테두리(201)와 각 좌측 테두리 (205,206)의 교점과 일치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각 측 테두리(205,206) 와, 상기 각 측 테두리(205,206) 와의 교점에 있어서 위 테두리(201)의 접선이 이루는 각은, 예각인 일회용 기저귀.
KR1020147003004A 2011-07-27 2012-07-06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 KR1015345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64793 2011-07-27
JP2011164793 2011-07-27
JPJP-P-2012-053777 2012-03-09
JP2012053777A JP5011457B1 (ja) 2011-07-27 2012-03-09 テープ型の使い捨ておむつ
PCT/JP2012/067400 WO2013015099A1 (ja) 2011-07-27 2012-07-06 テープ型の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549A KR20140027549A (ko) 2014-03-06
KR101534593B1 true KR101534593B1 (ko) 2015-07-07

Family

ID=46844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3004A KR101534593B1 (ko) 2011-07-27 2012-07-06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011457B1 (ko)
KR (1) KR101534593B1 (ko)
CN (1) CN103781449B (ko)
MY (1) MY164962A (ko)
RU (1) RU2562051C1 (ko)
WO (1) WO20130150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51072B2 (ja) * 2011-08-01 2015-07-2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テープ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6070284B2 (ja) * 2013-03-04 2017-02-0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テープ型使い捨ておむつ
CN105496656B (zh) * 2015-12-29 2019-10-25 广东茵茵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腰贴的卫生用品
JP2019136286A (ja) * 2018-02-09 2019-08-22 ピジョン株式会社 おむつ
JP7463742B2 (ja) * 2020-01-29 2024-04-09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0745A (ja) * 2001-12-13 2003-07-02 Uni Charm Corp 開放型の使い捨ておむつ
KR20070113231A (ko) * 2005-03-18 2007-11-28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배꼽 특징부를 갖는 기저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3934U (ko) * 1975-09-25 1977-03-29
AU774102B2 (en) * 2000-02-07 2004-06-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aper fastener with perforated tear line
SE0100173L (sv) * 2001-01-22 2002-07-23 Sca Hygiene Prod Ab Mekaniskt tejpfästsystem för absorberande engångsartiklar
JP5319215B2 (ja) * 2008-09-04 2013-10-16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式使い捨ておむつ
CN101836921A (zh) * 2010-06-12 2010-09-22 雀氏(福建)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新型成人纸尿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0745A (ja) * 2001-12-13 2003-07-02 Uni Charm Corp 開放型の使い捨ておむつ
KR20070113231A (ko) * 2005-03-18 2007-11-28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배꼽 특징부를 갖는 기저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81449B (zh) 2015-05-27
CN103781449A (zh) 2014-05-07
WO2013015099A1 (ja) 2013-01-31
JP5011457B1 (ja) 2012-08-29
RU2562051C1 (ru) 2015-09-10
MY164962A (en) 2018-02-28
JP2013046731A (ja) 2013-03-07
KR20140027549A (ko)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6508B2 (ja) 吸収性物品
JP5000551B2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本体保持カバー
WO2008069279A1 (ja) 吸収性物品
JP2006271898A (ja) 吸収性物品
JP7147912B2 (ja) テープ型使い捨ておむつ
KR101534593B1 (ko)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
JP2011152209A (ja) 吸収性物品
TW201526883A (zh) 吸收性物品
JP7408268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737190B2 (ja) 使い捨ておむつ
EP2032106A1 (en) A three-piec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bsorbent with cross-direction flexibility
JP2018082927A (ja) 吸収性物品
JP6230351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TWI569789B (zh) Disposable disposable diaper
JP6660961B2 (ja) 着用物品
JP2010012002A (ja) 使い捨ておむつ
JP5999860B2 (ja) 使い捨て下着
TWI634879B (zh) 吸收性物品
JP5081767B2 (ja) 吸収性物品
JP6103366B2 (ja) 吸収性物品
JP6070284B2 (ja) テープ型使い捨ておむつ
JP2013106832A (ja) テープ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6900940B2 (ja) 吸収性物品
JP7366597B2 (ja) 吸収性物品
JP7178849B2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