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737B1 - 절곡기의 베드 크라우닝 - Google Patents

절곡기의 베드 크라우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737B1
KR101533737B1 KR1020140019202A KR20140019202A KR101533737B1 KR 101533737 B1 KR101533737 B1 KR 101533737B1 KR 1020140019202 A KR1020140019202 A KR 1020140019202A KR 20140019202 A KR20140019202 A KR 20140019202A KR 101533737 B1 KR101533737 B1 KR 101533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block
blocks
movable
fixed bl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우산업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우산업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우산업기계
Priority to KR1020140019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73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1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곡대상물의 절곡 형태에 따라 금형의 높낮이를 조절시 가동블록을 전체적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으로 조정가능하도록 하는 절곡기의 베드 크라우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드의 일측으로 조작부를 형성하고, 상기 베드의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상부면에 경사를 갖는 다수개의 고정블록을 배치 형성하며, 상기 고정블록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로 조작부의 작동으로 수평 왕복하되 사선으로 승하강 이동하도록 연결축으로 연결되어 금형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가동블록을 배치 구성하여, 절곡 대상물의 절곡 형태에 따른 금형의 일부분 높낮이를 간단히 핸들 조절을 통해 이루어져 조작성 및 편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곡기의 베드 크라우닝{Bed crowning system for cnc press brake}
본 발명은 절곡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곡대상물의 절곡 형태에 따라 금형의 높낮이를 조절시 가동블록을 전체적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으로 조정가능하도록 하는 절곡기의 베드 크라우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곡기는 철판을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절곡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기계식 절곡기와 유입식 절곡기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기는 재료의 성형시 사용되는 금형의 복부에서 일어날 휨 변형을 고려하여 절곡기의 용량과 사양서에 의한 평균 또는 최대 용량의 사용치를 계산한 후 그 사용치를 기준 삼아 탄성에 의한 휨 량을 산출하여 금형의 부착면을 크라운화한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평균사용치 보다도 절곡하중이 작은 공작물은 크라운량의 영향으로 공작물의 절곡상태가 복부의 중심으로 갈수록 절곡각이 커지기 때문에 정밀도 높은 가공물을 얻기가 어렵고, 반면에, 평균사용치 보다도 큰 힘이 요구되는 절곡은 복부의 중앙부에 크라운량 보다도 큰 변형(휨)이 와서 복부 한복판으로 갈수록 작은 절곡각이 형성되기 때문에 크라운의 기준량에 근접한 용량으로 사용치를 제한받는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되었던 변형보정장치는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변형보정 장치가 일체로 구성되어 일부분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부품을 더 장착해야 함으로써 경비는 증가하고 구조는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등록번호 10-0875708 (절곡기의 베드 크라운닝 장치) 2. 공개번호 10-2011-0051462 (절곡기)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절곡 대상물의 절곡 형태에 따른 금형의 일부분 높낮이를 간단히 핸들 조절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절곡기의 베드 크라우닝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기 다른 경사면이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블록의 상부로 올려지는 가동블록을 연결축으로 연결하여 조정부의 회전을 통해 좌우 왕복 이동하면서 기울기에 의해 금형의 특정 부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작부의 회전시 가동블록의 이동거리를 눈금을 통한 수치나 이동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동부에 의해 승하강 하는 펀치와, 상기 펀치의 하부로 위치하며 베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절곡대상물이 올려지는 금형으로 이루어지는 절곡기의 베드 크라우닝은 상기 베드의 일측으로 조작부를 형성하고, 상기 베드의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상부면에 경사를 갖는 다수개의 고정블록을 배치 형성하며, 상기 고정블록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로 조작부의 작동으로 수평 왕복하되 사선으로 승하강 이동하도록 연결축으로 연결되어 금형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가동블록을 배치 구성하여, 상기 조작부의 작동으로 가동블록이 고정블록의 상부를 따라 이동하여 금형의 중앙 부분이 높게 상승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베드의 전방면에는 조작부의 조작시 연결축에 결합된 표시블록의 이동거리를 눈금이 표시된 표시창을 통해 투영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고정블록은 베드의 상부면에 일렬 배치로 설치 형성하되, 상기 고정블록 중 중앙에 위치하는 고정블록의 상부면이 가장 큰 경사면이 갖는 제1고정블록의 양 측으로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경사면을 갖는 제2~제n고정블록을 한 쌍씩 배치하여 구성하고, 상기 가동블록은 고정블록의 제1~제n고정블록 경사면에 올려지는 제1~제n가동블록을 일렬 배치로 설치 형성하되, 상기 제1~제n가동블록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축이 관통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기의 베드 크라우닝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핸들이 베드와 공회전되게 스핀들로 연결 형성하고, 상기 스핀들에는 스핀들축이 나선체결로 좌우 이동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스핀들축에는 연결축이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기의 베드 크라우닝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절곡 대상물의 절곡 형태에 따른 금형의 일부분 높낮이를 간단히 핸들 조절을 통해 이루어져 조작성 및 편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각기 다른 경사면이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블록의 상부로 올려지는 가동블록을 연결축으로 연결하여 조정부의 회전을 통해 좌우 왕복 이동하면서 기울기에 의해 금형의 일부분이 높아지거나 낮아지게 세부적으로 조정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조작부의 회전시 가동블록의 이동거리를 눈금을 통한 수치나 이동량을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조정량을 통한 정밀도를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곡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곡기용 베드 크라우닝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4에서 도면 a, 도면 b, 도면 c는 베드 크라우닝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조작부의 부분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조작부의 작동으로 인한 가동블록의 이동 및 표시창을 통해 표시블록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곡기의 베드 크라우닝은 작동부(11)에 의해 승하강 하는 펀치(12)와, 상기 펀치(12)의 하부로 위치하며 베드(13)의 상부에 설치되어 절곡대상물이 올려지는 금형(14), 베드(13)에 설치되는 조작부(20), 베드(13)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고정블록(30), 상기 고정블록(30)의 상부에 올려져 연결축(40a)으로 연결된 상태로 조작부(20)의 조작으로 수평 왕복이동하며 고정블록(30)의 경사에 따라 승하강 작동하여 금형(14)의 특정부분의 높낮이를 조정하는 절곡기(10)의 베드 크라우닝(100)을 구성한다.
먼저, 상기 절곡기(10)는 금형(14)의 상부에 작업 대상물을 올려놓은 상태로 작동부(11)의 하강 작동에 의해 펀치(12)가 대상물의 프레스 가압하면 대상물이 펀치(12)와 금형(14)의 사이에서 가압되어 원하는 형태로 절곡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상기 베드 크라우닝(100)은 베드(13)의 일측으로 조작부(2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조작부(20)는 핸들(21)이 베드(13)와 공회전되게 스핀들(22)로 연결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스핀들(22)에는 스핀들축(23)이 나선체결로 좌우 이동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스핀들축(23)에는 연결축(40a)이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핸들(21)을 회전시키면 베드(13)에 베어링(21a)을 이용하여 고정된 스핀들(22)이 제자리에서 공회전을 하게 구성되며, 상기 스핀들(22)의 내부에는 암나선(22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핀들축(23)의 외주면에는 수나선(23a)이 형성되어 스핀들(22)의 암나선(22a)과 나선 체결되고, 상기 스핀들축(23)의 일 끝단에는 연결축(40a)이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홈(23b)이 형성되며 스핀들축(23)과 연결축(40a)은 고정볼트(23c)로 체결되게 구성한다.
즉, 상기 핸들(21)의 회전시 스핀들축(23)과 연결축(40a)이 함께 회전하지 못하고 왕복 이동하는 이유는 연결축(40a)에 고정블록(30)과 접촉하며 설치되는 가동블록(40)이 조절너트(40a')로 고정되어 있어 회전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조작부(20)의 핸들(21)에는 회전수에 의한 연결축(40a)의 이송거리를 판단하기 위한 눈금(24)이 표시된다.
즉, 상기 눈금(24)은 핸들(21)의 스핀들(22)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베드(13)에는 기준선(13a)이 형성되어 있어 핸들(21)의 회전으로 연결축(40a)이 좌우 이동거리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베드(13)의 전방면에는 조작부(20)의 조작시 연결축(40a)에 결합된 표시블록(25)의 이동거리를 눈금이 표시된 표시창(26)을 통해 투영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표시창(26)을 통해 핸들(21)의 회전에 따른 연결축(40a)의 이동거리를 절곡기(10)의 전면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현재 조정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베드(13)의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상부면에 경사를 갖는 다수개의 고정블록(30)을 배치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블록(30)은 베드(13)의 상부면에 일렬 배치로 설치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블록(30) 중 중앙에 위치하는 고정블록(30)의 상부면이 가장 큰 경사면이 갖는 제1고정블록(31)의 양 측으로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경사면을 갖는 제2~제n고정블록(32)~(35)을 한 쌍씩 배치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고정블록(30)의 배치를 금형(14)의 중앙부분이 높이가 가장 높고 중앙에서 양 끝단을 진행할수록 낮아지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면, 베드(13)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고정블록(31)은 상부면에 제1경사면(31a)을 갖으며 본 발명에서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3°의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블록(30)의 제2고정블록(32)은 상부면에 제2경사면(32a)을 갖으며 수평선을 기준으로 2.5°의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하여 제1고정블록(31)의 양 측으로 기울기의 방향이 동일 하도록 배치하며, 제3고정블록(33)은 상부면에 제3경사면(33a)을 갖으며 수평선을 기준으로 2°의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하여 제2고정블록(32)의 양 외측으로 기울기의 방향이 동일 하도록 배치하고, 제4고정블록(34)은 상부면에 제4경사면(34a)을 갖으며 수평선을 기준으로 1.5°의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하여 제3고정블록(33)의 양 외측으로 기울기의 방향이 동일 하도록 배치하며, 제n고정블록(35)은 상부면에 제n경사면(35a)을 갖으며 수평선을 기준으로 1°의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하여 제4고정블록(34)의 양 외측으로 기울기의 방향이 동일 하도록 배치하여 구성한다.
한편, 상기 고정블록(30)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로 조작부(20)의 작동으로 수평 왕복하되 사선으로 승하강 이동하도록 연결축(40a)으로 연결되어 금형(14)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가동블록(40)을 배치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가동블록(40)은 고정블록(30)의 제1~제n고정블록(31)(35)의 제1~n경사면(31a)(35)에 올려지는 제1~제n가동블록(41)~(45)을 일렬 배치로 설치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제n가동블록(41)~(45)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축(40a)이 관통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가동블록(40)의 배치를 금형(14)의 중앙부분이 높이가 가장 높고 중앙에서 양 끝단을 진행할수록 낮아지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면, 제1고정블록(3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가동블록(41)은 하부면에 제1대응경사면(41a)을 갖으며 본 발명에서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3°의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블록(40)의 제2가동블록(42)은 하부면에 제2대응경사면(42a)을 갖으며 수평선을 기준으로 2.5°의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하여 제1가동블록(41)의 양 측으로 기울기의 방향이 동일 하도록 배치하며, 제3가동블록(43)은 하부면에 제3대응경사면(43a)을 갖으며 수평선을 기준으로 2°의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하여 제2가동블록(42)의 양 외측으로 기울기의 방향이 동일 하도록 배치하고, 제4가동블록(44)은 하부면에 제4대응경사면(44a)을 갖으며 수평선을 기준으로 1.5°의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하여 제3가동블록(43)의 양 외측으로 기울기의 방향이 동일 하도록 배치하며, 제n가동블록(45)은 하부면에 제n대응경사면(45)을 갖으며 수평선을 기준으로 1°의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하여 제4가동블록(44)의 양 외측으로 기울기의 방향이 동일 하도록 배치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제1~제n가동블록(41)~(45)의 각각 사이에는 연결축(40a)과 나선체결되는 조절너트(40a')를 한 쌍으로 체결 형성한다.
이때, 상기 조절너트(40a')의 풀어 제1~제n가동블록(41)~(45)의 위치를 좌우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제1~제n가동블록(41)~(45)에는 각각 길이방향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홀(40b)이 형성되어 각각의 가동블록(40)을 연결축(40a)에 끼운 후 조절너트(40a')를 연결축(40a)과 체결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제1~제n가동블록(41)~(45)을 조절너트(40a')와 제n가동블록(45)와 조절너트(40a'), 조절너트(40a')와 제4가동블록(44)와 조절너트(40a'), 조절너트(40a')와 제3가동블록(43)와 조절너트(40a'), 조절너트(40a')와 제2가동블록(42)와 조절너트(40a'), 조절너트(40a')와 제1가동블록(41)와 조절너트(40a'), 조절너트(40a')와 제2가동블록(42)와 조절너트(40a'), 조절너트(40a')와 제3가동블록(43)와 조절너트(40a'), 조절너트(40a')와 제4가동블록(44)와 조절너트(40a'), 조절너트(40a')와 제n가동블록(45)와 조절너트(40a')의 조합으로 일 예로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블록(30)과 가동블록(40)은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경사의 각도가 점진적으로 작아지거나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한 쌍씩 좌우 대칭배치로 구성하거나, 상기 고정블록(30)과 가동블록(40)은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경사의 각도가 일정하게 증감하지 않고 불규칙한 배치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고정블록(30)과 가동블록(40)이 설치되는 베드(13)의 전면으로는 노출을 방지하도록 체결하는 안전커버(13b)를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절곡기(10)는 조작부(20)의 작동으로 가동블록(40)이 고정블록(30)의 상부를 따라 이동하여 금형(14)의 중앙 부분이 높게 상승하고 양 끝단 부분은 낮아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기(10)는 안전커버(13b)를 제거한 베드(13)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제n고정블록(31)(35)을 설치하는데 베드(13)의 양 끝단을 기준으로 한 쌍의 제n고정블록(35), 상기 제n고정블록(35)의 사이로 한 쌍의 제4고정블록(34), 상기 제4고정블록(34)의 사이로 한 쌍의 제3고정블록(33), 상기 제3고정블록(33)의 사이로 한 쌍의 제2고정블록(32), 상기 제2고정블록(32)의 사이로 하나의 제1고정블록(31)을 등간격으로 배치시킨 후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후, 상기 가동블록(40)을 연결축(40a)과 제1~제n가동블록(41)~(45)에 형성되는 관통홀(40b)을 통해 제1~제n가동블록(41)~(45)을 연결축(40a)에 끼운 후 조절너트(40a')를 연결축(40a)과 체결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데, 상기 연결축(40a)의 끝단을 기준으로 조절너트(40a')와 제n가동블록(45)와 조절너트(40a'), 조절너트(40a')와 제4가동블록(44)와 조절너트(40a'), 조절너트(40a')와 제3가동블록(43)와 조절너트(40a'), 조절너트(40a')와 제2가동블록(42)와 조절너트(40a'), 조절너트(40a')와 제1가동블록(41)와 조절너트(40a'), 조절너트(40a')와 제2가동블록(42)와 조절너트(40a'), 조절너트(40a')와 제3가동블록(43)와 조절너트(40a'), 조절너트(40a')와 제4가동블록(44)와 조절너트(40a'), 조절너트(40a')와 제n가동블록(45)와 조절너트(40a')의 순서 조합으로 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가동블록(40)의 제1~제n가동블록(41)~(45)을 각각 고정블록(30)의 제1~제n고정블록(31)(35)에 올려놓아 제1~제n가동블록(41)~(45)의 제1~제n대응경사면(41a)(42a)(43a)(44a)(45a)과 제1~제n고정블록(31)(35)의 제1~제n경사면(31a)(32a)(33a)(34a)(35a)에 맞닿도록 배치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연결축(40a)을 베드(13)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작부(20)의 스핀들(22)의 암나선(22a)에 스핀들축(23)의 수나선(23a)을 나선체결 한다.
그리고, 상기 스핀들축(23)의 삽입홈(23b)에 연결축(40a)의 일 끝단을 삽입한 다음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며, 상기 연결축(40a)에 결합된 표시블록(25)이 표시창(26)에 위치하도록 조절하여 체결한다.
이후, 상기 베드(13)에 안전커버(13b)를 장착함으로써 베드 크라우닝(100)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러한, 상기 베드 크라우닝(100)을 사용할 경우 금형(14)의 상부에 철판과 같은 작업 대상물을 올려놓고 절곡 작업을 시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절곡기(10)의 성형 절곡작업이 진행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재측정하여 굴곡이 있는 부분은 상기 베드 크라운닝(100)의 조절을 통해서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금형(14)과 맞닿는 중앙 부분이 처짐이 발생할 경우에는 조작부(20)의 핸들(21)을 가동블록(40)이 고정블록(30)의 상부를 따라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상기 핸들(21)을 회전시키면 스핀들(22)의 회전으로 스핀들축(23)이 회전하면서 스핀들(22)의 암나선(22a)에 나선체결된 스핀들축(23)의 수나선(23a)에 의해 이동하여 연결축(40a)의 이동으로 제1~제n가동블록(41)~(45) 동시에 이동한다.
이때, 상기 가동블록(40)의 제1~제n가동블록(41)~(45)은 각각 제1~제n대응경사면(41a)(42a)(43a)(44a)(45a)이 고정블록(30)의 제1~제n고정블록(31)(35)에 형성된 제1~제n경사면(31a)(32a)(33a)(34a)(35a)을 따라 수평이동하며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제1가동블록(41)은 제1대응경사면(41a)이 제1고정블록(31)의 3°의 기울기를 갖는 제1경사면(31a)을 따라 가장 많이 상승되어 금형(14)의 길이방향 중앙 부분을 밀어 올리게 되어 처짐값을 보정하며;
상기 제1고정블록(31)의 양 측으로는 제2가동블록(42)의 제2대응경사면(42a)이 제2고정블록(32)의 2.5°의 기울기를 갖는 제2경사면(32a)을 따라 상승되고;
상기 제2고정블록(32)의 양 측으로는 제3가동블록(43)의 제3대응경사면(43a)이 제3고정블록(33)의 2°의 기울기를 갖는 제3경사면(33a)을 따라 상승되며;
상기 제3고정블록(33)의 양 측으로는 제4가동블록(44)의 제4대응경사면(44a)이 제4고정블록(34)의 1.5°의 기울기를 갖는 제4경사면(34a)을 따라 상승되고;
상기 제4고정블록(34)의 양 측으로는 제n가동블록(45)의 제n대응경사면(45a)이 제n고정블록(35)의 1°의 기울기를 갖는 제n경사면(35a)을 따라 상승된다.
이로써, 상기 제1가동블록(41)이 이동으로 금형(14)의 중앙 부분을 가장 높이 상승하고, 상기 제1가동블록(41)을 기준으로 양 끝단으로 진행할수록 제2가동블록(42) > 제3가동블록(43) > 제4가동블록 > 제n가동블록(45)의 순으로 낮아지게 된다.
즉, 상기 조작부(20)의 핸들(21)의 작동으로 통해 제1~제n가동블록(41)~(45)을 동시에 이동시킴으로써 전제적인 조절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21)의 회전수를 눈금(24)을 통해 파악할 수 있으며 연결축(40a)의 표시블록(25)의 이동거리를 표시창(26)을 통해 파악하여 추후 재 조정시 조정량을 파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조작부(20)가 베드(13)의 일측으로 형성되어 절곡 대상물이 베드(13)의 전방으로 절곡될 경우 접촉에 의한 제약이 없어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절곡기 11 : 작동부
12 : 펀치 13 : 베드
14 : 금형 20 : 조작부
21 : 핸들 22 : 스핀들
22a : 암나선 23 : 스핀들축
23a : 수나선 23b : 삽입홈
23c : 고정볼트 24 : 눈금
25 : 표시블록 26 : 표시창
30 : 고정블록
31~35 : 제1~제n고정블록
31a~35a : 제1~제n경사면
40 : 가동블록 40a : 연결축
40a' : 조절너트
41~45 : 제1~제n가동블록
41a~45a : 제1~제n대응경사면
100 : 베드 크라우닝

Claims (9)

  1. 삭제
  2. 작동부(11)에 의해 승하강 하는 펀치(12)와, 상기 펀치(12)의 하부로 위치하며 베드(13)의 상부에 설치되어 절곡대상물이 올려지는 금형(14)으로 이루어지는 절곡기(10)의 베드 크라우닝은
    상기 베드(13)의 일측으로 조작부(20)를 형성하고,
    상기 베드(13)의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상부면에 경사를 갖는 다수개의 고정블록(30)을 배치 형성하며,
    상기 고정블록(30)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로 조작부(20)의 작동으로 수평 왕복하되 사선으로 승하강 이동하도록 연결축(40a)으로 연결되어 금형(14)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가동블록(40)을 배치 구성하여,
    상기 조작부(20)의 작동으로 가동블록(40)이 고정블록(30)의 상부를 따라 이동하여 금형(14)의 중앙 부분이 높게 상승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베드(13)의 전방면에는 조작부(20)의 조작시 연결축(40a)에 결합된 표시블록(25)의 이동거리를 눈금이 표시된 표시창(26)을 통해 투영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고정블록(30)은 베드(13)의 상부면에 일렬 배치로 설치 형성하되,
    상기 고정블록(30) 중 중앙에 위치하는 고정블록(30)의 상부면이 가장 큰 경사면이 갖는 제1고정블록(31)의 양 측으로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경사면을 갖는 제2~제n고정블록(32)~(35)을 한 쌍씩 배치하여 구성하고,
    상기 가동블록(40)은 고정블록(30)의 제1~제n고정블록(31)(35) 경사면에 올려지는 제1~제n가동블록(41)~(45)을 일렬 배치로 설치 형성하되,
    상기 제1~제n가동블록(41)~(45)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축(40a)이 관통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기의 베드 크라우닝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20)는 핸들(21)이 베드(13)와 공회전되게 스핀들(22)로 연결 형성하고,
    상기 스핀들(22)에는 스핀들축(23)이 나선체결로 좌우 이동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스핀들축(23)에는 연결축(40a)이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기의 베드 크라우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20)의 핸들(21)에는 회전수에 의한 연결축(40a)의 이송거리를 판단하기 위한 눈금(24)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기의 베드 크라우닝.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n가동블록(41)~(45)의 각각 사이에는 연결축(40a)과 나선체결되는 조절너트(40a')를 한 쌍으로 체결 형성하여,
    상기 조절너트(40a')의 풀어 제1~제n가동블록(41)~(45)의 위치를 좌우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기의 베드 크라우닝.
  8. 삭제
  9. 삭제
KR1020140019202A 2014-02-19 2014-02-19 절곡기의 베드 크라우닝 Expired - Fee Related KR101533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202A KR101533737B1 (ko) 2014-02-19 2014-02-19 절곡기의 베드 크라우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202A KR101533737B1 (ko) 2014-02-19 2014-02-19 절곡기의 베드 크라우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3737B1 true KR101533737B1 (ko) 2015-07-03

Family

ID=53788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202A Expired - Fee Related KR101533737B1 (ko) 2014-02-19 2014-02-19 절곡기의 베드 크라우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7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610A (ko) * 2019-01-23 2020-07-31 주식회사 일우산업기계 하부금형 클램핑수단을 구비한 절곡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018B2 (ko) * 1979-09-04 1992-02-18
JP4009018B2 (ja) * 1998-08-31 2007-11-14 株式会社東洋工機 プレスブレーキ
JP2011083800A (ja) * 2009-10-16 2011-04-28 Sumitomo Heavy Industries Techno-Fort Co Ltd 曲げプレ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018B2 (ko) * 1979-09-04 1992-02-18
JP4009018B2 (ja) * 1998-08-31 2007-11-14 株式会社東洋工機 プレスブレーキ
JP2011083800A (ja) * 2009-10-16 2011-04-28 Sumitomo Heavy Industries Techno-Fort Co Ltd 曲げプレ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610A (ko) * 2019-01-23 2020-07-31 주식회사 일우산업기계 하부금형 클램핑수단을 구비한 절곡기
KR102191863B1 (ko) 2019-01-23 2020-12-16 주식회사 일우산업기계 하부금형 클램핑수단을 구비한 절곡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5158B2 (ja) プレス機械
KR101671721B1 (ko) 스프링백 보정용 금형 장치
CN110814100A (zh) 一种板材弯曲成型装置
CN110180935B (zh) 一种大型金属板材冲压的冲压方法
CN214488344U (zh) 矫直机辊缝斜楔调整装置及多辊矫直机
CN108746317A (zh) 一种可连续调整间隙的冲裁装置
CN204867118U (zh) 一种板材翻边折弯模具
KR101533737B1 (ko) 절곡기의 베드 크라우닝
CN105032934A (zh) 一种异型管冷轧成型设备
CN209020981U (zh) 一种全自动h型钢卧式矫正机
KR102377781B1 (ko) 서보 프레스의 운동 모사가 가능한 기계식 프레스 장치
CN201823820U (zh) 一种用于钢带去毛刺的整形装置
CN206263016U (zh) 一种t型材校正装置
CN105290221A (zh) 带有压紧装置的模具
CN210816966U (zh) 一种冲孔位置可调的冲孔治具和冲孔装置
KR101627601B1 (ko) 금속판재의 곡면성형장치
CN205887721U (zh) 一种折弯机
CN202779278U (zh) 一种铜带上下压平矫正装置
CN212664631U (zh) 一种具有推送功能的开式压力机
CN205660049U (zh) 一种折弯机工作台挠度补偿装置
JP2005118854A (ja) プレス機械の金型取付け位置補正装置
CN108971273B (zh) 一种稳定钢管矫直装置
KR100835509B1 (ko) 금속판재의 곡면 프레스 장치 및 방법과 이에 이용되는박스형 핀 다이
KR20230096447A (ko) 귀금속용 롤 압연기
CN208866262U (zh) 一种适用于大圆弧件的折弯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