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480B1 - 관능화된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용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 Google Patents

관능화된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용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480B1
KR101533480B1 KR1020110093867A KR20110093867A KR101533480B1 KR 101533480 B1 KR101533480 B1 KR 101533480B1 KR 1020110093867 A KR1020110093867 A KR 1020110093867A KR 20110093867 A KR20110093867 A KR 20110093867A KR 101533480 B1 KR101533480 B1 KR 101533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polymer
conjugated diene
vinyl aromatic
diene block
polymer mod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0422A (ko
Inventor
이춘화
전문석
우정은
서유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10093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480B1/ko
Publication of KR20130030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 C08F297/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polymerising 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06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5/00Compositions of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타디엔 블록 내부에 1,4 구조, 비닐 구조 및 알데히드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관능화된 정도를 관능화 전과 후의 중량평균 분자량의 비로서 나타내며, 그 분자량 비가 0.9 내지 1.1 사이로 관능화된 비닐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아스팔트와의 상용성이 뛰어나 가공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며, 또한 아스팔트 물성의 저온 물성 및 저장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관능화된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용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A METHOD FOR PREPARING FUNCTIONALIZED VINYL AROMATIC HYDROCARBON-CONJUGATED DIENE BLOCK COPOLYMER FOR POLYMER MODIFIED ASPALT, AND POLYMER MODIFIED ASPHALT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용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자량의 저하 없이 관능화되고, 아스팔트와의 상용성이 뛰어나 아스팔트의 가공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며, 또한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의 저온 신도 및 저장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용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에 관한 것이다.
블록 공중합체는 아스팔트 조성물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개질제, 또는 다른 수지의 충격보강제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아스팔트 개질제로 많이 사용된다.
아스팔트 개질제로 사용되는 블록 공중합체의 가장 중요한 물성은 아스팔트와의 상용성이다. 아스팔트와의 상용성이 우수해야 가공시간이 단축되고 물성도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아스팔트는 크게 네 가지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블록 공중합체와 상용성이 가장 나쁜 성분은 아스팔텐이다. 아스팔텐은 방향족 탄화수소의 집합체로서 말단에 극성 관능기를 많이 포함하고 있으므로 극성 관능기가 없는 블록 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이 열악하고, 따라서 아스팔트 조성물의 가공시간 또는 제조시간을 크게 연장시키는 성분이다.
따라서, 아스팔트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블록 공중합체에 극성 관능기를 도입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이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와 극성 모노머를 압출기 내에서 고온으로 믹싱하여 블록 공중합체의 가지 내에 극성 관능기를 도입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고가의 제조 장비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고, 또한 블록 공중합체 내에 균일한 관능화를 하기 어려워 안정적인 품질의 제품을 얻기가 어려운 한계가 있다. 특히,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으로 이루어진 블록 공중합체는 압출기 내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일부가 산화될 수 있고, 또한 중합체 사슬의 끊어짐 현상이 일어나 분자량이 감소하고 물성의 저하가 심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용성이 뛰어나고 분자량의 저하 없이 관능화된 아스팔트 개질제용 블록 공중합체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분자량의 저하 없이 관능화되고, 아스팔트와의 상용성이 뛰어나 가공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며, 또한 저온 신도 및 저장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용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와 공액디엔의 중량 비율이 5:95 내지 50:50인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관능화시키는 옥시데이션 반응, 또는 전기 아크방전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관능화 전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와 관능화 후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간 중량평균 분자량의 비가 0.9 내지 1.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용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와 소정 용매 등으로 이루어진 용액에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관능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관능화 전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와 관능화 후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간 중량평균 분자량의 비가 0.9 내지 1.1을 만족하도록 조절하면 관능화되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이 저하되지 않고, 커플링 효율만 10% 이내로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이를 아스팔트에 적용하는 경우 제조시간이 20% 이상 획기적으로 단축되고, 용해 속도, 저온 신도 물성 및 저장 안정성이 향상되며, 기타 물성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 상기 관능화 전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와 관능화 후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간 중량평균 분자량의 비가 0.9 미만에서는 관능화 처리하지 않는 경우의 개질 아스팔트 제조 시 용해속도 및 개질 아스팔트 물성과 큰 차이가 없으며, 1.1을 초과하면 아스팔트와 배합시 용해속도는 3시간 이상 빨라지지만 개질 아스팔트 물성 중 고온 물성인 연화점이 3도이상 감소하여 기존 대비 고온 물성의 감소로 바람직하지 않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용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관능화 전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와 관능화 후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의 비(관능화 전 블록공중합체/관능화 후 블록공중합체)가 0.9 내지 1.1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1.005 내지 1.10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 내지 1.103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10 내지 1.100인데, 이 범위 내에서 아스팔트 조성물에 적용시 고온 물성인 연화점 저하는 없으며, 상용성, 가공시간의 단축, 저온 신도 및 저장안정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관능화 전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트리블록 공중합체 및 디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리블록 공중합체는 커플링제에 의하여 2 이상의 디블록 공중합체가 결합된 공중합체이고, 상기 디블록 공중합체는 커플링제에 의하여 커플링되지 않은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블록과 공액디엔 블록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이다.
상기 트리블록 공중합체는 40 내지 100 중량%이고, 상기 디블록 공중합체는 0 내지 6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리블록 공중합체는 50 내지 99 중량%이고, 상기 디블록 공중합체는 1 내지 50 중량%인 것인데, 이 범위 내에서 아스팔트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하고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관능화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와 공액디엔이 랜덤 또는 교차배열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공중합체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4-프로필스티렌, 1-비닐나프탈렌, 4-사이클로헥실스티렌, 4-(p-메틸페닐)스티렌 및 1-비닐-5-헥실나프탈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이다.
상기 공액디엔은 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피페릴렌, 3-부틸-1,3-옥타디엔, 이소프렌 및 2-페닐-1,3-부타디엔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부타디엔이다.
상기 관능화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커플링제로 커플링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제로는 사염화메틸실란, 삼염화메틸실란, 이염화메틸실란 등을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염화메틸실란과 이염화메틸실란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커플링은 그 효율이 4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 범위 내에서 아스팔트와의 상용성이 우수하고 아스팔트 조성물의 고온 및 저온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들 관능화 전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500,0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350,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00 내지 120,000인데, 이 범위 내에서 아스팔트 개질제로서 고온과 저온 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비닐 방향족 블록은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4-프로필스티렌, 1-비닐나프탈렌, 4-사이클로헥실스티렌, 4-(파라-메틸페닐)스티렌 및 1-비닐-5-헥실나프탈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공액디엔 블록은 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피페릴렌, 3-부틸-1,3-옥타디엔, 이소프렌 및 2-페닐-1,3-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공액디엔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와 상기 공액디엔은 중량 비율이 5:95 내지 50: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85 내지 40:60인데, 이 범위 내에서 아스팔트 조성물의 고온 및 저온 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관능화 전 블록 공중합체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탄화수소 용매와 유기리튬 화합물이 들어 있는 반응기에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및 공액디엔을 첨가하고, -5 내지 150 ℃ 및 반응물이 액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압력범위(0.1~10 bar) 하에서 단량체의 소모율이 99 % 이상일 때까지 중합을 진행시켜 제조하거나, 이후 커플링제를 추가 투입하여, 제조된 블록 공중합체간 공액디엔 블록끼리 연결시킨 다음, 물 또는 알코올 투입으로 활성 고분자의 활성을 제거하고 중합을 종료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커플링제로는 사염화메틸실란, 삼염화메틸실란, 이염화메틸실란 등을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염화메틸실란과 이염화메틸실란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커플링은 그 효율이 4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 범위 내에서 아스팔트와의 상용성이 우수하고 아스팔트 조성물의 고온 및 저온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용액은 점성이 있는 용액으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화수소 용매는 n-펜탄, n-헥산, n-헵탄, 이소옥탄, 사이클로헥산, 톨루엔, 벤젠, 크실렌 및 나프탈렌계 탄화수소 용매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n-헥산, 사이클로헥산 또는 이들의 혼합액이다.
상기 탄화수소 용매에는 극성 용매가 첨가될 수 있는데, 상기 극성 용매는 공액디엔 중합 시 비닐 함량을 조절하고 중합 속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극성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에틸 에테르, 테트라메틸에틸렌 디아민 및 벤조퓨란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이다.
상기 유리리튬 화합물은 알킬 리튬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10 개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리튬 화합물이다. 상기 유기리튬 화합물은 구체적인 예로 메틸 리튬, 에틸 리튬, 이소프로필 리튬, n-부틸 리튬, sec-부틸 리튬 또는 tert-부틸 리튬 등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n-부틸 리튬 또는 sec-부틸 리튬이다.
무엇보다, 본원발명에서 수행하는 관능화 후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수득하기 위한 관능화 공정은 관능화 전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에 포함되어 있는 비닐 구조를 알데히드기와 카르복시기 중 1종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산화시킬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하이드로포밀화 반응, 옥시데이션 반응, 또는 혼합 가스의 전기 아크방전(electric arc discharge) 중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또한 공액디엔 블록 내의 비닐 구조를 우선적으로 산화시켜 알데히드기를 생성시키고 하이드로포밀화에 사용되는 메탈 촉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열안정성과 변색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관능화 반응의 일례는 하기 반응식 1과 반응식 2 등으로 그 원리가 설명될 수 있고, 상기 관능화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 및 화학식 3 등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11072416040-pat00001
(상기 식에서, PS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고분자 블록을 나타낸 것이며, m, n, a, b, c는 0보다 큰 정수로서 다른 공액디엔계의 블록 수이다. 이때, m+n≥1, n=a+b+c 이다.)
상기 반응식 1은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중 비닐 구조에서 분해가 진행되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생성된다.
Figure 112011072416040-pat00002
(상기 식 2에서, PS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고분자 블록을 나타낸 것이며, m, n, d, e, f, g, h, i, j, k는 0보다 큰 정수로서 다른 공액디엔계의 블록 수이다. 이때, m+n≥1, m=d+h+1, n=e+f+g+i+j+k 이다.)
상기 반응식 2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비닐 구조에서 분해가 진행되어 상기 화학식 2 및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생성된다.
반응식 1,2에 사용된 혼합 가스는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아르곤, 헬륨, 일산화탄소 중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다.
이 같은 관능화 후 수득된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부타디엔 블록 내부에 1,4 구조(-CH2-CH=CH-CH2-), 비닐 구조(
Figure 112011072416040-pat00003
) 및 알데히드 구조(
Figure 112011072416040-pat00004
), 나아가 카르복실산 구조(
Figure 112011072416040-pat0000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4 구조는 cis-1,4 구조 및 trans-1,4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 또는 카르복실산 구조의 함량에 대한 지료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중량평균 분자량을 측정하고, 관능화전 중량평균 분자량과 관능화 후 중량평균 분자량의 비를 통해 상대적인 함량을 알 수 있다. 분자량 비(관능화 전 중량평균 분자량/관능화 후 중량평균 분자량)가 0.9 내지 1.1이고, 바람직하게는 1.010 내지 1.1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 내지 1.070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10 내지 1.060 범위 내에서 아스팔트와의 상용성, 저장안정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상기 비닐 구조는 고분자(블록 공중합체 전체)를 기준으로 중량비가 1 내지 30 %(-CH2-CH-CH=CH2이 1~30 중량%로 포함)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인데, 이 범위 내에서 관능기의 형성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는 상기 관능화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및 아스팔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스팔트는 아스팔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아스팔트는 아스팔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아스팔트 개질제의 점도와 연화점의 물성이 향상되나 제조시간 또는 가공시간이 늘어나는 현상이 있다.
상기 개질제와 아스팔트의 중량 혼합비는 0.1:99.1 내지 20:8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99 내지 10:90인 것인데, 이 경우 가공시간, 저장안정성 및 아스팔트 조성물의 물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상기 저장안정성은 AASHTO(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PP5의 방법으로 샘플링한 다음, 각각의 연화점을 ASTM D36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차이로 평가될 수 있는데, 2.5 ℃이내 일 때 상 분리가 일어나지 않으며, 그 차이가 적을수록 저장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상기 아스팔트 조성물은 비가황 조건(가황제를 넣지 않는 것)에서 상기 개질제가 5 중량%로 포함된 것을 기준으로 용융속도가 6 내지 15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3 시간인데, 이 범위 내에서 아스팔트 조성물의 물성 균형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분자량의 저하 없이 관능화되고, 아스팔트와의 상용성이 뛰어나 가공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며, 또한 저온 신도 및 저장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용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제조 도중 관능화된 블록 공중합체가 완전히 용해되지 않은 상태(좌측도)와, 관능화된 블록 공중합체가 완전히 용해된 상태를 400 배의 배율로 촬영한 현미경 사진(우측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 관능화 전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질소로 치환된 20 L의 반응기에 정제된 사이클로헥산 5,600 g 및 스티렌 322 g을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50 ℃로 승온하였다. 상기 50 ℃에서 상기 사이클로헥산과 스티렌 혼합용액에 n-부틸리튬 1.1 g을 투입하여 스티렌 블록을 중합한 다음, 여기에 부타디엔 717 g을 투입하고, 상기 부타디엔이 완전히 소모될 때까지 중합하였다.
상기 부타디엔이 완전히 소모된 후, 1.2 g의 이염화이메틸실란을 상기 반응기에 투입하여 커플링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때 반응 특성상 상기 이염화이메틸실란의 염화기가 스티렌-부타디엔 블록으로 치환되어 선형 블록 공중합체가 제조되었다.
상기 커플링 반응이 끝난 후 0.2 g의 물을 반응기에 첨가하여 활성 고분자의 활성을 제거하는 종결 반응을 진행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110,311 g/mol이고, 스티렌 블록 함량은 31 중량%인 선형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종결 반응 후 산화방지제인 Irganox1076 (Ciba Specialty Chemicals Co.) 7.5 g과 TNPP (Weston Chemical Co.) 15.0 g을 중합 용액에 첨가하여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 관능화된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용액 600 g을 아크 방전 반응기(400 Torr, 100A로 플라즈마 RF Power 조절용)가 연결된 외부 온도 자켓이 있는 1L 반응용기에 투입하고, 이를 65 ℃로 셋팅하고, 500 rpm으로 교반시켰다.
상기 반응용기의 온도가 65 ℃로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 상기 전기적 아크 방전기의 전원을 켜고, 전압을 12V, 혼합가스의 유량을 1LPM(Liter Per Minute)으로 맞춘 다음 3L reservor에 혼합 가스를 1 LPM으로 투입시킨 뒤, 아크 방전된 공기의 유량도 1 LPM(Liter Per Minute)으로 맞춘 이후 상기 블록 공중합체 용액에 아크 방전된 혼합가스를 10분간만 흘려주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108,500 g/mol인 관능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산화방지제인 Irganox1076 (Ciba Specialty Chemicals Co.) 3.1 g과 TNPP (Weston Chemical Co.) 6.2 g을 추가로 첨가하여 관능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용액에서 고분자 회수를 통한 펠렛 제조>
상기 고분자 용액에서 고분자 만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스프리핑(Stripping)의 과정을 거친다. 즉, 3L의 물에 분산제인 Tamol 3 g과 CaCl2 0.5g을 넣고 끓였다. 그 후에 상기 고분자 용액을 천천히 끓는 물에 천천히 투입하여 고분자가 물에 응집되면서 1 ~ 20 mm의 크기로 물속에서 분산되고 용매가 증발되면서 고분자가 회수된다. 회수된 고분자를 60 ℃ 오븐에서 12시간 건조하여 고분자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전기적 아크 방전을 30분간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관능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107,949 g/mol)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전기적 아크 방전을 1시간 동안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관능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104,317 g/mol)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전기적 아크 방전을 1시간 30분간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관능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103,188 g/mol)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전기적 아크 방전을 5분간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관능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109,855 g/mol)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전기적 아크 방전을 2시간 동안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관능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104,317 g/mol)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전기적 아크 방전 반응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여 관능화되지 않은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중량평균 분자량: 110,311g/mol)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아스팔트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물성을 갖는 ㈜SK이노베이션에서 구입한 AP-5 아스팔트 500 g을 배합 용기에 넣고 온도는 170 ℃, 교반속도는 2000 rpm으로 유지시킨 다음, 여기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관능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펠렛 26 g을 투입하였다. 이때 상기 AP-5는 ASTM D946에 따라 25 ℃에서 측정한 침입도가 60 내지 70이고, 하기 표 1의 물성을 갖는다.
상기 관능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투입한 다음, 교반 속도를 천천히 2,500 rpm으로 올리고, 온도를 190 ℃로 승온시켜 1시간 유지시킨 후, 300 rpm으로 속도를 낮추어 교반시키면서 현미경을 통해 상기 관능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참고로, 초기에 용해되지 않은 관능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도 1의 사진(A)와 같이 흰색으로 크게 보이나, 완전 용해된 스티엔-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도 1의 사진(B)와 같이 흰색 부분이 대부분 사라져 아스팔트 부분과 구분하기 어려워진다.
상기 관능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10 시간이 소요되었고, 이 용해된 아스팔트 조성물은 물성 측정을 위해 샘플링을 하였다.
아스팔트 연화점
(℃)
점도(cps)
80 ℃ 100 ℃ 120 ℃
SK AP-5 54.1~55.1 22,300 4,060 1,070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관능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26 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관능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9 시간이 소요되었고, 이 용해된 아스팔트 조성물은 물성 측정을 위해 샘플링을 하였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관능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26 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상기 관능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9 시간 10분이 소요되었고, 이 용해된 아스팔트 조성물은 물성 측정을 위해 샘플링하였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관능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26 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관능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9 시간 50분이 소요되었고, 이 용해된 아스팔트 조성물은 물성 측정을 위해 샘플링하였다.
실시예 11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된 관능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26 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상기 관능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10 시간 50분이 소요되었고, 이 용해된 아스팔트 조성물은 물성 측정을 위해 샘플링하였다.
실시예 12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된 관능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26 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상기 관능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10 시간 40분이 소요되었고, 이 용해된 아스팔트 조성물은 물성 측정을 위해 샘플링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관능화되지 않은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26 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관능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11 시간이 소요되었고, 이 용해된 아스팔트 조성물은 물성 측정을 위해 샘플링을 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또는 아스팔트 조성물의 특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 내지 3에 나타내었다.
* 연화점-ASTM36에 따라 측정한다.
* 신도-5 ℃에서 시편을 1 시간 동안 방치한 후, ASTM D 113에 따라 측정한다.
* 저장 안정성-AASHTO(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PP5의 방법으로 샘플링하여 ASTM D36 방법으로 연화점을 측정하는데,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알루미늄 튜브에 아스팔트 조성물 50 g을 개량하고, 163 ℃의 오븐에서 48 시간 방치한 후, 꺼내어 삼등분하고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연화점을 측정하고 그 온도차이를 잰다. 온도 차이가 적을수록 저장안정성이 우수하며, 보통 2.5 ℃ 이내일 때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는다고 한다.
* 중량평균분자량(g/mol)- 각각의 샘플을 THF에 30분간 녹인 후 GPC에 적재하여 흘려준 후, PS 표준의 표준분자량과 비교하여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공중합체 전기적 아크방전 시간 중량평균 분자량 (g/mol) 분자량 비1)
실시예 1 10분 108,500 1.017
실시예 2 30분 107,949 1.022
실시예 3 60분 104,317 1.057
실시예 4 1시간 30분 103,188 1.069
실시예 5 5분 109,855 1.004
실시예 6 2시간 99,705 1.106
비교예 1 0분 110,311 1.000
분자량 비1 ): 비교예 1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각 실시예의 중량평균 분자량으로 나눈 값.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량평균 분자량이 일정 속도의 혼합 가스 유량에 대한 아크 방전 처리 시간에 따라 소폭 줄어드는 현상을 보이는데,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분자량 비(=관능화 전 분자량/관능화 후 분자량)가 1.010 내지 1.100로 형성이 되고 반응 전 분자량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그러나, 아크 방전 처리 시간이 2시간인 실시예 6에서는 분자량의 비가 1.106으로 산화 후 분자량이 더 많이 줄어들고, 아크 방전 처리시간이 짧은 실시예 2는 분자량의 비가 1.004로 산화 전 분자량과 차이가 많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기 표 2의 각각의 실시예 1 내지 6과 비교예 1로 하기 표 3(아스팔트 조성물의 물성과 용해시간)과 같이 아스팔트 조성물 물성과 상분리 데이터를 통한 용해시간을 비교해보았다.
아스팔트 조성물 아스팔트
용해시간1 )
연화점
(℃)
신도
(mm, 5℃)
신도(mm, 15 ℃) 저장 안정성
(△℃)2)
실시예 7 10시간 63.5 201.5 755.5 0.4
실시예 8 9시간 62.3 213.5 759 0.5
실시예 9 9시간 10분 61.6 228 765 1.7
실시예 10 9시간 50분 62.1 235 793 0.7
실시예 11 10시간 50분 62.5 196.5 757 1.0
실시예 12 10시간 40분 59.7 192 748.5 1.3
비교예 2 11시간 63.9 195 753.5 0.8
아스팔트 용해시간1 ): AASHTO(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PP5의 방법으로 샘플링하여 ASTM D36 방법으로 연화점을 측정하여 그 차이가 2 ℃ 이내일 때의 용해시간.
저장 안정성2 ): 상기 용해시간 측정시 사용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측정한 연화점의 차이.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정 유량의 혼합 가스를 아크 방전을 통해 관능화 전, 후의 분자량 비(관능화 전 중량평균 분자량/관능화 후 중량평균 분자량)가 1.010 내지 1.100의 비를 가지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실시예 7 내지 12)은 분자량 비가 1.000 내지 1.010을 가진 비닐 방향족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비교예 2)과 비교하여 연화점이 유사하면서도, 용해속도가 크게 단축되었으며, 신도 및 저장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실시예 7 내지 10의 경우 용해속도가 획기적으로 단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2)

  1.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와 공액디엔의 중량 비율이 5:95 내지 50:50인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관능화시키는 옥시데이션 반응, 또는 전기 아크방전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관능화 전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와 관능화 후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간 중량평균 분자량의 비가 0.9 내지 1.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용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능화 전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트리블록 공중합체 40 내지 100 중량% 및 디블록 공중합체 0 내지 60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용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방향족 블록은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4-프로필스티렌, 1-비닐나프탈렌, 4-사이클로헥실스티렌, 4-(파라-메틸페닐)스티렌 및 1-비닐-5-헥실나프탈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용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액디엔 블록은 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피페릴렌, 3-부틸-1,3-옥타디엔, 이소프렌 및 2-페닐-1,3-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공액디엔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용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능화 전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커플링제로 커플링시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용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능화 공정은 관능화 전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에 포함되어 있는 비닐 구조를 알데히드기와 카르복시기 중 1종 이상으로 선택적 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용 비닐방향족-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10. 제 1항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공중합체와 아스팔트를 중량 혼합비가 0.1:99.1 내지 20:80로 배합한 다음 고온 용융시켜 수득되는,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는, 아스팔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12. 삭제
KR1020110093867A 2011-09-19 2011-09-19 관능화된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용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KR101533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867A KR101533480B1 (ko) 2011-09-19 2011-09-19 관능화된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용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867A KR101533480B1 (ko) 2011-09-19 2011-09-19 관능화된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용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422A KR20130030422A (ko) 2013-03-27
KR101533480B1 true KR101533480B1 (ko) 2015-07-02

Family

ID=48179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867A KR101533480B1 (ko) 2011-09-19 2011-09-19 관능화된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용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4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627B1 (ko) * 2003-11-06 2006-01-31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능성 그룹을 갖는 아스팔트 개질제,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20070103384A (ko) * 2005-01-14 2007-10-23 화이어스톤 폴리머스, 엘엘씨 블록 공중합체의 응집 억제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627B1 (ko) * 2003-11-06 2006-01-31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능성 그룹을 갖는 아스팔트 개질제,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20070103384A (ko) * 2005-01-14 2007-10-23 화이어스톤 폴리머스, 엘엘씨 블록 공중합체의 응집 억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422A (ko) 201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220B1 (ko)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101594217B1 (ko) 변성 공액 디엔계 중합체의 연속 제조방법, 이로부터 수득된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1551002B1 (ko)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KR101984725B1 (ko)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101627072B1 (ko) 관능화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US20210054209A1 (en) Asphalt Modifier And Asphalt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20130030424A (ko) 관능화된 공액디엔을 포함하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KR20180076827A (ko)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KR101533480B1 (ko) 관능화된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용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KR101527705B1 (ko) 관능화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 디엔 블록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101540498B1 (ko) 아스팔트용 고분자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40125B1 (ko)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KR101552818B1 (ko) 관능화된 공액디엔을 포함하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KR101522447B1 (ko) 반응성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101558848B1 (ko) 관능화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20180066448A (ko)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KR20130030402A (ko) 관능화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20150005424A (ko) 혼련성이 개선된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20130010962A (ko) 관능화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20130010957A (ko) 관능화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 디엔 블록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20210032811A (ko)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20110108162A (ko) 아스팔트용 열안정성 개선을 위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