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431B1 -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 - Google Patents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431B1
KR101533431B1 KR1020140125923A KR20140125923A KR101533431B1 KR 101533431 B1 KR101533431 B1 KR 101533431B1 KR 1020140125923 A KR1020140125923 A KR 1020140125923A KR 20140125923 A KR20140125923 A KR 20140125923A KR 101533431 B1 KR101533431 B1 KR 101533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shape
coupling
sidewalk
resilient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5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기용
Original Assignee
(주)효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효명 filed Critical (주)효명
Priority to KR1020140125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01C11/26Permanently installed heating or blowing devices ; Mounting thereof
    • E01C11/265Embedded electrical heating elements ;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사각형 형태로 복수개가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보도가 시공될 바닥면에 배열되는 바닥 프레임 부재와, 상기 바닥 프레임 부재의 세로 프레임 및 가로 프레임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고무 재질로 하여 복수개가 부착 구비되는 제 1 탄력 패드 부재와, 상기 제 1 탄력 패드 부재가 구비된 상기 바닥 프레임 부재의 각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열되며, 일측 지지단부, 일측 결합부, 복수개의 돌출부, 복수개의 오목부, 타측 결합부 및 타측 지지단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단면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일측 결합부 및 타측 결합부는 각각의 외측면에 오목한 걸림홈이 형성되는 결합 프레임 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 상부면에 대응하여 고무 재질로 복수개가 부착 구비되는 제 2 탄력 패드 부재와,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열선과 상기 복수의 열선을 상하부에서 감싸듯이 구비된 난연 필름을 포함하여 상기 제 2 탄력 패드 부재의 형상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열선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는 히팅 부재와, 상기 히팅 부재의 형상에 대응하여 고무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히팅 부재를 보호하는 보호 패드 부재와, 사각형 형태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구를 포함하여 복수개가 상기 결합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상기 결합구는 측면에서 보면 외측 외주면에 돌출된 걸림턱이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바닥 패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FOOTPATH FOR EASY COMBINING AND SEPARATING, STRENGTHENING EARTHQUAKE-RESISTANT PERFORMANCE}
본 발명은 보도용 바닥 패널 부재를 바닥 프레임 부재 상에 쉽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고, 바닥 패널 부재, 결합 프레임 부재 및 바닥 프레임 부재의 각 사이에 탄력 패드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보도의 시공 및 손상으로 인한 교체 작업을 쉽게 할 수 있고, 보도용 바닥 패널 부재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큰 하중도 쉽게 견딜 수 있는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보도 블럭은 도시 미관과 보행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인도, 주택단지, 광장, 공원, 주차장 등의 보도에 연속적으로 배열한 후 서로 맞대어 포장하게 되는데, 이러한 보도 블럭으로는 다양한 형태(사각형 형태, 마름모 형태, 지그재그 형태 등)와 용도(점자 블럭, 유도 블럭, 보도 블럭)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보도 블럭은 콘크리트재, 화강암재 등과 같은 석재나 기타 합성수지재 등의 자재로 제작되며, 측면을 서로 밀착시켜 조밀하게 시공되기 때문에, 자재가 중량체인 관계로 운반과 시공이 어렵고, 설치 후에는 밀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도 블록에 큰 하중이 전달될 경우 쉽게 파손될 수 있고, 보도 블럭이 부분 파손될 경우 일정 영역의 보도블럭을 모두 교체해야만 하기 때문에 교체 작업 및 교체 비용 또한 만만치 않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174935호(2005.03.14.공고) : 조립식 고무 탄성재 보도블럭
본 발명은 보도용 바닥 패널 부재를 바닥 프레임 부재 상에 쉽게 고정 결합시킴으로써, 보도의 시공 및 손상으로 인한 교체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 패널 부재, 결합 프레임 부재 및 바닥 프레임 부재의 각 사이에 탄력 패드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보도용 바닥 패널 부재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큰 하중도 쉽게 견딜 수 있는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 패널 부재와 결합 프레임 부재의 사이에 히팅 부재를 구비하고, 히팅 부재의 보호를 위한 보호 패드 부재를 상부에 구비하며, 보도에 인접하여 설치된 태양광 발전 장치를 통해 히팅 부재에 전기를 공급하여 열을 발생시켜 바닥 패널 부재의 상부로 열을 발산시킴으로써, 눈이 쌓이더라도 빠른 시간 내에 녹여 통행의 불편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 프레임 부재의 하부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배수구를 구비함으로써,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사각형 형태로 복수개가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보도가 시공될 바닥면에 배열되는 바닥 프레임 부재와, 상기 바닥 프레임 부재의 세로 프레임 및 가로 프레임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고무 재질로 하여 복수개가 부착 구비되는 제 1 탄력 패드 부재와, 상기 제 1 탄력 패드 부재가 구비된 상기 바닥 프레임 부재의 각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열되며, 일측 지지단부, 일측 결합부, 복수개의 돌출부, 복수개의 오목부, 타측 결합부 및 타측 지지단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단면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일측 결합부 및 타측 결합부는 각각의 외측면에 오목한 걸림홈이 형성되는 결합 프레임 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 상부면에 대응하여 고무 재질로 복수개가 부착 구비되는 제 2 탄력 패드 부재와,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열선과 상기 복수의 열선을 상하부에서 감싸듯이 구비된 난연 필름을 포함하여 상기 제 2 탄력 패드 부재의 형상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열선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는 히팅 부재와, 상기 히팅 부재의 형상에 대응하여 고무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히팅 부재를 보호하는 보호 패드 부재와, 사각형 형태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구를 포함하여 복수개가 상기 결합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상기 결합구는 측면에서 보면 외측 외주면에 돌출된 걸림턱이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바닥 패널 부재를 포함하는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사각형 형태로 복수개가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보도가 시공될 바닥면에 배열되는 바닥 프레임 부재와, 상기 바닥 프레임 부재의 세로 프레임 및 가로 프레임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고무 재질로 하여 복수개가 부착 구비되는 제 1 탄력 패드 부재와, 상기 제 1 탄력 패드 부재가 구비된 상기 바닥 프레임 부재의 각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열되며, 일측 지지단부, 일측 돌출부, 일측 오목부, 중앙 돌출부, 중앙 결합부, 타측 오목부, 타측 돌출부 및 타측 지지단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단면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중앙 결합부는 화살표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 프레임 부재와, 상기 일측 돌출부 및 타측 돌출부 상부면에 대응하여 고무 재질로 복수개가 부착 구비되는 제 2 탄력 패드 부재와,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열선과 상기 복수의 열선을 상하부에서 감싸듯이 구비된 난연 필름을 포함하여 상기 제 2 탄력 패드 부재의 형상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열선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는 히팅 부재와, 상기 히팅 부재의 형상에 대응하여 고무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히팅 부재를 보호하는 보호 패드 부재와, 고무 재질로 구비되어 내부가 화살표 형태의 결합 공간이 형성되면서 외부는 호리병 형태로 형성되는 고무 패킹 부재와, 사각형 형태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상기 고무 패킹 부재의 외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결합구가 상기 결합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바닥 패널 부재를 포함하는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도용 바닥 패널 부재를 바닥 프레임 부재 상에 쉽게 고정 결합시킴으로써, 보도의 시공 및 손상으로 인한 교체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 패널 부재, 결합 프레임 부재 및 바닥 프레임 부재의 각 사이에 탄력 패드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보도용 바닥 패널 부재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큰 하중도 쉽게 견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 패널 부재와 결합 프레임 부재의 사이에 히팅 부재를 구비하고, 히팅 부재의 보호를 위한 보호 패드 부재를 상부에 구비하며, 보도에 인접하여 설치된 태양광 발전 장치를 통해 히팅 부재에 전기를 공급하여 열을 발생시켜 바닥 패널 부재의 상부로 열을 발산시킴으로써, 눈이 쌓이더라도 빠른 시간 내에 녹여 통행의 불편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 프레임 부재의 하부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배수구를 구비으로써,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를 예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에서 보도용 바닥 패널의 다양한 결합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에서 결합 프레임 부재의 다른 형태를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는 일반 보도 뿐만 아니라 교각 등과 같은 보도가 사용되는 어떠한 위치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는 바닥 프레임 부재(110), 제 1 탄력 패드 부재(120), 결합 프레임 부재(130), 제 2 탄력 패드 부재(140), 히팅 부재(150), 보호 패드 부재(160), 바닥 패널 부재(170), 고무 패킹 부재(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 프레임 부재(11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사각형 형태로 복수개가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보도가 시공될 바닥면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바닥 프레임 부재(110)는 세로 프레임(111)과 가로 프레임(112)이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제 1 탄력 패드 부재(120)는 바닥 프레임 부재(110)의 세로 프레임(111) 및 가로 프레임(112)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고무 재질로 하여 복수개가 부착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 1 탄력 패드 부재(120)를 통해 바닥 프레임 부재(110)와 상부에 구비되는 결합 프레임 부재(130)의 접촉면에서 하중을 분산시켜 진동에 강하고 내진 성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
결합 프레임 부재(130)는 제 1 탄력 패드 부재(120)가 상부면에 부착 구비된 바닥 프레임 부재(110)의 상부에 길이방향(세로 프레임(111)의 직각 방향, 즉 가로 프레임(112)과 평행한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열되며, 일측 지지단부(131), 일측 결합부(132), 복수개의 돌출부(133), 복수개의 오목부(134), 타측 결합부(135) 및 타측 지지단부(136)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단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프레임 부재(130)는 후술하는 바닥 패널 부재(170)가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 결합부(132)와 타측 결합부(135)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며, 복수개의 오목부(134)의 각 바닥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홀(도시 생략됨)에 각각 고정나사(137)가 관통 삽입되어 바닥 프레임 부재(110)에 관통 결합될 수 있고, 복수개의 오목부(134)에는 각 바닥면에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배수홀(138)이 형성되어 결합 프레임 부재(130)로 흘러 들어오는 물이 복수개의 배수홀(138)을 통해 지면 아래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결합 프레임 부재(130)는 일측 지지단부(131) 및 타측 지지단부(136)보다 복수개의 돌출부(133)의 각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돌출부(133)의 각 상부면이 후술하는 결합구(172)의 하부면과 접촉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일측 결합부(132)와 타측 결합부(135)는 각각의 외측면에 오목한 걸림홈이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바닥 패널 부재(150)가 쉽게 결합(장착) 또는 탈착(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복수개의 돌출부(133)와 복수개의 오목부(134)는 서로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탄력 패드 부재(140)는 결합 프레임 부재(130)의 복수개의 돌출부(133) 상부면에 대응하여 고무 재질로 복수개가 부착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 2 탄력 패드 부재(140)를 통해 결합 프레임 부재(130)와 상부에 구비되는 바닥 패널 부재(170)의 접촉면에서 하중을 분산시켜 진동에 강하고 내진 성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
히팅 부재(150)는 제 2 탄력 패드 부재(14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그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열선과 그 열선을 상하부에서 감싸듯이 구비된 난연 필름을 포함하여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히팅 부재(150)는 복수의 열선이 전기적으로 태양광 발전 장치(300)에 연결되며, 태양광 발전 장치(300)는 보도가 설치되는 인근에 상방으로 설치되는 가로등, 기둥 등과 같은 기둥 구조물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태양광 발전 장치(300)는 태양광 패널, 전기 배선, 축전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종래에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호 패드 부재(160)는 히팅 부재(15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그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고무 재질 등과 같은 탄력이 있는 재질로 구비되며, 바닥 패널 부재(170)의 하부면으로부터 히팅 부재(160)의 상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닥 패널 부재(170)는 사각형 형태의 바닥판(171)과 바닥판(171)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구(172)를 포함하며, 복수개가 결합 프레임 부재(130)에 결합되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바닥 패널 부재(170)의 바닥판(171) 및 결합구(172)는 콘크리트, 유황 및 섬유 보강재를 포함하며, 콘크리트 75-87 중량%, 유황 10-20 중량% 및 섬유 보강재 3-5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유황을 70-80 ℃로 가열하여 액상으로 만들고, 콘크리트 재료로 사용되는 시멘트에 첨가한 후 자갈, 모래 등을 혼합하며, 유황의 열반응을 발생시켜 콘크리트 혼합물을 제조하고, 복수개의 바닥 패널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해 복수개로 구획된 공간을 갖는 금형에 각 공간에 철재 메쉬망(173)을 내설한 후, 콘크리트 혼합물을 투입하고, 금형 외측에 연결된 진동기를 통해 금형에 진동을 가하면서 스팀을 가하여 대략 3시간 정도 찌는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바닥판의 상부면이 거친 표면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고, 원하는 색상의 색소를 첨가하여 다양한 색상(예를 들면, 흰색, 노란색, 빨간색, 검은색 등)으로 바닥 패널 부재(170)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콘크리트 혼합 시 유황을 첨가하지 않을 경우 0-5 kg/mm2의 인장 강도를 갖는데, 유황을 대략 10% 정도 첨가할 경우 인장강도는 대략 100 kg/mm2이고, 유황을 대략 20% 정도 첨가할 경우 인장강도는 대략 200 kg/mm2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유황을 10% 미만으로 첨가하거나 20% 이상으로 첨가할 경우 인장강도 또는 휨 강도에 대한 특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유황은 10-20%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구(172)는 바닥 패널 부재(170)의 길이방향으로 사각형 형태이고, 바닥 패널 부재(170)의 측면에서 보면 외측 외주면에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며, 하부면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구(172)의 외측면은 결합 프레임 부재(130)에 구비된 일측 결합부(132) 및 타측 결합부(135)의 단면 형태(즉, 걸림홈)에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고무 패킹 부재(180)는 바닥 패널 부재(170)의 일측면에 대응하는 길이의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며,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의 바닥 패널 부재(170) 사이에 이격이 발생할 경우 그 이격 부분에 고무 재질의 패킹을 삽입함으로써, 바닥 패널 부재(170) 사이의 이격에 따른 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고무 패킹 부재(180)는 바닥 프레임 부재(110)의 상부면에서 바닥 패널 부재(170)의 상부면까지의 높이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에서 보도용 바닥 패널의 다양한 결합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바닥판(171a)의 하부에 구비되는 결합구(172a)는 일측 결합부(132a) 및 타측 결합부(135a)에 결합될 수 있는데, 결합구(172a)는 상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172a)는 하단부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형태로 돌출된 걸림턱(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일측 결합부(132a) 및 타측 결합부(135a)는 외측면이 내측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력을 갖는 결합구(172a)는 하방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일측 결합부(132a) 및 타측 결합부(135a)에 결합되어 복숙의 돌출부(133a)의 상부면에 결합구(172a)의 하부면이 안착되며, 일측 지지단부(131a)와 타측 지지단부(136a)는 바닥판(171a)의 하부면을 지지함으로써, 외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형태의 걸림턱(a)에 의해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바닥판(171b)의 하부에 구비되는 결합구(172b)는 일측 결합부(132b) 및 타측 결합부(135b)에 결합될 수 있는데, 결합구(172b)는 상단부에서 일정 거리만큼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후 내측으로 삼각 형태의 오목홈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172b)는 하단부에 삼각형 단면 형태로 돌출된 걸림턱(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일측 결합부(132b) 및 타측 결합부(135b)는 외측면이 상단부에서 일정 거리만큼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후 내측으로 삼각 형태의 돌출된 돌기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력을 갖는 결합구(172b)는 하방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일측 결합부(132b) 및 타측 결합부(135b)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돌출부(133b)의 상부면에 결합구(172b)의 하부면이 안착되며, 일측 지지단부(131b)와 타측 지지단부(136b)는 바닥판(171b)의 하부면을 지지함으로써, 삼각형 단면 형태로 돌출된 각각의 걸림턱(b)에 의해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바닥판(171c)의 하부에 구비되는 결합구(172c)는 일측 결합부(132c) 및 타측 결합부(135c)에 결합될 수 있는데, 결합구(172c)는 상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반원 형태의 오목홈이 연장 형성되고, 그 수직 하방으로 기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후 내측 방향으로 호의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172c)는 중단부가 돌출된 형태로 돌출된 걸림턱(c)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일측 결합부(132c) 및 타측 결합부(135c)는 외측면이 상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반원 형태의 오목홈이 연장 형성되고, 그 수직 하방으로 기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후 내측 방향으로 반원 형태의 오목홈이 연장 형성되고, 그 수직 하방으로 기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력을 갖는 결합구(172c)는 하방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일측 결합부(132c) 및 타측 결합부(135c)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돌출부(133c)의 상부면에 결합구(172c)의 하부면이 안착되며, 일측 지지단부(131c)와 타측 지지단부(136c)는 바닥판(171c)의 하부면을 지지함으로써, 중단부가 돌출된 형태로 돌출된 각각의 걸림턱(c)에 의해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바닥판(171d)의 하부에 구비되는 결합구(172d)는 일측 결합부(132d) 및 타측 결합부(135d)에 결합될 수 있는데, 결합구(172d)는 상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삼각형 형태의 오목홈이 연장 형성되고, 그 수직 하방으로 기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후 내측 방향으로 사선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172d)는 측면에 사다리꼴 형태로 돌출된 걸림턱(d)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일측 결합부(132d) 및 타측 결합부(135d)는 외측면이 상단부에서 일정 거리만큼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후 내측으로 삼각 형태의 돌출된 돌기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력을 갖는 결합구(172d)는 하방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일측 결합부(132d) 및 타측 결합부(135d)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돌출부(133d)의 상부면에 결합구(172d)의 하부면이 안착되며, 일측 지지단부(131d)와 타측 지지단부(136d)는 바닥판(171d)의 하부면을 지지함으로써, 사다리꼴 형태로 돌출된 각각의 걸림턱(d)에 의해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에서 결합 프레임 부재의 다른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다른 형태의 결합 프레임 부재(230)의 도면부호만을 다르게 표시하며,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형태의 결합 프레임 부재(230)는 제 1 탄력 패드 부재(120)가 상부면에 부착 구비된 바닥 프레임 부재(110)의 상부에 길이방향(세로 프레임(111)의 직각 방향, 즉 가로 프레임(112)과 평행한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열되며, 일측 지지단부(231), 일측 돌출부(232), 일측 오목부(233), 중앙 돌출부(234), 중앙 결합부(235), 타측 오목부(236), 타측 돌출부(237) 및 타측 지지단부(238)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단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프레임 부재(230)는 후술하는 바닥 패널 부재(150)가 쉽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 돌출부(234)의 상부에 형성된 중앙 결합부(235)가 화살표 형태로 형성되며, 바닥 프레임 부재(110)에 지지되는 일측 지지단부(231) 및 타측 지지단부(238)와 일측 오목부(233) 및 타측 오목부(236)의 각 바닥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홀(도시 생략됨)에 각각 고정나사(230a)가 관통 삽입되어 바닥 프레임 부재(110)에 관통 결합될 수 있고, 일측 지지단부(231) 및 타측 지지단부(238)와 일측 오목부(233) 및 타측 오목부(236)에는 각 바닥면에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배수홀(도시 생략됨)이 형성되어 결합 프레임 부재(130)로 흘러 들어오는 물이 복수개의 배수홀을 통해 지면 아래로 배출될 수 있다.
물론, 결합 프레임 부재(230)가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이격된 사이에 상하부가 노출되는 공간을 통해서도 물이 지면 아래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결합 프레임 부재(230)는 중앙 돌출부(234)보다 일측 돌출부(232) 및 타측 돌출부(237)의 각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 돌출부(232) 및 타측 돌출부(237)의 각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돌출부의 각 상부면이 결합구(172)의 하부면과 접촉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고, 중앙 돌출부(234)의 상부면은 복수개가 배열된 바닥 패널 부재(170)에 구비된 결합구(172)가 서로 만나 형성된 공간의 내부 상부면과 접촉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중앙 돌출부(234)의 상부에 형성된 중앙 결합부(235)는 화살표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고무 패킹 부재(180)는 내부가 화살표 형태의 결합 공간이 형성되면서 외부는 호리병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바닥 패널 부재(170)는 호리병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의 측면 형태로 결합구(17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도용 바닥 패널 부재를 바닥 프레임 부재 상에 쉽게 고정 결합시킴으로써, 보도의 시공 및 손상으로 인한 교체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 패널 부재, 결합 프레임 부재 및 바닥 프레임 부재의 각 사이에 탄력 패드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보도용 바닥 패널 부재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큰 하중도 쉽게 견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 패널 부재와 결합 프레임 부재의 사이에 히팅 부재를 구비하고, 히팅 부재의 보호를 위한 보호 패드 부재를 상부에 구비하며, 보도에 인접하여 설치된 태양광 발전 장치를 통해 히팅 부재에 전기를 공급하여 열을 발생시켜 바닥 패널 부재의 상부로 열을 발산시킴으로써, 눈이 쌓이더라도 빠른 시간 내에 녹여 통행의 불편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 프레임 부재의 하부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배수구를 구비함으로써,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10 : 바닥 프레임 부재 120 : 제 1 탄력 패드 부재
130 : 결합 프레임 부재 140 : 제 2 탄력 패드 부재
150 : 히팅 부재 160 : 보호 패드 부재
170 : 바닥 패널 부재 180 : 고무 패킹 부재

Claims (8)

  1.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사각형 형태로 복수개가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보도가 시공될 바닥면에 배열되는 바닥 프레임 부재와,
    상기 바닥 프레임 부재의 세로 프레임 및 가로 프레임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고무 재질로 하여 복수개가 부착 구비되는 제 1 탄력 패드 부재와,
    상기 제 1 탄력 패드 부재가 구비된 상기 바닥 프레임 부재의 각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열되며, 일측 지지단부, 일측 결합부, 복수개의 돌출부, 복수개의 오목부, 타측 결합부 및 타측 지지단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단면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일측 결합부 및 타측 결합부는 각각의 외측면에 오목한 걸림홈이 형성되며, 일측 지지단부 및 타측 지지단부와 일측 오목부 및 타측 오목부에는 각 바닥면에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배수홀이 형성되는 결합 프레임 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 상부면에 대응하여 고무 재질로 복수개가 부착 구비되는 제 2 탄력 패드 부재와,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열선과 상기 복수의 열선을 상하부에서 감싸듯이 구비된 난연 필름을 포함하여 상기 제 2 탄력 패드 부재의 형상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열선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는 히팅 부재와,
    상기 히팅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와,
    상기 히팅 부재의 형상에 대응하여 고무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히팅 부재를 보호하는 보호 패드 부재와,
    콘크리트 75-87 중량%, 유황 10-20 중량% 및 섬유 보강재 3-5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되며 사각형 형태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구를 포함하여 복수개가 상기 결합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상기 결합구는 측면에서 보면 외측 외주면에 경사지게 절곡된 형태, 삼각형 단면 형태, 중단부가 돌출된 형태 및 사다리꼴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돌출된 걸림턱이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바닥 패널 부재와,
    고무 재질 및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어 복수개가 배열된 상기 바닥 패널 부재 사이에 이격이 발생할 경우 이격 부분에 삽입되는 고무 패킹 부재
    를 포함하는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사각형 형태로 복수개가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보도가 시공될 바닥면에 배열되는 바닥 프레임 부재와,
    상기 바닥 프레임 부재의 세로 프레임 및 가로 프레임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고무 재질로 하여 복수개가 부착 구비되는 제 1 탄력 패드 부재와,
    상기 제 1 탄력 패드 부재가 구비된 상기 바닥 프레임 부재의 각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열되며, 일측 지지단부, 일측 돌출부, 일측 오목부, 중앙 돌출부, 중앙 결합부, 타측 오목부, 타측 돌출부 및 타측 지지단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단면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중앙 결합부는 화살표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배수구가 구비되는 결합 프레임 부재와,
    상기 일측 돌출부 및 타측 돌출부 상부면에 대응하여 고무 재질로 복수개가 부착 구비되는 제 2 탄력 패드 부재와,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열선과 상기 복수의 열선을 상하부에서 감싸듯이 구비된 난연 필름을 포함하여 상기 제 2 탄력 패드 부재의 형상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열선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는 히팅 부재와,
    상기 히팅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와,
    상기 히팅 부재의 형상에 대응하여 고무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히팅 부재를 보호하는 보호 패드 부재와,
    고무 재질로 구비되어 내부가 화살표 형태의 결합 공간이 형성되면서 외부는 호리병 형태로 형성되는 고무 패킹 부재와,
    콘크리트 75-87 중량%, 유황 10-20 중량% 및 섬유 보강재 3-5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되며 사각형 형태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상기 고무 패킹 부재의 외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결합구가 상기 결합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바닥 패널 부재
    를 포함하는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
  7. 삭제
  8. 삭제
KR1020140125923A 2014-09-22 2014-09-22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 KR101533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923A KR101533431B1 (ko) 2014-09-22 2014-09-22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923A KR101533431B1 (ko) 2014-09-22 2014-09-22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3431B1 true KR101533431B1 (ko) 2015-07-02

Family

ID=5378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5923A KR101533431B1 (ko) 2014-09-22 2014-09-22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4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604A (ko) 2017-01-25 2018-08-02 (주)효명 합성데크용 친환경 고강도 데크블록
KR20180087603A (ko) 2017-01-25 2018-08-02 (주)효명 내구성이 강화된 친환경 고강도 합성데크 조립체
KR102030378B1 (ko) * 2019-01-21 2019-10-10 (주)신화 발열모듈이 설치된 데크 구조물
KR102084084B1 (ko) * 2019-03-28 2020-03-04 (주)베네테크 데크 고정용 클립
KR102667815B1 (ko) * 2023-12-22 2024-05-21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다기능 보도블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280B1 (ko) * 2010-07-21 2011-05-16 (주)대룡산업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
KR101037784B1 (ko) * 2010-12-10 2011-05-27 이정욱 열선을 구비한 조립식 보도블럭
KR101120544B1 (ko) * 2011-04-15 2012-03-09 (주) 태평양지질 슬립 방지 기능 및 연결 구조가 개선된 데크 및 이를 이용한 확장 데크 구조물
KR101293496B1 (ko) * 2011-09-27 2013-08-06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미끄럼 방지구가 설치된 목재 데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280B1 (ko) * 2010-07-21 2011-05-16 (주)대룡산업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
KR101037784B1 (ko) * 2010-12-10 2011-05-27 이정욱 열선을 구비한 조립식 보도블럭
KR101120544B1 (ko) * 2011-04-15 2012-03-09 (주) 태평양지질 슬립 방지 기능 및 연결 구조가 개선된 데크 및 이를 이용한 확장 데크 구조물
KR101293496B1 (ko) * 2011-09-27 2013-08-06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미끄럼 방지구가 설치된 목재 데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604A (ko) 2017-01-25 2018-08-02 (주)효명 합성데크용 친환경 고강도 데크블록
KR20180087603A (ko) 2017-01-25 2018-08-02 (주)효명 내구성이 강화된 친환경 고강도 합성데크 조립체
KR102030378B1 (ko) * 2019-01-21 2019-10-10 (주)신화 발열모듈이 설치된 데크 구조물
KR102084084B1 (ko) * 2019-03-28 2020-03-04 (주)베네테크 데크 고정용 클립
KR102667815B1 (ko) * 2023-12-22 2024-05-21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다기능 보도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431B1 (ko)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
CA2912545C (en) Securely interconnectable modules for use in constructing a pathway for traffic
KR101503517B1 (ko)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
KR102330579B1 (ko) 횡단보도 신호등에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및 그 시공방법
KR101499130B1 (ko)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
JP6136242B2 (ja) 道路橋用伸縮装置
AU2017203695B2 (en) Detectable warnings
KR101506118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및 보수방법
KR100984019B1 (ko) 조립식 횡단보도
KR20070101007A (ko) 맨홀, 맨홀 높이 조정 링 및 맨홀 뚜껑의 결합구조와 이를 형성하는 맨홀, 맨홀 높이 조정 링 및 맨홀 뚜껑
JP2017043928A (ja) 橋梁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床版端の継手構造
KR101252766B1 (ko) 도로 확장형 보조교량
KR20070011703A (ko) 절연성 맨홀구조
KR20080096920A (ko) 논슬립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가설교량 시공방법
KR101560189B1 (ko)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KR20120021579A (ko) 교량의 신축이음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50024195A (ko) 배수홀을 포함하는 헌치부재 및 이를 활용한 교량구조물
WO2018046897A1 (en) A walkway
KR102603505B1 (ko)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및 그의 설치 구조
KR20130047094A (ko) 과속방지 도로블록
KR20080010788A (ko) 도로포장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구조물
KR101284207B1 (ko) 유황폴리머콘크리트 배수로의 그레이팅 결합장치
KR101569658B1 (ko) 건축용 그레이팅
KR101116194B1 (ko) 도로 경계석
KR102019668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자전거 도로용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