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386B1 -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386B1
KR101533386B1 KR1020130153386A KR20130153386A KR101533386B1 KR 101533386 B1 KR101533386 B1 KR 101533386B1 KR 1020130153386 A KR1020130153386 A KR 1020130153386A KR 20130153386 A KR20130153386 A KR 20130153386A KR 101533386 B1 KR101533386 B1 KR 101533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user
underground
illumination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7658A (ko
Inventor
김철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엔스
Priority to KR1020130153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386B1/ko
Publication of KR20150067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도 컨트롤러(20)를 통해 조명 모듈(60)의 조도가 절약모드 작동되도록 하는 단계와; 화장실 사용자가 지하 화장실(1)의 입구(3)로 들어왔을 때, 작동모드가 진행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좌변기 칸(5)에서 화장실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모드 단계 및; 사용자가 화장실을 사용한 후 입구(3)로 나갔을 때 절약모드가 작동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지하 화장실(1)에 설치된 조도 컨트롤러(20)를 이용하여 지하 화장실(1)에 설치된 조명 모듈(60)의 제어를 통해, 화장실 사용을 위해 입실 및 퇴실하는 사용자의 동선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가능한 좌변기 칸(5)을 즉각적으로 편리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지하 화장실(1)에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법{Automatic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원격제어를 통해 지하 화장실의 조명조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명조도 제어기술은 태동 초기의 단순한 온/오프(On/Off) 스위치로부터 피동 적외선 감지기, 전자식 접촉기, 자외선 장치 및 광센서 제어장치와 같은 장치 또는 시스템을 부가하여 새로운 조명조도 제어기술 및 장치를 개발하는데 이르렀다.
이와 같은 조명조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연구개발되고 있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기술은 무선, 유선, PLC, LED 디밍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무선통신방식은 무선으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무선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송신용 안테나를 설치하고 각각의 제어 대상에 수신용 안테나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신호로 릴레이 접점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유선통신방식은 2선 통신선으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분전반 등 부하전원이 집중된 위치에서 조명 및 각종 전기부하 공급선로를 릴레이 접점에 의해 제어하는 방식이다. PLC 통신 방식은 기존의 전기선으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현장에서 직접 스위치를 교체하거나 직접 PLC 기기를 취부하여 전기부하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LED 디밍의 제어 방식은 크게 아날로그 디밍 방식과 PMW(펄스 폭 변조) 디밍으로 구분되고, LED 디밍은 LED 전류 세기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전류 감지 레지스터 또는 IC(집적 회로)의 일부 DIM 기능 핀에서 아날로그 전압 구동을 통해 수행되며, PWM 방식의 디밍은 짧은 시간 동안 LED 전류를 켜고 끄는 수많은 동작을 반복하는 방식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5-0028567호 "조명기구의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리모트 콘트롤러를 사용하여 다수 조명기기의 밝기 조정기능 및 순차적 점멸기능,그리고 세팅시간에 자동으로 소등되는 취침기능,램프점등시 소정시간 후에 자동 소등되는 타이머기능,또한 주변의 밝기 정도에 따라 소정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자동점멸을 반복하는 시큐리티(Security) 기능을 하도록 한 조명기구의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69952호 "무전극램프 원격조도시스템"은 터널 내에서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무전극 램프에 대해 터널 주변의 조도에 따라 터널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무전극 램프를 그룹별 또는 영역별로 구분하여 해당 그룹 또는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무전극 램프의 조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등록번호 제10-0661906호 "맥류를 이용한 조도제어 장치"는 AC 전압을 필요로 하는 형광등 안정기에 공급되는 전원에 맥류의 전원을 공급하고 그 레벨을 변환시켜 가변공급함으로써 기존의 형광등 및 일반 조명등기구의 설치 및 전원 구성 형태를 변화시키지 않고도 안정기의 입력 전원제어를 통해 형광등 및 일반 조명등의 조도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미 다양하게 제안된 종래기술들은 센서를 적용하거나 무선, 유선, PLC, LED 디밍 기술을 적용하여 조명조도의 조절을 통해 에너지를 절감시키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조명을 단순히 온오프시키거나, 외부 조도를 검출하여 전체적인 조명을 조절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 지하 화장실과 같이 이용하는 사용자가 지하 화장실로 들어와서 화장실 사용을 마치고 나가는 과정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원격제어를 통해 지하 화장실의 조명조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화장실 사용를 위한 사용자가 지하 화장실에 진입한 후, 화장실 사용를 마치고 지하 화장실을 나가는 과정까지의 동선을 따라 조명조도의 제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화장실 사용의 편리함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하 화장실에 특화된 조명조도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조도 컨트롤러(20)를 통해 조명 모듈(60)의 조도가 절약모드 작동되도록 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지하 화장실(1)의 입구(3)로 들어왔을 때, 작동모드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좌변기 칸(5)에서 화장실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모드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화장실 사용한 후 입구(3)로 나갔을 때 상기 절약모드가 작동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화장실(1) 조명조도 자동제어 방법에서, 작동 모드 단계는, 입구(3)에 설치된 입구 센서(32)에 사용자가 검출되었을 때 진행되되, 입구 센서(32)에 상기 사용자가 검출되었을 때, 좌변기 칸(5) 중 화장실 사용이 가능한 좌변기 칸(5)으로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조명의 조도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화장실(1) 조명조도 자동제어 방법에서, 작동모드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화장실 사용이 완료되었을 때, 입구(3)로 상기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조명의 조도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화장실(1) 조명조도 자동제어 방법에서, 작동모드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화장실 사용 완료는 상기 좌변기 칸(5)의 화장실 사용 완료신호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전기 에너지 절약을 위한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하 화장실(1)의 입구(3) 및 좌변기 칸(5)으로 배치되어 상기 지하 화장실(1)에 화장실 사용을 위한 사용자에게 조명을 비추기 위한 조명 모듈(60) 및; 상기 조명 모듈(60)의 조도를 제어하되 지정된 시간이 되었을 때 절약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지하 화장실(1)의 입구(3)로 사용자가 입실되었을 때, 작동모드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좌변기 칸(5)에서 화장실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도 컨트롤러(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화장실(1) 조명조도 자동제어 장치에서, 상기 조명 모듈(60)은, 상기 입구(3)에 설치되는 입구등(30); 상기 입구(3)에 설치되는 입구 센서(32); 상기 좌변기 칸(5)에 설치되는 화장실등(40); 상기 좌변기 칸(5)에 설치되는 화장실 센서(42); 상기 입구(3)와 좌변기 칸(5)사이에 형성되는 사용자대기공간에 설치되는 화장실 유도등(50) 및; 상기 사용자대기공간에 설치되는 화장실 유도 센서(52);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조도 컨트롤러(20)를 통해 조명 모듈(60)의 조도가 절약모드로 작동되도록 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지하 화장실(1)의 입구(3)로 들어왔을 때, 작동모드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좌변기 칸(5)을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모드 단계 및 사용자가 화장실 사용 종료 후 입구(3)로 나갔을 때 절약모드가 작동되도록 하는 단계를 통해 지하 화장실(1)의 조명조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지하 화장실(1)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스케줄 제어, 센서 제어와 함께 좌변기 칸(5)의 작동에 따른 제어를 통해 본 발명은 화장실 사용을 위한 사용자가 지하 화장실(1)에 진입한 후, 화장실 사용을 마치고 지하 화장실(1)를 나가는 과정까지의 동선을 따라 조명조도의 제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화장실 사용의 편리함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하 화장실(1)에 특화된 조명조도의 제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하 화장실(1) 조명조도 자동제어방법은 지하 화장실(1)에 설치된 조도 컨트롤러(20)의 제어를 통해 일몰에서 일출까지와 같이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범위 내에서 조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어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조명모듈(60)의 스케줄 제어를 통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조명모듈(60)은 형광등 또는 LED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형광등 및 LED를 제어하는 조도 컨트롤러(20)는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불루투스(bluetooth) 및 씨디엠에이(CDMA) 등의 무선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조명모듈(60)의 조도를 조절하여 쾌적한 분위기 조성 및 에너지 절감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디밍(dimming)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조명 모듈(60)은 형광등 또는 LED의 형태로 지하 화장실(1)의 입구(3) 및 좌변기 칸(5)의 위치에 다양하게 설치 및 배치되는 일반적인 조명등으로, 조도 컨트롤러(20)에 의해 제어 가능한 조명등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조도 컨트롤러(20)를 통해 조명 모듈(60)의 조도가 절약모드로 작동되도록 하는 단계(s110)는, 스케줄 제어를 통해 조명조도의 제어가 시작되면 지하 화장실(1)로 사용자의 입실, 화장실 사용, 퇴실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지하 화장실(1)내의 입구(3) 및 좌변기 칸(5) 등에 위치한 조명은 절약모드를 진행하게 되는데, 절약모드는 조명모듈(60)의 출력이 50%의 점등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절약모드의 진행 중에도 지하 화장실(1)의 입구(3)에 설치되는 조명등인 안내등(미도시)은 항상 출력 100%인 점등 상태인 작동 모드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이 설정되는 이유로는 사용자에게 지하 화장실(1)의 위치 및 사용에 관련된 정보를 원활하게 인지시켜야 하는 이유에서 비롯될 수 있다.
다음, 사용자가 지하 화장실(1)의 입구(3)로 들어왔을 때(s120), 작동모드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지하 화장실(1)에서 화장실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모드 단계가 진행되는데, 절약모드 진행 중 사용자가 지하 화장실(1)로 입실할 경우 지하 화장실(1)의 조명등은 작동모드로 진행되게 되는 것이다.(s130)작동모드는 지하 화장실(1)에 설치된 조명등의 출력이 100%인 점등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로 화장실 사용을 위한 사용자의 입실시 사용자의 화장실 사용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지하 화장실(1)의 조명 출력이 100%인 점등 상태를 갖는 상태이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화장실 사용 완료 후 지하 화장실(1)의 입구(3)를 통해 나갔을 때 절약모드가 되도록 작동하는 단계(s140)로, 지하 화장실(1)의 조명은 다시 절약모드를 진행하게 되며 그를 통해 지하 화장실(1) 조명 출력의 50%인 점등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화장실(1) 조명조도 자동제어 방법에 따르면, 조도 컨트롤러(20)를 통해 조명 모듈(60)의 조도가 절약 모드로 작동되도록 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지하 화장실(1)의 입구(3)로 들어왔을 때 작동 모드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좌변기 칸(5)의 화장실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 모드 단계 및 사용자가 화장실 사용 완료 후 입구(3)를 통해 나갔을 때 절약 모드가 작동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지하 화장실(1)의 입구(3)를 통해 사용자가 입실된 후 화장실 사용 및 퇴실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일반적인 동선에 맞추어, 지하 화장실(1)의 입구(3) 및 좌변기 칸(5)에 설치되는 조명모듈(60)의 조도를 디밍제어 할 수 있는 조도 컨트롤러(20)를 통해 화장실 사용이 필요한 사용자가 입실시 조명모듈(60)의 출력이 100%인 작동 모드를 진행시키고 그 밖의 상황에서는 조명모듈(60)의 출력이 50% 상태의 점등 상태인 절약 모드를 진행시키게 하여 지하 화장실(1)에 설치된 조명으로 인한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조명의 출력정도(본 발명에서는 50%, 100%를 언급)는 사용자의 필요 또는 사용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사히 설명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종래기술로부터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조도 및 사용자를 검출하는 센서 및 센서와 관련된 기술, 센서와 컨트롤러와의 연결관계, 컨트롤러가 조명을 제어하는 디밍제어 관련 기술 등 등 통상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야의 종사자들 및 그들이 관련분야의 종사자들을 통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 화장실(1) 조명조도 자동제어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 화장실(1) 조명조도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 화장실(1) 조명조도 자동제어 방법은 지하 화장실(1)에 설치된 조도 컨트롤러(20)의 제어를 통해 일몰에서 일출까지와 같이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범위 내에서 지하 화장실(1)의 조명 모듈(60)에 대한 조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어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조명등의 스케줄 제어를 통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조명은 형광등 또는 LED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형광등 또는 LED를 제어하는 조도 컨트롤러(20)는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불루투스(bluetooth) 및 씨디엠에이(CDMA) 등의 무선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조명등의 조도를 조절하여 쾌적한 분위기 조성 및 에너지 절감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디밍(dimming)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조명 모듈(60)은 형광등 또는 LED의 형태로 지하 화장실(1)로 사용자가 입실 및 퇴실하는 입구(3) 및 화장실 사용이 이루어지는 좌변기 칸(5)에서 각각 입구등(30) 및 화장실등(40)의 형태로 설치되며, 각 입구등(30) 및 화장실등(40)의 위치에서 사용자 입실 및 퇴실정보를 전송하는 입구 센서(32) 및 입실한 사용자가 화장실 사용 완료시 화장실 사용 완료 신호를 전송하는 화장실 센서(42)를 구비한다.
아울러, 조명 모듈(60)은 입구(3)와 좌변기 칸(5) 사이에 설치되어 화장실 사용이 가능한 좌변기 칸(5)의 정보를 조도조절을 통해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화장실 유도등(50), 화장실 유도등(50)의 위치에서 입실된 사용자의 이동 정보를 전송하는 화장실 유도 센서(52)를 더 구비하여 지하 화장실(1) 조명조도 자동제어 방법 및 장치를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입구 센서(32), 화장실 유도 센서(52), 화장실 센서(42) 각각은 조도감지의 기능 및 인체감지의 기능을 수행하고 그 신호를 조도 컨트롤러(20)로 전송하는 기능이 동시에 수행 가능하되, 필요에 의해 선택된 한가지의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 화장실(1) 조명조도 자동제어 방법은 조도 컨트롤러(20)를 통해 조명 모듈(60)이 절약모드로 작동되도록 하는 단계를 갖도록 한다.(s311)
여기서, 절약모드는 스케줄 제어를 통해 조명조도의 제어가 시작된 후 지하 화장실(1)로 사용자의 입실 및 화장실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지하 화장실(1)내의 입구(3), 좌변기 칸(5) 등에 위치한 조명의 출력이 50%의 점등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작동모드는 스케줄 제어를 통해 조명조도의 제어가 시작된 후 지하 화장실(1)로 사용자의 입실 및 화장실 사용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지하 화장실(1)내의 입구(3), 좌변기 칸(5) 등에 위치한 조명이 출력 100%의 점등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다만, 절약모드에서도 입구에 위치한 안내등(미도시)의 출력은 항상 100%를 유지하여 화장실 사용이 필요한 사용자에게 지하 화장실(1)의 정보를 원활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다음, 절약모드의 진행 중 사용자가 입실하게 되면, 지하 화장실(1)의 입구(3)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입실을 감지할 수 있는 인체감지기능을 갖는 입구 센서(32)는 사용자 입실 정보를 조도 컨트롤러(20)로 전송하게 된다.
다음, 사용자 입실 정보를 전송(s313)받은 조도 컨트롤러(20)는 지하 화장실(1)내 미사용 좌변기 칸(5)의 위치를 연산(s315)한 후 미사용 좌변기 칸(5) 방향에 설치된 화장실 유도등(50)의 출력인 100%인 작동 상태로 전환시켜 사용자가 화장실 사용 가능한 좌변기 칸(5)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s317)
즉, 이러한 조도 변화를 통해 지하 화장실(1)에 입실된 사용자의 화장실 사용을 위한 동선을 조명조도 제어를 통해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화장실 유도등(50)을 따라서 좌변기 칸(5)으로 이동하는 사용자가 화장실 유도등(50)의 위치에 설치되는 화장실 유도 센서(52)에 검출(s319)되면 조도 컨트롤러(20)는 즉시 화장실 사용이 가능한 좌변기 칸(5)의 위치에 설치된 화장실등(40)의 출력을 100%로 증가시키고, 화장실 유도등(50)의 출력이 50%의 점등 상태를 갖는 절약모드로 전환시켜 불필요한 조도 증가로 인한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s321)
다음, 화장실 사용 완료 후 화장실 사용 완료 신호는 좌변기 칸(5)의 위치에 설치되는 화장실 센서(42)를 통해 사용자의 화장실 사용이 완료되었음을 조도 컨트롤러(20)로 전송하여(s322) 조도 컨트롤러(20)가 화장실등(40)의 출력이 50%의 점등 상태가 되도록 조절함과 동시에 화장실 유도등(50)의 출력을 100%인 작동 모드 되도록 제어하여 화장실 사용을 완료한 사용자가 입구(3) 방향으로 원활하게 퇴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324)
아울러, 화장실 사용 완료 후 화장실 사용 완료 신호는 좌변기 칸(5)을 운영하는 전산망(미도시)에서 화장실 사용 완료 신호를 좌변기 칸(5)을 통해 조도 컨트롤러(20)로 전송하여 조도 컨트롤러(20)가 화장실등(40)의 출력이 50%의 점등 상태가 되도록 조절함과 동시에 화장실 유도등(50)의 출력을 100%인 작동 모드 되도록 제어하여 화장실 사용을 완료한 사용자가 입구(3) 방향으로 원활하게 퇴실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화장실 사용을 완료한 사용자가 화장실 유도 센서(52)에 감지(s326)되면 그 정보를 조도 컨트롤러(20)로 전송하게 되는데, 그 정보를 전송받은 조도 컨트롤러(20)는 입구등(30)의 출력이 100%인 작동 모드가 되도록 제어하고, 화장실 유도등(50)의 출력을 50%로 전환하여 사용자의 입구(3)로의 퇴실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328)
이와 같이 절약모드에서 작동모드로 그리고 작동모드에서 절약모드로의 과정을 거쳐 퇴실이 완료(s330)된 후 지하 화장실(1)의 입구등은 전술한 절약 모드를 진행(s332)하게 되고, 이후 계속하여 사용자의 입실과 퇴실 및 화장실 사용의 상황에 따라 각각의 모드가 진행되는 특징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 방법 및 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지하 화장실 3 : 입구
5 : 좌변기 칸
10 :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 장치 20 : 조도 컨트롤러
30 : 입구등 32 : 입구 센서
40 : 화장실등 42 : 화장실 센서
50 : 화장실 유도등 52 : 화장실 유도 센서
60 : 조명 모듈

Claims (6)

  1. 조도 컨트롤러(20)를 통해 조명 모듈(60)의 조도가 절약모드 작동되도록 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지하 화장실(1)의 입구(3)로 들어왔을 때, 사용자 입실 정보를 전송(s313)받은 조도 컨트롤러(20)는 지하 화장실(1)내 미사용 좌변기 칸(5)의 위치를 연산(s315)한 후 미사용 좌변기 칸(5) 방향에 설치된 화장실 유도등(50)의 출력인 100%인 작동 상태로 전환시켜 사용자가 화장실 사용 가능한 좌변기 칸(5)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작동모드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좌변기 칸(5)에서 화장실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모드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화장실 사용한 후 입구(3)로 나갔을 때 상기 절약모드가 작동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화장실(1) 조명조도 자동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드 단계는,
    상기 입구(3)에 설치된 입구 센서(32)에 사용자가 검출되었을 때 진행되되,
    상기 입구 센서(32)에 상기 사용자가 검출되었을 때, 상기 좌변기 칸(5) 중 화장실 사용이 가능한 좌변기 칸(5)으로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조명의 조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화장실 사용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입구(3)로 상기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조명의 조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화장실 사용 완료는 상기 좌변기 칸(5)의 화장실 사용 완료신호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방법.
  5. 전기 에너지 절약을 위한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하 화장실(1)의 입구(3) 및 좌변기 칸(5)으로 배치되어 상기 지하 화장실(1)에 화장실 사용을 위한 사용자에게 조명을 비추기 위한 조명 모듈(60) 및;
    상기 조명 모듈(60)의 조도를 제어하되 지정된 시간이 되었을 때 절약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지하 화장실(1)의 입구(3)로 사용자가 입실되었을 때, 사용자 입실 정보를 전송(s313)받아서 지하 화장실(1)내 미사용 좌변기 칸(5)의 위치를 연산(s315)한 후 미사용 좌변기 칸(5) 방향에 설치된 화장실 유도등(50)의 출력인 100%인 작동 상태로 전환시켜 사용자가 화장실 사용 가능한 좌변기 칸(5)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작동모드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좌변기 칸(5)에서 화장실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도 컨트롤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모듈(60)은,
    상기 입구(3)에 설치되는 입구등(30);
    상기 입구(3)에 설치되는 입구 센서(32);
    상기 좌변기 칸(5)에 설치되는 화장실등(40);
    상기 좌변기 칸(5)에 설치되는 화장실 센서(42);
    상기 입구(3)와 좌변기 칸(5)사이에 형성되는 사용자대기공간에 설치되는 화장실 유도등(50) 및;
    상기 사용자대기공간에 설치되는 화장실 유도 센서(5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장치.
KR1020130153386A 2013-12-10 2013-12-10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533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386A KR101533386B1 (ko) 2013-12-10 2013-12-10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386A KR101533386B1 (ko) 2013-12-10 2013-12-10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658A KR20150067658A (ko) 2015-06-18
KR101533386B1 true KR101533386B1 (ko) 2015-07-09

Family

ID=53515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386A KR101533386B1 (ko) 2013-12-10 2013-12-10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3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9087U (ko) * 1989-08-28 1991-04-16
JPH1126171A (ja) * 1997-07-03 1999-01-29 Sanko Denki:Kk 自動照明装置
JP3039087B2 (ja) 1991-12-05 2000-05-08 日本精工株式会社 保持器付自動調心ころ軸受
JP2001275891A (ja) * 2000-03-30 2001-10-09 Toto Ltd トイレ照明装置
KR200426364Y1 (ko) * 2006-05-15 2006-09-18 송인철 조명등의 집중 점소등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9087U (ko) * 1989-08-28 1991-04-16
JP3039087B2 (ja) 1991-12-05 2000-05-08 日本精工株式会社 保持器付自動調心ころ軸受
JPH1126171A (ja) * 1997-07-03 1999-01-29 Sanko Denki:Kk 自動照明装置
JP2001275891A (ja) * 2000-03-30 2001-10-09 Toto Ltd トイレ照明装置
KR200426364Y1 (ko) * 2006-05-15 2006-09-18 송인철 조명등의 집중 점소등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658A (ko)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276B1 (ko) 무선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899018B1 (ko) 조명등의 그룹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US7880394B2 (en) Lighting system to facilitate remote modification of a light fixture modifiable operating parameter
JP2014060162A (ja) 照明装置
ATE321434T1 (de)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für eine beleuchtungseinrichtung mit einstellbarer farbe und helligkeit
KR20120080442A (ko) 가로등 및 그 제어 방법
KR101585952B1 (ko) Led 등기구의 전력절감과 패턴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
JP5777366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US9214834B1 (en) Automatic emergency lighting load control
CN103687221B (zh) 一种照明调光、遥控和联网遥控系统
KR20150095226A (ko) 무선기반 조명등 그룹설정 및 그룹제어장치
TW201824947A (zh) 具有獨立電源之無線燈具驅動裝置及其燈具系統
KR100986273B1 (ko) 에너지 절약형 조명제어시스템
KR101533386B1 (ko) 지하 화장실 조명조도 자동제어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법
KR20150068052A (ko) 무선기반 조명등 그룹설정 및 그룹제어장치와 그 방법
JP2013026073A (ja) 照明装置
KR101820047B1 (ko) 실내 조도변화에 따라 디밍되는 조명장치 및 방법
JP2005071873A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101578184B1 (ko) Atm 영업소 조명조도 자동제어방법
KR20140144093A (ko) 지하철 역사 조명조도 자동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200247B1 (ko) 복합센서를 구비한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시스템
KR20110062808A (ko) 샤워시설
KR20060021084A (ko) 에너지 절약형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15122216A (ja) 通過型連動照明システム
JP2008010332A (ja) 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点灯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