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110B1 -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110B1
KR101533110B1 KR1020130025808A KR20130025808A KR101533110B1 KR 101533110 B1 KR101533110 B1 KR 101533110B1 KR 1020130025808 A KR1020130025808 A KR 1020130025808A KR 20130025808 A KR20130025808 A KR 20130025808A KR 101533110 B1 KR101533110 B1 KR 101533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ncrete
opening
steel pip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1532A (ko
Inventor
김현배
이종인
김우재
유조형
윤수원
홍석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30025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110B1/ko
Publication of KR20140111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72Details of connection of the hose to the formwork, e.g. 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충전 강관의 시공 시 콘크리트 주입관으로 강관의 외측에서 강관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주입관을 강관에 연결하는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는, 강관에 마련된 콘크리트 주입구를 덮도록 강관의 측벽에 결합되되 중간에 콘크리트 주입구와 연결되는 제 1 관통구멍이 마련된 지지판과, 지지판과의 사이에 가이드 홈이 마련되도록 지지판에 결합되는 개폐판 가이드와, 제 1 관통구멍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개폐판과, 지지판을 강관의 측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의 시공방법{Device for connecting concrete injection pip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filled steel tube with the device}
본 발명은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의 시공 시 콘크리트 주입관으로 강관의 외측에서 강관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주입관을 강관에 연결하는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초대형 건축물 및 초고층 건축물의 신축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초대형 건축물 및 초고층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고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골조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골조 구조의 개선 방법으로 콘크리트 충전 강관(concrete filled steel tube; CFT)으로 골조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콘크리트 충전 강관은 강관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러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을 골조의 주요 구성부재 중 기둥부재에 채용하여 고축력에 저항하는 구조를 CFT 구조라 한다. 콘크리트 충전 강관은 철골과 콘크리트의 장점을 결합하여 최대한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합리적인 구조 형식을 취한 골조용 구성부재이다.
콘크리트 충전 강관은 강관의 구속 효과에 의한 충전 콘크리트의 내력 상승과 충전 콘크리트에 의한 강관의 국부좌굴 보강 효과에 의해 부재 내력이 상승하여 단면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뛰어난 변형성능을 발휘한다. 특히 CFT 구조는 초고층 구조의 기둥에서 요구되는 고축력, 고연성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초고층 건축물의 기둥 등 축력을 부담하는 구성부재의 구조로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충전 강관의 내부에 충전되는 콘크리트로는 기둥의 치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주로 고강도 콘크리트가 사용된다. 또한 강관 내부에 콘크리트 충전 시 시공성 측면에서 콘크리트의 다짐이 어렵기 때문에 고유동 특성의 콘크리트가 적합하다.
이러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62928호(2010. 12. 07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22034호(2012. 06. 0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88237호(2012. 08. 08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33657호(2012. 12. 11 공개) 등에 다양한 구조의 것이 개시되어 있다.
콘크리트 충전 강관의 시공 시 강관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방법으로는 강관의 측벽을 절개하여 콘크리트 주입구를 마련하고 이 콘크리트 주입구를 통해 강관 내부로 콘크리트를 압입하는 방법과 트레미관(tremie pipe)이나 호퍼를 이용하여 강관의 상부에서 강관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낙하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의 시공 방법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70545호(2004. 12. 20 공개)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하부 압입 방법과 상부 낙하 방법 중에서 강관과 보간의 접합이 복잡하여 콘크리트의 상부 낙하 시 트레미관이 강관 내에 삽입되기 어려운 경우나, 일정 높이 이상의 복수 개 층을 동시에 시공하는 경우에는 강관의 측벽에 콘크리트 주입구를 마련하여 콘크리트를 압입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강관의 측벽 일부를 절개하여 콘크리트 주입구를 마련하고 콘크리트 주입관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주입구를 통해 콘크리트를 강관 내부에 압입하여 콘크리트 충전 강관을 시공하는 경우, 강관과 콘크리트 주입관을 연결하기 위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가 필요하다.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는 콘크리트 주입관을 강관에 연결하는 역할 이외에, 콘크리트 타설 후 강관 내부로 주입된 콘크리트가 콘크리트 주입구를 통해 강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는 차단 기능을 구비해야 한다.
종래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는 강관의 측벽에 결합되는 지지판과, 강관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지지판에 결합되는 가이드관과, 가이드관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판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종래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충전 강관을 시공하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 후 지지판을 강관에서 제거하고 강관에 형성된 콘크리트 주입구를 별도의 덮개판을 용접하여 막는다.
그런데 상술한 것과 같이 강관의 내부에 수용되는 가이드관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충전 강관을 시공하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 후 강관의 내부에 수용된 가이드관을 꺼내기 어렵기 때문에 가이드관을 콘크리트와 함께 강관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놔두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강관의 측벽에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탈착식 구조로 이루어져 재활용이 가능하고, 강관으로부터 분리 후 강관에 형성된 콘크리트 주입구를 막기 위한 덮개판의 결합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는, 중공형의 강관 측벽에 마련된 콘크리트 주입구를 통해 상기 강관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하기 위한 콘크리트 주입관을 상기 강관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강관의 측벽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주입구를 덮도록 상기 강관의 측벽에 결합되되 중간에 상기 콘크리트 주입구와 연결되는 제 1 관통구멍이 마련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과의 사이에 가이드 홈이 마련되도록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는 개폐판 가이드와, 상기 제 1 관통구멍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홈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개폐판과, 상기 지지판을 상기 강관의 측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판의 중간에는 상기 제 1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연결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개폐판은 상기 가이드 홈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이에 구비된 상기 연결구멍이 상기 제 1 관통구멍과 중첩될 때 상기 제 1 관통구멍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개폐판 가이드는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개폐판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지지판과 상기 개폐판 지지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폐판 지지부에는 상기 제 1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제 2 관통구멍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폐판에는 상기 제 1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결합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구멍에는 상기 제 1 관통구멍 안쪽에 위치하는 콘크리트를 상기 강관의 내부 쪽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구멍 둘레에는 상기 가압부재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개폐판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폐판 가이드는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과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개폐판 지지부를 갖는 가이드 몸체와, 상기 개폐판 지지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가이드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서트와, 상기 지지판의 제 1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제 2 관통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몸체는 상기 개폐판 지지부의 일단에서 상기 개폐판 지지부의 중간까지 상기 개폐판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개폐판 지지부에 마련되는 연결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관통구멍은 상기 인서트에 마련되며, 상기 인서트는 상기 연결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몸체와 상기 인서트 중 어느 하나에는 끼움 홈이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끼움 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의 시공방법은, (a) 측벽 일측에 콘크리트 주입구가 형성된 중공형의 강관을 준비하는 단계와, (b) 중간에 콘크리트 주입구와 연결되는 제 1 관통구멍이 마련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는 개폐판 가이드와, 상기 지지판과 상기 개폐판 가이드 사이에 마련되는 가이드 홈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개폐판을 갖는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를 상기 강관 측벽의 상기 콘크리트 주입구 위에 결합하는 단계와, (c) 콘크리트 주입을 위한 콘크리트 주입관을 상기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에 결합하고 상기 제 1 관통구멍 및 상기 콘크리트 주입구를 통해 상기 강관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단계와, (d) 상기 개폐판을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제 1 관통구멍을 밀폐하고 상기 강관의 내부에 주입된 콘크리트를 경화시키는 단계와, (e) 상기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를 상기 강관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와, (f) 상기 강관의 측벽에 덮개판을 결합하여 상기 콘크리트 주입구를 밀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에서 강관의 측벽에 덮개판 삽입홈을 마련하고, 상기 덮개판 삽입홈 안쪽에 상기 콘크리트 주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덮개판을 상기 덮개판 삽입홈의 넓이 및 깊이에 대응하는 넓이 및 두께로 형성하여, 상기 덮개판을 상기 덮개판 삽입홈에 삽입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는 상기 제 1 관통구멍에 대응하도록 상기 개폐판에 마련되는 결합구멍과, 상기 결합구멍에 상기 제 1 관통구멍 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개폐판을 이동시켜 상기 가압부재로 상기 제 1 관통구멍을 밀폐한 후,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제 1 관통구멍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 1 관통구멍 안쪽에 위치하는 콘크리트를 상기 강관의 내부 쪽으로 가압한 후 상기 강관의 내부에 주입된 콘크리트를 경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는 강관의 콘크리트 주입구와 연결되고 콘크리트 주입관이 삽입될 수 있는 제 1 관통구멍이 마련된 지지판이 고정기구에 의해 강관의 측벽에 탈착식 구조로 결합되고, 제 1 관통구멍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판이 지지판에 결합된 개폐판 가이드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제 1 관통구멍 및 콘크리트 주입구를 통해 강관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주입된 후 개폐판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콘크리트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제 1 관통구멍을 쉽게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주입관의 연결이 용이하고 콘크리트 주입관의 분리 시 강관의 내부에 주입된 콘크리트가 빠져나오는 것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는 강관의 측벽에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탈착식 구조로 이루어져 재활용이 가능하고, 강관으로부터 분리 후 강관에 형성된 콘크리트 주입구를 막기 위한 덮개판의 결합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는 강관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한 후, 강관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관통구멍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판에 결합된 가압부재를 이용하여 강관의 콘크리트 주입구로부터 빠져나온 콘크리트를 강관의 내부로 밀어넣은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경화 후 콘크리트 주입구로부터 돌출된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등의 후속 작업없이 덮개판으로 콘크리트 주입구를 막을 수 있어 시공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 및 이것이 결합될 강관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가 강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를 통해 콘크리트 주입관이 강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충전 강관을 시공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충전 강관을 시공하는 과정 중 일부 단계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 및 이것이 결합될 강관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의 개폐판 가이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의 개폐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충전 강관을 시공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충전 강관을 시공하는 과정 중 일부 단계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의 개폐판 가이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가 강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가 강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 및 이것이 결합될 강관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가 강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를 통해 콘크리트 주입관이 강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20)는 콘크리트 주입구(11)가 형성된 강관(10)의 측벽(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판(21)과, 지지판(21)에 결합되는 개폐판 가이드(28)와, 지지판(21)과 개폐판 가이드(28) 사이의 가이드 홈(29)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개폐판(34)을 포함한다. 이러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20)는 중공형의 강관(10) 측벽(12)에 결합되어 강관(10)의 측벽(12)에 마련된 콘크리트 주입구(11)를 통해 강관(10)의 내부에 콘크리트(C)를 주입하기 위한 콘크리트 주입관(16)을 강관(10)에 연결한다.
지지판(21)은 콘크리트 주입구(11)를 덮도록 강관(10)의 측벽(12)에 결합된다. 지지판(21)의 중간에는 콘크리트 주입구(11)에 대응하는 제 1 관통구멍(22)이 마련된다. 지지판(21)이 강관(10)의 측벽(12)에 결합될 때 지지판(21)의 제 1 관통구멍(22)이 강관(10)의 콘크리트 주입구(11)와 연결됨으로써 제 1 관통구멍(22) 및 콘크리트 주입구(11)를 통해 콘크리트(C)가 강관(10)의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강관(10)의 측벽(12) 일측에는 덮개판 삽입홈(13)이 구비되고, 이 덮개판 삽입홈(13)의 중간에 콘크리트 주입구(11)가 형성된다. 덮개판 삽입홈(13)은 콘크리트 주입구(11)를 덮기 위한 덮개판(18; 도 4참조)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지지판(21)은 덮개판(18)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덮개판 삽입홈(13)에 결합된다.
지지판(21)은 고정기구(25)에 의해 강관(10)의 측벽(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기구(25)는 지지판(21)에 형성된 삽입구멍(23)을 관통하여 강관(10)의 측벽(12)에 형성된 고정구멍(14)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부재(26)를 포함한다. 고정부재(26)로는 볼트나 핀 등 지지판(21)을 관통하여 강관(10)의 측벽(12)에 삽입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고정기구(25)는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판(21)을 관통하여 강관(10)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부재(26)를 포함하는 구성 이외에, 강관(10)에 결합되어 지지판(21)을 강관(10)의 측벽(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개폐판 가이드(28)는 지지판(21)의 외면에 결합되며, 지지판(21)과 개폐판 가이드(28)의 사이에는 개폐판(34)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홈(29)이 마련된다. 개폐판 가이드(28)는 지지판(21)의 일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다리부(30)와, 지지판(21)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 쌍의 다리부(30)에 결합되는 개폐판 지지부(31)를 포함한다. 개폐판 지지부(31)는 지지판(21)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한 쌍의 다리부(30)를 연결하고, 개폐판(34)이 결합되는 가이드 홈(29)은 지지판(21)과 개폐판 지지부(31) 사이에 마련된다. 한 쌍의 다리부(30)는 용접이나 결합기구에 의한 기구적 결합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지지판(21)에 결합될 수 있고, 지지판(21)과 개폐판 가이드(28)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21)과 개폐판 지지부(31) 사이에 마련되는 가이드 홈(29)의 폭과 높이는 개폐판(34)의 폭과 두께에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렇게 가이드 홈(29)의 폭과 높이를 개폐판(34)의 폭과 두께에 대응하는 크기로 해야 개폐판(34)과 지지판(21) 사이 및 개폐판(34)과 개폐판 지지부(31)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개폐판(34)과 지지판(21) 사이 및 개폐판(34)과 개폐판 지지부(31) 사이에 틈새가 생기면, 콘크리트 주입관(16)을 통해 콘크리트(C)를 콘크리트 주입구(11)에 주입할 때 콘크리트(C)가 이들 틈새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개폐판 가이드(28)의 개폐판 지지부(31) 중간에는 지지판(21)의 제 1 관통구멍(22)에 대응하는 제 2 관통구멍(32)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판 가이드(28)가 지지판(21)에 결합될 때, 개폐판 가이드(28)의 제 2 관통구멍(32)은 지지판(21)의 제 1 관통구멍(22)과 중첩된다. 콘크리트 주입관(16)을 통해 강관(10)의 내부에 콘크리트(C)를 주입할 때, 콘크리트 주입관(16)은 그 끝단이 개폐판 가이드(28)의 제 2 관통구멍(32)을 통해 지지판(21)의 제 1 관통구멍(22)으로 진입할 수 있고, 제 1 관통구멍(22)을 통해 콘크리트(C)를 강관(10)의 콘크리트 주입구(11)로 주입할 수 있다.
개폐판(34)은 지지판(21)이나 개폐판 가이드(28)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이루어지고 지지판(21)과 개폐판 가이드(28) 사이의 가이드 홈(29)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판(21)의 제 1 관통구멍(22)을 개폐한다. 개폐판(34)의 중간에는 제 1 관통구멍(22)에 대응하는 연결구멍(35)이 구비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판(34)의 연결구멍(35)이 제 1 관통구멍(22)과 중첩될 때 제 1 관통구멍(22)이 개방된다. 그리고 개폐판(34)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개폐판(34)의 연결구멍(35)이 제 1 관통구멍(22)에서 벗어나면 제 1 관통구멍(22)이 밀폐된다. 개폐판(34)의 일단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손잡이부(36)가 구비된다. 경우에 따라 개폐판(34)에서 연결구멍(35)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20)에 콘크리트 주입관(16)이 결합될 수 있도록 개폐판(34)은 지지판(21)의 제 1 관통구멍(22) 및 개폐판 가이드(28)의 제 2 관통구멍(32)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2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충전 강관(10)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측벽(12) 일측에 콘크리트 주입구(11)와 덮개판 삽입홈(13)이 마련된 중공형의 강관(10)을 준비하여 이를 건축물의 기초면이나 슬라브 등에 고정하고, 이에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20)를 결합한다. 이때,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20)를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지지판(21)을 덮개판 삽입홈(13)에 삽입한 후 고정기구(25)로 강관(10)에 고정하고, 개폐판(34)의 연결구멍(35)을 제 1 관통구멍(22)과 중첩시킨다.
이후,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크리트 주입관(16)을 그 끝단이 개폐판 가이드(28)의 제 2 관통구멍(32)으로 삽입되도록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20)에 결합하고, 지지판(21)의 제 1 관통구멍(22) 및 콘크리트 주입구(11)를 통해 강관(10)의 내부로 주입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콘크리트 주입관(16)은 다양한 결합기구에 의해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20)에 결합될 수 있다. 콘크리트 주입관(16)을 통해 고압으로 공급되는 콘크리트(C)는 강관(10)의 내부로 주입되어 강관(10)의 내부를 채운다.
강관(10)의 내부가 콘크리트(C)로 채워지면, 도 4의 (b), (c) 및 도 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크리트 주입관(16)을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20)로부터 분리하고, 개폐판(34)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개폐판(34)의 연결구멍(35)을 제 1 관통구멍(22)으로부터 벗어나게 한다. 이때 제 1 관통구멍(22)은 개폐판(34)에 의해 밀폐되고, 강관(10)의 내부로 주입된 콘크리트(C)는 제 1 관통구멍(22)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강관(10) 내에서 경화된다.
강관(10) 내부의 콘크리트(C)가 경화되고 나면, 도 4의 (d) 및 도 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20)를 강관(10)으로부터 분리한다. 지지판(21)을 관통하여 그 끝단이 강관(10)의 측벽(12)에 삽입된 복수의 고정부재(26)를 풀어내면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20)를 강관(10)에서 여렵지 않게 분리할 수 있다.
이후, 도 4의 (e) 및 (f)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강관(10)의 콘크리트 주입구(11)로부터 돌출된 콘크리트(C)를 제거하고, 강관(10)의 덮개판 삽입홈(13)에 덮개판(18)을 결합하여 콘크리트 주입구(11)를 밀폐하면 콘크리트 충전 강관(10)이 완성된다. 덮개판(18)은 용접을 통해 강관(10)에 고정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덮개판(18)을 덮개판 삽입홈(13)의 넓이 및 깊이에 대응하는 넓이 및 두께로 형성하면, 덮개판(18)을 덮개판 삽입홈(13)에 완전히 삽입할 수 있어 덮개판(18)을 강관(10)의 측벽(12)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강관(10)의 내부로 콘크리트(C)를 주입하기 위해 콘크리트 주입관(16)을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20)에 결합할 때, 콘크리트 주입관(16)의 끝단을 개폐판 가이드(28)의 제 2 관통구멍(32)으로 삽입하되 그 끝단이 개폐판 가이드(28)의 가이드 홈(29)까지 진입하지 않게 하면, 콘크리트 주입관(16)이 결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20)의 개폐판(34)을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강관(10)의 내부에 콘크리트(C)가 채워지면 콘크리트 주입관(16)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폐판(34)을 이동시켜 제 1 관통구멍(22)을 밀폐할 수 있어, 콘크리트 주입관(16)의 분리시 제 1 관통구멍(22)을 통해 콘크리트(C)가 빠져나오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 및 이것이 결합될 강관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의 개폐판 가이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의 개폐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40)는 콘크리트 주입구(11)가 형성된 강관(10)의 측벽(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판(21)과, 지지판(21)에 결합되는 개폐판 가이드(41)와, 지지판(21)과 개폐판 가이드(41) 사이의 가이드 홈(29)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개폐판(52)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지지판(21)의 구체적인 구조나 강관(10)과의 결합구조는 상술한 것과 같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판 가이드(41)는 지지판(21)의 외면에 결합되며, 지지판(21)과 개폐판 가이드(41)의 사이에는 개폐판(52)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홈(29)이 마련된다. 개폐판 가이드(41)는 가이드 몸체(43)와 가이드 몸체(4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서트(47)를 포함한다.
가이드 몸체(43)는 지지판(21)의 일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다리부(30)와, 지지판(21)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 쌍의 다리부(30)에 결합되는 개폐판 지지부(31)를 포함한다. 개폐판 지지부(31)에는 개폐판(52)의 이동 방향을 따라 개폐판 지지부(31)의 일단에서 개폐판 지지부(31)의 중간까지 연장된 연결홈(44)이 마련되고, 이 연결홈(44)에 인서트(47)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밖에 가이드 몸체(43)에는 연결홈(44)과 연결되는 끼움홈(45) 및 복수의 고정구멍(46)이 형성된다. 가이드 몸체(43)는 용접이나 결합기구에 의한 기구적 결합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지지판(21)에 결합될 수 있고, 지지판(21)과 가이드 몸체(4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인서트(47)는 개폐판 지지부(31)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연결홈(44)에 형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개폐판(52)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홈(29)은 지지판(21)과 개폐판 지지부(31) 사이 및 지지판(21)과 인서트(47) 사이에 마련된다. 인서트(47)에는 지지판(21)의 제 1 관통구멍(22)에 대응하는 제 2 관통구멍(32)과, 가이드 몸체(43)의 끼움홈(45)에 결합되는 끼움돌기(48)와, 가이드 몸체(43)의 고정구멍(46)에 대응하는 복수의 고정구멍(49)이 구비된다. 인서트(47)에 구비되는 복수의 고정구멍(49)은 가이드 몸체(43)에 구비된 복수의 고정구멍(46)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인서트(47)는 그 끼움돌기(48)가 가이드 몸체(43)의 끼움홈(45)에 끼움 결합되도록 가이드 몸체(43)의 연결홈(44)에 삽입된 후, 복수의 고정부재(50)에 의해 가이드 몸체(43)에 고정된다. 고정부재(50)는 가이드 몸체(43)의 고정구멍(46)을 관통하여 인서트(47)의 고정구멍(49)에 삽입됨으로써 인서트(47)를 가이드 몸체(43)에 고정한다. 고정부재(50)로는 볼트 등 가이드 몸체(43)의 고정구멍(46) 및 인서트(47)의 고정구멍(49)에 동시에 결합되어 인서트(47)를 가이드 몸체(43)에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가이드 몸체(43)에 결합된 인서트(47)가 고정부재(5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 몸체(43)에 구비되는 복수의 고정구멍(46)은 동축 상에 배치되지 않는 것이 좋고, 인서트(47)에 구비되는 복수의 고정구멍(49) 역시 동축 상에 배치되지 않는 것이 좋다. 가이드 몸체(43)에 결합된 인서트(47)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인서트(47)의 한쪽 단부에 고정부재(50)가 복수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서트(47)가 가이드 몸체(43)에 결합되어 있을 때, 개폐판 가이드(41)의 제 2 관통구멍(32)은 지지판(21)의 제 1 관통구멍(22)과 연결될 수 있도록 개폐판 가이드(41)의 중간에 배치된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서트(47)가 가이드 몸체(43)에서 분리되면 가이드 몸체(43)의 연결홈(44)은 가이드 몸체(43)의 일단으로부터 외부로 개방된다. 이렇게 인서트(47)가 가이드 몸체(43)로부터 분리되어 연결홈(44)이 외부로 개방되면, 개폐판 가이드(41)의 가이드 홈(29)에 결합된 개폐판(52)을 제 1 관통구멍(22)을 닫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때 개폐판(52)으로부터 돌출된 가압부재(54)가 개폐판 가이드(41)에 걸려 개폐판(52)이 이동이 제한되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이러한 개폐판(52)의 이동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판(52)은 지지판(21)이나 개폐판 가이드(41)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이루어지고, 지지판(21)과 개폐판 가이드(41) 사이의 가이드 홈(29)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판(21)의 제 1 관통구멍(22)을 개폐한다. 개폐판(52)의 중간에는 제 1 관통구멍(22)에 대응하는 결합구멍(53)이 마련되고, 결합구멍(53)에는 가압부재(54)가 지지판(21)의 제 1 관통구멍(22)을 향하여 전진하거나 제 1 관통구멍(22)으로부터 후퇴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압부재(54)의 외주면과 개폐판(52)의 결합구멍(53) 둘레에는 나사산이 구비되어, 가압부재(54)는 개폐판(52)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가압부재(54)를 회전시키면 나사 운동에 의해 가압부재(54)가 진퇴하게 된다. 가압부재(54)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의 결합을 위해 가압부재(54)의 외면에는 도시된 것과 같은 결합돌기(55)나 결합홈이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재(54)는 지지판(21)의 제 1 관통구멍(22)에 형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제 1 관통구멍(22) 쪽으로 전진하면 제 1 관통구멍(22)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강관(10)의 내부에 콘크리트(C)가 주입된 후, 가압부재(54)를 회전시켜 가압부재(54)를 제 1 관통구멍(22) 쪽으로 전진시키면 가압부재(54)가 제 1 관통구멍(22) 안쪽에 위치하는 콘크리트(C)를 강관(10)의 내부 쪽으로 밀어내면서 콘크리트(C)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제 1 관통구멍(22)을 막을 수 있다.
가압부재(54)와 개폐판(52)의 결합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가압부재(54)는 도시된 것과 같은 나사 결합 이외에 다른 구조로 개폐판(52)의 결합구멍(53)에 진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해 지지판(21)의 제 1 관통구멍(22)을 막은 상태에서 개폐판(52)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4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충전 강관(10)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9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측벽(12) 일측에 콘크리트 주입구(11)와 덮개판 삽입홈(13)이 마련된 중공형의 강관(10)을 준비하여 이를 건축물의 기초면이나 슬라브 등에 고정하고, 이에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40)를 결합한다. 이때,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40)를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지지판(21)을 덮개판 삽입홈(13)에 삽입한 후 고정기구(25)로 강관(10)에 고정하고, 개폐판(52)을 제 1 관통구멍(22)이 완전히 개방될 수 있도록 완전 열림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개폐판 가이드(41)의 제 2 관통구멍(32), 지지판(21)의 제 1 관통구멍(22) 및 강관(10)의 콘크리트 주입구(11)가 연결된 상태에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콘크리트 주입관(16;도 3참조)을 그 끝단이 개폐판 가이드(41)의 제 2 관통구멍(32)으로 삽입되도록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40)에 결합하고, 지지판(21)의 제 1 관통구멍(22) 및 콘크리트 주입구(11)를 통해 강관(10)의 내부로 주입한다.
강관(10)의 내부가 콘크리트(C)로 채워지면, 도 9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크리트 주입관(16)을 분리하고 개폐판(52)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제 1 관통구멍(22)을 통해 강관(10) 내부의 콘크리트(C)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개폐판(52)으로 제 1 관통구멍(22)을 막는다. 그리고 개폐판(52)으로 제 1 관통구멍(22)을 막은 상태에서 가이드 몸체(43)로부터 인서트(47)를 분리하여 가이드 몸체(43)의 연결홈(44)을 개방한다.
이후, 도 9의 (c)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판(52)을 닫힘 방향으로 더욱 이동시켜 개폐판(52)에 결합된 가압부재(54)를 제 1 관통구멍(22)의 전방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가압부재(54)를 회전시켜 가압부재(54)를 제 1 관통구멍(22) 쪽으로 전진시킨다. 이때 가압부재(54)는 제 1 관통구멍(22) 안쪽에 위치하는 콘크리트(C)를 강관(10)의 내부 쪽으로 밀어내면서 제 1 관통구멍(22)으로 진입하여 콘크리트(C)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제 1 관통구멍(22)을 막는다.
이렇게 가압부재(54)를 이용하여 제 1 관통구멍(22)의 안쪽에 위치하는 콘크리트(C)를 강관(10)의 내부로 밀어 넣은 상태로 제 1 관통구멍(22)을 막으면, 도 9의 (d)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크리트(C)가 강관(10)의 덮개판 삽입홈(13) 안쪽으로 돌출되지 않게 강관(10) 내부에 주입된 콘크리트(C)를 경화시킬 수 있다. 가압부재(54)를 이용하여 콘크리트(C)를 강관(10)의 콘크리트 주입구(11) 바깥쪽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여 콘크리트(C)를 경화시킨 후, 도 9의 (d) 및 (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40)를 강관(10)으로부터 분리하고, 강관(10)의 덮개판 삽입홈(13)에 덮개판(18)을 결합하여 콘크리트 주입구(11)를 밀폐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40)는 강관(10)의 내부로 주입된 콘크리트(C)를 강관(10)의 덮개판 삽입홈(13) 안쪽으로 돌출되지 않게 한 상태로 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덮개판 삽입홈(13)에 덮개판(18)을 결합하기 위해 경화된 콘크리트(C)를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없다.
한편, 도 11은 가압부재(54)를 갖는 개폐판(52)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몸체(43)에 인서트(47)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판 가이드(57)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개폐판 가이드(57)는 도 7에 도시된 개폐판 가이드(41)와 비교하여 가이드 몸체(43)와 인서트(47)의 결합 구조가 변경된 것으로, 기본 구조는 도 7에 도시된 개폐판 가이드(41)와 같다.
가이드 몸체(43)는 지지판(21;도 6 참조)의 일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다리부(30)와, 지지판(21)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 쌍의 다리부(30)에 결합되는 개폐판 지지부(31)를 포함한다. 개폐판 지지부(31)에는 개폐판(52)의 이동 방향을 따라 개폐판 지지부(31)의 일단에서 개폐판 지지부(31)의 중간까지 연장된 연결홈(44)이 마련되고, 이 연결홈(44)에 인서트(47)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개폐판 지지부(31)의 내면에는 연결홈(44)과 연결되는 끼움홈(58)이 구비되는데, 끼움홈(58)은 연결홈(44)과 같이 개폐판 지지부(31)의 일단에서 개폐판 지지부(31)의 중간까지 연장된다.
인서트(47)는 연결홈(44)에 형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개폐판(52)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홈(29)은 지지판(21)과 개폐판 지지부(31) 사이 및 지지판(21)과 인서트(47) 사이에 마련된다. 인서트(47)에는 지지판(21)의 제 1 관통구멍(22)에 대응하는 제 2 관통구멍(32)과, 가이드 몸체(43)의 끼움홈(58)에 결합되는 끼움돌기(59)가 구비된다. 인서트(47)는 가이드 몸체(43)의 개방된 일단으로부터 연결홈(44)에 삽입된다. 이때, 인서트(47)의 끼움돌기(59)가 가이드 몸체(43)의 끼움홈(58)에 삽입됨으로써 인서트(47)는 끼움홈(58) 안에 고정된다.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구조 이외에, 가이드 몸체(43)에 인서트(47)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판 가이드(41)(57)의 구체적인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가 강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가 강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12에 도시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60)는 콘크리트 주입구(11)가 형성된 강관(10)의 측벽(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판(21)과, 지지판(21)에 결합되는 개폐판 가이드(61)와, 지지판(21)과 개폐판 가이드(61) 사이의 가이드 홈(29)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개폐판(63)을 포함한다. 이러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60)는 도 6에 도시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40)와 비교하여 지지판(21)의 구체적인 구조나 강관(10)과의 결합구조는 같다.
개폐판 가이드(61)는 지지판(21)의 외면에 결합되며,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다리부(30)와, 각 다리부(30)의 끝단에서 지지판(21)의 제 1 관통구멍(22) 쪽으로 연장된 한 쌍의 개폐판 지지부(31)를 포함한다. 개폐판 지지부(31)와 지지판(21)의 사이에는 개폐판(63)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홈(29)이 마련된다. 한 쌍의 개폐판 지지부(31) 사이의 간격은 개폐판(63)에 구비되는 가압부재(54)의 폭보다 크다.
개폐판(63)은 지지판(21)의 제 1 관통구멍(22)을 개폐할 수 있도록 지지판(21)과 개폐판 가이드(61) 사이의 가이드 홈(29)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개폐판(63)에는 제 1 관통구멍(22)에 대응하는 연결구멍(35)과 결합구멍(53)이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고, 결합구멍(53)에는 가압부재(54)가 지지판(21)의 제 1 관통구멍(22)을 향하여 전진하거나 제 1 관통구멍(22)으로부터 후퇴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개폐판(63)의 일단에는 손잡이부(36)가 구비된다.
지지판(21)과 개폐판 가이드(61) 사이의 가이드 홈(29)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개폐판(63)의 연결구멍(35)이 지지판(21)의 제 1 관통구멍(22)과 겹칠 때 제 1 관통구멍(22)은 개방된다. 그리고 개폐판(63)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이에 결합된 가압부재(54)가 제 1 관통구멍(22) 전방에 위치할 때 제 1 관통구멍(22)이 폐쇄된다. 가압부재(54)의 구체적인 구조나, 개폐판(63)과의 결합 구조 및 그 작용은 상술한 것과 같다.
이러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60)는 개폐판 가이드(61)의 중간 부분이 개폐판(63)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있어서, 가압부재(54)가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개폐판(63)이 가이드 홈(29)을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40)와 같이 개폐판 가이드(61)가 가이드 몸체와 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서트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할 필요가 없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70)는 도 12에 도시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60)와 비교하여, 개폐판 가이드(71) 등 일부 구성요소의 구조가 다소 변형된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70)의 개폐판 가이드(71)는 지지판(21)의 외면에 결합되며,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다리부(30)와, 각 다리부(30)를 연결하여 지지판(2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개폐판 지지부(31)를 포함한다. 한 쌍의 다리부(30)와 개폐판 지지부(31)는 지지판(21)의 제 1 관통구멍(22)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고, 지지판(21)과 개폐판 지지부(31)의 사이에는 개폐판(73)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홈(29)이 마련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70)는 개폐판 가이드(71)가 지지판(21)의 제 1 관통구멍(22)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므로, 가압부재(54)가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개폐판(73)이 지지판(21)의 제 1 관통구멍(22)을 향해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40)와 같이 개폐판 가이드(71)가 가이드 몸체와 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서트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할 필요가 없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강관 11 : 콘크리트 주입관
13 : 덮개판 삽입홈 16 : 콘크리트 주입관
18 : 덮개판
20, 40, 60, 70 :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
21 : 지지판 22, 32 : 제 1, 2 관통구멍
25 : 고정기구 26, 50 : 고정부재
28, 41, 57, 61, 71 : 개폐판 가이드 29 : 가이드 홈
30 : 다리부 31 : 개폐판 지지부
34, 52, 63, 73 : 개폐판 35 : 연결구멍
43 : 가이드 몸체 44 : 연결홈
45, 58 : 끼움홈 47 : 인서트
48, 59 : 끼움돌기 53 : 결합구멍
54 : 가압부재

Claims (12)

  1. 중공형의 강관 측벽에 마련된 콘크리트 주입구를 통해 상기 강관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하기 위한 콘크리트 주입관을 상기 강관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강관의 측벽에 결합되는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주입구를 덮도록 상기 강관의 측벽에 결합되되, 중간에 상기 콘크리트 주입구와 연결되는 제 1 관통구멍이 마련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과의 사이에 가이드 홈이 마련되도록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는 개폐판 가이드;
    상기 제 1 관통구멍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홈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개폐판; 및
    상기 지지판을 상기 강관의 측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판에는 상기 제 1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결합구멍이 마련되며, 상기 결합구멍에는 상기 제 1 관통구멍 안쪽에 위치하는 콘크리트를 상기 강관의 내부 쪽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개폐판 가이드는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과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개폐판 지지부를 갖는 가이드 몸체와, 상기 개폐판 지지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가이드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서트와, 상기 지지판의 제 1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제 2 관통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의 중간에는 상기 제 1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연결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개폐판은 상기 가이드 홈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이에 구비된 상기 연결구멍이 상기 제 1 관통구멍과 중첩될 때 상기 제 1 관통구멍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 가이드는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개폐판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지지판과 상기 개폐판 지지부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 지지부에는 상기 제 1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제 2 관통구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구멍 둘레에는 상기 가압부재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개폐판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몸체는 상기 개폐판 지지부의 일단에서 상기 개폐판 지지부의 중간까지 상기 개폐판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개폐판 지지부에 마련되는 연결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관통구멍은 상기 인서트에 마련되며, 상기 인서트는 상기 연결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몸체와 상기 인서트 중 어느 하나에는 끼움 홈이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끼움 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30025808A 2013-03-11 2013-03-11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의 시공방법 KR101533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808A KR101533110B1 (ko) 2013-03-11 2013-03-11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808A KR101533110B1 (ko) 2013-03-11 2013-03-11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532A KR20140111532A (ko) 2014-09-19
KR101533110B1 true KR101533110B1 (ko) 2015-07-02

Family

ID=5175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808A KR101533110B1 (ko) 2013-03-11 2013-03-11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1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5779B (zh) * 2015-08-17 2017-05-24 广州大学 拉压分离薄壁钢管混凝土柱及其施工方法
KR101693660B1 (ko) * 2016-05-30 2017-01-11 (주)신흥이앤지 자연조망시설물의 보행로 지지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274A (ja) * 1993-11-08 1995-06-20 Koei Kogyosho:Kk コンクリ−ト打設装置
JPH07197657A (ja) * 1994-01-06 1995-08-01 Fujita Corp 鋼管柱コンクリート圧入方法及び装置
JPH1068225A (ja) * 1996-08-27 1998-03-10 Taisei Corp コンクリ−ト圧入用治具及びコンクリ−ト圧入用開口部の閉塞方法
KR100203015B1 (ko) * 1996-07-29 1999-06-15 이내흔 충전식 강관기둥
JP3171783B2 (ja) * 1996-04-05 2001-06-04 株式会社熊谷組 鋼管柱コンクリート圧入工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274A (ja) * 1993-11-08 1995-06-20 Koei Kogyosho:Kk コンクリ−ト打設装置
JPH07197657A (ja) * 1994-01-06 1995-08-01 Fujita Corp 鋼管柱コンクリート圧入方法及び装置
JP3171783B2 (ja) * 1996-04-05 2001-06-04 株式会社熊谷組 鋼管柱コンクリート圧入工法
KR100203015B1 (ko) * 1996-07-29 1999-06-15 이내흔 충전식 강관기둥
JPH1068225A (ja) * 1996-08-27 1998-03-10 Taisei Corp コンクリ−ト圧入用治具及びコンクリ−ト圧入用開口部の閉塞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532A (ko) 2014-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8574B2 (en) Steel-plate-encased precast concrete column foot joi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CA2799925C (en) Joint method for reinforcing bar
CN108560596B (zh) 可逆式沉管隧道最终接头及其对接施工方法
KR101533110B1 (ko) 콘크리트 주입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의 시공방법
KR101770381B1 (ko) 슬리브이음을 위한 모르타르 주입 방법
CN106827194B (zh) 一种具有快速锁紧机构和助力缓冲机构的挡土墙预制件模具
CN107696248A (zh) 用于浇筑预制叠合墙体的组合式模具、浇筑方法和预制叠合墙体结构
JPWO2018008152A1 (ja) 接合手段を備えた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KR101937165B1 (ko) 콘크리트 충진 강관 부재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용 말뚝의 시공방법
EP2971504A2 (en) Valve for formworks and formworks provided with said valve
KR100911326B1 (ko) 스티로폼 소실모형을 성형하기 위한 원터치 원료 충전용 맨홀프레임금형
JP6282473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装置及び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方法
JP6116997B2 (ja) 袋体およびプレキャスト部材の接合方法
CN207387944U (zh) 用于浇筑预制叠合墙体的组合式模具和预制叠合墙体结构
US20220362967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concrete pile
JP4272572B2 (ja) Pc部材の接合方法及びpc部材
KR100807759B1 (ko) 터널공사용 거푸집 이동장치
JP5893792B1 (ja) コンクリート打継のノロ止め構造及び施工方法
JP5604266B2 (ja) プレキャスト部材連結金物の設置方法
JP5719273B2 (ja) 上向き増厚工法用の定着治具、及び該定着治具を用いた上向き増厚工法
JP5060417B2 (ja) セグメント用型枠
JP7481947B2 (ja) ケーシング引き抜き装置および引き抜き方法
JP6883983B2 (ja) グラウト材充填用底型枠
CN110821154A (zh) 一种翻模装置
JPH0634520Y2 (ja) 型枠組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