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842B1 - 정압 부항 장치 - Google Patents

정압 부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842B1
KR101532842B1 KR1020130155669A KR20130155669A KR101532842B1 KR 101532842 B1 KR101532842 B1 KR 101532842B1 KR 1020130155669 A KR1020130155669 A KR 1020130155669A KR 20130155669 A KR20130155669 A KR 20130155669A KR 101532842 B1 KR101532842 B1 KR 101532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inlet
outside
rod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9359A (ko
Inventor
권오상
박지은
류연희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55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842B1/ko
Priority to EP14869450.8A priority patent/EP3081245A4/en
Priority to PCT/KR2014/011805 priority patent/WO2015088181A1/ko
Priority to US15/104,068 priority patent/US20160361479A1/en
Publication of KR20150069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57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3Control means thereof mechanically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44Measuring or controlling pressure at the body treatment si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항 장치는, 부항 시술을 요하는 부위에 밀착되는 부항 컵; 상기 부항 컵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통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압력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제어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부항 컵 내에 공기가 유입 또는 차단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압 부항 장치{STABLE PRESSURE CUPPING DEVICE}
본 발명은 부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항 장치 내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부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항 시술은, 부항기의 부항컵("부항단지"라고도 함.)을 환자의 환부에 밀착 상태로 올려놓은 다음, 내부에 진공을 형성하여 모세혈관 속의 어혈(예: 노폐물, 독소)을 강제 여과 및 분해시켜서 자가 혈청 단백체로 만들고, 어혈을 풀어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의학의 치료 요법 중에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부항 시술은, 부항컵 내부를 진공으로 만드는 방법에 따라 크게 화관법 및 수관법, 배기관법 등이 있다.
즉, 상기 화관법은 부항컵 내부에 알코올을 연소시켜서 진공 상태로 감압하는 것이고, 수관법은 부항컵을 물 등으로 데워서 진공 상태로 감압하는 것이며, 배기관법은 별도의 흡착기(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부항컵 내부를 진공 상태로 감압하는 것이다.
부항 시술이 일반화되는 추세에 따라, 부항장치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2011년 11월 29일에 출원된 선행문헌 10-2010-0119343 호에서는 고주파를 이용한 부항장치에 대하여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부항 컵 내 압력을 효율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부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부항 컵 내 압력 과다로 인하여 수포, 출혈과 같은 부작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부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압력제어부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마련되어, 압력제어부의 분리 또는 교체가 용이한 부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항 장치는, 부항 시술을 요하는 부위에 밀착되는 부항 컵, 상기 부항 컵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통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압력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제어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부항 컵 내에 공기가 유입 또는 차단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부항 컵에는 인입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인입 공간 내에 상기 압력제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압력제어부는, 막대 형상의 봉, 상기 봉을 감싸도록 장착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 및 상기 봉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봉과 상기 마개는 상기 부항 컵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 차에 의해 상기 인입 공간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인입 공간에는 관통홀이 마련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봉이 상기 인입 공간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고, 상기 스프링과 상기 마개가 상기 인입 공간 내에 유지 가능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유입구는 상기 마개가 상기 인입 공간 내에서 이동되는 경로 상에 형성되어, 상기 마개가 상기 유입구를 지나 이동되면 상기 유입구가 개방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은 상기 부항 컵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에 대응하며, 상기 부항 컵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 차에 의해 상기 스프링의 변형 크기 및 상기 봉과 상기 마개의 이동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인입 공간은 상기 부항 컵의 외측으로 개방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내부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는 압력제어유닛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 가능하고, 일 측이 개방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와 연통 가능한 인입부재, 상기 인입부재의 일 측에 형성된 유입구, 상기 인입부재 내에서 이동되어 상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마개 및 상기 인입부재 내에 배치되며, 상기 마개의 이동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일단이 상기 마개에 장착되고, 외측에 스프링으로 감싸지는 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입부재에는 상기 봉이 상기 인입부재로부터 돌출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항 장치에 의하면 부항 컵 내 압력을 효율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항 장치에 의하면 부항 컵 내 음압 과다로 인하여 수포, 출혈과 같은 부작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항 장치에 의하면 압력제어부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마련되어, 압력제어부의 분리 또는 교체가 용이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항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항 장치에서 부항 컵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가 작은 경우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항 장치에서 부항 컵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가 큰 경우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항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다른 부항 장치(10)는 부항 컵(100), 유입구(200) 및 압력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항 컵(100)은 저부가 개방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리콘, 유리,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는 부항 컵(100)이 반구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부항 컵(100)의 형상은 부항 시술 시 시술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부항 컵(100)이 부항 시술을 요하는 체표 상에 놓인 후, 부항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항 컵(100)의 개방된 저부가 피시술자의 환부에 밀착시킨 후, 부항 컵(100) 내에 음압을 가함으로써 부항 시술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또한, 부항 컵(100) 내에는 인입 공간(1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입 공간(110)은 상기 부항 컵(100)의 측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입 공간(110)의 일 측은 개방되게 형성될 될 수 있다.
인입 공간(110)의 개방된 일 측을 통하여 부항 컵(100)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입 공간(110)의 개방된 일 측을 폐쇄시킬 경우, 부항 컵(100) 외부의 공기는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인입 공간(110)은 후술하게 될 압력제어부(300)를 배치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경우에 따라, 인입 공간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항 컵(100)에 형성된 인입 공간(110)에 유입구(200)와 압력제어부(300)가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상기 유입구(200)는 부항 컵(100)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통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구(200)는 인입 공간(110)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구(200)를 통해 부항 컵(100) 외부의 공기가 부항 컵(100) 내부로 유입되거나, 부항 컵(100) 외부의 공기가 차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구(200)가 개방된 경우, 유입구(200)를 통해 부항 컵(100) 내부와 외부 사이가 연통되어, 부항 컵(100) 외부의 공기가 부항 컵(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반대로, 유입구(200)가 폐쇄된 경우, 유입구(200)를 통해 부항 컵(100) 내부와 외부 사이가 차단되어, 부항 컵(100) 외부의 공기가 부항 컵(100) 내부로 유입될 수 없다.
또한, 인입 공간(110) 내에는 유입구(20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압력제어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력제어부(300)는 봉(310), 스프링(320) 및 마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310)은 길쭉한 막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는 압력제어부(300)에 봉(310)이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경우에 따라 봉(310)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압력제어부(300)는 스프링(320)과 마개(330)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봉(310)은 인입 공간(110)에 형성된 관통홀(120)을 통해 인입 공간(110)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항 컵(100)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 차에 의해 봉(310)이 이동되는 경우, 봉(310)이 인입 공간(110)을 벗어나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봉(310)의 단부가 인입 공간(110)와 접하는 부분에 관통홀(120)이 형성됨으로써, 관통홀(120)을 통해 봉(310)이 인입 공간(1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20)은 봉(310)을 감싸도록 장착되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320)의 외경은 인입 공간(110)의 폭에 대응할 수 있으며, 스프링(320)의 길이는 인입 공간(110)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320)의 탄성계수는 사용자가 원하는 압력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320)의 외경과 길이가 동일하고, 동일한 압력 차가 발생할 경우, 스프링(320)의 탄성계수가 큰 스프링은 더 많이 변형되고, 스프링(320)의 탄성계수가 작은 스프링(320)은 더 적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320)의 탄성계수 또한, 압력제어부(300)를 설계하는 데 중요한 인자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스프링(320)의 탄성계수에 의해 인입 공간(110)에 형성된 유입구(20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봉(310)의 일단에는 마개(33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마개(330)는 고무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마개(33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부항 컵(100)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 차에 의해 이동될 수 있고, 유입구(200)를 확실하게 밀폐시킬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330)는 봉(310)의 일단에 장착되어, 인입 공간(110) 내에서 인입 공간(110)의 개방된 단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330)는 유입구(200)를 개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구(200)보다 외측에 배치된 마개(330)는 인입 공간(110) 내에서 부항 컵(100)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마개(330)를 이동시키는 힘은 부항 컵(100)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 차이며, 부항 컵(100)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 차가 클수록 마개(330)는 더 큰 거리를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부항 컵(100)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 차가 작아질수록 마개(330)는 더 작은 거리를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개(330)의 이동에 의해, 마개(330)가 장착된 봉(310)이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개(330)가 부항 컵(100)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 차에 의해 이동된 거리만큼, 봉(310) 또한 이동될 수 있다.
게다가, 마개(330)와 봉(310)의 이동에 의해 스프링(320)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입 공간(110) 내에서 스프링(320)은 이동될 수 없으므로, 마개(330)와 봉(310)이 부항 컵(100)의 내부를 향해 이동될수록 스프링(320)은 압축될 수 있다.
결국, 스프링(320)을 탄성 변형시키는 힘 또한 부항 컵(100)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 차에 기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부항 컵(100)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 차에 의해 스프링(320)의 변형 크기 및 봉(310)과 마개(330)의 이동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항 컵(100)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 차가 클 경우, 스프링(320)의 변형 크기 및 봉(310)과 마개(330)의 이동거리는 커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부항 컵(100)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 차가 작을 경우, 스프링(320)의 변형 크기 및 봉(310)과 마개(330)의 이동거리는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압력제어부(300)는 간단한 구조로 마련되어, 부항 컵(100)의 인입 공간(110)으로부터 분리 또는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제어부(300)에서 스프링(320) 또는 마개(330)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경우, 인입 공간(110)으로부터 압력제어부(30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전술된 압력제어부와 인입 공간은 별개의 압력제어유닛으로 구성되어 케이스 내부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압력제어유닛은 압력을 제어하고자 하는 케이스 내부에 장착 가능하고, 일 측이 개방되어 케이스의 외부와 연통 가능한 인입부재, 인입부재의 일 측에 형성된 유입구, 인입부재 내에서 이동되어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마개 및 인입부재 내에 배치되며, 마개의 이동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 내부의 압력과 외부의 압력 차이에 의해 인입부재에 형성된 유입구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 내부의 압력과 외부의 압력 차이가 클 경우 유입구가 개방되고, 케이스 내부의 압력과 외부의 압력 차이가 작을 경우 유입구가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인입부재 내에 봉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봉의 일단에는 마개가 장착되고, 봉의 외측에는 스프링으로 감싸질 수 있다.
게다가, 인입부재의 일 측에는 인입 공간으로부터 봉이 돌출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항 장치(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되었고, 이하에서는 전술된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항 장치(1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항 장치에서 부항 컵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가 작은 경우를 도시하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항 장치에서 부항 컵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가 큰 경우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부항 컵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가 작은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항 장치(1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항 컵(100) 외부의 압력은 1013 mmHg이고, 부항 컵(100) 내부의 압력이 1013-xxx mmHg인 경우, 부항 컵(100)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는 xxx mmHg만큼 발생되고, 그러한 압력 차이 만큼, 압력제어부(300)의 봉(310)과 마개(330)가 이동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320)이 압축될 수 있다.
그러나, 도 2와 같이 부항 컵(100) 내부와 외부의 차이가 제한 압력 이하라면, 압력제어부(300)의 봉(310)과 마개(330)는 약간 이동되고, 이때 따라 스프링(320)은 약간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인입 공간(110)의 일 측에 형성된 유입구(200)를 지나도록 마개(330)가 이동되지 않으며, 유입구(200)는 여전히 폐쇄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유입구(200)가 폐쇄된 상태이므로, 부항 컵(100) 외부의 공기 또한 부항 컵(100) 내부로 유입될 수 없다.
이는 부항 컵(100) 내부에 외부 공기가 유입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부항 컵(100) 내부의 음압이 충분하거나 적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부항 컵(100) 내 음압 과도로 인한 수포나 출혈과 같은 부작용의 발생 위험도 적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도 3과 같이, 부항 컵(100) 외부의 압력은 1013 mmHg이고, 부항 컵(100) 내부의 압력이 1013-ooo mmHg인 경우, 부항 컵(100)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는 ooo mmHg만큼 발생되고, 그러한 압력 차이가 일정 이상이면, 압력제어부(300)의 봉(310)과 마개(330)는 크게 이동되고, 이때 따라 스프링(320)은 크게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인입 공간(110)의 일 측에 형성된 유입구(200)를 지나도록 마개(330)가 이동되고, 인입 공간(110)에 형성된 관통홀(120)을 통해 압력제어부(300)의 봉(310)이 돌출될 수 있다.
결국, 유입구(200)가 개방될 수 있고, 부항 컵(100) 외부의 공기가 부항 컵(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부항 컵(100) 내부의 음압이 감소되고, 부항 컵(100)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가 감소될 수 있다.
차후에 일정량 이상 부항 컵(100) 내부에 흡기될 경우, 스프링(320)의 탄성으로 인하여 공기의 유입이 중단되고, 부항 컵(100) 내부는 일정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력제어부(300)의 작동에 의해 유입구(200)가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부항 컵(100)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게다가, 부항 컵(100) 내 음압 과다로 인하여 수포, 출혈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부항 장치
100: 부항 컵
110: 인입 공간
120: 관통홀
200: 유입구
300: 압력제어부
310: 봉
320: 스프링
330: 마개

Claims (9)

  1. 부항 시술을 요하는 부위에 밀착되는 부항 컵;
    상기 부항 컵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통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압력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제어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부항 컵 내에 공기가 유입 또는 차단될 수 있고,
    상기 부항 컵에는 인입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인입 공간 내에 상기 압력제어부가 배치될 수 있는 부항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제어부는,
    막대 형상의 봉;
    상기 봉을 감싸도록 장착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 및
    상기 봉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마개;
    를 포함하고,
    상기 봉과 상기 마개는 상기 부항 컵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 차에 의해 상기 인입 공간 내에서 이동되는 부항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공간에는 관통홀이 마련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봉이 상기 인입 공간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고, 상기 스프링과 상기 마개가 상기 인입 공간 내에 유지 가능한 크기로 마련된 부항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마개가 상기 인입 공간 내에서 이동되는 경로 상에 형성되어, 상기 마개가 상기 유입구를 지나 이동되면 상기 유입구가 개방되는 부항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은 상기 부항 컵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에 대응하며, 상기 부항 컵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 차에 의해 상기 스프링의 변형 크기 및 상기 봉과 상기 마개의 이동거리가 변화되는 부항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공간은 상기 부항 컵의 외측으로 개방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게 하는 부항 장치.
  8. 케이스 내부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는 압력제어유닛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 가능하고, 일 측이 개방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와 연통 가능한 인입부재;
    상기 인입부재의 일 측에 형성된 유입구;
    상기 인입부재 내에서 이동되어 상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마개; 및
    상기 인입부재 내에 배치되며, 상기 마개의 이동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압력제어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마개에 장착되고, 외측에 스프링으로 감싸지는 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입부재에는 상기 봉이 상기 인입부재로부터 돌출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압력제어유닛.
KR1020130155669A 2013-12-13 2013-12-13 정압 부항 장치 KR101532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669A KR101532842B1 (ko) 2013-12-13 2013-12-13 정압 부항 장치
EP14869450.8A EP3081245A4 (en) 2013-12-13 2014-12-04 Constant pressure cupping device
PCT/KR2014/011805 WO2015088181A1 (ko) 2013-12-13 2014-12-04 정압 부항 장치
US15/104,068 US20160361479A1 (en) 2013-12-13 2014-12-04 Constant Pressure Cupp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669A KR101532842B1 (ko) 2013-12-13 2013-12-13 정압 부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359A KR20150069359A (ko) 2015-06-23
KR101532842B1 true KR101532842B1 (ko) 2015-06-30

Family

ID=53371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669A KR101532842B1 (ko) 2013-12-13 2013-12-13 정압 부항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361479A1 (ko)
EP (1) EP3081245A4 (ko)
KR (1) KR101532842B1 (ko)
WO (1) WO201508818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6261A1 (ko) * 2018-11-09 2020-05-1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부항 장치
KR20200053944A (ko) * 2018-11-09 2020-05-1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흡인펌프 밸브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항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80930A (zh) * 2017-06-25 2017-10-24 杭州真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智能拔罐理疗仪
CN107737001B (zh) * 2017-11-27 2021-11-02 新绎健康科技有限公司 负压罐疗装置的控制方法
CN108355184B (zh) * 2018-04-11 2020-11-13 杭州俩达机械有限公司 一种拔罐器
CN109172899A (zh) * 2018-09-13 2019-01-11 蔡敬海 智能微针定位负压排淤栓系统
KR102236197B1 (ko) * 2018-12-31 2021-04-0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압 속도 조절 부항컵 및 감압 속도 조절 부항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262Y1 (ko) * 1995-12-21 1998-10-01 이병열 부항기
KR200175728Y1 (ko) * 1999-10-15 2000-03-15 김경태 공기압 조절밸브가 구비된 부항기
KR20010056675A (ko) * 1999-12-16 2001-07-04 유유자 부항기용 부항캡
KR100903899B1 (ko) * 2009-01-22 2009-06-19 장태순 부압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마사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60927A (en) * 1922-03-28 1923-07-03 Ralph S Thompson Vacuum cup
DE440359C (de) * 1924-06-20 1927-01-31 Otto Kurt Businger Zur Behandlung von Haarausfall dienender, luftundurchlaessiger Saugbehaelter
US1704960A (en) * 1925-05-11 1929-03-12 Dolletta M Ackerman Massage applicator
US1584695A (en) * 1925-06-03 1926-05-11 H K Davis Massaging device
US1676104A (en) * 1927-11-04 1928-07-03 Merke Alois Massage appliance
US1758962A (en) * 1928-04-30 1930-05-20 Miller Carl Massage device
US1898652A (en) * 1930-07-08 1933-02-21 George A Williams Direct air pulsator
US2000710A (en) * 1932-06-22 1935-05-07 Richard K Parsell Vacuum therapy device
US2078536A (en) * 1933-07-21 1937-04-27 Walter A Hardman Massage device
US2076410A (en) * 1935-04-08 1937-04-06 Automatic Musical Instr Co Massage instrument
US2159096A (en) * 1938-08-27 1939-05-23 Clarence E Mitchell Vacuum comb
US2238541A (en) * 1940-03-20 1941-04-15 Spagnolo Vincent Cleaning and massaging device
US2526190A (en) * 1947-07-17 1950-10-17 Alvarez Patent Corp Massaging device
US2879765A (en) * 1957-06-25 1959-03-31 Paul V Featherston Therapeutic device
US4748973A (en) * 1987-02-02 1988-06-07 Cho Robert J Pneumatic massage device
KR900005451Y1 (ko) * 1988-02-11 1990-06-20 이병열 부항기
US5243968A (en) * 1992-05-27 1993-09-14 Byun Kyoung S Portable vacuum massage device
US5454778A (en) * 1992-06-23 1995-10-03 Liaskos; Nikolaos Apparatus for stimulating blood circulation in the scalp
KR20010018192A (ko) * 1999-08-14 2001-03-05 김태환 사혈부항컵
US6623478B1 (en) * 2000-06-15 2003-09-23 Hidenori Hagiwara Suction cup for body fat reduction
CN201094724Y (zh) * 2007-08-08 2008-08-06 孔斌 一种抽气式拔罐装置
US20090118573A1 (en) * 2007-11-05 2009-05-07 Min-Hao Tsao Vacuum suction cup
KR200447411Y1 (ko) * 2009-01-08 2010-01-25 김인순 물리원통캡의 밸브시트
KR101026295B1 (ko) * 2009-02-18 2011-03-31 장태순 마사지장치용 이중 구조 마사지 컵
KR101226130B1 (ko) 2009-04-30 2013-01-2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취 및 탈색된 후코이단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262Y1 (ko) * 1995-12-21 1998-10-01 이병열 부항기
KR200175728Y1 (ko) * 1999-10-15 2000-03-15 김경태 공기압 조절밸브가 구비된 부항기
KR20010056675A (ko) * 1999-12-16 2001-07-04 유유자 부항기용 부항캡
KR100903899B1 (ko) * 2009-01-22 2009-06-19 장태순 부압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마사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6261A1 (ko) * 2018-11-09 2020-05-1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부항 장치
KR20200053944A (ko) * 2018-11-09 2020-05-1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흡인펌프 밸브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항기
KR102255605B1 (ko) * 2018-11-09 2021-05-2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흡인펌프 밸브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81245A4 (en) 2017-07-05
WO2015088181A1 (ko) 2015-06-18
EP3081245A1 (en) 2016-10-19
US20160361479A1 (en) 2016-12-15
KR20150069359A (ko) 201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842B1 (ko) 정압 부항 장치
TWI564039B (zh) 吸入泵單元
ES2517893T3 (es) Catéter de hemodiálisis con válvula
US20130190684A1 (en) Piston for a needleless valve system
EA034510B9 (ru) Аккомодирующая интраокулярная линза
CN105050653B (zh) 无尾式无针阀门系统
GB2495674A (en) Ophthalmic device molds formed from water-soluble vinyl alcohol copolymer, ophthalmic devices molded therein, and related methods
WO2014173373A3 (zh) 自吸式定量微量采血管
RU2017101085A (ru) Картридж для быстрого отбора пробы
RU2015145187A (ru) Воздушный вентиляционный клапан
WO2019103313A3 (ko) 혈액 성분 원심분리 장치
KR101211506B1 (ko) 일회용 부항컵
RU2008114337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операций дегазации
CN105430120A (zh) 一种手机塞子弹出系统、手机及手机塞子弹出方法
CN105555512B (zh) 玻璃面板修复
CN203290984U (zh) 一种流产吸引管
CN204699105U (zh) 一种真空拔罐器
CN103535326B (zh) 一种活体昆虫负压固定装置
JP2008272028A (ja) ボール玩具
RU2670646C9 (ru) Клапан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клапана
KR101142027B1 (ko) 공기밸브가 구비된 부항기
RU2007101170A (ru) Упрощ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и заполнения камеры, содержащее поршень
KR101950583B1 (ko) 진공납골함
CN204501830U (zh) 腔镜下使用一次性吸引装置
CN203943723U (zh) 耳科手术用剥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