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8192A - 사혈부항컵 - Google Patents

사혈부항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8192A
KR20010018192A KR1019990034035A KR19990034035A KR20010018192A KR 20010018192 A KR20010018192 A KR 20010018192A KR 1019990034035 A KR1019990034035 A KR 1019990034035A KR 19990034035 A KR19990034035 A KR 19990034035A KR 20010018192 A KR20010018192 A KR 20010018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blood
cup
cupping
vacuum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환
Original Assignee
김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환 filed Critical 김태환
Priority to KR1019990034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8192A/ko
Publication of KR20010018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19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항컵에 대한 기술로서 종래의 사혈기능과 부항기능을 하나로 결합시켜 구성시킨 것으로서 ,종래에 사혈과 부항이 각각 구별되어진 것을 하나의 부항컵으로 편리하게 해결을 할수가 있게 하였다. 또한 부항컵본체내의 진공압을 미세하게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서 과도한 진공압에 의한 통증을 해결할수가 있게 하였다.

Description

사혈부항컵{vacuum cup}
본 발명은 사혈기능과 부항기능을 하나의 부항컵에 구성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혈부항컵이다. 본 발명은 부항컵내부의 진공압을 미세하게 조절이 가능한 진공압 조절기능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부항컵에 대한 기술이다. 종래의 부항컵은 부항컵본체내부에 역지변을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종래에는 피부속의 더러운 피를 제거하고자 할때에는 사혈침을 사용하여 피부에 상처를 낸다음 그 상처자리에 부항컵으로 시술하여 사혈을 행하여 왔다.
본 발명은 종래의 사혈기능과 부항기능을 하나로 결합시켜 구성시킨 것으로서 종래에 사혈과 부항이 각각 구별되어진 것을 하나의 부항컵으로 편리하게 해결을 할수가 있게 하였다. 또한 부항컵본체내의 진공압을 미세하게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서 과도한 진공압에 의한 통증을 해결할수가 있게 하였다.
제 1 도와 제 2 도는 본 발명 사혈부항컵의 한 실시예
제 3 도는 얇은 탄성판을 역지변으로 구성한 사혈부항컵의 한 실시예
《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부항컵본체 2:진공펌프연결부 3:역지변설치부 5:사혈버턴
6:지지돌출부 8:사혈침 10:결합구 13:탄성체 18:역지변
19:진공압해제손잡이 22:결합구 24:사혈장치 26:실링체
27:사혈침
본 발명은 종래의 부항컵에 사혈침을 부착할수 있도록 한 사혈침 부항컵에 대한 것으로서 부항컵본체와 상기 부항컵본체에 진공펌프를 결합시키는 진공펌프결합부와 부항컵내부의 공기를 밖으로만 배출하도록 하는 역지변과 상기 역지변내에 사혈침과 사혈버턴과 지지돌출부와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사혈장치를 형성시킨 것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발명을 상술하겠다.
제 1 도는 부항사혈컵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부항컵본체(1)의 상부중앙부에 진공펌프를 연결할수 있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진공펌프연결부(2)가 형성이 되어진다. 부항컵본체내부에는 중공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된 역지변설치부(3)이 구성된다. 진공압을 받을때 밀폐기능을 수행할수 있는 탄성체(13)와 상기 탄성체를 일정 위치에 지지하는 탄성체지지체(12)로 구성되는 역지변(11)이 상기 역지변설치부(3)내부에 설치되어진다. 상기 역지변은 상기 역지변설치부(3)내에 결합구(10)에 의하여 고정설치되어진다.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15)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돌출부(6)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사혈버턴(5)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사혈침(8)이 구성되는 사혈장치(4)가 상기 역지변(11)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과하여 설치되는 구성이다. 부항컵본체내부로 돌출되어지는 역지변설치부(3)는 생략이 가능하며, 이때는 결합구(10)은 진공펌프연결부(2)의 내부중공부와 결합이 되어진다. 사혈장치(4)는 역지변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로를 통하여 상하 슬라이드 운동이 일어나도록 구성이 되어져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드 운동을 하는 틈을 통하여 대기가 부항컵본체 내부로 유입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혈장치에 오링결합홈(7)을 형성하고 상기 오링결합홈에 오링을 삽입하여 슬라이드부의 틈을 밀폐시킬수가 있다. 사혈버턴을 조금만 누르게 되면 오링이 역지변으로 부터 이탈이 되어지므로 슬라이드 틈으로 미세한 공기의 유동통로가 형성이 되어지는데 이때 미세하게 부항컵내부로 대기를 공급하면서 부항컵본체내의 진공압을 조절을 할수가 있다. 즉 진공압조절기능을 가능케한다. 또한 사혈버턴을 조금 오랜시간 누르고 있게 되면 부항컵내부의 진공압은 상실하게 되므로 부항컵내부의 진공압해제장치로서 작동이 되어진다. 사혈장치의 지지돌출부(6)와 진공펌프연결부(2)의 상단에 있는 지지단턱(9)사이에는 밀폐가 되면 진공펌프의 작동시 부항컵본체로 부터 공기를 뽑아낼수가 없게 되므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반드시 공기의 유통로가 형성되어야만 한다. 탄성체(13)는 원형의 링으로 도시하기는 하였으나 링상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탄성을 지지는 연질의 원형판으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탄성체(13)을 형성하지 않고 역지변(11)전체를 탄성체로 구성할수도 있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결합부(10)의 위치를 위쪽인 진공펌프결합부에 두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제 3 도는 사혈부항컵의 또다른 실시예이다. 이것은 역지변을 얇은 탄성판을 사용하여 간단히 구성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다. 부항컵본체(17)의 중앙상부 중앙에 돌출된 진공펌프결합부(28)을 형성하고, 상기 진공펌프결합부의 최상단면에는 공기통로(20)를 형성하며 상기 공기통로(20)를 개폐하는 역지변(18)을 얇은 탄성판으로 구성하며, 상기 역지변의 한 곳에는 진공압해제손잡이(19)를 형성시킨 것이다. 부항컵본체의 위면 중앙에는 중공파이프 형상의 역지변설치부(29)를 형성시킨다. 상기 역지변설치부(29)에 중앙이 관통된 역지변(18)의 관통부를 위치시켜서 역지변이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역지변설치부(29)를 부항컵본체내부로 길게 연장시킨 중공파이프형상의 부분을 역지변설치부연장부(30)라칭하며, 상기 역지변설치부연장부의 내부에는 사혈장치(24)가 위치한다. 사혈장치는 스프링(25)과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돌출부(23)와 상기 지지돌출부(23)과 일체로 상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사혈버턴(21)과 사혈침(27)으로 구성이 되어진다. 역지변설치부의 상단부는 결합구(22)로서 밀폐시킨다. 상기 결합구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사혈장치(24)가 밖으로 튀어나가려 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역지변설치연장부(30)의 최하단에는 실링체(26)를 삽입하여 부항컵본체내의 진공압이 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는 예시하지 않았으나 사혈침의 끝단부에는 침이 일정깊이 이상 피부로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링을 형성한다.얇은 탄성판에 구성된 진공해제손잡이를 조금만 들게 되면 부항컵본체내부로 대기가 조금만 들어가게 됨으로서 미세하게 진공압을 조절할수가 있는 기능을 수행할수도 있다.
본 발명은 부항컵으로 부항을 시술함과 동시에 사혈을 행할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부항도중에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사혈을 행할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항컵내부의 과도한 진공압을 미세하게 조절할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Claims (6)

  1. 부항컵본체와, 상기 부항컵본체에 진공펌프를 결합시키는 진공펌프결합부와, 부항컵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역지변과, 상기 역지변내에 사혈침과 사혈버턴과 지지돌출부와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사혈장치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혈부항컵.
  2. 제 1 항에 있어서, 역지변이 탄성체와 탄성체지지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혈부항컵.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사혈장치에 밀폐기능을 위한 실링체 또는 오링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혈부항컵.
  4. 제 1 항에 있어서, 역지변이 얇은 탄성판으로 구성되어 부항컵본체의 공기통공을 개폐할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혈부항컵.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역지변의 한 곳에 진공압해제손잡이(19)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혈부항컵.
  6. 제 1 항에 있어서,진공펌프결합부의 최상단면에는 공기통로(20)를 형성하며 상기 공기통로(20)를 개폐하는 역지변(18)을 얇은 탄성판으로 구성하며, 상기 역지변의 한 곳에는 진공압해제손잡이(19)를 형성시키고, 부항컵본체의 위면 중앙에는 중공파이프 형상의 역지변설치부(29)를 형성하고 상기 역지변설치부(29)에 중앙이 관통된 역지변(18)의 관통부를 위치시켜서 역지변이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역지변설치부(29)를 부항컵본체내부로 길게 연장시킨 중공파이프형상의 역지변설치부연장부(30)를 형성하고, 상기 역지변설치부연장부의 내부에 스프링(25)과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돌출부(23)와 상기 지지돌출부(23)과 일체로 상,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사혈버턴(21)과 사혈침(27)으로 구성이 되어지는 사혈장치를 구성하며, 상기 역지변설치연장부(30)의 최하단에는 실링체(26)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혈부항컵.
KR1019990034035A 1999-08-14 1999-08-14 사혈부항컵 KR200100181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035A KR20010018192A (ko) 1999-08-14 1999-08-14 사혈부항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035A KR20010018192A (ko) 1999-08-14 1999-08-14 사혈부항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192A true KR20010018192A (ko) 2001-03-05

Family

ID=19607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035A KR20010018192A (ko) 1999-08-14 1999-08-14 사혈부항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819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81245A4 (en) * 2013-12-13 2017-07-05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Constant pressure cupping device
CN108938059A (zh) * 2018-08-17 2018-12-07 佛山市易三丰行科技有限公司 一种封气式针刺放血排栓抽拔一体罐装置
CN108938060A (zh) * 2018-08-17 2018-12-07 佛山市易三丰行科技有限公司 一种长吸式针刺放血排栓一体拔罐装置
CN110507377A (zh) * 2019-09-16 2019-11-29 上海市徐汇区中心医院 一种新型医用放血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81245A4 (en) * 2013-12-13 2017-07-05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Constant pressure cupping device
CN108938059A (zh) * 2018-08-17 2018-12-07 佛山市易三丰行科技有限公司 一种封气式针刺放血排栓抽拔一体罐装置
CN108938060A (zh) * 2018-08-17 2018-12-07 佛山市易三丰行科技有限公司 一种长吸式针刺放血排栓一体拔罐装置
CN108938059B (zh) * 2018-08-17 2023-06-20 佛山市易三丰行科技有限公司 一种封气式针刺放血排栓抽拔一体罐装置
CN108938060B (zh) * 2018-08-17 2023-06-20 佛山市易三丰行科技有限公司 一种长吸式针刺放血排栓一体拔罐装置
CN110507377A (zh) * 2019-09-16 2019-11-29 上海市徐汇区中心医院 一种新型医用放血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6823A (en) Suction control
DE3279199D1 (en) Low profile shunt system
DE60025329D1 (de) Überlaufvermeidungs-, entlüftungs- und überrollventil
WO1996013301A3 (en) Valved intravenous fluid line infusion device
PT796122E (pt) Conector de conduta de fluido intravenoso com valvula
CA2445585A1 (en) Disposable infusion cassette with low air bubble retention and improved valves
JPS63243575A (ja) マイクロエレクトロバルブ
EP0854311A2 (en) Fluid check valve
US5681152A (en) Membrane type fluid pump
ES2189927T3 (es) Configuracion de inyector de combustible.
US4739770A (en) Flush device
KR20010018192A (ko) 사혈부항컵
WO2020119812A1 (zh) 一种地拖使用自带止流功能微型水泵
KR100597501B1 (ko) 산소공급용 안전기구
US20190328942A1 (en) Flushing and aspirating device
JPH06104099B2 (ja) 内視鏡の吸引制御装置
KR200396709Y1 (ko) 산소공급용 안전밸브
KR940000812Y1 (ko) 전자개폐밸브
JPS62114527A (ja) 内視鏡の吸引制御装置
JPS6243527Y2 (ko)
KR100404600B1 (ko) 스위치식 샤워기
JPS6241712Y2 (ko)
KR20010011998A (ko) 부항컵
JPS6323664Y2 (ko)
KR200155921Y1 (ko) 진공조정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