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262Y1 - 부항기 - Google Patents

부항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262Y1
KR0127262Y1 KR2019950044999U KR19950044999U KR0127262Y1 KR 0127262 Y1 KR0127262 Y1 KR 0127262Y1 KR 2019950044999 U KR2019950044999 U KR 2019950044999U KR 19950044999 U KR19950044999 U KR 19950044999U KR 0127262 Y1 KR0127262 Y1 KR 0127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opening
flange
container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49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7115U (ko
Inventor
이병열
Original Assignee
이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열 filed Critical 이병열
Priority to KR20199500449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262Y1/ko
Publication of KR9700271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71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2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기공(11)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 상부의 바닥면(12)으로부터 벽면이수직외향되게 연장된 소켓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용기부(1)와; 상기 용기부(1)의 소켓부(13)에 끼워맞춤되며, 배기관부 몸체(20)와 개폐구(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기관부(2)를 구비하는 부항기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13)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상기 배기관부 몸체(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켓(13)부에 결합되는 통형상의 단부(36)에는, 상기 소켓부(13)의 내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며 통기공(31)이 형성되는 바닥면(32)으로부터 수직상향되어 상기 통형상의 단부(36)를 외측에서 감싸는 제1플랜지(33) 및 내측에서 감싸는 제2플랜지(3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플랜지(34)의 상부 개구단부(35)는 상기 개폐구(21)의 하향위치에 상호 기말상태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탄성부재(23), (43), (53)가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부항기는 배기관부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사용후 세척 및 소독이 편리하고, 또한 제조원가도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부 항 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항기의 용기부 및 배기관부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2도(a)∼(d)는 제1도에 나타낸 부항기의 배기관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우한 주요부분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항기의 용기부 및 배기관부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부항기의 용기부 및 배기관부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종래의 부항기의 용기부 및 배기관부의 주요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부 2 : 배기관부
11,31 : 통기공 12,32 : 바닥면
13 : 소켓부 20 : 배기관부 몸체
21 : 개폐구 22 : 고무링
23,43,53 : 탄성부재 33 : 제1플랜지
24 : 날개부 25 : 칼라부
26 : 머리부 34 : 제2플랜지
35 : 개구단부 36 : 단부
본 고안은 부항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며 분해 조립이용이하여, 사용후 세척 및 소독이 편리한 부항기에 관한 것이다.
부항기는, 통상 합성수지 또는 유리로만들어지는 용기부와, 이 용기부의 상부 소켓부에 끼워맞춤되는 배기관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부항기를 사용하는 경우 우선 용기부와 배기관부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용기부의 하부 개방부를 인체의 시술부위상에 밀착시키고, 배기관부의 개방단부에 부항기용 진공펌프를 연결시켜 용기부내의 공기를 흡출시킴으로써, 용기부내를 진공화하여 시술부위의 피부를 흡착시킨다. 부항기는 시술부위에서 혈액을 흡출하여 모세관를 청소하여 혈관내의 혈행을 원활하게 하며, 또한 근육을 이완시키고, 신경을 안정시키며; 또한 종기 부위에 사용하면 피고름을 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특히 종기부의 치료 또는 독혈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등으로 부항기를 사용한 후에는, 부항기 용기부 내부는 물론 배기관부에도 혈액 또는 피고름이 오염되므로, 반드시 용기부 및 배기관부를 세척, 소독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전에한국 특허공고 90-6894호 및 동90-6895호 등에서 용기부와배기관부가 분리가능한 구조로 된 부항기를 개시한 바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전에,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의 배기관부를 갖는 부항기에 관하여 한국 의장등록 제104627호로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부항기 구조에 있어서는 용기부와 배기관부의분리, 결합의 용이성만을 추구하였는 바, 그러한 측면에 있어서는 상당한 작용·효과를 얻고는 있지만 배기관부 자체의 분해, 결합의 용이성까지는 고려하지 않은 관계로 배기관부의 분해, 결합이어려워 각 부품의 정밀한 세척, 소독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배기관부(102)는 개폐구(122)를 그 내부에 수납하는 배기관부 몸체(120)의 하부를 개구단부로 하여, 용기부(101)의 바닥면과 대략 동일 형상의 바닥면을 가지며, 용기부(101)의 통기공(111)과 연통되는 통기공이 그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상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이 통기공을 따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수직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배기관부 몸체(120)의 하부 개구단부 내벽면에 밀착 삽입되는 돌기부(115)를 갖는 탄성부재(130)가 이 개구단부에 밀착 삽입되며, 또한 배기단부 몸체(120)의 하부의 외측부에는, 이 배기관부 몸체를 용기부 소켓부에 기밀 결합시키기 위한 고무링(116), (117)이 끼워진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배기관부를 갖는 부항기는, 사용후 세척 및 소독을 위하여 배기관부(102)를 분해하는 경우, 배기관부 몸체9120) 하부 외측부에 끼워 넣어져 있는 2개의 고무링(116), (117)을 빼내고, 또한 하부 개구단부에 밀착 삽입되어 있는 탄성부재(130)를 빼내야 하는데, 특히 고무링(116), (117)의 제거에 많은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기관부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사용후 세적 및 소독이 편리한 부항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부항기에 비해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원가가 졀감되는 경제성이 향상된 부항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 상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벽면이 수직외향되게 연장된 소켓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소켓부에 끼워맞춤되며, 배기관부 몸체와 개폐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기관부를 구비하는 부항기로서, 상기 소켓부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상기 배기관부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켓부에 결합되는 통형상의 단부에는, 상기 소켓부의 내경보다 약간의 큰 직경를 가지며 통기공이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통형상의 단부를 내·외측에서 밀착결합하도록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상향되어 상기 통형상의 단부를 외측에서 감싸는 제1플랜지 및 내측에서 감싸는 제2플랜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사기 제2플랜지의 상부 개구단부는 상기 개폐구의 하향위치에 상호 기밀상태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탄성부재가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는 바와 같은 부항기는 사용후 세척 및 소독을 위해 용기부와 배기관부를 분리하기에 매우 용이할 뿐아니라, 배기관부 자체도 쉽게 분해, 조립할 수 있고, 또한 부품수가 적고 간단하여 제조원가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고안을 더욱 용이하게 이해하도록 제공되는 것일뿐, 본 고안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항기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부항기는 용기부(1) 및 배기관부(2)로 이루어진다.
용기부(1)는 통상 투명 재질의 합성수지 또는 유리를 주조 또는 사출 성형하여 컵 모양으로 형성하되 그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 중심부에는 배기관부(2)의 하부가 삽입되는, 대략 원통형상의 소켓부(13)가 마련된다. 소켓부(13)의 하부는 바닥면(12)에 의해 마감되어 있고, 이 바닥면(12)의 중심부에는 통기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용기부(1)는 공지의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이를 그대로 사용한다.
배기관부(2)는 배기관부 몸체(20), 개폐구(21), 고무링(22) 및 탄성부재(23)로 이루어진다. 배기관부 몸체(20)는 통상 합성수지제로 성형되나 스텐레스강을 절삭가공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배관부 몸체(20)의 내부는 원통형 개구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대략 중간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그 상부는 개폐구(21)의 날개부(2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그 하부는 상기 날개부(2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중직경의 원통형 개구부를 형성시킴으로써, 개폐구(21)가 그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소정 길이만큼 상하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몸체(20) 내부의 큰 직경부와 작은 직경부에 의해 단턱부가 형성된다. 이 단턱부의 원주방향으로 소정위치에 요홈부를 복수개 형성시킴으로써 공기 통로부를 마련할 수 있다.
배기관부 몸체(20)의 외부 상부는 아래쪽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 증대되는, 약간 테이퍼진 형상의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이는 부항기용 진공펌프와의 접속을 위해, 통일된 규격의 공지 형상부로 형성된다.
배기관부 몸체(20)의하부는 탄성부재(23)가 끼원맞추어지는 작은 직경부와, 그 위쪽에 형성되며 용기부(1)의 소켓부(13)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큰 직경부로 이루어진 2단 형상의 원통부로 구성된다. 배기관부 몸체(20)의 상부와 하부 경계면에는 소정두께의 칼라부(25)가 형성된다. 배기관부 몸체(20)의 하부 길이는 용기부(1)의 소켓부(13)의 길이의 대략 ½정도의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배기관부 몸체(20)하부에 있어, 작은 직경부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부전체길이의 ⅓∼⅔정도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관부 몸체(20)의 상부와 하부는 칼라부(25)에 의해 구획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개폐구(21)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공지의 개폐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개폐구(21)는 배기관부 몸체의 아래쪽으로부터그 내부로 끼워 넣어지고 그 상부 끝단부(28)에마련된 고리형 오목부에 고무링(22)이 끼워 넣어져 몸체(20)내에 장착된다. 고무링(22)의 삽입으로 인해 개폐구가 몸체(20)밖으로 아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몸체(20)내부의 직경변화에 따라 형성되어 있는 단턱부와 개폐구(21)의 날개부(24)의존재로 인해 개폐구(21)는 몸체(20)내부에서 소정의 길이만큼만 상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탄성부재(23)에 대해 설명한다.
탄성부재(23)는 용기부(1)와 배기관부(2)의 기밀결합을 제공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통상 고무재질로 만들어진다. 탄성부재(23)는 바닥면(32)과 제1플랜지(33) 및 제2플랜지(34)로 구성된다.
탄성부재(23)의 바닥면(32)은 용기부(1)의 소켓부(13)의 내경과 같거나 또는 약간 큰 직경을 가지며,그 중심부에 소켓부(13)의 통기공(11)과 연통되는 통기공(31)이 마련된 대략 원반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닥면(32)의 두께는, 바닥면과 몸체(20)하부의 전체길이를 합한 길이가 용기부(1)의 소켓부(13)의 길이보다 짧게 되는 범위내로 한다.
제1플랜지(33) 및 제2플랜지(34)는 몸체(20) 하부의 단부(36)를 내·외측에서 밀착 결합하도록, 바닥면(32)으로부터 수직 상향되는 2개의 동심원 원동형으로 형성된다. 제1플랜지(33)의 길이는 몸체(20)의 하부의 작은 직경부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갖는다. 이로 인해 제1플랜지(33)의 내면이 몸페(20)하부의 작은 직경부의 외부를 완전히 밀착 피복하는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제1플랜지(33)의 두께는 몸체(20)의 하부 단부의 큰 직경부와 작은 직경부의 반경차이와 같은 두께로 한다.
제2플렌지(34)는 그의 외측면이 몸체(20)하부의 내측면을 밀착 피복할 수 있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의 상부 개구단부(34)는 상기 개폐구(21)가 하향된 상태에서 상호 기밀 상태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2플랜지의 두께는 통기공(31)의 직경 보다는 크고, 개폐구(21)의머리부(26)의 직경보다는 작은 범위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2플랜지(34)의길이는 개폐구(21)가 최 상방 위치에 도달하였을 경우 그의 개방단부(35)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 범위내에서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개폐구(21)의 머리부(26)와의 기밀결합을 보장하기 위하여 제2플랜지(34)의 상부 개구단부(35) 근처의 두께를 다소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제2도(a)∼(d)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부항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a)는 용기부(1)와 배기관부(2)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용기부(1)의 개방단부를 환자의 시술부위에 밀착시키고, 배기관부(2)의 상부에 부항기용 진공펌프(도시하지 않음)를 접속시킨다.
부항기용 진공펌프를 작동시키면 용기부(1)내에있는 공기가 배기관부(2) 몸체(20)내부와 개폐구(21)사이에 형성되는 공극부를 통해, 제2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개폐구(21)는 진공펌프외 배출력에 의해 위쪽으로 빨려 올려지나,몸체(20)내부의 상·하부 직경 차이로 형성된 단턱부에 그의 날개부(24) 상부면이 접촉되어 제2도(b)에 도시한 위치 이상으로는 올라가지 않는다. 단턱부에공기통로부를 형성하여 놓는 경우에는 공기가 더욱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소정의 진공도가 달성되면, 배기관부(2)에 접속된 진공펌프를 제거한다. 진공펌프가 제거되면 개폐구(21)가 용기부(1)내의 진공압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빨려들어가 제2도(c)에 나타낸 위치로 하향이동하여 탄성부재(23)의 제2플랜지(34)상의 개구단부(35)의 내측면과, 개폐구(21)의 머리부(26)가 밀착 결합되어 기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시술이 끝나면 개폐구(21)의 끝단부(28) 고리형 오목부에 삽입된 고무링(22) 부위를 잡고 위쪽으로 조금 잡아당기면 개폐구(21)의 머리부(26)와 탄성부재(23)의 제2플랜지(34)의 개구단부(35)간의 기밀상태가 해제되어 제2도(d)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되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용기부(1)내로 유입되어 용기부(1)가시술부위로부터 이탈된다.
사용후에는, 배기관부(2)를 용기부(1)의 소켓부(13)에서 분리시키고, 탄성부재(23)를 배기관부 몸체(20) 하부로부터 분해하고, 이어서 고무링(22)을 제거하면, 몸체(20), 개폐구(21), 고무링(22) 및 탄성부재(23)가 간단히 분해된다.
세척 및 소독후에는 상기 부품들을 분해의 역순으로 조립하면 된다.
[실시예 2]
제3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항기의 용기부 및 배기관부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탄성부재(43)의 제1플랜지부(33)의 외측 상부면상에 고리 형상의 돌출부(44),(45)가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상의 돌출부(44),(45)를 형성시킴으로써, 탄성부재(43)와 용기부(1), 소켓부(13)의 기밀결합을 더욱 확실히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나머지 부분들은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3]
제4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부항기의 용기부 및 배기관부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탄성부재(53)의 제1플랜지부(33)의 외측면을 볼록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제1플랜지부(33)의 외측면을 볼록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탄성부재(53)가 용기부(1)의 소켓부(13)에 더욱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나머지 부분들은 실시예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는 개폐구(21)의 상부 끝단부(28)에 고무링(22)를 설치하지않은 채로 사용하거나 도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하면, 배기관부(2)의 분해, 결합이 더욱 용이해지는 부항기가 제공된다.

Claims (3)

  1. 통기공(11)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 상부의 바닥면(12)으로부터 벽면이 수직외향되게 연장된 소켓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용기부(1)와; 상기 용기부(1)의 소켓부(13)에 끼워맞춤되며, 배기관부 몸체(20)와 개폐구(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기관부(2)를 구비하는 부항기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13)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상기 배기관부 몸체(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켓(13)부에 결합되는 통형상의 단부(36)에는, 상기 소켓부(13)의내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며 통기공(31)이 형성되는 바닥면(32)과, 상기 통형상의단부(36)를 내·외측에서 밀착 결합하도록 상기 바닥면(32)으로부터 수직상향되어 상기 통형상의 단부(36)를 외측에서 감싸는 제1플랜지(33) 및 내측에서 감싸는 제2플랜지(3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플랜지(34)의 상부 개구단부(35)는 상기 개폐구(21)의 하향위치에 상호 기밀상태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탄성부재(23), (43), (53)가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43)의 제1플랜지부(33)의 외부 상부둘레면상에고리형상의 돌출부(44), (4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53)의 제1플랜지부(33)의 외측면이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
KR2019950044999U 1995-12-21 1995-12-21 부항기 KR0127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999U KR0127262Y1 (ko) 1995-12-21 1995-12-21 부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999U KR0127262Y1 (ko) 1995-12-21 1995-12-21 부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115U KR970027115U (ko) 1997-07-24
KR0127262Y1 true KR0127262Y1 (ko) 1998-10-01

Family

ID=19436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4999U KR0127262Y1 (ko) 1995-12-21 1995-12-21 부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2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027B1 (ko) * 2009-09-29 2012-05-17 이병호 공기밸브가 구비된 부항기
WO2015088181A1 (ko) * 2013-12-13 2015-06-18 한국 한의학 연구원 정압 부항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027B1 (ko) * 2009-09-29 2012-05-17 이병호 공기밸브가 구비된 부항기
WO2015088181A1 (ko) * 2013-12-13 2015-06-18 한국 한의학 연구원 정압 부항 장치
KR101532842B1 (ko) * 2013-12-13 2015-06-30 한국 한의학 연구원 정압 부항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115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691B1 (ko) 흡입관 연결용 장치
JP4657345B2 (ja) 弁、特に、乳房キャップセット用の弁
JP2009247558A (ja) 搾乳器
JP4406365B2 (ja) 手動搾乳器
KR0127262Y1 (ko) 부항기
KR200167073Y1 (ko) 부항기용 마사지구
KR900006895B1 (ko) 부항기
KR200264423Y1 (ko) 부항단지
KR100339511B1 (ko) 돌출부위 치료용 부항기
KR200191901Y1 (ko) 부항기용 밀폐링
KR200411221Y1 (ko) 보강기둥을 갖는 일회용 부항컵
KR900006894B1 (ko) 부항기
KR100326768B1 (ko) 침 부항기
KR101142027B1 (ko) 공기밸브가 구비된 부항기
JPS637208Y2 (ko)
KR19990002809U (ko) 부항기용 밀폐링
KR0155626B1 (ko) 부항기
US20230146509A1 (en) Disinfecting cap
KR890003064Y1 (ko) 부항기용 밸브
KR900005451Y1 (ko) 부항기
JPH0140616B2 (ko)
KR20010065025A (ko) 무릎 치료용 부항기기
KR20000072913A (ko) 부항치료기용 부항컵
KR200191615Y1 (ko) 부항기
KR900005452Y1 (ko) 부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