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626B1 - 부항기 - Google Patents

부항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626B1
KR0155626B1 KR1019950001282A KR19950001282A KR0155626B1 KR 0155626 B1 KR0155626 B1 KR 0155626B1 KR 1019950001282 A KR1019950001282 A KR 1019950001282A KR 19950001282 A KR19950001282 A KR 19950001282A KR 0155626 B1 KR0155626 B1 KR 0155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valve
cupping machine
valve body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1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420A (ko
Inventor
이병열
Original Assignee
이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열 filed Critical 이병열
Priority to KR1019950001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5626B1/ko
Publication of KR950023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6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항기에 관한 것으로서, 정부에 공기유통을 위한 배기공을 갖는 종형상의 용기본체와, 상기 배기공에 외향 연장되게 고정되며 밸브시트부가 형성되어 있는 관형상의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범위내에서 이동 가능하다 설치되며, 상기 밸브시트부에 외측으로부터 기밀적으로 안착되는 밸브판과, 상기 배기관의 내경부와의 사이에 공기유동통로를 두고 상기 밸브판으로 부터 상기 배기관을 따라 용기내측을 향해 연장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내측단에서 상기 연결부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기관의 소정부위에 내측으로부터 걸리어 외향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갖는 밸브체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조와 최소의 부품으로 확실한 밸브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밸브구조를 가진 부항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부항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항기의 부분절개사시도.
제2도 (a) 및 (b)은 제1도에 따른 부항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부분절결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부분절결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부분절결사시도.
제6도 (a) 및 (b)은 제5도에 따른 부항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종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부분종단면도.
제8도 (a) 및 (b)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를 각각 나타낸 부분종단면도.
제9도 (a) 및 (b)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를 각각 나타낸 부분종단면도.
제10도 (a) 및 (b)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의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를 각각 나타낸 부분종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9의 부분종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의 부분종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14도 (a) 및 (b)은 제13도에 따른 실시예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는 종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의 종단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의 부분종단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의 부분종단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의 부분종단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20도는 제19도에 따른 실시예의 부분종단면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7의 부분종단면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제18실시예의 부분종단면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제19실시예의 부분종단면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20실시예의 부분종단면도.
제25도는 종래 부항기의 부분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종형상의 용기본체와 용기분체의 상부에 마련된 배기관을 개폐하는 밸브구조를 갖는 부항기에 관한 것이다.
부항기는 인체의 표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부항기의 용기본체내를 부압상태로 함으로써 해당부위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거나 혹은 표피내의 어혈등 불순한 체액을 추출해내는데 사용되는 치료용 기구이다.
종래의 부항기는, 제2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형상의 용기본체(201)와, 이 용기본체(201)의 상부에 일체로 성형되는 관상의 배기관(210) 및 배기관(210)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체(220)로 구성되어 있다. 배기관(210)내의 밸브체(220)는 스프링(225)에 의해 하향탄지되어 있고, 밸브체(220)의 하단부는 역원추상의 밸브판(221)을 형성하고 있다. 밸브체(220)의 상단부는 밸브체(220)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연장된 외단걸림부(223)가 형성되어 있어 배기관(210)의 상단부에 내향돌출된 걸림플랜지(211)에 걸리어 배기관(210)의 내부로 밀려들어오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배기관(210)의 하단부에는 밸브체(220)의 밸브판(221)과 기밀적으로 상호 작용하도록 대응 설치되는 밸브시트부재(210)가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공기흡인용 펌프에 연결된 공기호스가 배기관(210)에 삽입되어 펌프의 작동에 의해 공기가 흡인되면, 밸브체(220)는 펌프의 흡인작용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밸브판(221)과 밸브시트부재(219)간의 기밀적 접촉이 해제되어 용기본체(201)내부의 공기가 배기관(210)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며, 펌프의 흡인작용이 완료되면 용기본체(201)내의 부압에 의해 밸브체(220)가 하강하여 밸브판(221)이 밸브시트부재(219)에 기밀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외부공기의 유입이 저지된다. 이에 의해 용기본체(201)내부는 부압상태로 유지되어 소정의 처치가 가능하게 된다. 원하는 처치가 끝난 후에는, 밸브체(220)의 외부에 노출된 외단걸림부(223)를 손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밸브판(221)을 밸브시트부재(219)로부터 이격시켜 외부공기가 요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본체(201)내의 부압상태를 해제하고 이에 따라 용기본체(201)는 인체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부항기에 있어서는, 밸브시트부재(219)와 스프링(225)이 사용되고 있는 등 소요부품의 수가 비교적 많고, 그에 따라 제조원가 및 조립공수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기관내의 밸브구조물을 분해하기 곤란하므로, 추출된 어혈등 체액이 배기관내로 유입되었을 경우 내부의 청소가 용이하지 않아 청결을 유지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와 최소의 부품으로 확실한 밸브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밸브구조를 가진 부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해 및 조림이 용이한 밸브구조를 갖는 부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부에 공기유통을 위한 배기공을 갖는 종형상의 용기본체와, 상기 배기공에 외측이 밸브시트부가 형성되어 있는 관형상의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범위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밸브시트부에 외측으로부터 기밀적으로 안착되는 밸브판과, 상기 배기관의 내경부와의 사이에 공기유동통로를 두고 상기 밸브판으로부터 상기 배기관을 따라 용기내측을 향해 연장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내측단에서 상기 연결부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기관의 소정부위에 내측으로부터 걸리어 외향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갖는 밸브체를 포함하는 부항기에 의해 해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부항기는 두 개의 부재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가장 간단한 구성은, 배기관이 내벽으로부터 내향 돌출된 배기관플랜지를 가지고, 이 배기관플랜지의 외측면이 밸브시트부를 형성하며, 배기관플랜지의 내측면은 밸브체의 걸림부가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용기본체 내부의 부압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밸브체는 외측으로부터 인출조작이 가능한 손잡이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체로부터 추출된 혈액등 체액이 배기관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배기관이 용기본체의 내부에까지 연장 형성되어 용기본체의 내벽면과 배기관사이에 하측으로 돌출된 내향연장부가 있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배기관은 사출 등에 의해 용기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혹은 별개로 제작되어 조립할 수도 있다.
밸브체는 유연성이 우수한 고무 재질을 사용하여 단일체로서도 용이하게 탄성 변형되어 배기관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둘 이상의 상호 조립 가능한 부분으로 만들어 사후 조립하도록 할 수 있다.
밸브체는 그 걸림부로부터 용기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더욱 연장기둥부를 더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밸브체의 직선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연장기둥부의 내측말단부에 가로방향으로 확장된 내측단확장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내측단확장부는 배기관의 내경부보다 작도록 하여 밸브체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로서 역할하거나, 밸브체의 외향이탈을 방지하는 추가의 걸림부로서, 혹은 배기관에 형성된 추가의 밸브시트부와 상호작용 하는 추가의 밸브판으로서 역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연장기둥부의 말단에 추가되는 부가밸브부가 용기 본체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내향플랜지를 배기관내에 형성함으로써, 밸브체가 불의로 부압상태의 용기본체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관은 2단의 밸브시트부를 가지고, 밸브체는 이 2단의 밸브시트부에 대응하는 2단의 밸브판을 갖도록 하여 이중의 밸브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호 상이한 실시예에서 동일부분 및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부항기의 부분절개사시도이며, 제2도(a) 내지 (b)는 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제1도와 제2도(a)를 참조하면,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부항기는, 종형상의 용기본체(1)와, 이 용기본체(1)의 상부에 일체로 성형되어 공기유통을 위한 배기공(14)이 형성된 관상의 배기관(10)을 가진다. 배기관(10)은 진공펌프에 연결된 도시하지 않은 흡인호스가 삽입될 수 있도록 용기본체(1)로부터 원통상으로 외향 연장되어 있고, 용기본체(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고 있다. 배기관(10)의 상단부에는 내향돌출된 환상의 배기관플랜지(11)가 형성되어 외측은 밸브시트부(13)가 되고 내측은 걸림턱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배기관(10)내에 삽입되는 밸브체(20)는 탄성변형성이 우수한 고무 재질로 만들어지며, 배기관플랜지(11)의 외면에 기밀적으로 접촉하는 환상의 밸브판(22)과, 배기관플랜지(11)의 내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걸릴 수 있는 환상의 걸림부(24), 및 밸브판(22)과 걸림부(24)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23)를 가지고 있으며, 밸브체(20)의 상단에는 조작용 손잡이(21)가 마련되어 있다. 연결부(23)의 길이는, 밸브체(20)가 최소한의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배기관플랜지(11)의 두께보다 약간 길다.
그리고, 걸림부(24)와 연결부(23)에는 배기관플랜지(11)와의 사이에서 공기의 유통이 자유롭도록 하기 위해 공기유통홈(25)이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밸브체(20)의 상하이동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연결부(23)가 배기관플랜지(11)의 내경부에 거의 접촉하도록 하고, 또 걸림부(24)의 강성과 기능을 높이기 위해 배기관플랜지(11)의 내측면에 거의 전면적으로 접촉하도록 하기 위하여 공기 유통홈(25)을 형성하였지만, 연결부(23)를 배기관플랜지(1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고 걸림부(24) 및/또는 배기관플랜지(11)의 내측면에 틈새를 제공할 수 있는 미도시된 돌기를 둔다면 공기유통홈(25)이 필요 없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부항기의 조립작업은, 밸브체(20)의 걸림부(24)부분을 탄성적으로 변형시켜 배기관(10)의 배기관플랜지(11) 내경부내에 밀어 넣기만 하면, 제2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24)가 배기관플랜지(11)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되어 조립이 간단히 완료되게 된다. 이에 의해 밸브체(20)는 통상의 보관이나 이송시 및 조작의 경우에도 배기관(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고 유지되며, 배기관(10)내의 청소 등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다소 강한 힘으로 밸브체(20)를 변형시켜 당기면 배기관(10)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므로, 그 조립 및 분해가 매우 간단하다.
부항기를 사용하여 처치를 할 경우에는 미도시된 공기흡인용 진공펌프에 연결된 공기흡인호스가 배기관(10)의 외측 둘레에 삽입되어 펌프의 작동에 의해 공기가 흡인되면, 제2도(a)상태의 밸브체(20)는 펌프의 흡인작용에 의해 상향 이동하여, 제2도(b)에서와 같이 밸브판(22)이 배기관플랜지(11)의 밸브시트부(13)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용기본체(1)내부의 공기는 걸림부(24)와 연결부(23)에 형성된 공기유통홈(25)을 따라 외부로 즉 흡인호스내로 빠져나가게 된다. 공기가 충분히 인출되어 용기본체(1)내에 소망하는 정도의 부압상태가 되면 진공펌프의 작동은 중지되고 흡인호스는 제거된다. 이때, 밸브체(20)는, 제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내의 부압에 기인하여 용기본체(1)를 향해 하향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밸브체(20)의 밸브판(22)은 배기관플랜지(11)의 밸브시트(13) 외표면에 기밀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그리하여 외부로부터의 공기유입은 확실히 저지되고 따라서 용기본체(1)내부의 부압상태는 지장없이 유지되게 된다.
용기본체(1)내의 부압을 이용한 소정의 처치가 종료되면, 조작자는 밸브체(20)의 상단에 있는 손잡이부(21)를 상부로 끌어당긴다. 이에 의해 제2도(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밸브판(22)과 밸브시트부 즉 배기관플랜지(11)의 외표면간의 기밀적 접촉이 해제되어 외부의 공기가 용기본체(1)내부로 유입되게 되며, 용기본체(1)내의 부압상태는 제거되어 인체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용기본체(1)는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때 밸브체(20)는 걸림부(24)가 배기관플랜지(11)의 내측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손잡이(21)를 조작자가 적당한 힘으로 끌어당기더라도 외부로 이탈되지 아니한다.
한편, 배기관(10)은 용기분체(1)의 내부에까지 연장된 내향연장부(12)를 가지고 있다. 이 내향연장부(12)는 용기본체(1)내에 흡인된 혈액 등의 체액이 용기 본체(1)의 내벽을 따라 배기관(10)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추가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 기능 및 작용에 대해서는 중복하여 언급하지 아니한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의 부분절결사시도이다. 이들 실시예에서, 밸브체(20)는, 걸림부(24)로부터 더욱 하향 연장된 연장기둥부(26)를 가지고 있고, 이 연장기둥부(26)의 하단에는 밸브체(20)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확장된 내측단 확장부(27,27a)가 마련되어 있다. 연장기둥부(26)는 배기관(10)과의 사이에 공기유동을 허용하도록 배기관(1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 또는 큰 직경으로 공기유동홈(25)과 유사한 공기유동홈(25a)을 가질 수 있다. 이 연장기둥부(26)는, 밸브체(2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연결부(23)가 비교적 짧은 데 기인하여 나빠질 수 있는 밸브체(20)의 직선 이동성을 향상시키기는 역할을 한다.
또한 연장기둥부(26)의 말단에 형성된 내측단확장부(27,27a)가 배기관의 내경보다 큰 경우 배기관(10)의 내향연장부(12)의 하단에 접촉하여 걸림부(24)의 걸림 역할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이들 내측단확장부(27,27a)와 내향연장부(12)의 하단간의 공기유통을 허용하기 위하여,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향연장부(12)의 하단과 접촉하는 내측단확장부(27)의 상면을 요철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향연장부(12)의 하단에 절결부(31)를 형성할 수 있다.
제5도는 제4실시예의 부분절개사시도이고, 제6도(a) 및 (b)은 제5도에 따른 부항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도 및 제2도에 따른 제1실시예와 달리, 밸브시트부(13a) 및 걸림턱으로서 역할 하는 내향플랜지(11a)가 배기관(10)의 상단이 아니라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내향플랜지(11a)의 상측 및 하측 각각 밸브체(20)의 밸브판(22)과 걸림부(24)가 각각 배치되고 이들을 연결부(23)가 연결하며 공기유통홈(25)을 구비하여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작용을 수행한다. 밸브판(22)으로부터 상방으로 기둥형상의 연장부(26a)가 마련되어 있고, 이 연장부(26a)의 상단에 배기관(10)의 밸브시트부(13)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2차밸브판(22a)이 마련되어 있고, 그 위에 손잡이(21)가 위치한다. 제2도(a) 및 (b)에 대응하도록 도시된 제6도(a) 및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부항기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내향플랜지(11a)의 밸브시트부(13a)에서 작용하는 밸브판(22)과 동일하게 배기관(10)의 밸브시트부(13)에서 작용하는 제2밸브판(22a)이 부가되어 있으므로, 밸브의 기능이 더욱 확실해질 수 있다.
제7도는 제3도 및 제5도에 따른 제2실시예 및 제4실시예를 변형한 제5실시예의 부분종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밸브체(20)의 밸브판(22)이 내향플랜지(11a)의 밸브시트부(13a)면에 접촉하고 제2밸브판(22a)이 배기관(10)의 상부에 있는 밸브시트부(13)에 접촉하여 각각 밸브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제2실시예와 같이 내측단확장부(27)가 배기관(10)의 내향연장부(12) 하단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이 실시예에서는, 밸브체(20)가, 제2밸브판(22a)과 손잡이(21)를 포함하는 부분과, 밸브판(22)과 연장기둥부(26) 및 연결부(23)를 포함하는 부분, 및 공기유통홈(25)이 형성된 내측단확장부(27)로 이루어진 세 개의 부재로 분할되어 있고, 이들을 걸림 돌기가 있는 연결핀(30)으로 상호 결합하고 있다. 이 실시예로부터 밸브체(20)가 복수의 부재로 분할되어 상호 조립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제8도 (a) 및 (b)은 제6실시예의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를 각각 나타낸 부분종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5도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배기관(10)과 내향플랜지(11a)를 가지고 있지만, 이 배기관(10)내에 부가의 삽입비기관(10a)이 끼워져 있다. 삽입배기관(10a)은 배기관(10)과 유사하게 관상체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내향플랜지(11b)를 구비하고 있다. 이 삽입배기관(10a)내에 밸브체(20)가 삽입되며, 삽입배기관의 내향플랜지(11b)가 밸브판(22)에 대한 밸브시트부(13a) 및 걸림부(24)에 대한 걸림턱의 역할을 수행한다. 삽입배기관(10a)의 상단은 제2밸브판(22a)이 밀착되는 밸브시트부(13c)로서 역할한다. 또한 밸브체(20)는 제5도의 제4실시예와 동일하게 연결부(23), 연장부(26a), 손잡이(21) 및 공기유통홈(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존 배기관(10)의 내향플랜지(11a)는 더 이상 밸브시트부(13a) 혹은 걸림턱으로서의 기능을 갖지 아니하며, 단순히 삽입배기관(10a)을 지지하는 역할만을 수행한다. 이 실시예는 밸브체(20)와 삽입배기관(10a)의 재질을 연질 또는 경질의 고무 소재를 조화롭게 선정함으로써 밸브의 개폐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소재 자체의 탄성력을 통해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소독 및 청소시 분해가 편리하다.
제9도 (a) 및 (b)은 제7실시예의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를 각각 나타낸 부분종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8도의 실시예와 같이 삽입배기관(10b)을 채용하고 있지만, 밸브시트부(13a)와 걸림턱으로 역할하는 배기관플랜지(11a)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상단에 마련되어 있다. 밸브체(20)의 연결부(23)의 상하에 형성된 밸브판(22)과 공기유통홈(25)을 갖는 걸림부(24)는 각각 배기관플랜지(11c)의 상하부에 각각 위치한다. 걸림부(24)는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고 그 말단부는 추가의 부가밸브부(28)를 형성한다. 이 부가밸브부(28)와 대응하는 밸브시트부(13a)는 배기관(10)으로부터 내향 돌출한 내향플랜지(11a)에 의해 제공된다. 부가밸브부(28)는 밸브판(22)과 연동하여 내향플랜지(11a)의 내경부를 개폐하여 밸브판(22)의 밸브기능을 추가 및/또는 보완한다. 부가밸브부(28)의 개폐기능을 증대시키기 위해 그 선단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대응하는 내향플랜지(11a)의 내경부는 경사면을 갖는다.
제10도(a) 및 (b)은 제8실시예의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를 각각 나타낸 부분종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3도 및 제4도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배기관(10)의 내향연장부(12)의 저면에 접하며 공기유통로(25)를 갖는 내측단확장부(27)가 연장기둥부(26)와 별개로 만들어져 일체로 조립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는 점과 공기유통홈(25b)이 배기관(10)의 상단에 내향돌출되어 있는 배기관플랜지(11)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또한, 제10도(a) 및 (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부(23)의 상하에 있는 밸브판(22)와 걸림부(24)의 접지 및 걸림을 위한 밸브체(20)의 상하이동은 공기의 유출시 발생되는 부압에 의해 밸브체(20) 자신 즉 연장부기둥부(26)의 탄성적 길이변동이나 내측단확장부(27)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승하여 걸림부(24)가 배기관 플랜지(11)의 저면에 걸리는 개방 상태 및 원상태로 복귀하여 밸브판(22)이 배기관플랜지(11)의 상측 밸브시트부(13)에 접하여 부압 상태를 유지시키게 할 수도 있다.
제11도는 제9실시예의 부분종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배기관(10)상단의 밸브시트부(13)와 내향플랜지(11a)의 밸브시트부(13a)에서 밸브체(20)의 밸브관(22) 및 부가밸브부(28)가 이중의 개폐기능을 수행하며, 공기유통홈(25)을 형성한 내측단확장부(27)는 밸브체(20)와 별도로 제작되어 배기관(10)의 하단에 있는 내향연장부(12)에 끼워져 고정된다. 연결부(23)와 내측단확장부(27)는 후크형식으로 상호 결합되어 있다. 부가밸브부(28)와 그 대응부분의 형상은 제9도 실시예와 유사하다.
제12도는 제10실시예의 부분종단면도이다. 제10실시예의 기본적 구조는, 밸브체(20)의 밸브판(22)은 배기관(10)의 상단부에 마련된 배기관플랜지(11)의 밸브시트부(13)에 접촉하고 내측단확장부(27)는 배기관(10) 하단의 내향연장부(12) 하측으로부터 접촉하며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23)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부가하여, 배기관(10)의 내향연장부(12)의 내경에 별도로 제작된 부가의 밸브시트부재(32)가 고정되고, 이 밸브시트부재(32)에 부가의 밸브부재(33)가 상부로부터 접촉한다. 부가의 밸브부재(33)는 연결부(23)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그 이동은 상방으로는 배기관(10)내에 형성된 멈춤턱(15)에 의해 하방으로는 밸브시트부재(32)에 의해 제한된다.
제13도는 제11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제14도 (a) 및 (b)은 제13도에 따른 실시예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3도 및 제4도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제3도 및 제4실시예와의 차이점은, 걸림부(24)가 거의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배기관플랜지(11)와의 관계에서 공기의 유통을 허용하고 있고, 연장기둥부(26) 하단의 내측단확장부(27)는 배기관(10)의 내향연장부(12) 내경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밸브체(20)의 상하운동을 안내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또한, 밸브판(22b)은 별도로 제작되어 연결부(23)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밸브판(22b)의 재질을 다른 부분과 색상의 변화로 상호 조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차폐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밸브판(22b)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면에 대응하여 배기관플랜지(11)의 내경면도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을갖는다. 제14도 (a)는 밸브체(20)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배기관(10)내에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제15도는 제13실시예의 변형예인 제12실시예의 종단면도로서, 밸브체(20)의 조립 및 분리를 위한 삽입과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연장기둥부(26)에 절개홈(34)을 둔 것으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당겨서 인출시키면 자체의 탄성력과 절개홈(34)의 수축으로 변형을 이루면서 배기관플랜지(11)의 내경으로부터 쉽게 빠져나오게 된다.
제16도는 제13실시예의 부분분해사시도이다. 이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14도 및 제15도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밸브판(22c)의 접촉부(122)가 단면삼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배기관플랜지(11)의 외표면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기밀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제17도 및 제18도는 제14실시예 및 제15실시예의 부분종단면도이다. 이들 실시예에서는, 제16도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지만, 밸브시트부(13)로서 역할하는 배기관플랜지(11)가 약간 하부로 내려와 있고, 밸브판(22d)은 제16도와 같이 배기관플랜지(11)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단면삼각형의 접촉부(122)와 배기관플랜지(13)의 내경부로 일부 들어가서 모서리에 내경부의 모서리에 접촉할 수 있는 경사면을 구비하여, 기밀성을 더욱 증대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19도는 제16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제20도는 제19도에 따른 실시예의 부분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9도 실시예와 유사하다. 차이점은, 밸브체(20)의 밸브판(22)과 삽입배기관(10c)간의 접촉이 경사면에 의해 이루어지고, 연장기둥부(26)하단이 부가밸브부(28)로서 역할 하는 것이 아니라 용기 본체(1)내부를 향한 걸림용으로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밸브체(20)가 용기본체(1)내부의 부압에 의해 용기본체(1)로 끌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기관(10)의 내부에는 부가밸브부(28)가 걸리는 내향플랜지(11a)가 형성되어 있다. 부가밸브부(28)와 내향플랜지(11a)간의 공기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공기유통홈(25c)이 형성되어 있다.
제21도는 제17실시예의 부분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19도 및 제20도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삽입배기관(10d)이 배기관(10)의 내부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외부를 둘러싸도록 되어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제22도는 제18실시예의 부분종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20도 실시예와 같은 삽입배기관(10c)과 제12도 실시예와 같은 부가의 밸브시트부재(32)를 갖는다. 걸림부(24)는 상부가 걸림기능을 수행하고 하부가 밸브시트부재(32)와 상호작용 하는 밸브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걸림부(24)의 하단에는 밸브체(2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연장기둥부(26)가 마련되어 있다.
제23도는 제19실시예의 부분종단면도이다. 진공펌프의 흡인호스에 접속되는 삽입배기관(10e)이 별도로 착탈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삽입배기관(10e)은 용기본체(1)의 상부에 형성된 배기공(14)내에 삽입되어 내향플랜지(11a)에 고정된다. 이러한 삽입고정을 위하여 삽입배기관(10e)은 탄성변형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삽입배기관(10e)을 강성체로 형성하여 나사결합이나 접착제 등에 의해 설치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밸브체(20)는 제1도의 제1실시예과 제19도의 제16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삽입배기관(10e)의 상부개구를 개폐하는 밸브판(22)과 삽입배기관(10a)내의 걸림턱(15a)에 걸리도록 되어 있는 걸림부(24)를 가지고 이들을 연결부(23)가 연결하고 있다. 여기서, 삽입배기관(10e)과 밸브체(20)는 밸브개폐기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양측 모두를 연질로 하거나 일측이 경질일 경우 타측을 연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4도는 제20실시예의 부분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23도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삽입배기관(10f)은 하부영역에 밸브시트로서 역할 하는 내향플랜지(11b)를 가지고 있고, 이와 대응하여 밸브체(20)는 걸림부(24)로부터 연장된 부가밸브부(28)를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2단의 밸브구조가 얻어지게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삽입배기관(10f)의 배기관플랜지(11c)에 접촉하는 밸브판으로서는 전술의 실시예들과는 달리 0링(35)이 채용되어 있다. 0링(35)은 양산성이 우수하여 저렴하게 입수할 수 있고 조립이 용이하며, 기밀성도 비교적 우수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항기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와 최소의 부품으로 확실한 밸브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밸브체 및 삽입배기관은 용기내의 부압상태에서는 그 형태가 변형되지 않으나 조립 및 분리시 그 형태가 탄성 변형하면서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4)

  1. 부항기에 있어서, 상부에 공기유통을 위한 배기공(14)을 갖는 종형상의 용기본체(1)와, 상기 배기공(14)에 외향 연장되게 고정되며 상단부에 내향 돌출된 배기관플랜지(1)의 외측에 밸브시트부(13)가 되는 관형상의 배기관(10)과, 상기 배기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범위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밸브시트부(13)에 외측으로부터 기밀적으로 안착되는 밸브판(22)과, 상기 배기관(10)의 내경부와의 사이에 공기유동통로를 두고 상기 밸브판(22)으로부터 상기 배기관(10)을 따라 용기내측을 향해 연장된 연결부(23)와, 상기 연결부(23)의 내측단에서 상기 연결부(23)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기관(10)의 소정부위에 내측으로부터 걸리어 외향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24)를 갖는 밸브체(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10)은 내벽으로부터 돌출한 내향플랜지(11a)를 가지며, 상기 내향플랜지(11a)의 외측면은 상기 밸브체(20)의 밸브판(22)이 접촉하는 밸브시트부(13a)를 형성하고, 상기 내향플랜지(11a)의 내측면은 상기 밸브체(20)의 걸림부(24)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20)는 외측으로부터의 인출조작을 위한 손잡이(21)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10)은 상기 용기본체(1)의 내부에까지 연장 형성되어 내향연장부(1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10)은 상기 용기본체(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삽입배기관(10a,10b,10c,10d,10e,10f)이 상기 용기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20)에 밸브판(22b,22c,22d)이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20)는 상기 걸림부(24)로부터 상기 용기본체(2)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된 연장기둥부(26)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기둥부(26)의 내측말단부에는 가로방향으로 확장된 내측단확장부(2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단확장부(27)는 상기 배기관(10)의 내경부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단확장부(27)는 상기 배기관(10)의 ㅐ경부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밸브체(20)의 외향이탈을 방지하는 추가의 걸림부로서 역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기둥부(26) 말단의 부가밸브부(28)가 상기 배기관(10)에 형성된 추가의 밸브시트부(32)와 상호작용 하는 추가의 밸브판으로서 역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기둥부(26) 말단의 부가밸브부(28)가 상기 배기관(10)내에 형성된 내향플랜지(11a)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1)내부로의 이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10)은 2단의 밸브 시트부(13,13a)를 가지고, 상기 밸브체(20)의 외주부에는 상기 2단의 밸브시트부(13,13a)에 대응하는 2단의 밸브판(22, 2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
KR1019950001282A 1994-01-22 1995-01-23 부항기 KR0155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1282A KR0155626B1 (ko) 1994-01-22 1995-01-23 부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40001214 1994-01-22
KR94-1214 1994-01-22
KR94-10831 1994-05-16
KR19940010831 1994-05-16
KR94-20208 1994-08-10
KR19940020208 1994-08-10
KR1019950001282A KR0155626B1 (ko) 1994-01-22 1995-01-23 부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420A KR950023420A (ko) 1995-08-18
KR0155626B1 true KR0155626B1 (ko) 1998-10-15

Family

ID=66535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1282A KR0155626B1 (ko) 1994-01-22 1995-01-23 부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56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0644A1 (zh) * 2017-10-23 2019-05-02 杭州哈慈实业有限公司 一种自动热磁灸罐及其控制方法
KR20220066514A (ko) * 2020-11-16 2022-05-24 윤희숙 통로 하부에 요철이 형성된 부항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0644A1 (zh) * 2017-10-23 2019-05-02 杭州哈慈实业有限公司 一种自动热磁灸罐及其控制方法
KR20220066514A (ko) * 2020-11-16 2022-05-24 윤희숙 통로 하부에 요철이 형성된 부항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420A (ko) 199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36447B2 (ja) 内視鏡用の使い捨ての吸引バルブ
AU2007201164B8 (en) A valve connector for medical lines
US6068011A (en) Control of fluid flow
US4653477A (en) Endoscope forceps stopcock
KR100361384B1 (ko) 사전충전형주사기
US9855412B2 (en) Needleless connector module
JP2005525971A5 (ko)
JPH0114780B2 (ko)
JPH02239872A (ja) 注射器の針の保護キャップ
US10806666B2 (en) Needle-free connection device
KR0155626B1 (ko) 부항기
EP0075188B1 (en) A suction device for an endoscope
WO2019201044A1 (zh) 一种新型球囊穿刺管
KR102501729B1 (ko) 수직평면 배치형 흡인세척장치
KR200386026Y1 (ko) 의료용 흡인기
JP5714860B2 (ja) 復水トラップ用弁要素および復水トラップ
WO2001047784A1 (en) Dropper assembly
KR102379760B1 (ko) 개폐 탭 결합 구조의 포트 덮개 및 이를 가진 의료용 포트
CN111330099B (zh) 吸痰罐及吸痰装置
KR102362473B1 (ko) 직렬배치형 흡인세척장치
JPH0434802Y2 (ko)
US20100194060A1 (en) Universal closure and method of lubrication
KR101721403B1 (ko)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침
CN205948143U (zh) 喷雾器
KR970006036Y1 (ko) 부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