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944A - 흡인펌프 밸브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항기 - Google Patents

흡인펌프 밸브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944A
KR20200053944A KR1020180137485A KR20180137485A KR20200053944A KR 20200053944 A KR20200053944 A KR 20200053944A KR 1020180137485 A KR1020180137485 A KR 1020180137485A KR 20180137485 A KR20180137485 A KR 20180137485A KR 20200053944 A KR20200053944 A KR 20200053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suction pump
pressure
valve nozzle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5605B1 (ko
Inventor
양기영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37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605B1/ko
Priority to PCT/KR2019/014446 priority patent/WO2020096261A1/ko
Publication of KR20200053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61M1/0035
    • A61M1/006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hand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44Measuring or controlling pressure at the body treatment si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은 기밀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몸체부 내부에는 음압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몸체부 내부공간과 상기 몸체부의 외부를 연통시켜 상기 몸체부 내부의 과도한 음압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과도한 흡입으로 불편감이나 오랫동안 지속되는 멍이나 과색소침착, 수포 등의 시술 부작용을 예방하여 부항요법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인펌프 밸브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항기{SUCTION PUMP VALVE NOZZLE AND CUPP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흡인펌프 밸브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항기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부항컵과 흡인펌프 사이에 부항컵 내부에 생성되는 과도한 음압을 제한하는 설정이 가능한 흡인펌프 밸브노즐과 이를 포함하는 부항기가 개시된다.
부항요법은 부항컵은 인체의 표면에 배치하고, 부항컵 내부에 음압을 형성하여 피를 뽑거나(사혈) 울혈을 일으키는 물리적 자극으로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목적으로 임상에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부항의 발생기원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오래 전부터 동서양 모두에서 치료법으로 사용되었는데, 동양에서는 발관법, 흡통요법, 흡각법, 흡옥법 등으로 발전하였으며, 서양에서는 고대 그리스 시대 이전부터 의사들이 부항을 사용한 근거를 찾아볼 수 있으며, 중세를 거쳐 영국에서는 커핑 세러피(Cupping therapy), 독일에서는 슈뢰프코프(Schrφpfkopf), 프랑스에서는 방투즈(Ventouse) 등으로 발전하였다.
부항은 피부 표면과 피부 조직사이의 분압 차를 이용해 인체 내 병리적 산물의 하나인 담음과 어혈을 체외로 배출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통해, 체질을 개선하고, 질병 예방과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며, 병적 상태에서는 비생리적 체액의 정화, 전신순환의 개선 및 신진대사의 증진 등으로 자연치유력을 증강시키려는 목적으로 외상성 질환에 국한되지 않고 내과 질환까지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치료법이다.
부항을 몸에 부착시키는 방법은 부항 내부의 공기(산소)를 연소시켜 발생된 열과 음압을 이용하여 부항컵을 피부에 부착시키는 화관법과 흡인펌프를 사용하여 합성수지 부항컵의 배기밸브에 결합시킨 후 공기를 빼내어 부항컵 내부에 음압을 유발하여 흡착시키는 배기법(추기법) 등이 있다.
배기법에 사용되는 흡인펌프는 크게 수동형과 전동형이 쓰이고 있는데, 이들 흡인 펌프의 대부분은 부항 요법을 실시할 때 일정한 시술 압력으로 설정하거나 과도한 압력을 제한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과도한 흡입으로 인한 지속적인 과색소침착, 수포 등의 시술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는 부항 요법의 안전성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부항요법을 수행하기 위해 시중에서 판매되는 부항기는 부항컵, 음압을 제공하는 흡인펌프 및 부항컵과 흡인펌프를 연결하여 흡인펌프에서 생성되는 음압을 부항컵으로 제공하는 흡인펌프 노즐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항기는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92722 “풀 타입의 공기 펌프 일체형 부항기”에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부항컵 내부의 최대 음압을 제한하는 설정이 가능한 흡인펌프 밸브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부항기 내로 전달되는 최대 음압을 여러 단계로 설정할 수 있는 흡인펌프 밸브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기존의 수동식 흡인펌프에 설치할 수 있는 음압 제한 설정용 흡인펌프 밸브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기존의 전동식 흡인펌프에 설치할 수 있는 음압 제한 설정용 흡인펌프 밸브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은 기밀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몸체부 내부에는 음압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몸체부 내부공간과 상기 몸체부의 외부를 연통시켜 상기 몸체부 내부의 과도한 음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의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 및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압력조절부 내에서 상기 개구를 개폐하게 배치되는 마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마개는 상기 몸체부 내부의 음압에 따라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압력조절부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의 상기 압력조절부는 일 단이 상기 마개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을 통해 상기 마개를 상기 개구의 내측에 배치시킬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 내부에 과도한 음압이 발생하면 상기 마개에 의해가 상기 탄성부재가 수축되어 상기 개구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의 상기 몸체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마개에서 연장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중심에 배치되는 수직축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개구 맞은편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의 중심에는 관통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가 수축하면 상기 마개와 상기 수직축은 상기 고정부재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수직축은 상기 관통로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의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이동되는 압력제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압력제어부재가 이동되어서, 상기 압력제어부재의 상기 개구 부분에 배치되는 상기 마개는 상기 탄성부재와 함께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수축 또는 연장되어 탄성계수가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의 상기 압력조절부는 외면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압력제어부재의 내면은 상기 하우징의 외면과 맞물리게 나선형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압력제어부재는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 상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압력조절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는 수축 및 신장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의 상기 압력조절부는 탈착 가능하여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계수를 조절하도록 교체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을 포함하는 부항기는, 음압을 생성하는 흡인 펌프, 상기 흡인 펌프와 분리되게 연결 및 연통되는 밸브노즐, 및 상기 밸브노즐과 분리되게 연결 및 연통되고 상기 밸브노즐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음압을 제공받는 부항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밸브노즐은 상기 흡인 펌프로부터 음압을 제공받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압력조절부와 연통되고 상기 압력 조절부는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마개와 상기 마개를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몸체부 내부의 음압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력보다 강할 경우 상기 마개는 상기 몸체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개구는 개방되고 상기 몸체부 내부와 상기 몸체부 외부가 연통되며, 상기 몸체부 내부의 음압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력보다 약할 경우 상기 마개는 상기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항기에 의하면, 부항컵 내부의 최대 음압을 제한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흡인펌프 밸브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항기가 제공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항기에 의하면, 부항기 내로 전달되는 최대 음압을 여러 단계로 설정할 수 있는 흡인펌프 밸브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항기가 제공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항기에 의하면, 기존의 수동식 흡인펌프에 설치할 수 있는 음압 제한 설정용 흡인펌프 밸브노즐이 제공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항기에 의하면, 기존의 전동식 흡인펌프에 설치할 수 있는 음압 제한 설정용 흡인펌프 밸브노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의 단면 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의 단면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들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의 단면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 정면도이다.
도 5는 수동식 흡인펌프와 부항컵,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항기를 도시한다.
도 6은 전동식 흡인펌프와 부항컵,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항기를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100)의 단면 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200)의 단면 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제3 실시예들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300)의 단면 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100)의 수직방향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100)의 수평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100, 200, 300)은 몸체부(110, 210, 310) 및 압력조절부(12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 210, 310)는 두 개의 연결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연결부분들에는 각각 부항컵(C)과 흡인펌프(P1, P2)가 설치될 수 있다. 몸체부(110, 210, 310)의 측면에 설치되는 각각의 부항컵(C)과 흡인펌프(P1, P2)는 경우에 따라서 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부항기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부항컵(C)을 몸체부(110, 210, 310)에 설치할 수 있고, 동시에 흡인펌프(P1, P2)를 몸체부(110, 210, 310)에 설치할 수 있다.
몸체부(110, 210, 310)는 관 형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원통형일 수 있다. 몸체부(110, 210, 310) 상에 부항컵(C)과 흡인펌프(P1, P2)가 설치되면 몸체부(110, 210, 310)는 기밀상태(air tight)를 유지할 수 있으며, 둘 사이를 연통시킬 수 있다. 즉, 흡인펌프(P1, P2)는 흡인펌프(P1, P2)와 부항컵(C) 및 몸체부(110, 210, 310)의 결합에 따라 몸체부(110, 210, 310) 내부에 형성되는 기밀되는 공간에 음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음압은 몸체부(110, 210, 310)를 지나 부항컵(C)에 제공될 수 있다. 즉, 몸체부(110, 210, 310)를 통해 흡인펌프(P1, P2)는 부항컵(C)에 음압을 제공할 수 있다.
압력조절부(120)는 몸체부(110, 210, 310)의 일 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몸체부(110, 210, 310) 내부의 음압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력조절부(110, 210, 310)는 몸체부(110, 210, 310) 내부의 공간과 몸체부(110, 210, 310)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122, 222, 322) 및 개구(122, 222, 322)를 막는 마개(124, 224, 324)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개(124, 224, 324)는 몸체부(110, 210, 310)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음압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몸체부(110, 210, 310) 내부 공간의 형성되는 음압이 미리 설정된 수준 이상인 경우 마개(124, 224, 324)는 개방되어서 몸체부(110, 210, 310) 내부 공간과 외부가 연통될 수 있다. 즉, 몸체부(110, 210, 310) 내부 공간의 음압이 외부와의 연통에 의해 저감되도록 몸체부(110, 210, 310) 내부 공간의 최대 음압이 제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다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100)은 위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몸체부(110) 및 압력조절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조절부(120)는 몸체부(110)와 내부공간을 서로 공유할 수 있으며, 마개(124)는 압력조절부(120) 내측면에서 압력조절부(120)의 일 측에 배치되는 개구(122)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압력조절부(120)는 또한 일 단이 마개(124)와 연결되는 탄성부재(126)와 일 단이 마개(124)와 연결되는 수직축(128)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축(128)은 예를 들어 스프링 형상을 갖는 탄성부재(126)의 중심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내측면에 이러한 탄성부재(126)의 타 단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12)의 중심에는 관통로(2122)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26)는 마개(124)가 압력조절부(120)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탄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즉 마개(124)가 개구(122)와 접촉하여 몸체부(110) 내부 공간을 폐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마개(124)는 몸체부(110) 내부 공간의 음압에 따라 이동되는데, 마개(124)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26)의 탄성력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126)가 마개(124)를 미는 탄성력이 몸체부(110) 내부 공간의 음압보다 크면 마개(124)는 압력조절부(120)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탄성부재(126)가 마개(124)를 미는 탄성력이 몸체부(110) 내부 공간의 음압보다 작으면 마개(124)는 압력조절부(120)의 개구(122)와 이격되어 개방되고, 몸체부(110) 내부 공간과 몸체부(110) 외부는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10) 내부의 음압은 감소될 수 있으며, 몸체부(110) 내부의 음압이 탄성부재(126)가 마개(124)를 미는 탄성력보다 작아지면, 탄성부재(126)는 다시 마개(124)를 압력조절부(120)의 내측면으로 밀어 개구(122)를 폐쇄시킬 수 있다.
마개(124)의 이동에 따라 마개(124)와 연결되는 수직축(128)도 함께 이동되며, 수직축(128)은 관통로(1122)로 인입될 수 있다. 관통로(1122)는 수직축(128)의 두께보다 미세하게 더 클 수 있다.
수직축(128)은 탄성부재(126)의 횡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흡인펌프 밸브노즐(10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도 2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200)은 위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몸체부(210) 및 압력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200)은 실시예 1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고정부재(212), 관통로(2122), 개구(222), 마개(224), 탄성부재(226) 및 수직축(228)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200)의 압력조절부는 압력제어부재(221)와 하우징(2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23)은 몸체부(210)의 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일 단이 개방되어 있고, 하우징(223)의 외면에는 압력제어부재(221)가 하우징(223)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압력제어부재(221)는 하우징(223)의 개방된 단부를 덮어서 압력조절부(및 몸체부(210)의 내부 공간)을 기밀시킬 수 있다. 압력제어부재(221)의 일 면에는개구(2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마개(224)가 개구(222)에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마개(224)의 후방에는 탄성부재(226)와 수직축(128)이 배치되며, 탄성부재(226)의 일 단은 고정부재(212)에 의해 몸체부(2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223)의 외면은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223)을 덮는 압력제어부재(221)의 내면에는 하우징(223) 외면의 나선형에 대응되는 나선형이 형성되어서 하우징(223)과 압력제어부재(221)는 서로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압력제어부재(221)의 나선형 내면이 하우징(223)의 나선형 외면을 따라서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에 따라 압력제어부재(221)가 몸체부(210)와 이격되거나 근접될 수 있다.
압력제어부재(221)의 이동에 따라 압력제어부재(221)의 내측면과 접촉된 마개(221)도 이동될 수 있으며, 마개(221)의 이동에 따라 탄성부재(226)가 신축될 수 있다.
탄성부재(226)는 신축에 따라 탄성력이 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력제어부재(221)가 몸체부(210) 방향으로 이동되면 탄성부재(226)는 수축되어 복원력이 증가될 수 있고, 압력제어부재(221)가 몸체부(21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탄성부재(226)는 신장되어 복원력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226)의 신축에 따라 탄성력이 변화되며, 이에 따라 마개(221)가 움직이는 몸체부(210) 내부 공간의 최대 음압도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제어부재(221)가 몸체부(210) 방향으로 이동되면 탄성부재(226)의 탄성력이 증가되어 마개(221)가 이동하기 위해 필요한 음압의 크기는 증가될 수 있고, 압력제어부재(221)가 몸체부(21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탄성부재(226)의 탄성력이 감소되어 마개(221)가 이동하기 위해 필요한 음압의 크기는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압력제어부재(221)의 회전에 의해 몸체부(210) 내부공간에 허용되는 최대 음압이 조정될 수 있다.
압력제어부재(221)와 하우징(223)이 최대로 회전되면 압력제어부재(221)는 하우징(22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압력제어부재(221)는 교체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300)은 위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몸체부(310) 및 압력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300)은 실시예 1와 실시예 2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개구(322), 마개(324), 탄성부재(326), 수직축(328), 하우징(323) 및 압력제어부재(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300)의 몸체부(310)와 압력조절부(하우징(323) 및 압력제어부재(321)) 내부의 공간은 서로 격리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탄성부재(326)를 고정하는 고정부재(312)는 몸체부(31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몸체부(310)의 내부 공간에는 탄성부재(326), 수직축(328) 및 마개(324)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312) 상에는 탄성부재(326)의 중심을 따라 배치되는 수직축(328)이 수용될 수 있는 관통로(3122)와 압력조절부 및 몸체부(310)의 내부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314)이 배치될 수 있다.
개구(322)를 통해 압력조절부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연통구멍(314)을 통해 몸체부(310) 내부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200, 300)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200)과 제3 실시예에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300)의 압력제어부재(221, 321) 상에는 텍스트가 프린트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압력제어부재(221, 321)의 회전량 또는 몸체부(210, 310) 내부 공간의 최대 설정 음압을 단계별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텍스트를 통해 흡인펌프 밸브노즐(200, 300)의 최대 음압을 확인할 수 있고, 압력제어부재(221, 321)를 회전시켜 최대 음압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수동식 흡인펌프(P1)와 부항컵(C),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100, 200, 300)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항기 도시하고, 도 6은 전동식 흡인펌프(P2)와 부항컵(C),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따른 흡인펌프 밸브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항기를 도시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흡인펌프 밸브노즐(100, 200, 300)에는 흡인펌프(P1, P2)와 부항컵(C)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흡인펌프 밸브노즐은 부항컵 내부의 최대 음압을 제한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최대 음압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기존의 수동식 흡인펌프 연결노즐과 전동식 흡인펌프 연결노즐을 대체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흡인펌프 밸브노즐
110 : 몸체부
112 : 고정부재
1122 : 관통로
120 : 압력조절부
122 : 개구
124 : 마개
126 : 탄성부재
128 : 수직축
200 : 흡인펌프 밸브노즐
210 : 몸체부
212 : 고정부재
2122 : 관통로
221 : 압력제어부재
222 : 개구
223 : 하우징
224 : 마개
226 : 탄성부재
228 : 수직축
300 : 흡인펌프 밸브노즐
310 : 몸체부
312 : 고정부재
3122 : 관통로
314 : 개구
321 : 압력제어부재
322 : 개구
323 : 하우징
324 : 마개
326 : 탄성부재
328 : 수직축
C : 부항컵
P1 : 수동식 흡인펌프
P2 : 전동식 흡인펌프

Claims (8)

  1. 기밀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 내부에는 음압이 형성되며,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몸체부 내부공간과 상기 몸체부의 외부를 연통시켜 상기 몸체부 내부의 과도한 음압을 방지하는, 흡인펌프 밸브노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 및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압력조절부 내에서 상기 개구를 개폐하게 배치되는 마개;
    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는 상기 몸체부 내부의 음압에 따라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압력조절부 내부에서 이동되는, 흡인펌프 밸브노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는 일 단이 상기 마개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을 통해 상기 마개를 상기 개구의 내측에 배치시키고,
    상기 몸체부 내부에 과도한 음압이 발생하면 상기 마개에 의해가 상기 탄성부재가 수축되어 상기 개구가 개방되는, 흡인펌프 밸브노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마개에서 연장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중심에 배치되는 수직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개구 맞은편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중심에는 관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수축하면 상기 마개와 상기 수직축은 상기 고정부재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수직축은 상기 관통로에 수용되는, 흡인펌프 밸브노즐.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이동되는 압력제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제어부재가 이동되어서, 상기 압력제어부재의 상기 개구 부분에 배치되는 상기 마개는 상기 탄성부재와 함께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수축 또는 연장되어 탄성계수가 변화하는, 흡인펌프 밸브노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는 외면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제어부재의 내면은 상기 하우징의 외면과 맞물리게 나선형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압력제어부재는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 상에서 이동되며,
    상기 압력조절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는 수축 및 신장되고, 흡인펌프 밸브노즐.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는 탈착 가능하여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계수를 조절하도록 교체되는, 흡인펌프 밸브노즐.
  8. 음압을 생성하는 흡인 펌프;
    상기 흡인 펌프와 분리되게 연결 및 연통되는 밸브노즐; 및
    상기 밸브노즐와 분리되게 연결 및 연통되고 상기 밸브노즐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음압을 제공받는 부항컵;
    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노즐은,
    상기 흡인 펌프로부터 음압을 제공받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압력조절부와 연통되고 상기 압력 조절부는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마개와 상기 마개를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 내부의 음압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력보다 강할 경우 상기 마개는 상기 몸체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개구는 개방되고 상기 몸체부 내부와 상기 몸체부 외부가 연통되며, 상기 몸체부 내부의 음압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력보다 약할 경우 상기 마개는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흡인펌프 밸브노즐을 포함하는 부항기.
KR1020180137485A 2018-11-09 2018-11-09 흡인펌프 밸브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항기 KR102255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485A KR102255605B1 (ko) 2018-11-09 2018-11-09 흡인펌프 밸브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항기
PCT/KR2019/014446 WO2020096261A1 (ko) 2018-11-09 2019-10-30 부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485A KR102255605B1 (ko) 2018-11-09 2018-11-09 흡인펌프 밸브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944A true KR20200053944A (ko) 2020-05-19
KR102255605B1 KR102255605B1 (ko) 2021-05-25

Family

ID=70913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485A KR102255605B1 (ko) 2018-11-09 2018-11-09 흡인펌프 밸브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6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687B1 (ko) * 2020-04-27 2020-07-13 (주)씨에스이 전동식 부항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842B1 (ko) * 2013-12-13 2015-06-30 한국 한의학 연구원 정압 부항 장치
CN108310495A (zh) * 2018-02-12 2018-07-24 潘爱平 一种带有负压补偿腔的火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842B1 (ko) * 2013-12-13 2015-06-30 한국 한의학 연구원 정압 부항 장치
CN108310495A (zh) * 2018-02-12 2018-07-24 潘爱平 一种带有负压补偿腔的火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687B1 (ko) * 2020-04-27 2020-07-13 (주)씨에스이 전동식 부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605B1 (ko)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0458C2 (ru) Назальная канюля и содержащее ее устройство интерфейса пациента
US20210283390A1 (en) Compressible needleless valve assembly
RU2688318C2 (ru) Новый безыгольный коннектор доступа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CN105078650B (zh) 一种眼部按摩器
BR112015026425A2 (pt) prótese de válvula cardíaca, stent e folheto
JP2005523782A (ja) ニードルレスルアーアクセスコネクタ
RU2002124774A (ru) Имплантируемое инъе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ед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ых препаратов
JP2019517312A5 (ko)
US20170248134A1 (en) Low-force pumping segment
KR20200053944A (ko) 흡인펌프 밸브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항기
US6543445B1 (en) Non-invasive sinus pain relieving assembly and method
CN102294057B (zh) 左心室辅助血泵
CN106691802A (zh) 分体式肢端血液循环障碍治疗机
US10994117B2 (en) Multi-cap for connecting catheter
US9610418B2 (en) Patient interface device including a pneumatically adjusting forehead support
CN109646779A (zh) 呼吸面罩的衬垫、呼吸面罩以及通气治疗设备
EP3372264A1 (en) Syringe
CN107087853A (zh) 一种鞋垫
CN106109194A (zh) 气流脉冲式按摩椅
CN107157652A (zh) 可视调压鼓膜微振仪
KR102236197B1 (ko) 감압 속도 조절 부항컵 및 감압 속도 조절 부항 장치
KR102112458B1 (ko) 압력 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력 조절 방법
US10821252B2 (en) Nasal pillow and patient interface including the same
CN205832259U (zh) 一种理疗装置
CN108175876A (zh) 一种乳腺引流清洗治疗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