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829B1 -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829B1
KR101532829B1 KR1020130061961A KR20130061961A KR101532829B1 KR 101532829 B1 KR101532829 B1 KR 101532829B1 KR 1020130061961 A KR1020130061961 A KR 1020130061961A KR 20130061961 A KR20130061961 A KR 20130061961A KR 101532829 B1 KR101532829 B1 KR 101532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plastic raw
chamber
plastic
dry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1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0920A (ko
Inventor
장영태
Original Assignee
장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태 filed Critical 장영태
Priority to KR1020130061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829B1/ko
Publication of KR20140140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6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8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using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06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10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1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 B29B7/14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with screw or hel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2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e.g. viscosity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스크류를 적용하여 플라스틱 원료를 교반하면서 제습과 건조를 진행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장치는 플라스틱 원료를 공급받아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건조하는 플라스틱 원료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원료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플라스틱 연료가 이송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플라스틱 연료에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램프 및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플라스틱 원료를 교반시키면서 이송시키는 스크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 {Agitating and Drying apparatus for plastic material using NIR}
본 발명은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스크류를 적용하여 플라스틱 원료를 교반하면서 제습과 건조를 진행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제품은 사출기 또는 압출기와 같은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이때, 플라스틱 성형장치는 펠렛(pellet) 또는 비드(bead) 형태의 플라스틱 원료가 공급되어 플라스틱 제품으로 가열 성형된다.
플라스틱 원료는 재질에 따라 일정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대기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성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성형장치에 투입되는 플라스틱 원료에 수분이 과도하게 포함된 경우 성형과정에서 플라스틱 원료가 가수분해되어 강도와 인성이 저하되는 등의 열화 현상이 발생하거나, 기포 발생 혹은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외관불량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플라스틱 원료의 수분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건조장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원료 건조장치는 플라스틱 원료가 공급되어 채워지는 호퍼의 내부공간에 열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히터를 사용한 열풍 건조방식과, 탈습공기를 사용한 제습 건조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라스틱 원료 건조장치는 호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거나 호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탈습시키기 위한 설비들이 설치됨으로써 복잡한 내부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종래의 건조장치는 고온의 열풍을 제공하는데 소비되는 전력소모가 매우 클 뿐만 아니라 고장 발생률이 높아져서 플라스틱 제품의 제조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건조장치는 호퍼로 플라스틱 원료를 투입하여 채우는 과정에서 플라스틱 원료와 더불어 이물질이 호퍼내부로 공급되어 플라스틱 원료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열풍 건조방식의 경우 고온의 열풍에 의해 건조대상물인 플라스틱 원료가 산화되기 쉽고, 호퍼 내부의 불균일한 열 분포로 인해 플라스틱 원료가 부분적으로 과열되어 변성되거나 열변형이 발생하고, 이를 소재로 하여 성형되는 플라스틱 제품의 불량률이 높이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또한, 적외선 건조기를 포함하는 일반적 용기형태의 건조기는 원재료의 교반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건조 효율의 저하가 나타나고 비건조 원재료로 인하여 제품의 불량이 발생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07497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근적외선 램프와 진공장비를 사용하여 건조공정을 진행하는 동시에 이송용 교반 스크류를 적용함으로써 플라스틱 원료의 수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시에 건조시간 단축과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플라스틱 원료를 공급받아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건조하는 플라스틱 원료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원료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플라스틱 연료가 이송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플라스틱 연료에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램프 및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플라스틱 원료를 교반시키면서 이송시키는 스크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챔버는 그 내부가 진공 분위기로 유지되도록 진공펌프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챔버의 유입구에는 플라스틱 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호퍼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퍼와 상기 챔버의 유입구 사이에는 플라스틱 원료의 이송을 제어하기 위한 유입구 밸브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챔버의 배출구에는 건조된 플라스틱 원료를 저장하는 저장탱크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챔버의 배출구 사이에는 플라스틱 원료의 이송을 제어하기 위한 배출구 밸브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탱크에는 배출된 플라스틱 원료의 양을 감지할 수 있도록 레벨센서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구 밸브는 상기 레벨센서에 의해 감지된 플라스틱 원료의 높이에 개폐되도록 제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챔버의 배출구에는 배출되는 플라스틱 원료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램프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플라스틱 연료의 온도에 따라 온오프 제어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에 의한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는 근적외선과 진공장비를 적용함으로써 플라스틱 원료에 포함된 수분 및 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2) 본 발명에 의한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는 교반 스크류 장비를 도입함으로써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3) 본 발명에 의한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는 진공상태에서 근적외선을 조사함과 동시에 스크류 장비에 의해 교반을 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플라스틱 원료들의 공급 위치에 상관없이 고르게 건조작업이 진행되어 미건조 원료에 의한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가 설치된 플라스틱 성형장치의 전체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의 동작 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원료(100)를 공급받아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건조하는 플라스틱 원료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원료(100)가 유입되는 유입구(20a)와 배출되는 배출구(20b)가 형성되고 상기 플라스틱 연료(100)가 이송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는 챔버(20)와, 상기 챔버(20)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플라스틱 연료(100)에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램프(30) 및 상기 챔버(20) 내부에 설치되어 플라스틱 원료(100)를 교반시키면서 이송시키는 스크류(2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챔버(20)는 그 내부가 진공 분위기로 유지되도록 진공펌프(24)와 연결된다. 상기 챔버(20)의 유입구(20a)에는 플라스틱 원료(100)를 공급하기 위한 호퍼(11)가 연결된다. 상기 호퍼(11)와 상기 챔버(20)의 유입구(20a) 사이에는 플라스틱 원료(100)의 이송을 제어하기 위한 유입구 밸브(12)가 설치된다.
또, 상기 챔버(20)의 배출구(20b)에는 건조된 플라스틱 원료(100)를 저장하는 저장탱크(50)가 연결된다. 상기 저장탱크(50)와 상기 챔버(20)의 배출구(20b) 사이에는 플라스틱 원료(100)의 이송을 제어하기 위한 배출구 밸브(20b)가 설치된다.
또, 상기 저장탱크(50)에는 배출된 플라스틱 원료(100)의 양을 감지할 수 있도록 레벨센서(51)가 설치된다. 상기 배출구 밸브(40)는 상기 레벨센서(41)에 의해 감지된 플라스틱 원료(100)의 높이에 개폐되도록 제어된다.
또, 상기 챔버(20)의 배출구(20b)에는 배출되는 플라스틱 원료(10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5)가 설치된다. 상기 램프(30)는 상기 온도센서(25)에 의해 감지된 플라스틱 연료(100)의 온도에 따라 온오프 제어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건조장치가 설치된 플라스틱 성형기(1)가 도시되어 있다. 플라스틱 성형기(1)는 대부분 플라스틱 원료(100)를 공급 받아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사출함으로써 사출 성형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렇게 플라스틱 원료(100)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플라스틱을 사출성형하는 성형기는 플라스틱 원료(100)에 이물질이 있으면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같이 사출성형된 제품에 불량이 발생하거나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특히 플라스틱 원료(100)는 통상 세척 등의 사전 작업을 하기 때문에 수분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그렇지 않으면 최종제품에 수분이나 이물질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아 기포나 이물질이 섞여 성형됨으로써 바로 불량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장치(10)는 사출성형 전에 플라스틱 원료(100)를 깨끗하고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건조하여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장치(10)는 호퍼(11)가 설치된다. 상기 호퍼(11)는 내부에 플라스틱 원료(100)가 처음으로 공급되는 바, 배출구가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호퍼(11)의 하단 배출구는 플라스틱 원료(100)가 자중에 의해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호퍼(11)의 배출구는 챔버(20)의 유입구(20a)에 연결된다.
상기 챔버(20)와 호퍼(11) 사이에는 유입구 밸브(12)가 설치되어 있고, 유입구 밸브(12)는 밸브 구동부(13)에 의해 구동된다. 물론 밸브 구동부(13)는 전자제어기(6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챔버(20)는 호퍼(11)로부터 떨어지는 플라스틱 원료(100)가 유입되는 유입구(20a)가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챔버(20)는 건조 공정이 이루어진 플라스틱 원료(100)가 배출되는 배출구(20b)가 하부에 구비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20)의 유입구(20a)는 우측 상단에 배출구(20b)는 좌측 하단에 구비되어 있다. 그 유입구(20a)와 배출구(20b) 사이에는 이송 교반용 스크류(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송 교반용 스크류(21)는 유입구(20a)로 유입된 플라스틱 원료(100)를 배출구(20b)까지 교반시키면서 이송시킨다.
상기 근적외선 램프(30)는 챔버(20)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류(21)에 의해 이송 및 교반되는 플라스틱 원료(100)에 적외선을 고르게 조사한다. 상기 램프(30)의 인접한 곳에서는 과열방지용 온도센서(31)가 부착되어 일정온도 이상 램프(30)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램프(30)의 파손과 장비 보호를 위해 램프(30)를 소등시키도록 전자제어기(60)가 제어한다.
상기 챔버(20)의 배출구(20b)에는 온도센서(25)가 설치되어 있다. 온도센서(25)는 배출구(20b)로 배출되는 플라스틱 원료(100)의 온도를 감지한다. 건조된 플라스틱 원료(100)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과열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온도감지에 의해 전자제어기(60)가 램프(30)를 온오프시켜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챔버(20) 내부는 건조작업 시, 진공분위기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챔버(2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노즐(23)이 설치되어 있고, 그 진공노즐(23)은 진공펌프(24)와 연결되어 있다. 진공펌프(24)도 물론 전자제어기(60)의 제어신호를 받는다. 물론 밸브들(12,40)이 개방되면 진공펌프(24)는 당연히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적외선 조사와 진공 분위기 유지는 통상 플라스틱 원료(100)의 물질 내부에서 가열시킨다. 즉 일반적인 과정과는 다르게 적외선은 태양에 의해 가열되는 것과 같이 차가운 대기공기는 제외하고, 고체나 액체 덩어리만 가열하게 된다. 적외선은 물질의 핵에 직접 진동을 가하여 분자의 가열을 유도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적외선 조사와 진공 분위기의 유지는 건조, 제습, Crystallization. Cleaning을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 또 이는 건조 에너지를 감소시킨다. 건조 시 발생하는 산화로부터 원료를 보호하여 제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의 효과를 제공한다. 물론 구성이 이러하기 때문에 일반적 제습 건조기의 흡착제나 필터 등의 소모품 교체가 필요 없다. 또 원재료 및 재생을 위한 원료의 사용 시 붙어있는 미세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위생적인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더불어 신속한 건조가 가능해지는 다양한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챔버 배출구(20b) 하부에는 저장탱크(50)가 설치된다. 저장탱크(50)는 건조 작업이 완성된 플라스틱 원료(100)가 떨어져 저장된다. 저장된 플라스틱 원료(100)는 사출성형기(1) 동작시 그곳으로 공급되어 사출성형된다.
상기 저장탱크(50) 내부에는 저장탱크(50)에 있는 플라스틱 원료(100)의 양을 감지할 수 있도록 레벨센서(5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레벨센서(51)에 의해 감지된 플라스틱 원료(100)의 양에 따라 전자제어기(60)가 밸브(40)를 조절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전자제어기(60)는 건조장치(10)의 모든 동작을 전자적으로 제어한다. 전자제어기(60)는 레벨 컨트롤러(61), 전원(64), 전압 컨트롤러(63), 온도 컨트롤러(6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자적으로 모든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라스틱 원료(100)의 흐름을 따라 건조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척 등의 작업이 이루어진 플라스틱 원료(100)는 호퍼(11)로 공급된다. 호퍼(11)에 보관되어 있던 플라스틱 원료(11)는 유입구 밸브(12)가 열리면 챔버(20) 내부로 떨어진다. 호퍼(11)에서 일정량의 플라스틱 원료(100)가 떨어지면 밸브들(12,40)이 모두 잠기게 되어 챔버(20) 내부는 밀폐된다.
그 상태에서 램프(30)가 점등되어 적외선 조사를 시작함과 동시에 진공펌프(24)의 동작에 의해 챔버(20) 내부는 신속하게 진공분위기를 유지하게 된다. 진공 분위기에서 램프(30)는 적외선을 조사하여 플라스틱 원료(100)를 건조시킨다.
그와 동시에, 이송 교반용 스크류(21)가 동작을 시작한다. 즉 구동모터(22)가 구동을 시작하여 스크류(21)가 회전되기 시작한다. 스크류(21)가 회전되면 플라스틱 원료(100)는 교반되면서 배출구(20b) 쪽으로 이송된다. 물론 램프(30)에 의해 고르게 적외선이 조사된다.
이렇게 챔퍼(20)로 공급된 플라스틱 원료(100)는 진공 분위기에서 교반 이송되는 동시에 적외선 조사에 의해 건조작업이 진행된다.
건조된 플라스틱 원료(100)는 배출구(20b)로 이송된다. 배출구(20b)에서 온도센서에 의해 그 온도가 측정되고 일정온도 이상이 감지되면 램프(30)를 오프시키도록 전자제어기(60)가 제어한다.
사출 성형기(1)의 필요에 따라 저장탱크(50)에 저장되었던 플라스틱 원료(100)가 소진되면 배출구 밸브(40)가 개방되고 건조된 플라스틱 원료(100)가 저장탱크(50)로 낙하한다. 레벨센서(25)에 의해 감지된 양이 일정 양 이상 초과하면 밸브(12,40)가 모두 폐쇄되고 동시에 상술한 건조작업이 챔버(20) 내부에서 다시 진행된다.
이러한 제어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필요에 따라 플라스틱 원료(100)의 양을 조절하면서 건조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성형기 10 : 건조장치
11 : 호퍼 12 : 유입구 밸브
20 : 챔버 20a : 유입구
20 : 배출구 21 : 스크류
22 : 구동모터 30 : 램프
25 : 온도센서 40 : 배출구 밸브
50 : 저장탱크 51 : 레벨센서
100 : 플라스틱 원료

Claims (10)

  1. 플라스틱 원료를 공급받아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건조하는 플라스틱 원료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원료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플라스틱 연료가 이송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플라스틱 연료에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램프 및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플라스틱 원료를 교반시키면서 이송시키는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의 배출구에는 건조된 플라스틱 원료를 저장하는 저장탱크가 연결되고,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챔버의 배출구 사이에는 플라스틱 원료의 이송을 제어하기 위한 배출구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저장탱크에는 배출된 플라스틱 원료의 양을 감지할 수 있도록 레벨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그 내부가 진공 분위기로 유지되도록 진공펌프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유입구에는 플라스틱 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호퍼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와 상기 챔버의 유입구 사이에는 플라스틱 원료의 이송을 제어하기 위한 유입구 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밸브는 상기 레벨센서에 의해 감지된 플라스틱 원료의 높이에 개폐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배출구에는 배출되는 플라스틱 원료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플라스틱 연료의 온도에 따라 온오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

KR1020130061961A 2013-05-30 2013-05-30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 KR101532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961A KR101532829B1 (ko) 2013-05-30 2013-05-30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961A KR101532829B1 (ko) 2013-05-30 2013-05-30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920A KR20140140920A (ko) 2014-12-10
KR101532829B1 true KR101532829B1 (ko) 2015-07-01

Family

ID=52458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961A KR101532829B1 (ko) 2013-05-30 2013-05-30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8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936A (ko) * 2018-05-09 2019-11-19 원정식 Wpc용 목분 내 리그닌 및 수분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051B2 (ja) * 1989-02-23 1995-04-19 三洋電機株式会社 マイクロ波乾燥装置
KR100539413B1 (ko) * 2005-10-04 2006-01-10 주식회사 정우 엠 에스 슬러지 건조 방법 및 장치
KR20070018136A (ko) * 2007-01-24 2007-02-13 박윤우 고효율 연속 근적외선 건조기
KR101107497B1 (ko) * 2011-06-22 2012-01-31 동양피엔에스 주식회사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051B2 (ja) * 1989-02-23 1995-04-19 三洋電機株式会社 マイクロ波乾燥装置
KR100539413B1 (ko) * 2005-10-04 2006-01-10 주식회사 정우 엠 에스 슬러지 건조 방법 및 장치
KR20070018136A (ko) * 2007-01-24 2007-02-13 박윤우 고효율 연속 근적외선 건조기
KR101107497B1 (ko) * 2011-06-22 2012-01-31 동양피엔에스 주식회사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920A (ko)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567B1 (ko) 진공 드라이어
CA3057075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acuum drying granular resin material
KR20070062401A (ko) 수지펠릿의 건조장치 및 그 방법
US4030205A (en) Drying system for particles
JP2005140497A (ja) 乾燥ホッパにおける粒状物を通過するガス流量制御方法及び装置
US10751918B2 (en) Vacuum dry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532829B1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
JP3786972B2 (ja) 射出成形システム及びペレット供給ユニット
JP2013088066A (ja) 乾燥装置
TW201601893A (zh) 成形材料的預處理方法、預處理裝置、射出成形機及射出成形方法
JPH07103655A (ja) 粉粒体材料の乾燥方法とその装置
KR101128532B1 (ko) 열전소자와 폐열을 이용한 응축 건조장치
KR101107497B1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20090030793A (ko) 열전소자 또는 열매체에 의한 응축현상을 이용한 플라스틱원료의 수분 제거장치
WO2016112573A1 (zh) 一种新型螺杆式低压注塑机及其注塑方法
CN205929129U (zh) 一种电缆料制造系统
CN105953557A (zh) 一种节能塑料粒子烘干机
JP2001071363A (ja) 射出成形方法及び射出成形システム
KR200460953Y1 (ko) 열풍건조호퍼
KR101370639B1 (ko) 수지 가열방법 및 수지 가열장치
JP2002355817A (ja) ペレット乾燥装置
KR102413540B1 (ko) 생분해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일회용 빨대 및 그 제조장치
KR20120105809A (ko) 재생 합성수지 펠렛 건조장치
CN211177845U (zh) 一种多孔、易碎颗粒状产品的干燥设备
WO2024059784A1 (en) Systems and processes for drying granular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