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540B1 - 생분해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일회용 빨대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일회용 빨대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540B1
KR102413540B1 KR1020200083737A KR20200083737A KR102413540B1 KR 102413540 B1 KR102413540 B1 KR 102413540B1 KR 1020200083737 A KR1020200083737 A KR 1020200083737A KR 20200083737 A KR20200083737 A KR 20200083737A KR 102413540 B1 KR102413540 B1 KR 102413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sion
straw
weight
parts
material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5939A (ko
Inventor
김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원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원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원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00083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540B1/ko
Publication of KR20220005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3Plates, dishes or the like for using only once, e.g. made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9/00Compositions of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of derivatives thereof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89/00 - C08L97/00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008Drinking straw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일회용 빨대에 있어서,
옥수수전분 52 ~ 57 중량부와, 쌀가루 5 ~ 7 중량부, 콩식용유 2 ~ 3 중량부 및 물 35 ~ 39 중량부;를 포함하는 소재혼합물을 이용하며, 양단에 형성된 음료가 입출 가능한 개구와, 상기 개구를 연결하며 액체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통로를 가지도록 압출 성형하여 제조된다.

Description

생분해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일회용 빨대 및 그 제조장치{Disposable Straws Manufactured Using Biodegradable Composition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분해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일회용 빨대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되는 경우에도 쉽게 분해될 수 있는 생분해성 조성물을 이용하는 일회용 빨대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일회용 빨대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되어 매우 저렴하다. 그러나 플라스틱 재질의 일회용 빨대는 플라스틱 재질이며 압축 성형되어 제조되므로 폐기되는 경우 생분해가 되지 않으므로 소각을 하여야 하나 현실적으로 그렇지 못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생분해성 일회용 빨대가 종이로 제조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제조된 종이 빨대는 물을 잘 흡수하여 그 모양을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종이 빨대에 생분해되지 않는 합성수지를 코팅하여 방수성을 개선하나 코팅된 합성수지로 인하여 여전히 생분해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수성이 개선되어 음료를 취식할 시 음료에 의해 빨대가 흐물거리지 않고 빨대의 형상을 오래 유지하며 폐기물이 발생되지 않는 일회용 빨대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는 생분해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일회용 빨대에 있어서, 옥수수전분 52 ~ 57 중량부와, 쌀가루 5 ~ 7 중량부, 콩식용유 2 ~ 3 중량부 및 물 35 ~ 39 중량부;를 포함하는 소재혼합물을 이용하며, 양단에 형성된 음료가 입출 가능한 개구와, 상기 개구를 연결하며 액체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통로를 가지도록 압출성형하여 제조된다.
또한, 상기 소재혼합물을 70 ~ 80℃로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축선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의 두께는 1.0 ~ 1.1mm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축선에 대한 원주방향의 외측 둘레가 6 ~ 8mm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제조시스템은 일회용 빨대를 제조하기 위한 빨대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옥수수전분 84 ~ 88 중량부와, 쌀가루 8 ~ 12 중량부 및 콩식용유 3 ~ 4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조성물에 상기 옥수수전분 대비 물 65 ~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소재혼합물의 소재유입구와, 상기 소재혼합물을 압출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처리공간을 갖는 압출본체; 상기 압출본체 내에서 상기 소재혼합물을 압출단 방향으로 가압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압출본체의 압출단에 결합되어 상기 처리공간 내에서 처리된 상기 소재혼합물이 외부로 압출되는 압출공을 갖는 압출노즐; 을 포함한다.
또한, 순환수의 입출구와 상기 압출본체의 외측에 접하며 이동 가능한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순환수브래킷과, 상기 순환수브래킷에 지지되며 순환수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류는, 순환수의 입출구와 순환수가 이동할 수 있는 순환이동경로가 형성된 스크류 본체; 및 상기 스크류본체 외측에 형성되는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처리공간의 온도를 70 ~ 80℃가 되도록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압출노즐에서 압출되는 빨대형상의 상기 소재혼합물을 건조하는 건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기에 의해 건조된 빨대형상의 상기 소재혼합물을 절단하는 절단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성이 개선되어 음료를 취식할 시 음료에 의해 빨대가 흐물거리지 않고 빨대의 형상을 오래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음료를 기분 좋게 마실 수 있고, 생분해성 조성물로 일회용 빨대가 이루어짐에 따라 폐기하는 경우에도 생분해되어 폐기물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친환경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를 제조하기 위한 빨대 제조시스템을 전체적으로 간략하게 나타내는 간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빨대 제조시스템의 주요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주요구성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의 빨대 제조시스템의 순환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빨대 제조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를 제조하기 위한 빨대 제조시스템을 전체적으로 간략하게 나타내는 간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빨대 제조시스템의 주요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주요구성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의 빨대 제조시스템의 순환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빨대 제조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대 제조시스템(1)은 일회용 빨대를 제조하기 위한 빨대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옥수수전분 84 ~ 88 중량부와, 쌀가루 8 ~ 12 중량부 및 콩식용유 3 ~ 4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조성물에 옥수수전분 대비 물 65 ~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소재혼합물의 소재유입구와 소재혼합물을 압출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처리공간을 갖는 압출본체(20), 압출본체(20) 내에서 소재혼합물을 압출단 방향으로 가압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30) 및 압출본체(20)의 압출단에 결합되어 처리공간 내에서 처리된 소재혼합물이 외부로 압출되는 압출공(43)을 갖는 압출노즐(40)을 포함하는 빨대 제조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이런, 빨대 제조시스템(1)은 호퍼(10), 분쇄밀(12), 스크류컨베이어(14), 압출본체(20), 이송스크류(30), 압출노즐(40), 히터(50), 온도센서(52), 압력센서(54), 순환수브래킷(60), 물공급부(70), 건조기(72), 이송부(74), 절단기(76) 및 제어부(80)를 포함한다.
호퍼(10)는 각각의 조성물 즉, 옥수수전분, 쌀가루, 콩식용유를 저장하고 적정량을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호퍼(10)는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진 깔대기 형상으로 마련되어 하방 배출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호퍼(10)는 각각의 조성물을 저장하고 그 조성물을 합쳐 보관하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분쇄밀(12)은 호퍼(10)에 저장되어 있던 각각의 조성물이 유입된 후 분쇄되도록 한다. 분쇄밀(12)은 볼밀, 임팩트밀, 콜로이드밀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조성물을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다.
스크류컨베이어(14)는 분쇄밀(12)에서 미세하게 분쇄된 옥수수전분과 쌀가루를 이동시켜 압출본체(20)의 소재유입구(21)로 유입시킨다. 이런 스크류컨베이어(14)는 스크류와 이동배관으로 이루어져 이동배관으로 스크류를 이용하여 옥수수전분과 쌀가루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콩식용유는 압출본체(20)의 소재유입구(21)로 직접 유입될 수 있다.
압출본체(20)는 옥수수전분 84 ~ 88 중량부와, 쌀가루 8 ~ 12 중량부 및 콩식용유 3 ~ 4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조성물에 상기 옥수수전분 대비 물 65 ~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소재혼합물을 압출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처리공간을 갖는다. 이런 압출본체(20)는 소재유입구(21), 중공부(22), 스크류지지공(23) 및 결합공(24)을 포함한다.
소재유입구(21)는 옥수수전분 84 ~ 88 중량부와, 쌀가루 8 ~ 12 중량부 및 콩식용유 3 ~ 4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조성물에 상기 옥수수전분 대비 물 65 ~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소재혼합물이 유입된다. 소재유입구(21)는 작은 깔대기 형상의 호퍼가 장착되어 소재혼합물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중공부(22)는 축선을 따라 실린더 형상으로 처리공간을 형성한다. 중공부(22)의 내측면에는 이송스크류(30)의 말단 영역이 수용되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는 스크류홈(221)이 형성된다.
스크류지지공(23)은 이송스크류(30) 축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축심과 동일축심을 갖고 형성된다. 스크류지지공(23)은 압출본체(20)에 지지되어 이송스크류(30)를 회전 지지한다.
결합공(24)은 후술할 압출노즐(4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연부에 복수로 형성된다. 결합공(24)은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송스크류(30)는 압출본체(20) 내에서 소재혼합물을 압출단 방향으로 가압 이송시킨다. 이런, 이송스크류(30)는 스크류본체(31), 스크류(32) 및 스크류구동부(33)를 포함한다.
스크류본체(31)는 순환수의 입출구와 순환수가 이동할 수 있는 순환이동경로가 형성된다. 스크류본체(31)는 압출본체(20)의 중공부(22)에 수용된다.
스크류(32)는 스크류본체(31) 외측에 나사산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소재혼합물을 압출단으로 이동시키게 될 수 있다. 스크류(32)는 스크류본체(31)와 함께 압출본체(20)의 중공부(22)에 수용된다.
스크류구동부(33)는 스크류본체(31)에 연결되며, 압출본체(20)의 외부에 마련되어 후술할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스크류본체(31)를 회전 구동한다.
압출노즐(40)은 압출본체(20)의 압출단에 결합되어 처리공간 내에서 처리된 소재혼합물이 외부로 압출되도록 한다. 이런, 압출노즐(40)은 노즐본체(41), 압출안내부(42), 압출공(43), 체결공(44) 및 중공형성부(45)를 포함한다.
노즐본체(41)는 압출본체(20)에 결합되어 고정 지지되며, 중공부(22)를 외부로부터 차폐한다.
압출안내부(42)는 압출공(43)으로 소재혼합물을 안내할 수 있도록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압출공(43)은 빨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외측 둘레가 6 ~ 8 mm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체결공(44)은 체결스크류가 결합공(24)과 함께 결합되어 압출노즐(40)을 압출본체(20)에 결합시켜 고정시킨다.
중공형성부(45)는 압출공(43) 근처에 배치되어 압출되면서 중공이 형성되도록 한다.
히터(50)는 압출본체(2)를 감싸며 배치되어 처리공간의 소재혼합물에 열을 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히터(50)는 처리공간의 온도를 70 ~ 80℃가 되도록 가열할 수 있다.
온도센서(52)는 처리공간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압력센서(54)는 처리공간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순환수브래킷(60)은 순환수의 입출구와 압출본체(20)의 외측에 접하며 이동 가능한 이동공간을 형성한다. 이런, 순환수브래킷(60)은 브래킷본체(61), 분배브래킷(62), 순환배관(63), 순환밸브(64), 순환수탱크(65) 및 순환수펌프(66)을 포함한다.
브래킷본체(61)는 압출본체(20)를 감싸며 배치되고 압출본체(20)와의 사이에 순환수가 이동할 수 있는 순환수 이동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분배브래킷(62)은 순환수의 공급 및 회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순환수를 분배한다. 분배브래킷(62)은 순환수 배관(63)이 연결되어 순환수가 입출되도록 하며 브래킷본체(61)와 스크류본체(31)로 공급 및 회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순환배관(63)에는 순환밸브(64)가 배치되어 순환수를 단속할 수 있다. 순환수탱크(65)는 순환수를 저장하며, 순환수펌프(66)는 순환수탱크(65)의 순환수를 이동시킨다.
물공급부(70)는 옥수수전분, 쌀가루 및 콩식용유가 스크류컨베이어(14)에 의해 소재유입구(21)로 이동되어 오면 해당 중량부의 물을 투입하여 소재혼합물이 반죽되도록 한다. 여기서, 콩식용유도 물공급과 함께 이루어질 수 있으며 콩식용유에 의해 방수성이 생기도록 할 수 있다.
건조기(72)는 압출노즐(40)에서 압출되는 빨대형상의 소재혼합물을 건조한다. 건조기(72)는 팬으로 마련되어 이송부(74)를 따라 이동하는 빨대형상의 소재혼합물을 향해 건조한 바람을 불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빨대형상의 소재혼합물은 건조가 이루어지면서 빨대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송부(74)는 컨베이어벨트로 마련될 수 있다.
절단기(76)는 이송부(74)로 이동되는 건조된 빨대형상의 소재혼합물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일회용 빨대를 제조한다.
제어부(80)는 처리공간의 소재혼합물의 압출점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온도센서(52)와 압력센서(54)에서 감지되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히터(50)와 스크류구동부(33)를 제어한다.
처리공간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80℃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매우 낮아지면서 빨대의 두께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온도 70℃미만인 경우 점도가 매우 높아지면서 압출이 더디게 되고 샌산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빨대 제조시스템(1)의 순환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스크류본체(31)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순환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래킷본체(61)에 의해 형성된 순환수이동공간을 유입한 후 유출된 순환수는 스크류본체(31)로 이동되어 순환할 수 있다. 이 순환수는 히터(50)에 의해 가열되는 처리공간의 소재혼합물의 온도가 갑자기 높아지는 것을 완충시키기 위해 순환되는 것이며 브래킷본체(61)에 의해 형성된 순환수이동공간을 유입하여 히터(50)에 의해 가열된 순환수가 스크류본체(31)로 이동되어 처리공간의 외측과 내측에서 가열하여 소재혼합물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처리공간 내에서의 소재혼합물의 점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된다. 이에 의해 빨대의 두께도 균일하게 유지되며 외측 둘레도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생분해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일회용 빨대(2)는 옥수수전분 52 ~ 57 중량부와, 쌀가루 5 ~ 7 중량부, 콩식용유 2 ~ 3 중량부 및 물 35 ~ 39 중량부;를 포함하는 소재혼합물을 이용하며, 양단에 형성된 음료가 입출 가능한 개구와, 개구를 연결하며 액체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통로를 가지도록 압출 성형하여 제조된다.
옥수수전분이 수분이 증발된 이후 완성된 빨대 100중량% 대비 90중량%를 초과할 경우, 잘 부스러지는 물성으로 인해 해당 재질로 제조된 구조체는 작은 충격에도 깨질 수 있다.
쌀가루가 수분이 증발된 이후 완성된 빨대 100중량% 대비 10중량% 미만일 경우, 액체에 노출 시 쉽게 갈라질 수 있다. 쌀 성분이 가진 접착력에 의해 구조체의 구성물질 간의 결합력이 강화될 수 있다.
콩식용유는 물성을 조절하고 구성물질 간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하며, 방수성을 향상시킨다.
빨대 제조시스템(1)의 압출본체(20)의 처리공간에서 압출단으로 이동되는 소재혼합물을 70 ~ 80℃로 가열하여 유동성을 갖도록 한 후 압출노즐(40)의 압출공(43)으로 압력을 가하면서 압출 성형 제조된다.
압출노즐(40)의 압출공(43)에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중공형성부(45)에 의해 빨대(2)는 축선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의 두께는 1.0 ~ 1.1mm로 형성된다. 두께가 1.1mm보다 두꺼울 경우, 건조가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고, 건조시간이 늘어나 제조공정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두께가 1mm보다 얇은 경우, 구조체가 액체 내에서 형태를 장시간 온전히 유지하기 어렵다.
빨대(2)는 축선에 대한 원주방향의 외측 둘레가 6 ~ 8mm로 형성될 수 있다. 빨대(2) 형태가 6mm보다 작거나 8mm보다 큰 경우 빨때(2)의 형태를 장시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의 실시 예 이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상기의 히터는 순환수브래킷을 감싸고 있지만 히터는 순환수배관을 감싸며 배치되어 순환수브래킷과 스크류본체로 공급되어 온도 조절이 원활하게 할 수도 있다.
옥수수전분, 쌀가루 및 콩식용유를 혼합한 후 압출 성형을 하고 있지만 옥수수전분, 쌀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압출 성형을 한 후 콩식용유를 코팅할 수도 있고, 옥수수전분, 쌀가루 및 콩식용유를 혼합한 후 압출 성형을 한 후 콩식용유를 한 번 더 코팅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빨대제조시스템 2 : 빨대
10 : 호퍼 12 : 분쇄밀
14 : 스크류컨베이어 20 : 압출본체
21 : 소재유입구 22 : 중공부
23 : 스크류지지공 24 : 결합공
30 : 이송스크류 31 : 스크류본체
32 : 스크류 33 : 스크류구동부
40 : 압출노즐 41 : 노즐본체
42 : 압출안내부 43 : 압출공
44 : 체결공 45 : 중공형성부
50 : 히터 52 : 온도센서
54 : 압력센서 60 : 순환수브래킷
61 : 브래킷본체 62 : 분배브래킷
63 : 순환배관 64 : 분환밸브
65 : 순환수탱크 66 : 순환수펌프
70 : 물공급부 72 : 건조기
74 : 이송부 76 : 절단기
80 : 제어부

Claims (10)

  1. 생분해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일회용 빨대에 있어서,
    옥수수전분 52 ~ 57 중량부와, 쌀가루 5 ~ 7 중량부, 콩식용유 2 ~ 3 중량부 및 물 35 ~ 39 중량부;를 포함하는 소재혼합물을 이용하며, 양단에 형성된 음료가 입출 가능한 개구와, 상기 개구를 연결하며 액체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통로를 가지도록 압출 성형하여 제조되는
    일회용 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혼합물을 70 ~ 80℃로 가열하여 제조되는
    일회용 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축선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의 두께는 1.0 ~ 1.1mm로 형성되는
    일회용 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축선에 대한 원주방향의 외측 둘레가 6 ~ 8mm로 형성되는
    일회용 빨대.
  5. 일회용 빨대를 제조하기 위한 빨대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옥수수전분 84 ~ 88 중량부와, 쌀가루 8 ~ 12 중량부 및 콩식용유 3 ~ 4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조성물에 상기 옥수수전분 대비 물 65 ~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소재혼합물의 소재유입구와, 상기 소재혼합물을 압출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처리공간을 갖는 압출본체;
    상기 압출본체 내에서 상기 소재혼합물을 압출단 방향으로 가압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압출본체의 압출단에 결합되어 상기 처리공간 내에서 처리된 상기 소재혼합물이 외부로 압출되는 압출공을 갖는 압출노즐; 을 포함하는
    빨대 제조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순환수의 입출구와 상기 압출본체의 외측에 접하며 이동 가능한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순환수브래킷과, 상기 순환수브래킷에 지지되며 순환수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빨대 제조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는,
    순환수의 입출구와 순환수가 이동할 수 있는 순환이동경로가 형성된 스크류 본체; 및 상기 스크류본체 외측에 형성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빨대 제조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공간의 온도를 70 ~ 80℃가 되도록 가열하여 제조되는
    빨대 제조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노즐에서 압출되는 빨대형상의 상기 소재혼합물을 건조하는 건조기를 더 포함하는
    빨대 제조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에 의해 건조된 빨대형상의 상기 소재혼합물을 절단하는 절단기를 더 포함하는
    빨대 제조시스템.
KR1020200083737A 2020-07-07 2020-07-07 생분해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일회용 빨대 및 그 제조장치 KR102413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737A KR102413540B1 (ko) 2020-07-07 2020-07-07 생분해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일회용 빨대 및 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737A KR102413540B1 (ko) 2020-07-07 2020-07-07 생분해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일회용 빨대 및 그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939A KR20220005939A (ko) 2022-01-14
KR102413540B1 true KR102413540B1 (ko) 2022-06-27

Family

ID=7934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737A KR102413540B1 (ko) 2020-07-07 2020-07-07 생분해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일회용 빨대 및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5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4850A1 (en) 2001-03-22 2002-09-26 Hollenberg David H. Drinking straw prepared from flattened polymeric tubular conduit, method of making same and dispenser therefor
JP2005350530A (ja) 2004-06-09 2005-12-22 Toray Ind Inc 生分解性管状成形品
JP2020089519A (ja) 2018-12-05 2020-06-11 豊 平塚 穀物粉末を原料とする折箸および洋食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4850A1 (en) 2001-03-22 2002-09-26 Hollenberg David H. Drinking straw prepared from flattened polymeric tubular conduit, method of making same and dispenser therefor
JP2005350530A (ja) 2004-06-09 2005-12-22 Toray Ind Inc 生分解性管状成形品
JP2020089519A (ja) 2018-12-05 2020-06-11 豊 平塚 穀物粉末を原料とする折箸および洋食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939A (ko)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00641B2 (ja) すぐれた耐破損性を有する押出成形し好性ドッグフード製品
US6409952B1 (en) Drying and processing cellulosic compounds
US8999422B2 (en) Production of engineered feed or food ingredients by extrusion
CN102821923A (zh) 喷管
EP3232807B1 (en) Method for producing a palatable coated dry pet food
KR102413540B1 (ko) 생분해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일회용 빨대 및 그 제조장치
KR101827216B1 (ko) 플라스틱 펠릿 제조장치
CN103462199A (zh) 一种膨化机
KR100729988B1 (ko) 호퍼건조기의 열풍건조호퍼
CN105983355A (zh) 以水蒸汽为加热源的加热混匀装置
KR101953999B1 (ko) 동물사료용 펠릿제조장치
Strahm Preconditioning
CN212457827U (zh) 一种农产品储存用干燥装置
CN105397932A (zh) 一种电缆绝缘层颗粒材料塑化装置
CA3163289A1 (en) Low moisture extrusion process
KR101645523B1 (ko) 대량생산이 가능한 이중면 제조장치
EP0578603B1 (en)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granulated material from used thermoplastic material
KR101446764B1 (ko) 더블스크류형 가축사료 제조장치
CN210161581U (zh) 一种加长双螺杆挤出机
KR20220146822A (ko) 쫀드기 제조 장치
CN208101070U (zh) 一种3d打印设备的加料装置
KR101532829B1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교반 건조장치
CN208812501U (zh) 一种塑料热熔挤塑机
RU2764804C1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иния производства высокоусвояемых комбикормов для ранней молоди рыб
CN211854811U (zh) 饲料干燥烘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