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777B1 - Apparatus for removing and mounting a counter weight of heavy equipm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moving and mounting a counter weight of heavy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32777B1 KR101532777B1 KR1020070137018A KR20070137018A KR101532777B1 KR 101532777 B1 KR101532777 B1 KR 101532777B1 KR 1020070137018 A KR1020070137018 A KR 1020070137018A KR 20070137018 A KR20070137018 A KR 20070137018A KR 101532777 B1 KR101532777 B1 KR 1015327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nterweight
- hydraulic
- heavy equipment
- lower unit
- we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8—Counterweigh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장비(1)의 어느 한쪽 영역에 부착되어 중장비(1)의 무게 균형을 형성하되,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복수의 단위웨이트(5,8)를 구비한 카운터 웨이트(3, counter weight); 복수의 단위웨이트(5,8)에 결합되어 복수의 단위웨이트(5,8)를 상호 접근 및 이격시키는 하나의 유압 실린더; 및 카운터 웨이터를 중장비(1)의 어느 한쪽 영역에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나의 유압 실린더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유압 제어회로(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다른 장비의 도움 없이 카운터 웨이트(3)를 중장비(1)에 탈부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기에 카운터 웨이트(3)의 탈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 발생률을 낮출 수 있으며, 특히 필요에 따라 추가의 카운터 웨이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heavy weight to a counterweight of a heavy equipment, comprising a plurality of unit weights (5, 8) mutually coupled and detachable to form a weight balance of the heavy equipment (1) A counter weight 3, One hydraulic cylinder coupled to the plurality of unit weights (5, 8) to mutually approach and separate the plurality of unit weights (5, 8); And a hydraulic control circuit (30)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one hydraulic cylinder so that the counter waiter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either one of the regions of the heavy equipment (1). Thus, the counterweight 3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heavy equipment 1 without any other equipment, and the counterweight 3 can be easily detached and attached to have a simple and simple structure, The incidence rate can be lowered, and the additional counterweight can be easily replaced as required.
중장비,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 백호 로더, 탈착, 착탈, 탈부착 Heavy equipment, counterweight, backhoe loader, detachable, detachable, detachab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른 장비의 도움 없이 카운터 웨이트를 중장비에 탈부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기에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 발생률을 낮출 수 있으며, 특히 필요에 따라 추가의 카운터 웨이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counterweight to and from a heavy equipment without the aid of other equipments, as well as having a simple and simpl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tachable attaching / detaching apparatus for a heavy duty counterweight which can easily replace an additional counterweight when necessary.
건설 및 토목 현장에는 다양한 종류의 기계 장비나 건설기계(이하, 이들을 중장비라 함)가 사용된다.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sites use various kinds of mechanical equipment and construction machin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heavy equipment).
중장비 중의 하나인 굴삭기는 굴삭기 버킷(bucket)을 이용하여 땅을 파거나 깎을 때 사용되는 장비로서 소위, 포크레인 혹은 백호(backhoe)라고도 불린다. 그리고 로더(loader)는 굴삭된 토사, 골재, 파쇄암 등이나 혹은 모래, 눈 등을 별도 의 운반 기계에 싣는데 사용되는 장비이다.An excavator, one of the heavy equipment, is an equipment used for excavating and shoveling excavator buckets, also known as a so-called forklake or backhoe. The loader is a device used to load excavated soil, aggregate, crushing rock, sand, snow, etc. on separate conveying machines.
이러한 굴삭기나 로더, 혹은 지게차와 같은 중장비는, 장비의 자중 또는 기계에 작용하는 외력과 균형을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작용되는 균형추 즉, 하중으로 인한 모멘트에 대항시키기 위해 균형 하중체인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를 구비한다.Heavy equipment such as excavators, loaders, or forklifts is a counterbalanced load that counterbalances the weight of the equipment or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machine, Respectively.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카운터 웨이트가 장착된 중장비의 부분 사시도이다.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heavy equipment equipped with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중장비에는 중장비 본체부(101)에 설치된 운전실(102)의 맞은편 쪽 엔진부 뒤에 카운터 웨이트(103)가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도 1의 중장비는 예컨대, 굴삭기가 될 수 있는데, 카운터 웨이트(103)는 도시되지 않은 굴삭 작업용 굴삭기 버킷 및 굴삭기 붐과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무게중심을 맞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굴삭기 버킷에 의한 굴삭 작업 시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켜 굴삭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원활한 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1 can be, for example, an excavator. The
이러한 카운터 웨이트(103)는 통상적으로 주조 방식에 의해 제작되는 주물형이거나 혹은 철판 구조물의 절단 및 용접 등에 의해 제작되는 구조물형이 대부분이며, 중장비의 해당 위치에 볼트 결합된다. 참고로, 카운터 웨이트(103) 중 구조물형은 그 내부에 충진물을 충진하기 위한 케이스가 필요하지만 이에 대해서는 공지된 기술들을 참조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카운터 웨이트(103)에 있어서는, 보통 다른 장비의 도움에 의해서 중장비의 해당 위치에 카운터 웨이트(103)를 탈부착시켜야 하므로 카운터 웨이트(103)의 탈부착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일부의 중장비에서는 다른 장비의 도움 없이 카운터 웨이트(103)를 중장비에 스스로 탈부착시킬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제안된 기술들은 다소 복잡한 링크(link) 구조와 실린더(cylinder) 구조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카운터 웨이트(103)를 중장비의 해당 위치에 탈부착시키고 있으므로 카운터 웨이트(103)의 탈부착과 관련한 구조가 복잡해질 수밖에 없어 카운터 웨이트(103)의 탈부착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따라서 고장 발생률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technique has been proposed in which some heavy equipment can attach and detach the
또한 종래의 카운터 웨이트(103)는 그 위치 및 구조 상 중장비의 후방에서 포물선을 그리면서 작동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 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실린더가 장비의 하부에 위치한 경우에는 장비 가동 시 실린더 파손 가능성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장비의 도움 없이 카운터 웨이트를 중장비에 탈부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기에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 발생률을 낮출 수 있으며, 특히 필요에 따라 추가의 카운터 웨이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유압 실린더에 연결되는 유압라인을 단속하도록 하여 유압실린더에 작동유체를 제공하거나 유압라인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하고 유압라인이 분리되었을 때에 작동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유압 실린더로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라인에 더블 체크 밸브를 마련하여 작동유체가 의도와 다르게 역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웨이트 장착부와 카운터 웨이트에 각각 체인의 양단을 연결되도록 하여 카운터 웨이트가 전복되거나 낙하될 경우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unter weight which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a counterweight to and from a heavy equipment without the aid of other equipment and has a simple and simpl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tachable attaching / detaching device for a heavy duty counterweight which can easily replace an additional counterweight as necessary.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ydraulic cylinder in which a hydraulic lin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hydraulic cylinders is interrupted so that a hydraulic fluid can be supplied to the hydraulic cylinder or a hydraulic line can be separated and a hydraulic fluid is prevented from leaking when the hydraulic line is separated And to provide a lifting and lowering apparatus for a heavy duty counterweight.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counterweight for heavy equipment, which is provided with a double check valve in a hydraulic line for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a plurality of hydraulic cylinders, .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fting / attaching device for a heavy duty counterweight which is configured such that both ends of a chain are connected to a weight mounting portion and a counterweight, respectively, so that the counterweight can be prepared for overturning or dropping.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t least partially solve th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arts. There will be.
상기 목적은, 중장비(1)의 어느 한쪽 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중장비(1)의 무게 균형을 형성하되,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복수의 단위웨이트(5,8)를 구비한 카운터 웨이트(3, counter weight); 상기 복수의 단위웨이트(5,8)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단위웨이트(5,8)를 상호 접근 및 이격시키는 하나의 유압 실린더; 및 상기 카운터 웨이터를 상기 중장비(1)의 어느 한쪽 영역에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나의 유압 실린더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유압 제어회로(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a
여기서, 상기 복수의 단위웨이트(5,8)는 두 개로 분할된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일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상기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부(8a)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8a)가 형상맞춤 가능하게 결합되는 홈부(5a)가 형성될 수 있다.One of the upper and
상기 돌기부(8a)는 상기 하부 단위웨이트(8)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5a)는 상기 상부 단위웨이트(5)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ding
상기 돌기부(8a)와 상기 홈부(5a)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해 상호 연통 가능한 복수의 연통공(10a,10b)이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ding
상기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의 판면에는 복수의 볼트공(11a,11b)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상기 하나의 유압 실린더는 복수의 유압 실린더(20)일 수 있다.The one hydraulic cylinder may be a plurality of
상기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의 배면에는 상기 복수의 유압 실린더(20)가 수용되는 복수의 실린더수용부(12a,12b)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상기 복수의 유압 실린더(20)는, 실린더본체(20a); 및 상기 실린더본체(20a)에 대해 길이 연장 및 축소 가능한 실린더로드(2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본체(20a) 및 상기 실린더로드(20b)의 단부 영역에는 고리부(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hydraulic cylinders (20) includes a cylinder body (20a); And a
상기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의 배면에서 상기 고리부(21)를 통해 상 기 복수의 유압 실린더(20)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핀(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plurality of
상기 복수의 고정핀(14) 각각은, 상기 실린더수용부(12a,12b)를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핀헤드부(15a); 및 상기 핀헤드부(15a)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고리부(21)를 통해 상기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의 배면에 형성된 핀공(13)에 삽입 결합되는 핀축부(14b)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fixing pins (14) includes a pin head portion (15a) provided to partially cover the cylinder accommodating portions (12a, 12b); And a
상기 유압 제어회로(30)는, 작동유체가 저장되어 있는 탱크(31); 상기 탱크(31) 내의 작동유체를 펌핑하여 유압을 형성시키는 펌프(32); 상기 복수의 유압 실린더(20)로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라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선택적으로 상기 유압라인을 단속하는 유압 퀵 커플러(33, quick coupler); 및 상기 복수의 유압 실린더(20)로 유압이 향하도록 제어하는 스풀 밸브 레버(34, Spool valve lever)를 포함할 수 있다.The hydraulic control circuit (30) includes a tank (31) in which a working fluid is stored; A
삭제delete
상기 유압 제어회로(30)는, 유압의 세기를 조절하는 업/다운 조절 레버(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유압 제어회로(30)는, 상기 복수의 유압 실린더(20)로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라인에 마련되는 더블 체크 밸브(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양단이 상기 중장비(1)의 어느 한쪽 영역과 상기 카운터 웨이트(3)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중장비(1)에 대해 상기 카운터 웨이트(3)를 지지하는 체인(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상기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단 위웨이트(5,8) 간의 상대적인 이동을 안내하는 하나의 가이드(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one
상기 카운터 웨이트(3)는 상기 중장비(1)에 마련된 평평한 면의 웨이트 장착부(2)에 탈부착될 수 있다.Th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장비의 도움 없이 카운터 웨이트를 중장비에 탈부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기에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 발생률을 낮출 수 있으며, 특히 필요에 따라 추가의 카운터 웨이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unterweigh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heavy equipment without the aid of other equipment, the counterweight can be easily detached and attached as well as the failure occurrence rate can be reduc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dditional counterweight can be easily replaced as needed.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들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도 2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들로서 중장비에 카운터 웨이트를 장착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6 및 도 7은 각각 카운터 웨이트의 정면 사시도 및 분리 상태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각각 카운터 웨이트의 배면 사시도 및 분리 상태 사시도, 도 10은 카운터 웨이트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1은 카운터 웨이트의 배면 구성도, 도 12는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을 위한 유압 제어회로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nterweight, and FIG. 10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unterweight, FIG. 11 is a rear view of the counterweight, FIG. 12 is a sectional view of the counterweight, and FIG. 12 is a sectional view of the hydraulic control circuit to be.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카운터 웨이트(3, counter weight)는, 중장비(1)의 어느 한쪽 영역에 부착되어 중장비(1)의 무게 균형을 형성하기 위해 마련된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중장비(1)가 굴삭기일 경우에는 굴삭기 버킷 및 굴삭기 붐이 위치된 반대편에 카운터 웨이트(3)가 장착된다. 보통, 이 영역은 운전실의 맞은편 쪽 엔진부 뒤쪽 영역일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 영역을 웨이트 장착부(2)라 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트 장착부(2)는 평편한 면을 형성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웨이트 장착부(2)에 탈부착되어 중장비(1)의 무게 균형을 형성하는 카운터 웨이트(3)는,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복수의 단위웨이트(5,8)로 이루어진다. 단위웨이트(5,8)는 세 개 이상이 마련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로 분할된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로 적용하고 있다.The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 각각은 주조 방식에 의해 제작되는 주물형일 수도 있고 혹은 철판 구조물의 절단 및 용접 등에 의해 제작되는 구조물형일 수도 있다. 또한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 각각의 부피 및 무게는 상호 동일해도, 상이해도 무방하다. 다만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 각각의 부피가 다르게 제작된다 하더라도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의 결합영역이 일직선의 형태가 될 수 있도록 제작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Each of the upper an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트 장착부(2) 완전히 장착된 카운터 웨이트(3)는,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의 결합영역이 일직선의 형태가 된다. 이를 위해,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부(8a)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돌기부(8a)가 형상맞춤 가능하게 결합되는 홈부(5a)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in the fully mounted
본 실시예의 경우, 돌기부(8a)는 하부 단위웨이트(8)의 상단에, 그리고 홈부(5a)는 상부 단위웨이트(5)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돌기부(8a)를 상부 단위웨이트(5)의 하단에, 그리고 홈부(5a)를 하부 단위웨이트(8)의 상단에 형성하더라도 무방하다.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돌기부(8a)와 홈부(5a)를 형성하지 않고 상부 단위웨이트(5)의 하단 및 하부 단위웨이트(8)의 상단을 평평하게 가공해도 무방하다. 다만, 상부 단위웨이트(5)의 하단 및 하부 단위웨이트(8)의 상단을 평평하게 가공할 경우에는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가 상호 접면된 상태에서 이들을 일체로 고정시키는 별도의 고정브래킷(미도시)을 더 사용해야 할 것이다.The lower end of the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8a)와 홈부(5a)에는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해 볼트(미도시)가 일체로 체결되는 통로로서 상호 연통 가능한 복수의 연통공(10a,10b)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도 4에서 도 5와 같이,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가 상호 접면하면 연통공(10a,10b)들로 볼트를 체결하여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를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7 and 10, the
연통공(10a,10b)들은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를 상호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반면,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 각각을 웨이트 장착부(2)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의 판면에는 복수의 볼트공(11a,11b)이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도시된 것과는 달리 연통공(10a,10b)들과 볼트공(11a,11b)들의 위치와 개수는 적절하게 선택 변경되어도 좋다.The communication holes 10a and 10b are used as means for mutually fixing the upper and
한편, 별도의 다른 장비 도움 없이,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를 웨이트 장착부(2)에 탈부착시키기 위해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에는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를 상호 접근 및 이격시키는 두 개의 유압 실린더가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압 실린더는 도 12의 유압 제어회로(30)에 의해 유압으로 작동되는 유압 실린더(20)로 적용된다. 두 개의 유압 실린더(20) 각각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실린더본체(20a)와, 실린더본체(20a)에 대해 길이 연장 및 축소 가능한 실린더로드(20b)를 갖는다. 실린더본체(20a) 및 실린더로드(20b)의 단부 영역에는 고리부(21)가 더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and
이러한 유압 실린더(20)들을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의 배면에는 두 개의 유압 실린더(20)가 수용되는 역시 두 개의 실린더수용부(12a,12b)가 함몰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수용부(12a,12b)의 부피는 유압 실린더(20)를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수용시킬 수 있는 정도면 족하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유압 실린더(20)가 실린더수용부(12a,12b)에 의해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의 배면에 결합되어 외부에서는 은닉되기 때문에 장비의 사용 중에 유압 실린더(20)가 파손되는 등의 폐단을 극복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order to couple these
유압 실린더(20)를 실린더수용부(12a,12b) 내에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핀(14)이 더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두 개의 유압 실린더(20)를 두 개의 실린더수용부(12a,12b) 내에 고정시키기 위해 총 4개의 고정핀(14)이 사용된다.A fixing
4개의 고정핀(14) 각각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수용부(12a,12b)를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핀헤드부(15a)와, 핀헤드부(15a)로부터 연장되고 유압 실린더(20)의 단부 영역에 결합된 고리부(21)를 통해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의 배면에 형성된 핀공(13)에 삽입 결합되는 핀축부(14b)를 포함한다. 이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수용부(12a,12b) 내에 유압 실린더(20)를 하나씩 수용시킨 상태에서 4개의 고정핀(14)을 4개의 고리부(21) 영역에 체결함으로써 유압 실린더(20)를 실린더수용부(12a,12b) 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Each of the four fixing
한편, 본 실시예의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에는, 카운터 웨이터를 웨이트 장착부(2)에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두 개의 유압 실린더(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압 제어회로(30)가 더 구비된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20)는 도 12에 도시된 유압 제어회로(30)에 의해 제어된다.On the other hand, th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for the heavy duty counterweigh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urther provided with a hydraulic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제어회로(30)는, 작동유체가 저장되어 있는 탱크(31)와, 탱크(31) 내의 작동유체를 펌핑하여 유압을 형성시키는 펌프(32)와, 복수의 유압 실린더(20)로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라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선택적으로 유압라인을 단속하는 유압 퀵 커플러(33, quick coupler)와, 복수의 유압 실린더(20)로 유압이 향하도록 제어하는 스풀 밸브 레버(34, Spool valve lever)와, 유압의 세기를 조절하는 업/다운 조절 레버(35)를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유압 제어회로(30)는, 복수의 유압 실린더(20)로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라인에 마련되는 더블 체크 밸브(36)를 더 포함한다.11 and 12, the
이들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부연하면, 우선 스풀 밸브 레버(34)와 업/다운 조절 레버(35), 그리고 더블 체크 밸브(36) 등은 전자식이나 기계식, 혹은 유압식 등 어떤 것이 적용되어도 좋다. 만약에 전자식 밸브가 적용될 경우라면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가 적용될 수 있다. 유압 퀵 커플러(33)는, 두 개의 호스를 쉽게 끼우고 뺄 수 있으며, 끼우면 라인이 연결되고 빼면 각 끝단이 차단되어 기름이 새지 않도록 하는 금구의 일종이다. 더블 체크 밸브(36)는 카운터 웨이트(3)의 자중에 의한 카운터 웨이트(3)의 침하 및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각 유압 실린더(20)마다 하나씩 사용되고 있다.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 중장비(1)에 카운터 웨이트(3)를 장착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of mounting the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1)의 뒤편, 웨이트 장착부(2) 영역으로 카운터 웨이트(3)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유압 퀵 커플러(33)를 연결한다. 그리고는 스풀 밸브 레버(34)를 작동시켜 유압 실린더(20)로 작동유체의 압이 전달되도록 한다.First, as shown in Fig. 2, the hydraulic
유압 실린더(20)들에 유압이 전해지면, 실린더본체(20a)에 대해 실린더로 드(20b)가 길이 연장되면서 유압 실린더(20)들의 자체 길이가 길어진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단위웨이트(5)가 상승하면서 웨이트 장착부(2)의 상부 영역으로 상승된다. 도 4와 같이, 상부 단위웨이트(5)가 완전히 상승되면, 그 위치에서 볼트공(11a)을 통해 볼트를 체결하여 상부 단위웨이트(5)를 웨이트 장착부(2)의 상부 영역에 고정시킨다.When the hydraulic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다음, 상부 단위웨이트(5)의 고정이 완료되면, 다시 스풀 밸브 레버(34)를 조작하여 이번에는 실린더본체(20a)에 대해 실린더로드(20b)의 길이가 축소되도록 한다. 즉, 유압 실린더(20)들의 자체 길이가 짧아지도록 한다. 그러면, 하부 단위웨이트(8)가 상부 단위웨이트(5) 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하부 단위웨이트(8)가 완전히 상승하여 도 5와 같이, 하부 단위웨이트(8)의 돌기부(8a)가 상부 단위웨이트(5)의 홈부(5a)에 끼워지면, 연통공(10a,10b)들로 볼트를 체결하여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를 상호간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에, 볼트공(11b)을 통해 볼트를 체결하여 하부 단위웨이트(8)를 웨이트 장착부(2)의 하부 영역에 고정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의 장착 과정이 완료되면 유압 제어회로(30)를 통해 유압 실린더(20)로 향하는 유압을 차단한다.Next, when the fixing of the
반대로, 만약 웨이트 장착부(2)에 장착된 카운터 웨이트(3)를 분리하고자 한다면, 전술한 역순, 즉 도 5에서 도 2의 방법으로 하부 단위웨이트(8)를 먼저 분리하고, 이어 상부 단위웨이트(5)를 분리하면 된다. 물론, 이 때에도 역시 유압 제어회로(30)가 사용된다.Conversely, if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장비의 도움 없이 카운터 웨이트(3)를 중장비(1)에 탈부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기에 카운터 웨이트(3)의 탈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 발생률을 낮출 수 있으며, 특히 필요에 따라 추가의 카운터 웨이트(3)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링크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한 유압 실린더(20)만을 이용하여 카운터 웨이트(3)를 탈부착시키고 있으므로 간단하고 단순하게 제작이 가능하여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제작이 간단하고 단순하기 때문에 그만큼 종래기술에 비해 고장 우려가 감소된다. 특히, 카운터 웨이트(3)를 장착한 후에는 유압 실린더(20)들이 카운터 웨이트(3) 내부에 위치하여 은닉되므로 비교적 고가인 유압 실린더(20)의 파손 위험을 줄일 수 있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그리고 본 실시예의 카운터 웨이트(3)는 종래의 도 1과는 달리 비교적 평평한 웨이트 장착부(2)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중장비(1)의 작동할 때 원호를 움직이지 않는다. 때문에 후방 공간을 적게 필요로 하는 이점이 있다.The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중장비에 카운터 웨이트가 장착된 상태의 도면이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counterweight is mounted on a heavy equipment.
전술한 바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3)는 많은 중량이 나가는 거대한 구조물이다. 따라서 카운터 웨이트(3)가 전복되거나 낙하될 경우에는 안전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 이처럼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예방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체인(40)을 마련하여 체인(40)의 양단이 웨이트 장착부(2)와 카운터 웨이트(3)에 각각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물론, 체인(40) 외에 체인(40)과 유사한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선이나 로프 등을 사용해도 무방하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 웨이트의 사시도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할 때,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 사이에는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 간의 상대적인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5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가이드(50)를 마련하는 경우,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 간의 상대적인 이동 위치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Referring to this figure, a plurality of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카운터 웨이트가 장착된 중장비의 부분 사시도이다.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heavy equipment equipped with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들로서 중장비에 카운터 웨이트를 장착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FIGS. 2 to 5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steps of mounting a counterweight to a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카운터 웨이트의 정면 사시도이다.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counterweight.
도 7은 도 6의 분리 상태 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도 8은 카운터 웨이트의 배면 사시도이다.8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counterweight.
도 9는 도 8의 분리 상태 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도 10은 카운터 웨이트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10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unterweight.
도 11은 카운터 웨이트의 배면 구성도이다.11 is a back view of the counterweight.
도 12는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을 위한 유압 제어회로이다.12 is a hydraulic control circuit for detachment and attachment of the counterweight.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중장비에 카운터 웨이트가 장착된 상태의 도면이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counterweight is mounted on a heavy equipment.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 웨이트의 사시도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 : 중장비 2 : 웨이트 장착부1: heavy equipment 2: weight mounting part
3 : 카운터 웨이트 5,8 :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3:
10a,10b : 연통공 11a,11b : 볼트공10a, 10b: communicating
12a,12b : 실린더수용부 14 : 고정핀12a, 12b: cylinder receiving portion 14:
20 : 유압 실린더 21 : 고리부20: Hydraulic cylinder 21:
30 : 유압 제어회로 40 : 체인 50 : 가이드30: Hydraulic control circuit 40: Chain 50: Guid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7018A KR101532777B1 (en) | 2007-12-26 | 2007-12-26 | Apparatus for removing and mounting a counter weight of heavy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7018A KR101532777B1 (en) | 2007-12-26 | 2007-12-26 | Apparatus for removing and mounting a counter weight of heavy equip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9376A KR20090069376A (en) | 2009-07-01 |
KR101532777B1 true KR101532777B1 (en) | 2015-06-30 |
Family
ID=41321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37018A KR101532777B1 (en) | 2007-12-26 | 2007-12-26 | Apparatus for removing and mounting a counter weight of heavy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277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625377B2 (en) | 2010-02-09 | 2014-11-19 | コベルコクレーン株式会社 | Mobile crane |
KR101965902B1 (en) * | 2016-09-05 | 2019-08-13 | 고인영 | Apparatus for controlling oil pressure of dump equpment |
KR102162363B1 (en) | 2020-03-02 | 2020-10-06 |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 Counterweiht mounting device and working machine having the sam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54435A (en) * | 1998-08-03 | 2000-02-22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Counterweight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
JP2002194774A (en) * | 2000-12-25 | 2002-07-10 |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 Method and device for detaching/attaching counter weight of construction machinery |
JP2003147806A (en) * | 2001-11-09 | 2003-05-21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Construction machine |
JP2006188817A (en) * | 2004-12-28 | 2006-07-20 |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 Counter-weight of wheel type construction machinery |
-
2007
- 2007-12-26 KR KR1020070137018A patent/KR10153277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54435A (en) * | 1998-08-03 | 2000-02-22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Counterweight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
JP2002194774A (en) * | 2000-12-25 | 2002-07-10 |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 Method and device for detaching/attaching counter weight of construction machinery |
JP2003147806A (en) * | 2001-11-09 | 2003-05-21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Construction machine |
JP2006188817A (en) * | 2004-12-28 | 2006-07-20 |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 Counter-weight of wheel type construction machiner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9376A (en) | 2009-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79075B1 (en) | Quick coupler apparatus | |
US20100189535A1 (en) | Coupler device to connect bucket or tool to boom arm | |
US20100229956A1 (en) | Extendable fluid coupler | |
US20150053450A1 (en) | Stator for a hydraulic work tool assembly | |
JP4468503B2 (en) | Linkage assembly for connecting a work implement to a work machine | |
EP2581500B1 (en) | Device for connecting two members | |
KR101532777B1 (en) | Apparatus for removing and mounting a counter weight of heavy equipment | |
JP4431124B2 (en) | Work machine | |
KR20110070940A (en) | Counter weight structure of a heavy equipment | |
KR101976948B1 (en) | Excavator with detachable extension arm | |
JP4247239B2 (en) | Excavator | |
JP5614972B2 (en) | Work machine | |
AU2005245747A1 (en) | Construction equipment with excavation and loading function | |
EP2290163A1 (en) | Construction machine | |
KR102323923B1 (en) | Quick coupler flow path structure | |
JP3708860B2 (en) | Quick coupler device for work machines | |
KR101542545B1 (en) | Hydraulic equipment for excavator having tongs installing arm | |
KR200211608Y1 (en) | Attachment coupler for heavy industrial equipment | |
KR20240067637A (en) | Boom connection device for Heavy Equipment of Building Demolition | |
JP5885787B2 (en) | Hydraulic control device | |
WO2002097201A1 (en) | A coupling assembly | |
KR102425356B1 (en) | Fixed block rotation prevention device for quick coupler | |
EP4033033A1 (en) | Machine of the earth-moving type, comprising a configurable type operating arm, and related method and adapter group for configuring said operating arm | |
KR102430342B1 (en) | Coupler for Heavy Equipments | |
JP2013167107A (en) | Expansion rod and deep drill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