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691B1 - 구조물 기초에 이용되는 말뚝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구조물 기초에 이용되는 말뚝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691B1
KR101532691B1 KR1020140006622A KR20140006622A KR101532691B1 KR 101532691 B1 KR101532691 B1 KR 101532691B1 KR 1020140006622 A KR1020140006622 A KR 1020140006622A KR 20140006622 A KR20140006622 A KR 20140006622A KR 101532691 B1 KR101532691 B1 KR 101532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s
pile
displacement error
displacement
arran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형
최호영
손규만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주) filed Critical 삼성물산(주)
Priority to KR1020140006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하부지반으로 전달하기 위해 현장에 설치되고 기초판에 배치되는 말뚝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으로, 말뚝직경, 말뚝의 최대ㆍ최소 중심간격, 기초판의 크기를 포함한 상기 말뚝의 해석에 필요한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기본정보 입력단계; 설계 하중에 대하여 지지력 및 침하량을 만족시킬 수 있는 최소 말뚝의 개수를 산정하여 상기 기초판의 형상에 대응하는 임의의 형태로 상기 말뚝을 배열하는 말뚝 배열단계; 및, 상기 말뚝 배열단계에서 배열된 각각의 말뚝마다, 상기 말뚝이 설치된 위치에서 변위와 강성을 재계산하여 변위오차가 지정한 허용오차 범위를 만족하는지를 평가하는 변위오차 평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기본정보 입력단계는, 상기 기초판을 원 내부에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작은 원이 형성되어 두 개의 구획으로 나누어짐으로써 내부에 작은 원으로 구획된 내조와 내부 외측에 띠 형태로 구획된 외조로 구성되는 원형의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기초판에 관한 제원을 입력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며, 상기 변위오차 평가단계에서 변위오차가 지정한 허용오차 범위를 만족하면 다음 패턴(pattern)으로 진행하지 않고 말뚝의 배열이 완료되며, 변위오차가 지정한 허용오차 범위를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말뚝 배열단계에서 산정한 최소 말뚝의 개수보다 말뚝의 개수를 증가시키어 배열하면서 말뚝 배열단계와 변위오차 평가단계를 반복수행하여 변위오차를 만족시킬 때까지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조물 기초에 이용되는 말뚝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Automatic arrangement method of piles in structure foundation}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말뚝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어진 설계조건하에서 기초판에 배치되는 말뚝을 최소개수부터 최대개수까지 다양한 배열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구조물 기초에 이용되는 말뚝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질의 지반층이 깊은 곳에 있는 경우,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로서 깊은기초가 사용되는데 그 중에서 주로 이용되는 것이 말뚝기초이다. 이러한 말뚝기초는 지지력의 확실성, 시공성(施工性), 경제성 등 우수한 특성을 지닌다. 특히 LNG 탱크 구조물을 지지하는 원형 기초판과 교량의 교대(Abutment)를 지지하는 사각형 기초판의 하부에는,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반(흙) 상태가 양호한 하부 지반으로 전달하기 위해 말뚝기초가 주로 이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말뚝기초 설계는 엑셀 프로그램(Excel Sheet)을 이용하여 말뚝기초 본(本)당 최대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기준으로 설계를 수행하고 있기에, 수백에서 수천 개에 이르는 개별 말뚝기초의 위치에 따른 하중의 크기와 해당 지층 정보를 고려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LNG 탱크 기초의 경우는 직경이 80~100m에 이르러 하부 지반의 구성이 말뚝기초 위치마다 다를 수 있기에 문제가 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설계하중에 대한 소요 지지력을 만족하도록 말뚝기초를 배열할 때 다양한 설계조건 및 개별적인 말뚝기초의 배열로 설계효율이 떨어졌다. 즉, LNG 탱크 말뚝기초 설계시 기초판 하부에 말뚝 중심간격을 고려하여 설계자가 임의 배치하였으며, 이에 말뚝을 배치하는 시간이 많이 요구되어 다양한 형태의 배치에 대한 검토가 불가능하였다. 아울러 말뚝 위치가 겹치는 부분은 설계자가 임의대로 조정함에 따라 말뚝 배열에 일관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S/W(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말뚝기초를 배열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는데, 이는 전체적으로 사각형태를 이루는 말뚝기초만을 고려할 수 있으며 LNG탱크와 같은 원형으로 배치되는 기초의 배열 특성을 고려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결국 설계 단계에서 많은 수의 말뚝들을 모두 조정하여 적합한 말뚝들의 배열을 찾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이에 지금까지는 관련 방법에 대한 명확한 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주어진 설계조건 하에서 기초판에 배치되는 말뚝을 최소개수부터 최대개수까지 다양한 배열로 자동 형성하는 구조물 기초에 이용되는 말뚝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LNG탱크와 같은 원형 기초판에 말뚝을 배열하는 경우, 기초판을 내조와 외조로 나누고 각각에 독립적으로 말뚝을 배열하며 내조와 외조의 경계선에 말뚝배치가 겹치는 경우에는 겹쳐지는 내조의 말뚝을 기초의 중심점으로 자동 이동시키는 구조물 기초에 이용되는 말뚝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하부지반으로 전달하기 위해 현장에 설치되고 기초판에 배치되는 말뚝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으로, 말뚝직경, 말뚝의 최대ㆍ최소 중심간격, 기초판의 크기를 포함한 상기 말뚝의 해석에 필요한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기본정보 입력단계; 설계 하중에 대하여 지지력 및 침하량을 만족시킬 수 있는 최소 말뚝의 개수를 산정하여 상기 기초판의 형상에 대응하는 임의의 형태로 상기 말뚝을 배열하는 말뚝 배열단계; 및, 상기 말뚝 배열단계에서 배열된 각각의 말뚝마다, 상기 말뚝이 설치된 위치에서 변위와 강성을 재계산하여 변위오차가 지정한 허용오차 범위를 만족하는지를 평가하는 변위오차 평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기본정보 입력단계는, 상기 기초판을 원 내부에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작은 원이 형성되어 두 개의 구획으로 나누어짐으로써 내부에 작은 원으로 구획된 내조와 내부 외측에 띠 형태로 구획된 외조로 구성되는 원형의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기초판에 관한 제원을 입력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며, 상기 변위오차 평가단계에서 변위오차가 지정한 허용오차 범위를 만족하면 다음 패턴(pattern)으로 진행하지 않고 말뚝의 배열이 완료되며, 변위오차가 지정한 허용오차 범위를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말뚝 배열단계에서 산정한 최소 말뚝의 개수보다 말뚝의 개수를 증가시키어 배열하면서 말뚝 배열단계와 변위오차 평가단계를 반복수행하여 변위오차를 만족시킬 때까지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기초에 이용되는 말뚝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변위오차 평가단계 이후에 배열된 말뚝 각각의 변위, 하중, 반력, 모멘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값이 단계적 차이로 표시되어 컴퓨터 화면에 보여주는 해석결과 표시단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기초에 이용되는 말뚝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주어진 설계조건 하에서 기초판에 배치되는 말뚝을 최소개수부터 최대개수까지 다양한 배열로 자동 형성함으로써 설계자별 오류를 줄이고 설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NG탱크와 같은 원형 기초판에 말뚝을 배열하는 경우, 기초판을 내조와 외조로 나누고 각각에 독립적으로 말뚝을 배열하며 내조와 외조의 경계선에 말뚝배치가 겹치는 경우에는 내조의 말뚝을 기초의 중심점으로 자동 이동시킴으로써 효율적이며 일관성이 유지되는 말뚝의 배열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알고리즘 방법을 이용하여 말뚝의 배열에 대한 보정이 가능해짐은 물론, 최소개수의 말뚝으로 최적의 말뚝 배열이 가능해져 효율성 및 경제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시행되는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2(a)와 (b)는 본 발명의 기본정보 입력단계 중 기초판의 형태에 따른 제원을 입력하는 화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정보 입력단계 중 말뚝의 배열형태를 선택하는 화면이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기초에 이용되는 말뚝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에서 말뚝이 배열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결과표시단계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주어진 설계조건 하에서, 기초판(F)에 배치되는 말뚝(P)을 최소개수에서 최대개수까지 다양하게 배열하되, 컴퓨터를 이용함으로써 말뚝(P)을 자동으로 배열하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시행되는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하부지반으로 전달하기 위해 현장에 설치되고 기초판(F)에 배치되는 말뚝(P)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으로, 말뚝(P)직경, 말뚝(P)의 최대ㆍ최소 중심간격, 기초판(F)의 크기를 포함한 말뚝(P)의 해석에 필요한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기본정보 입력단계; 설계 하중에 대하여 지지력 및 침하량을 만족시킬 수 있는 최소 말뚝(P)의 개수를 산정하여 기초판(F)의 형상에 대응하는 임의의 형태로 말뚝(P)을 배열하는 말뚝(P) 배열단계; 및, 말뚝(P) 배열단계에서 배열된 각각의 말뚝(P)마다, 말뚝(P)이 설치된 위치에서 변위와 강성을 재계산하여 변위오차가 지정한 허용오차 범위를 만족하는지를 평가하는 변위오차 평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변위오차 평가단계에서 변위오차가 지정한 허용오차 범위를 만족하면 다음 패턴(pattern)으로 진행하지 않고 말뚝(P)의 배열이 완료되며, 변위오차가 지정한 허용오차 범위를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말뚝(P) 배열단계에서 산정한 최소 말뚝(P)의 개수보다 말뚝(P)의 개수를 증가시키어 배열하면서 말뚝(P) 배열단계와 변위오차 평가단계를 반복수행하여 변위오차를 만족시킬 때까지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말뚝(P) 자동 배열방법은 크게 기본정보 입력단계, 말뚝(P) 배열단계, 변위오차 평가단계로 나눌 수 있다.
기본정보 입력단계는 말뚝(P)의 해석에 필요한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로서, 지층, 주상도, 기초, 말뚝(P), 하중, 계획고 등의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기본정보 입력단계는 말뚝(P)의 해석에 필요한 정보로써 지하수위의 단위중량 및 방향설정, 깊은기초의 해석방법, 복합말뚝(P) 선택 여부, 지반분류, 철근 및 콘크리트에 대한 물성값을 입력하는 과정과 현장의 지반 및 지층의 주상도정보를 입력하는 과정, 주상도정보 과정에서 입력된 지반에 대한 물성값을 입력하는 과정, 현장에 설치되는 기초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 기초에 작용하는 하중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 직접기초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 및, 지반의 지지력 및 침하량에 관한 정보 및 말뚝(P)의 배열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 깊은기초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이 컴퓨터에서 진행될 수 있다.
도 2(a)와 (b)는 본 발명의 기본정보 입력단계 중 기초판(F)의 형태에 따른 제원을 입력하는 화면이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정보 입력단계는 기초판(F)이 원형 및 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되고, 각각의 형태에 대한 제원을 입력하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 2(a)는 기초판(F)이 원형인 경우로서, 기초판(F)의 반경과 두께가 입력되며 LNG 탱크와 같은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도 2(b)는 기초판(F)이 사각형인 경우로서, 기초판(F)의 폭, 길이 및 두께가 입력되며 교량의 교대와 같은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정보 입력단계 중 말뚝(P)의 배열형태를 선택하는 화면이고,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기초에 이용되는 말뚝(P)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에서 말뚝(P)이 배열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판(F)이 원형인 경우에 원 내부에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작은 원이 형성되어 두 개의 구획으로 나누어짐으로써 내부에 작은 원으로 구획된 내조(I)와 내부 외측에 띠 형태로 구획된 외조(O)로 구성되는 형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내조(I)는 내부원을 의미하며, 외조(O)는 바깥쪽 큰원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LNG 탱크의 벽체와 같은 구조물이 위치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말뚝(P) 배열단계는 최소개수부터 최대개수까지 임의의 패턴(pattern)으로 말뚝(P)을 배열하는 단계로서, 말뚝(P)이 자동으로 다양하게 배열된다. 이러한 말뚝(P) 배열단계는 컴퓨터에 입력된 말뚝(P)직경, 말뚝(P)의 최소ㆍ최대 중심간격 및 기초판(F)의 직경에 의하여 최소개수와 최대개수가 결정되며, 말뚝(P)의 최소개수 경우부터 임의의 형태로 배열한다. 그리고 말뚝(P) 배열단계 전에 말뚝(P)의 배열방법 및 기초판(F)이 원형과 사각형인 경우에 따른 설정값을 입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정보 입력단계에서 말뚝(P)의 배열에 대하여 방사형 배열, 직사각형 배열, 정사각형 배열, 방사형 및 정사각형 배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기에 말뚝(P) 배열단계에서는 상술한 형태처럼 말뚝(P)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본정보 입력단계에서 기초판(F)에 배치되는 말뚝(P)이 정사각형 배열로 구성될 경우에 말뚝(P)이 배열된 전체적인 형태가 격자형, 방사형, 추출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선택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고, 기초판(F)에 배치되는 말뚝(P)이 직사각형 배열로 구성될 경우에는 배열된 말뚝(P)의 가로ㆍ세로방향의 개수를 증감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말뚝(P) 배열단계에서는 도 4a 내지 4d에 도시된 것처럼 말뚝(P)의 배열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을 실제로 적용한 사례를 도시한 것이며, 이하 이에 대한 설명을 한다. 도 4a는 기초판(F)이 원형인 경우에 적용한 것으로 내조(I)와 외조(O)가 동일하게 말뚝(P)이 배열된 것이다. 이는 말뚝(P)직경 1.0m, 말뚝(P)의 최소ㆍ최대 중심간격 2.5D와 5.0D 및 기초판(F) 직경 100m를 적용한 것이며 총 12개의 형태가 형성되었다. 도 4b는 기초판(F)이 사각형인 경우에 적용한 것으로, 말뚝(P)을 정사각형 배열로 형성한 것이다. 이는 말뚝(P)직경 1.0m, 말뚝(P)의 최소ㆍ최대 중심간격 2.5D와 5.0D 및 기초판(F) 크기를 50m×50m를 적용한 것이며 격자형 5개, 방사형 5개, 추출형 22개의 형태가 형성되었다. 도 4c는 기초판(F)이 사각형인 경우에 적용한 것으로, 말뚝(P)을 직사각형 배열로 형성한 것이다. 이는 말뚝(P)직경 1.0m, 말뚝(P)의 최소ㆍ최대 중심간격 2.5D와 5.0D 및 기초판(F) 크기를 30m×30m를 적용한 것이며, 정사각형 배열과 달리 격자형 등의 변화가 이용되지 않고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말뚝(P)의 개수를 증감시킴으로써 총 393개에 달하는 다양한 형태를 형성하였다. 도 4d는 기초판(F)이 내조(I)와 외조(O)로 이루어진 원형인 경우에 적용한 것으로, 내조(I)는 정사각형 배열로 외조(O)는 방사형으로 배열한 것이다. 이는 말뚝(P)직경 1.0m, 말뚝(P)의 최소ㆍ최대 중심간격 2.5D와 5.0D를 조건으로 정하고 기초판(F) 직경 70m에 외조(O)의 최소ㆍ최대 직경을 70, 100m로 적용한 것이다. 특히 도 4d의 경우는 내조(I)와 외조(O)에 말뚝(P)의 배열이 다른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외조(O)는 4개의 형태로 형성되고 내조(I)는 격자형, 방사형, 추출형의 순서에 따라 각각 7개, 7개, 30개가 형성되어 총 28개, 28개, 120개의 말뚝(P)의 배열형태가 구성되었다. 이때 본 발명은 말뚝(P) 배열단계에서 내조(I)와 외조(O)의 말뚝(P)배열 형태가 상이하게 구성되고 내조(I)와 외조(O)에서 말뚝(P)이 겹치어 배열되는 경우에, 겹치는 내조(I)의 말뚝(P)이 기초판(F)의 중심으로 이동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말뚝(P)이 자동으로 일관성있는 배열이 되도록 한다.
변위오차 평가단계는 말뚝(P) 배열단계를 거쳐 형성된 말뚝(P)의 배열에 대하여 각각의 말뚝(P)이 위치마다 변위와 강성의 설계조건을 만족시키는지 평가하는 단계이다. 변위오차 평가단계에서 말뚝(P)의 변위와 강성의 재계산은 유한요소해석, 수평하중전이해석 및 수직하중전이해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유한요소해석은 기하학적으로 복작한 구조물을 단순화하여 수학적 모델의 해를 찾는데 효과적이며 해석시에 포아송비, 탄성계수, 전단 탄성계수, 지반반력계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말뚝(P)의 위치에서 변위와 강성을 계산하되, 변위오차가 설정한 허용범위 안에 들어오면 해석을 마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말뚝(P) 배열단계에서 말뚝(P)을 배열하게 되면 여러 형태의 배열 패턴이 형성되는데 변위오차 평가단계에서 임의의 패턴에 대해서 변위가 수렴하지 못하면 다음 패턴으로 해석을 진행한다. 특히 본 발명은 말뚝(P)의 개수가 적은 것부터 많은 순으로 진행하며 변위오차 평가단계에서 변위가 수렴하면 다음 패턴으로 진행하지 않고 현재의 패턴을 최적의 설계로 보고 해석을 종료한다. 이때 허용범위를 작은 값으로 정한 경우에는 변위오차 평가단계에서 해석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히 많이 걸릴 수 있기에, 적절한 허용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변위오차 평가단계 이후에 배열된 말뚝(P) 각각의 변위, 하중, 반력, 모멘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값이 단계적 차이로 표시되어 컴퓨터 화면에 보여주는 해석결과 표시단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결과표시단계를 나타내는 화면인데 도 5a는 하중을, 도 5b는 변위를, 도 5c는 반력을 표시한 것이다. 이때 해석결과는 최소값에서 최대값까지 단계적 차이로 표시되는데, 최소와 최대에 해당하는 색상을 별도로 설정함으로써 입력자로 하여금 편의를 도모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F: 기초판
P: 말뚝
I: 내조
O: 외조

Claims (10)

  1.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하부지반으로 전달하기 위해 현장에 설치되고 기초판(F)에 배치되는 말뚝(P)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으로,
    말뚝(P)직경, 말뚝(P)의 최대ㆍ최소 중심간격, 기초판(F)의 크기를 포함한 상기 말뚝(P)의 해석에 필요한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기본정보 입력단계;
    설계 하중에 대하여 지지력 및 침하량을 만족시킬 수 있는 최소 말뚝(P)의 개수를 산정하여 상기 기초판(F)의 형상에 대응하는 임의의 형태로 상기 말뚝(P)을 배열하는 말뚝(P) 배열단계; 및,
    상기 말뚝(P) 배열단계에서 배열된 각각의 말뚝(P)마다, 상기 말뚝(P)이 설치된 위치에서 변위와 강성을 재계산하여 변위오차가 지정한 허용오차 범위를 만족하는지를 평가하는 변위오차 평가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기본정보 입력단계는, 상기 기초판(F)을 원 내부에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작은 원이 형성되어 두 개의 구획으로 나누어짐으로써 내부에 작은 원으로 구획된 내조(I)와 내부 외측에 띠 형태로 구획된 외조(O)로 구성되는 원형의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기초판(F)에 관한 제원을 입력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며,
    상기 변위오차 평가단계에서 변위오차가 지정한 허용오차 범위를 만족하면 다음 패턴(pattern)으로 진행하지 않고 말뚝(P)의 배열이 완료되며, 변위오차가 지정한 허용오차 범위를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말뚝(P) 배열단계에서 산정한 최소 말뚝(P)의 개수보다 말뚝(P)의 개수를 증가시키어 배열하면서 말뚝(P) 배열단계와 변위오차 평가단계를 반복수행하여 변위오차를 만족시킬 때까지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기초에 이용되는 말뚝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기본정보 입력단계는 말뚝(P)의 배열에 대하여 방사형 배열, 직사각형 배열, 정사각형 배열, 방사형 및 정사각형 배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기초에 이용되는 말뚝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기본정보 입력단계는,
    기초판(F)에 배치되는 말뚝(P)이 정사각형 배열로 구성될 경우에 말뚝(P)이 배열된 전체적인 형태가 격자형, 방사형, 추출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선택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고,
    기초판(F)에 배치되는 말뚝(P)이 직사각형 배열로 구성될 경우에는 배열된 말뚝(P)의 가로ㆍ세로방향의 개수를 증감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기초에 이용되는 말뚝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
  6. 제1항에서,
    변위오차 평가단계에서 말뚝(P)의 변위와 강성의 재계산은 유한요소해석, 수평하중전이해석 및 수직하중전이해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기초에 이용되는 말뚝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
  7. 제5항에서,
    변위오차 평가단계에서 말뚝(P)의 변위와 강성의 재계산은 유한요소해석, 수평하중전이해석 및 수직하중전이해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기초에 이용되는 말뚝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
  8. 제1항에서,
    변위오차 평가단계 이후에 배열된 말뚝(P) 각각의 변위, 하중, 반력, 모멘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값이 단계적 차이로 표시되어 컴퓨터 화면에 보여주는 해석결과 표시단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기초에 이용되는 말뚝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
  9. 제5항에서,
    변위오차 평가단계 이후에 배열된 말뚝(P) 각각의 변위, 하중, 반력, 모멘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값이 단계적 차이로 표시되어 컴퓨터 화면에 보여주는 해석결과 표시단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기초에 이용되는 말뚝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
  10. 제5항에서,
    말뚝(P)배열단계는,
    내조(I)와 외조(O)의 말뚝(P)배열 형태가 상이하게 구성되고 내조(I)와 외조(O)에서 말뚝(P)이 겹치어 배열되는 경우에, 겹치는 상기 내조(I)의 말뚝(P)이 기초판(F)의 중심으로 이동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기초에 이용되는 말뚝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
KR1020140006622A 2014-01-20 2014-01-20 구조물 기초에 이용되는 말뚝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 KR101532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622A KR101532691B1 (ko) 2014-01-20 2014-01-20 구조물 기초에 이용되는 말뚝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622A KR101532691B1 (ko) 2014-01-20 2014-01-20 구조물 기초에 이용되는 말뚝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2691B1 true KR101532691B1 (ko) 2015-06-30

Family

ID=53520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622A KR101532691B1 (ko) 2014-01-20 2014-01-20 구조물 기초에 이용되는 말뚝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6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3625A (zh) * 2018-07-24 2018-12-18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路堑基床底部桩间盐渍土溶陷量的测算方法
CN112947126A (zh) * 2021-01-28 2021-06-11 武汉市博畅软件开发有限公司 一种合路器精度控制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7632A (ja) * 2000-09-22 2002-04-02 Geotop Corp 杭基礎設計支援システム
JP2006161363A (ja) * 2004-12-06 2006-06-22 Shimizu Corp 杭の設計システム
JP2009003907A (ja) * 2007-05-21 2009-01-08 Sekisui Chem Co Ltd ユニット式建物の構造解析モデル、構造解析システム、構造決定支援システムおよび耐震性能評価システム
KR20090050719A (ko) * 2007-11-16 2009-05-20 삼성물산 주식회사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구조물 하부 기초의 말뚝배치설계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7632A (ja) * 2000-09-22 2002-04-02 Geotop Corp 杭基礎設計支援システム
JP2006161363A (ja) * 2004-12-06 2006-06-22 Shimizu Corp 杭の設計システム
JP2009003907A (ja) * 2007-05-21 2009-01-08 Sekisui Chem Co Ltd ユニット式建物の構造解析モデル、構造解析システム、構造決定支援システムおよび耐震性能評価システム
KR20090050719A (ko) * 2007-11-16 2009-05-20 삼성물산 주식회사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구조물 하부 기초의 말뚝배치설계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3625A (zh) * 2018-07-24 2018-12-18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路堑基床底部桩间盐渍土溶陷量的测算方法
CN109033625B (zh) * 2018-07-24 2022-09-16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路堑基床底部桩间盐渍土溶陷量的测算方法
CN112947126A (zh) * 2021-01-28 2021-06-11 武汉市博畅软件开发有限公司 一种合路器精度控制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ung et al. Theoretical study on pile length optimization of pile groups and piled rafts
Bartoli et al. Numerical modeling of the structural behavior of Brunelleschi’s Dome of Santa Maria del Fiore
Kirkwood et al. Influence of prefabricated vertical drains on the seismic performance of similar neighbouring structures founded on liquefiable deposits
Katzenbach et al. Assessing settlement of high‐rise structures by 3D simulations
CN105421464B (zh) 小型基坑土方开挖方法
JP2009167660A (ja) タワークレーンの基礎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CN102789516A (zh) 一种基于监测信息的边坡施工过程的稳定性数值分析与优化设计方法
KR101532691B1 (ko) 구조물 기초에 이용되는 말뚝을 자동으로 배열하는 방법
CN103643668A (zh) 一种建筑工程基坑监测的方法
CN105320817A (zh) 一种浅埋大跨城市隧道扁平率确定方法
Tang et al. Seismic soil liquefaction mitigation using stone columns for pile-supported wharves
JP2009275347A (ja) 小規模建築物の基礎・地盤補強設計プログラム
Zhussupbekov et al. Geotechnical piling construction and testing on problematical soil ground of Kazakhstan and Russia
Moon et al. Creation of robust design alternatives for temporary construction in value engineering
CN108205055B (zh) 一种运营公路下浅埋暗挖隧道地层变形试验系统
Ding et al. Uplift bearing capacity of transmission tower foundation in reinforced aeolian sand using simplified model tests
Khosravi et al. Determining the portion of dewatering-induced settlement in excavation pit projects
CN107447741B (zh) 一种溶洞安全性的评估方法及评估结构
Filz et al. Load distribution on geosynthetic reinforcement in column-supported embankments
Daud Interference of shallow multiple strip footings on sand
CN104631467A (zh) 基坑开挖工程的l型换撑板的支设方法
Yang et al. 3D finite-element modelling of soil arch shape in a piled embankment
JP4491840B1 (ja) 防護体の支柱構造
Almac et al. Structural observations on Macedonian tower, Edirne
Forushani et al. Use of Pile to Reduce Induced Settlement in Existing Adjacent Building Following Construction of New Building (Case Study: Abad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