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543B1 - 진공 흡착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흡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543B1
KR101532543B1 KR1020140041067A KR20140041067A KR101532543B1 KR 101532543 B1 KR101532543 B1 KR 101532543B1 KR 1020140041067 A KR1020140041067 A KR 1020140041067A KR 20140041067 A KR20140041067 A KR 20140041067A KR 101532543 B1 KR101532543 B1 KR 101532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base portion
vacuum
cov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구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홍식 filed Critical 구홍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6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the suction cups being activated by the rotation of a cranked lever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진공 흡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는, 내부에 형성된 진공 챔버에 의해서 피착면에 진공 흡착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상부에 결합하는 커버부와, 베이스부에 결합되어 커버부의 외부로 돌출되고, 회전에 의해서 커버부를 하향 가압하면서 베이스부의 일부를 상승시켜서 진공 챔버가 형성되도록 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 흡착장치{VACCUM SUCTION DEVICE}
본 발명은 진공 흡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구조가 간단한 진공 흡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 흡착장치는 장치 내부에서 발생하는 진공에 의해서 다른 물체에 부착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진공 흡착장치는 못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지 않고 어떤 물건을 유리나 타일 등에 부착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진공 흡착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1은 흡착판(10)이 피착면(s)에 편평하게 밀착된 상태를 예시하고, 도 2는 흡착판(10)이 상승하여 피착면(s)과의 사이에 진공 챔버(c)가 형성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진공 흡착장치는, 피착면(s)에 밀착되는 연질의 흡착판(10)과, 흡착판(10)의 상면 테두리부를 압착하면서 중심부에서는 소정의 간격(G)을 두고 흡착판(10)을 커버하는 경질의 누름캡(20)과, 상기 흡착판(10)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어 누름캡(20)을 관통하는 당김봉(30)과, 당김봉(30)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서 당김봉(30)을 위로 당겨 올려 주는 조임구(40)로 이루어진다.
피착면(s)에 흡착판(10)을 밀착한 후 누름캡(20)을 하향 가압하면서 조임구(40)를 회전시키면, 조임구(40)와 나사 결합된 당김봉(30)이 상승하면서, 피착면(s)과의 사이에 초저압 상태의 진공 챔버(c)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진공 챔버(c)의 진공 흡착력에 의해서, 진공 흡착장치가 피착면(s)에 흡착되는 것이다.
종래의 진공 흡착장치는, 연질의 흡착판(10), 경질의 누름캡(20) 및 당김봉(30) 그리고 당김봉(30)에 나사 결합하는 경질의 조임구(40)로 이루어진다. 특히, 연질의 흡착판(10)과 경질의 당김봉(30)은 그 재질이 상이하기 때문에, 각각 별도로 제작한 후 이들을 다시 결합해야 하는데, 이로 인해 제조 단가가 상승하고 제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종래의 진공 흡착장치의 누름캡(20)의 좌우 양측에는 걸림 후크(hook)(도시하지 않음)가 핀(pin)(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걸림 후크에는 다양한 물건들(예를 들면, 의류 등)을 걸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걸림 후크는 누름캡(20)과는 별도로 제작된 후 핀을 이용하여 누름캡(20)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되어야 하는데, 이로 인해 제조 단가가 상승하고 제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386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구성이 간소하고 제조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진공 흡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는, 내부에 형성된 진공 챔버에 의해서 피착면에 진공 흡착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걸림부와 베이스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부의 일 측에는 해제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해제부재의 회전에 의해서 베이스부의 진공 흡착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베이스부의 좌우 측에는 둘레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걸림부에는 둘레돌기에 대응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둘레돌기 및 걸림돌기는 두께가 얇은 이음부재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는, 내부에 형성된 진공 챔버에 의해서 피착면에 진공 흡착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상부에 결합하는 커버부와, 베이스부에 결합되어 커버부의 외부로 돌출되고, 회전에 의해서 커버부를 하향 가압하면서 베이스부의 일부를 상승시켜서 진공 챔버가 형성되도록 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부는, 강성을 갖는 둘레부재 및 경질부재와, 둘레부재 및 경질부재를 상호 연결하고 변형이 가능한 변형부재를 포함하고, 가압부는 경질부재에 결합되어 있으며, 가압부의 회전에 의해 경질부재 및 변형부재가 상승하면서 진공 챔버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에는 걸림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베이스부 및 걸림부는 상호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 및 걸림부 중 어느 하나에는 수평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수평지지돌기에 의해서 걸림부는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베이스부 및 걸림부 중 어느 하나에는 수직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수직지지돌기에 의해서 걸림부는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압부는 가압돌기 및 잠금돌기를 구비하고, 커버부는, 가압돌기가 삽입되는 가압홈과, 잠금돌기가 걸리게 되는 잠금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변형부재의 단부에는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진공 흡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공 흡착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로서, 흡착판이 피착면에 밀착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2는 종래의 진공 흡착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로서, 흡착판이 피착면에서 이격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예시된 진공 흡착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예시된 진공 흡착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가압부가 회전하여 진공 흡착장치의 내부에 진공 챔버가 형성된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걸림부가 회전하여 수직으로 위치한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예시된 진공 흡착장치의 베이스부, 가압부 및 걸림부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선에 따른 베이스부, 가압부 및 걸림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예시된 진공 흡착장치의 커버부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선에 따른 커버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에서, 가압부가 커버부의 수용홈에 삽입되기 이전으로서 진공 챔버가 형성되는 과정을 예시한다.
도 13은 도 12에서 가압부가 커버부의 수용홈에 삽입되어서 진공 챔버가 형성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를 예시하는 측면도로서, 해제부재가 회전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한다.
도 15는 도 14에서 해제부재가 회전하여 피착면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에 예시된 진공 흡착장치(100)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에서 가압부(126)가 회전하여 진공 흡착장치(100)의 내부에 진공 챔버(c)가 형성된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걸림부(140)가 회전하여 수직으로 위치한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는 베이스부(110), 가압부(126), 걸림부(140) 및 커버부(160)를 포함한다. 가압부(126)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수직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도 3 및 도 5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되면 도 6과 같이 되는데, 이로 인해 베이스부(110)의 내부에 진공챔버(도 13의 도면부호 c 참조)가 형성된다. 진공챔버(c)는 진공 흡입력에 의해서 베이스부(110)가 피착면(s)에 대해 진공 흡착되게 한다.
그리고 가압부(126)를 반대 방향(도 6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형성된 진공 챔버(c)가 해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진공 흡착장치(100)를 피착면(s)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베이스부(110)의 일 측에는 걸림부(1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베이스부(110)에 대해서 걸림부(140)가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한다. 그리고 걸림부(140)는 회전에 의해서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는 베이스부(110)와 걸림부(140)가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조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특정 부분을 얇게 성형하여 연결하면 회절도 용이하면서 일체로 사출이 가능한 플라스틱 소재로는 폴리프로필렌(PP)이나 폴리카보네이트(PC)와 같은 소재 등이 있다. 상기의 소재들은 일정 구간을 얇게(0.3mm ~ 1.4mm) 성형하면 해당 부분은 회절이 용이한 힌지(hinge) 역할을 하면서도 잘 부러지지 않는 특성을 얻을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는 식품보관용 밀폐용기의 플라스틱 뚜껑의 4면에 일체로 성형되어 달린 잠금 날개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 그리고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의 베이스부(110), 가압부(126) 및 걸림부(14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의 베이스부(110), 가압부(126) 및 걸림부(14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AA선에 따른 베이스부(110), 가압부(126) 및 걸림부(140)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원형의 베이스부(110)의 중앙에는 가압부(126)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향 돌출되어 있다. 베이스부(110)의 좌우 양 측에는 각각 걸림부(1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의 베이스부(110), 가압부(126) 및 걸림부(140)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등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126)는 커버부(160)를 가압하면서 베이스부(110)의 일부를 상승시켜서 베이스부(110)의 하면과 피착면(s) 사이에 진공 챔버(c)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후크(hook) 형상의 걸림부(140)에는 각종 물건(예를 들면, 의류 등)이 걸리게 된다.
베이스부(110)는 피착면(s)에 진공 흡착되는 부분으로서, 외형을 형성하는 원형의 둘레부재(112)와, 둘레부재(112)의 내측 중앙에 형성되는 변형부재(122) 및 경질부재(124)를 포함한다. 가압부(126)의 회전에 의해서 변형부재(122) 및 경질부재(124)가 위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변형부재(122) 및 경질부재(124)의 하면과 피착면(s) 사이에 진공 챔버(c)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진공 챔버(c)에 의해서 베이스부(110)가 피착면(s)에 진공 흡착된다.
둘레부재(112) 및 경질부재(124)는, 변형부재(122)에 비해 경질(rigid)의 특성을 얻기 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사출 성형 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서도 잘 변형되지 않는다. 그리고 둘레부재(112) 및 경질부재(124)를 상호 연결하는 변형부재(122)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압부(126)가 회전하여서 경질부재(124)를 위로 당기면, 변형부재(122)가 변형되어서 베이스부(11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경질부재(124)가 상승할 수 있게 된다(도 12 및 도 13 참조).
둘레부재(112)는 베이스부(11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중앙에는 일정한 깊이를 갖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둘레부재(112)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홈의 바닥면은 변형부재(122) 및 경질부재(124)에 해당한다.
둘레부재(112)에는 걸림부(1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둘레부재(112)의 좌우 측면에는 둘레돌기(114)가 대칭적으로 외향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둘레돌기(114)에는 걸림부(140)의 걸림돌기(146)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둘레돌기(114)에 대해서 걸림돌기(146)는 일정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둘레부재(112)의 좌우 측면에는 수직지지돌기(116)가 대칭적으로 외향 돌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 그리고 도 8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직지지돌기(116)는 걸림돌기(146)에 비해 약간 상부에 위치한다. 걸림부(140)가 수평으로 위치하는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서 도 7과 같이 수직으로 위치하게 되는 과정에서, 걸림부(140)의 걸림돌기(146)는 수직지지돌기(116)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걸림부(140)가 수직으로 위치하는 경우, 걸림부(140)의 걸림돌기(146)는 수직지지돌기(116)와 접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걸림부(140)의 수직 상태가 어느 정도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물론, 도 7의 상태에서 걸림부(14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돌기(146)는 수직지지돌기(116)를 통과하면서 수평으로 위치할 수 있다.
도 9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둘레부재(112)의 전방에는 수평지지돌기(120)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140)가 수평으로 위치하는 경우, 수평지지돌기(120)는 걸림부(140)의 내측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걸림부(140)의 수평 상태가 어느 정도 유지될 수 있다. 물론, 도 9의 상태에서 걸림부(14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부(140)는 회전을 할 수 있다.
둘레부재(112)의 내부에는 내부단턱(118)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단턱(118)에는 커버부(160)의 삽입단부(176)가 안착된다(도 12 내지 도 13 참조). 이와 같이, 커버부(160)의 단부는 둘레부재(112)의 내부에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서 커버부(160)는 둘레부재(112)의 내부를 지지하는 보강재의 역할을 한다.
둘레부재(112)의 하단부에는 피착면(s)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실리콘(도시하지 않음) 또는 젤(gel)이 부착될 수 있다. 둘레부재(112)의 하면은 피착면(s)에 밀착되어서 진공챔버(c)가 형성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둘레부재(112)의 하단부에는 실리콘 또는 젤(gel)과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미세한 돌기(도시하지 않음) 또는 미세한 홈(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할 수 있다.
둘레부재(112)는 변형부재(122) 및 경질부재(124)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둘레부재(112)는 외력에도 불구하고 변형되지 않거나 거의 변형되지 않는다.
변형부재(122)는 둘레부재(112)의 내주면을 따라서 연장 형성된 것으로, 그 중앙에는 경질부재(12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변형부재(122)는 중앙에 경질부재(124)가 형성된 도넛(donut) 형상을 갖는다. 변형부재(122)는 두께가 매우 얇게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변형부재(122)의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가압부(126)가 회전에 의해서 경질부재(124)가 위로 당겨지면, 변형부재(122)의 변형에 의해서 변형부재(122) 및 경질부재(124)가 상승하게 된다.
변형부재(122)의 단부에는 ∩ 형상을 갖는 주름(123)이 형성되어 있다. 주름(123)은 변형부재(122)의 변형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그 일단부는 둘레부재(112)의 내측에서 경질부재(124)에 비해 높게 결합된다. 그리고 주름(123)은 상승한 경질부재(124) 및 변형부재(122)가 뒤집혀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한다. 즉, 경질부재(124) 및 변형부재(122)가 과도하게 상승하더라도 주름(123)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변형부재(122)의 주름(123)은 옆으로 눕힌 S 형상 등과 같이 변형이 용이한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경질부재(124)는 베이스부(110)의 중앙 즉 둘레부재(112)의 중앙에 해당한다. 경질부재(124)는 변형부재(122)에 비해서 두껍게 형성된 부분으로서 외력에 의해서 변형되지 않거나 거의 변형되지 않는다. 경질부재(124)의 중앙에는 가압부(126)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향 돌출되어 있다.
베이스부(110)의 둘레부재(112), 변형부재(122) 및 경질부재(124)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110)에 결합된 가압부(126) 및 걸림부(140)도 베이스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의 베이스부(110)는 원형인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베이스부의 형상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부는 원형은 물론 타원형 또는 다각형(예를 들면,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압부(126)는 베이스부(110)의 경질부재(1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향 돌출되어 있다. 가압부(126)는, 도 12 내지 도 13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에 결합하는 커버부(160)의 외부로 돌출되어서 회전에 의해서 커버부(160)를 하향 가압한다. 이와 같이, 가압부(126)가 커버부(160)를 하향 가압하면, 가압부(126)와 연결된 경질부재(124) 및 변형부재(122)가 가압부(126)의 지렛대 작용에 의해서 상승하게 되어 진공 챔버(c)가 형성된다. 따라서 가압부(126)는 그 회전에 의해서 변형부재(122) 및 경질부재(124)의 하부에 진공 챔버(c)를 형성함으로써, 베이스부(110)가 피착면(s)에 진공 흡착되도록 한다.
가압부(126)는 연장돌기(128) 및 가압부바디(130)로 이루어진다. 연장돌기(128) 및 가압부바디(130)는 경질부재(124)와 일체로 형성된다.
연장돌기(128)는 경질부재(124)에서 상향 돌출된 부분으로서, 가압부바디(130)에 비해서 얇게 형성되어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2 내지 13을 참조하면, 연장돌기(128)는 커버부(160)의 관통공(172)을 통과한다.
가압부바디(130)는 연장돌기(128)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강성을 갖는다. 가압부바디(130)는 사용자에 의해서 회전하는 부분으로서, 그 회전에 의해서 베이스부(110)가 피착면(s)에 진공 흡착되거나 또는 진공 흡착이 해제된다. 가압부바디(130)의 일면에는 가압돌기(132) 및 잠금돌기(134)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돌기(132)는 가압부바디(130)의 하부에서 수직 돌출 형성된 것으로 커버부(160)를 하향 가압한다. 지렛대 작용에 의해서 변형부재(122) 및 경질부재(124)를 위로 당기는 가압부(126)에서, 가압돌기(132)는 지렛대의 받침점 역할을 한다. 가압돌기(132)는 가압부(126)의 회전에 의해서 커버부(160)의 상면을 따라서 이동하다가 가압홈(166)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에서 가압부(126)는 지렛대 효과를 더욱 크게 하기 위해서 가압돌기(132)를 형성하였지만, 가압돌기(132)를 구비하지 않고도 지렛대 원리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가압돌기(132)를 대신하여 가압부바디(130)의 내면이 받침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잠금돌기(134)는 가압돌기(132)의 상부에서 수직 돌출 형성되어 있다. 잠금돌기(134)는 커버부(160)에 형성된 잠금홈(168)에 걸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126)가 커버부(160)에 고정되어 진공 흡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126)는 회전에 의해서 커버부(16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기 때문에, 진공 흡착장치(100)가 피착면(s)에 진공 흡착된 경우 커버부(160)의 상면으로 가압부(126)가 거의 노출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베이스부(110) 및 커버부(160) 결합체의 높이를 낮출 수 있고 진공 흡착장치(100)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다.
걸림부(140)는 진공 흡착장치(100)에서 물건이 걸리게 되는 부분이다. 걸림부(140)는 베이스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그 위치를 수평 또는 수직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걸림부(140)는 후크(142), 결합부재(144) 및 이음부재(148)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후크(142)는 U 형상을 갖는 것으로 물건이 걸리는 부분에 해당한다. 후크(142)에 걸리는 물건에는 제한이 없다.
결합부재(144)는 후크(14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U 형상을 갖는다. 결합부재(144)의 양 단부에는 걸림돌기(146)가 좌우 대칭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146)는 베이스부(110)에 형성된 둘레돌기(114)에 대응하는 것으로, 양자는 상호 대향되게 위치한다. 걸림돌기(146)와 둘레돌기(114)는 이음부재(148)에 의해서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146)의 상부에는 수직지지돌기(116)가 형성되어 있다.
이음부재(148)는 상대적으로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서 둘레돌기(114)에 대한 걸림돌기(146)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이음부재(148)는 걸림부(140)의 회전 중심에 해당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진공 흡착장치(100)의 커버부(16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도 3에 예시된 진공 흡착장치(100)의 커버부(16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AA선에 따른 커버부(160)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커버부(160)는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결합되어서 진공 흡착장치(100)의 외체를 형성한다. 그리고 커버부(160)의 상부로는 가압부(126)가 돌출되는데, 가압부(126)는 커버부(160)를 하향 가압하면서 지렛대 원리에 의해서 변형부재(122) 및 경질부재(124)를 위로 당겨서 진공 챔버(c)가 형성되게 한다.
커버부(160)는 커버바디부재(174) 및 수용홈(162)을 구비한다.
커버바디부재(174)는 원형의 돔(dome)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커버바디부재(174)의 삽입단부(176)는 베이스부(110)의 내부단턱(118)에 억지 끼워 맞춤(press fitting)에 의해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커버부(160)가 베이스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수용홈(162)은 커버바디부재(174)의 외측에서 일정한 깊이를 갖고 형성된 홈이다. 수용홈(162)에는 가압부(126)가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그리고 수용홈(162)의 바닥면은 가압부(126)에 의해서 하향 가압된다.
수용홈(162)의 외측에는 커버돌기(164)가 ㄷ 형상을 가지고 상향 돌출되어 있다. 커버돌기(164)는 수용홈(162) 입구의 형상을 규정한다. 그리고 커버돌기(164)는 커버바디부재(174)에서 다소 상향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6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압부(126)는 수용홈(162)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수용홈(162)의 바닥면에는 관통공(172), 가압홈(166) 및 잠금홈(168)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172)은 커버바디부재(174)를 관통하는 것으로, 관통공(172)을 통해서 가압부(126)의 연장돌기(128)가 통과한다. 관통공(172)은, 베이스부(110)와 커버부(160)의 상호 결합을 위해서, 가압돌기(132) 및 잠금돌기(134)가 형성되어 있는 가압부(126)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홈(166)은 관통공(172)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 13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는 가압부(126)의 가압돌기(132)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가압돌기(132)가 가압홈(166)에 삽입됨으로써 가압부(126)는 안정적인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잠금홈(168)은 수용홈(162)의 바닥면에서 중앙 부분에 형성된 홈으로서, 가압부(126)의 잠금돌기(134)가 걸리게 된다. 잠금돌기(134)가 잠금홈(168)에 걸리게 됨으로써, 가압부(126)는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잠금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는, 잠금돌기(134)가 잠금홈(168)에 걸리는 구조에 의해서 가압부(126)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가압부(126)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압부(126)에 잠금홈 또는 잠금홀이 형성되고 수용홈(162)에 잠금돌기(134)가 형성될 수 있으며, 벨크로(velcro)에 의해서 가압부(126)가 수용홈(162)의 내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의 사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에서, 가압부(126)가 커버부(160)의 수용홈(162)에 삽입되는 과정으로서 진공 챔버(c)가 형성되는 과정을 예시하고, 도 13은 도 12에서 가압부(126)가 커버부(160)의 수용홈(162)에 완전히 삽입되어서 진공 챔버(c)가 형성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10)를 피착면(s)에 진공 흡착시키기 위해서 우선 베이스부(110)를 피착면(s) 상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진공 챔버(c)를 형성하기 위해서 도 3과 같이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는 가압부(126)를 도 12에 예시된 화살표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가압부(126)의 회전에 의해서 가압돌기(132)는 수용홈(162)의 바닥면을 가압하게 되면서 지렛대의 받침점 역할을 하고, 그 결과 가압부(126)는 경질부재(124) 및 변형부재(122)를 위로 당기게 된다.
변형부재(122)는 변형이 가능하도록 얇게 형성되어 있고 그 단부에는 주름(12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부(126)에 의해서 변형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변형부재(122) 및 경질부재(124)의 상승에 의해서, 베이스부(110)의 하부에는 진공 챔버(c)가 형성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진공 챔버(c)는 가압부(126)의 회전에 의해서 그 부피가 더욱 확대되는데, 이로 인해 더욱 큰 진공 흡착력이 발생하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가압부(126)는 수용홈(162)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후 잠금돌기(134)가 잠금홈(168)에 삽입됨으로써 커버부(160)에 완전히 결합된다. 가압부(126)가 수용홈(162)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 경질부재(124) 및 변형부재(122)는 최대로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진공 챔버(c)의 크기도 최대로 된다. 진공 챔버(c)의 크기가 최대로 됨으로써 진공 흡착력도 최대로 되기 때문에, 진공 흡착장치(100)가 피착면(s)에 강하게 결합된다.
진공 흡착장치(100)를 피착면(s)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우선 가압부(126)의 잠금돌기(134)를 잠금홈(168)에서 분리시킨다. 이로 인해, 가압부(126)가 회전을 할 수 있고, 가압부(126)의 회전에 의해서 변형부재(122) 및 경질부재(124)가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변형부재(122) 및 경질부재(124)의 하강으로 인해서, 진공 챔버(c)가 해제되어서 베이스부(110)가 피착면(s)에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 12 내지 도13에서는 걸림부(140)가 피착면(s)에 대해서 수평으로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하였는데, 이때 걸림부(140)는 베이스부(110)에 형성된 수평지지돌기(120)에 의해서 일정 정도 지지된다. 물론, 걸림부(140)는 필요에 따라서 수직으로도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200)를 예시하는 측면도로서, 해제부재(210)가 회전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고, 도 15는 도 14에서 해제부재(210)가 회전하여 피착면(s)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2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와 구성이 동일하고 다만, 베이스부(110)의 일 측에 해제부재(21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는 점에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200)의 해제부재(21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해제부재(210)는 곡선 형상을 갖고 베이스부(110)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해제부재(210)는 회전에 의해서 일단부가 피착면(s)을 가압하게 된다. 도 15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해제부재(210)를 화살표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서, 피착면(s)에 부착되어 있는 베이스부(11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진공 흡착장치
110: 베이스부
126: 가압부
140: 걸림부
160: 커버부

Claims (10)

  1. 내부에 형성된 진공 챔버에 의해서 피착면에 진공 흡착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결합하는 커버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상기 커버부의 외부로 돌출되며, 회전에 의해서 상기 커버부를 하향 가압하면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부를 상승시켜서 상기 진공 챔버가 형성되도록 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둘레부재와, 상기 둘레부재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와 결합된 경질부재와, 상기 경질부재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갖고 상기 둘레부재와 상기 경질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변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변형부재는 그 변형을 용이하게 하는 주름을 구비하는 진공 흡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연장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가압돌기 및 잠금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가압돌기가 삽입되는 가압홈과, 상기 잠금돌기가 걸리게 되는 잠금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걸림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부 및 걸림부는 상호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41067A 2014-03-03 2014-04-07 진공 흡착장치 KR101532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4837 2014-03-03
KR1020140024837 2014-03-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2543B1 true KR101532543B1 (ko) 2015-07-01

Family

ID=53787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067A KR101532543B1 (ko) 2014-03-03 2014-04-07 진공 흡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5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4970U (ko) * 1973-06-29 1975-03-20
JP2000126014A (ja) * 1998-10-22 2000-05-09 Hiroto Nakamura 吸盤付き吊り下げ用具
JP3155696B2 (ja) * 1995-12-06 2001-04-16 日東電工株式会社 管溶接継手部被覆方法
JP2013217475A (ja) * 2012-04-11 2013-10-24 Ferro-Carbon Enterprise Co Ltd 吸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4970U (ko) * 1973-06-29 1975-03-20
JP3155696B2 (ja) * 1995-12-06 2001-04-16 日東電工株式会社 管溶接継手部被覆方法
JP2000126014A (ja) * 1998-10-22 2000-05-09 Hiroto Nakamura 吸盤付き吊り下げ用具
JP2013217475A (ja) * 2012-04-11 2013-10-24 Ferro-Carbon Enterprise Co Ltd 吸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4487B (zh) It is advantageous to repeat the fixed use of the vacuum holder
US9664227B2 (en) Vacuum retaining device capable of reuse
TWI332222B (ko)
CN105937541A (zh) 吸盘
KR20110020955A (ko) 탄성 진공흡착구
WO2015169065A1 (zh) 一种简易锁扣装置
JP2001208035A (ja) カバー式吸盤
KR20150003762U (ko) 물티슈 포장팩용 밀폐 뚜껑
KR101532543B1 (ko) 진공 흡착장치
KR20150142554A (ko) 진공 흡착장치
WO2006097042A1 (fr) Element de support de type film adhesif pour surface murale
KR20140115535A (ko)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CN209983910U (zh) 一种被子固定器
CN210581426U (zh) 按压式止位包扣
US11091300B2 (en) Securing device for box
KR20150146132A (ko) 진공 흡착장치
KR101431721B1 (ko) 압력밥솥 뚜껑개폐장치
KR101117557B1 (ko) 벤딩형 체크밸브가 장착된 비닐봉투
KR101514734B1 (ko) 압착 구조 개선형 흡착유닛
KR101307657B1 (ko) 압착홀더
CN211986323U (zh) 一种翻盖式奶瓶
KR20090017949A (ko) 진공 흡착기
EP3064788A1 (en) Suction plate
KR100689014B1 (ko) 흡착기구
JPH08322702A (ja) 吸盤と装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