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873B1 - 운전자 판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운전자 판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873B1
KR101531873B1 KR1020140084547A KR20140084547A KR101531873B1 KR 101531873 B1 KR101531873 B1 KR 101531873B1 KR 1020140084547 A KR1020140084547 A KR 1020140084547A KR 20140084547 A KR20140084547 A KR 20140084547A KR 101531873 B1 KR101531873 B1 KR 101531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ser
driver
event
bo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민
안대한
원명규
박태준
손상혁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084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doors or doors locks, e.g. ope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 G06V20/597Recognising the driver's state or behaviour, e.g. attention or drowsi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81Seat occupation; Driver or passenger 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06Direction of tra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운전자 판단 장치는 센서가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 상태와 차량 탑승 방향을 인식하는 사용자 동작 인식부와, 사용자의 동작 상태가 기설정된 동작 상태 순으로 변하는 경우, 사용자가 탑승한 차량의 문이 닫히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 및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차량 시동 시 변화되는 자기장값의 변동폭 검출결과를 이용하고, 차량의 주행 방향 산출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운전자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전자 판단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DRIVER}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사용의 급증에 따라 생활 편의성은 증대되었으나, 그에 따른 부작용 역시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경우가 운전자의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교통 사고 발생인데, 운전자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 전방 주시에 소홀하게 되어, 그에 따른 교통 사고 발생 건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도로교통법 제49조 제10항은 운전 중 휴대용 전화를 사용하는 경우 벌점 15점 및 범칙금을 부과하고 있으나, 이러한 의무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아 안전운전 불이행으로 인한 사망자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차량 내에 운전자가 탑승하였는지 여부 및 운전자의 스마트폰을 드라이빙 모드(예: 문자 메시지 수신 제한)로 전환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은 차량내 추가적인 디바이스 설치로 운전자석 스마트폰을 정지시키는 방법과 사용자에게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내 촬영, 코너링 주행 또는 과속방지턱 통과 등 특정 이벤트의 발생을 요구하고, 그에 따라 차량 내에 탑승한 해당 탑승자가 운전자인지 확인하고, 운전자의 스마트폰에 대하여 모드를 변경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차량 탑승 후 탑승자가 카메라로 주변을 촬영하고, 그에 따라 해당 탑승자가 운전자인지 판단하는 종래의 기술은 영상 처리를 통하여 정확도를 획득하는 반면, 탑승자가 직접 카메라로 촬상 행위를 하여야 하여 불편을 야기하고, 차량 내 추가적인 디바이스 설치를 통하여 해당 탑승자가 운전자인지 판단하는 방식은 설치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코너링 주행에 대한 특정 이벤트 발생에 따라 탑승자가 운전자인지 판단하는 종래의 기술은 주행 중 코너를 통과하는 경우 원심력을 감지하여 운전자 여부를 판단하는데, 코너링 주행이 여러 번 발생하는 경우에 운전자 여부에 대한 판단이 가능하므로, 코너를 주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운전자 판단이 불가능하며 코너를 일정수준 이상 주행하지 않았을 경우 운전자 감지 정확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 탑승자의 행동 패턴을 파악하여 차량 탑승을 감지하고, 차량의 흔들림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 여부를 판단하는 종래의 기술은 차량 탑승자의 다리가 회전하는 방향 또는 양 다리 중 어느 쪽 다리가 먼저 들어올려지는지에 관한 정보를 탐지하여 판단하는데, 운전 중 과속 방지턱을 통과하거나 맨홀 등의 장애물에 의하여 생기는 주행 중 차량의 흔들림을 감지하여 운전자 여부를 판단하게 되므로, 과속 방지턱 통과 또는 장애물에 의하여 발생하는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운전자 여부를 판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은 차량 탑승자가 운전자인지 판단하고, 운전자인 경우 해당 운전자의 스마트폰의 모드를 전환함에 있어서, 차량 탑승자에게 촬영 등 별도의 행위를 요구하거나, 특정 이벤트의 발생을 판단의 근거가 되는 조건으로 사용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지고 해당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운전자 여부 판단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주행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특정 동작을 요청하거나, 차량 내에 별도의 장치를 추가하여 설치하거나, 코너링 주행 또는 과속 방지턱 통과 등의 특정 이벤트 발생을 요구하지 아니하고도,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운전자 판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운전자 판단 장치는 센서가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 상태와 차량 탑승 방향을 인식하는 사용자 동작 인식부와, 사용자의 동작 상태가 기설정된 동작 상태 순으로 변하는 경우, 사용자가 탑승한 차량의 문이 닫히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 및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차량 시동 시 변화되는 자기장값의 변동폭을 산출하여 사용자가 차량의 앞좌석에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의 주행 방향을 산출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 및 차량 탑승 방향의 관계성에 따라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운전자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운전자 판단 방법은 센서가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 상태와 차량 탑승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탑승한 차량의 문이 닫히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차량 시동 시 자기장값의 변동폭을 검출하여 사용자가 차량의 앞좌석에 탑승하였는지 판단하고, 차량의 주행 방향을 산출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 및 차량 탑승 방향의 상대성에 따라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판단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의 차량 탑승 시 발생하는 필수적 이벤트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탑승 방향, 차량의 주행 방향차량 및 시동이 걸리는 경우 검출되는 자기장값의 변동폭을 이용하여,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사진 촬영 등 별도의 동작을 요구하지 아니하고, 차량 내에 운전자 여부 판단을 위한 별도의 추가 장비 설치를 요구하지 아니하며, 코너링 주행 또는 과속 방지턱 통과 등 특정 이벤트의 발생을 요구하지 아니하고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의 차량 탑승 후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을 인식하고, 인식된 차량 주행 방향과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므로, 신뢰성 높은 운전자 여부 판단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석이 차량 내에서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됨에 따라서 운전자 판단 알고리즘을 사전에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에 대하여 차량 모델과 무관하게 오류 없이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운전자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운전자의 휴대 단말을 드라이빙 모드로 전환하여, 운전 중 통화, 인터넷 사용 등 운전자의 집중을 저해하는 기능을 사전에 차단하거나, 이러한 기능을 음성 모드로 지원하여, 운전 중 휴대 단말 사용으로 인한 교통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장치의 사용자 동작 인식부를 나타내는 상세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인식부의 가속도 센서 데이터 및 사용자의 이동 궤적 산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장치의 이벤트 감지부를 나타내는 상세 블록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감지부의 소리특성 추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장치의 운전자 판단부를 나타내는 상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방법을 나타내는 상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값 변동폭 검출을 통한 운전자 여부 판단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고, 차량을 주행하는 일련의 과정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이벤트인 사용자의 착석 동작 및 차량의 문닫이음 발생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별도의 동작(예: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을 요청하지 아니하고,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장치는 센서가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 상태와 차량 탑승 방향을 인식하는 사용자 동작 인식부(100)와, 사용자의 동작 상태가 기설정된 동작 상태 순으로 변하는 경우, 사용자가 탑승한 차량의 문이 닫히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200) 및 차량에 시동이 걸리는 경우의 자기장값의 변동폭, 차량의 주행 방향과 차량 탑승 방향의 관계성에 따라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운전자 판단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인식부(100)는 센서가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동, 정지, 착석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상태임을 인식한다. 이 때, 사용자 동작 인식부(100)는 센서가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궤적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착석 동작 상태에 있음을 인식한다. 또한, 사용자 동작 인식부(100)는 센서가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방향을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인식부(100)에 관하여는 아래 도 2 및 도 3에 관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감지부(200)는 사용자 동작 인식부(100)가 사용자의 착석 동작을 인식한 후, 차량의 문이 닫히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감지하며, 이에 관하여는 아래 도 4 및 도 5에 관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부(300)는 이벤트 감지부(200)가 차량의 문이 닫히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차량의 시동 시 변화되는 자기장값을 검출하여, 사용자가 앞좌석에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센서가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을 산출하고, 산출한 차량의 주행 방향과 사용자 동작 인식부(100)가 인식한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방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부(300)에 관하여는 아래 도 6에 관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장치가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예: 스마트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장치의 사용자 동작 인식부(100)를 나타내는 상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인식부(100)는 가속도 센서(110), 자이로 센서(120) 및 착석 판단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속도 센서(110)는 운전자 판단 장치를 휴대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값을 획득하여, 사용자의 이동 상태 또는 정지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상태를 인식한다. 이 때, 가속도 센서(110)는 획득하는 가속도 값의 변화가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사용자의 동작 상태를 이동 상태로 인식하고, 획득하는 가속도계 값의 거의 변화가 없을 경우 사용자의 동작 상태를 정지 상태로 인식한다. 또한, 가속도 센서(110)는 사용자의 정지 상태가 기설정된 시간(예: 3초)동안 유지되는 경우, 자이로 센서(120)로 활성화 명령 신호를 전송한다.
자이로 센서(120)는 가속도 센서(110)로부터 활성화 명령 신호를 전송 받아 온(On) 상태가 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센서값을 획득한다. 착석 판단부(130)는 자이로 센서값을 이용하여 가속도 값을 절대좌표 값으로 변환하고, 사용자의 이동 궤적을 산출한다. 착석 판단부(130)는 산출한 사용자의 이동 궤적(trajectory)과 기학습된 이동궤적(착석 시의 이동궤적)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착석 동작 상태를 인식하고, 이동 궤적 산출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방향을 인식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석 판단부(130)는 가속도 센서(110)가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차량 탑승을 위하여 차량으로 접근하는 걷기 상태(이동 상태) 및 차량에 이르러 탑승하기 전 정지하는 상태(정지 상태)를 인식하고, 가속도 센서(110) 및 자이로 센서(120)가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착석하는 동작 상태를 인식한다.
가속도 센서(110), 자이로 센서(120) 및 착석 판단부(130)를 포함한 사용자 동작 인식부(100)는 사용자의 걷기, 정지, 앉기 동작에 대한 동작 상태를 인식하고, 이러한 일련의 기설정된 순서의 동작 상태가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방향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인식부(100)가 순서대로 발생하는 걷기, 정지, 앉기 동작 상태를 인식하는 것은 사용자의 차량 탑승 시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이벤트를 인식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차량 탑승 경우 외에도 걷기, 정지, 앉기 동작 상태가 순서대로 발생하는 경우(예: 공원 산책 시 벤치에 앉는 경우)가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감지부(200)는 사용자 동작 인식부(100)가 인식한 동작 상태 외에 차량의 문이 닫히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였음을 감지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인식부(100)가 획득한 가속도 값 및 사용자의 이동 궤적 산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이동 궤적은 점차 하강하는 궤적을 그리며, 착석 판단부(130)는 이러한 이동 궤적이 기학습된 이동 궤적(착석 시의 이동 궤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의 착석 동작 상태를 인식하며, 이동 궤적 산출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방향을 인식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장치의 이벤트 감지부(200)를 나타내는 상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감지부(200)는 획득된 소리로부터 특성 벡터를 추출하는 특성 벡터 추출부(210) 및 특성 벡터와 기학습된 차량 문닫이음에 대한 특성 벡터를 비교하여, 획득된 소리가 차량 문닫이음인지 판단하는 문닫이음 판단부(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성 벡터 추출부(210)는 소리 획득부(미도시, 예: 마이크)가 획득한 소리를 프레임(frame) 별로 나누어 소리의 특성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특성 벡터를 생성한다. 이 때, 특성 벡터 추출부(210)는 획득된 소리에 대하여 쇼트 타임 에너지(Short time energy),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필터뱅크 에너지(Filterbank energy), 멜 주파수(Mel-frequency) 등 음향학적 분석(acoustic analysis)에 사용되는 특징(feafure)를 추출하고, 추출한 소리의 특성을 벡터형식으로 구성하여 특성 벡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닫이음 판단부(220)는 차량 문닫이음 검출을 위한 분류기(classifier)를 이용하여, 특성 벡터 추출부(210)가 생성한 특성 벡터가 차량 문닫이음에 발생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문닫이음 판단부(220)는 이상치 탐지(Outlier detection) 기반의 분류기를 이용하여, 획득된 소리의 특성 벡터가 차량 문닫이음 발생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일상 생활에서 일어나는 여러 소리 중 특정한 소리(차량 문닫이음)만을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닫이음 판단부(220)는 차량 문닫이음 외의 소리는 이상치(Outlier)로 간주한다. 이 때, 문닫이음 판단부(220)는 차량 문닫이음과 유사한 가정집 문닫이음 및 화장실 문닫이음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분류기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차량 문닫이음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감지부(200)의 소리특성 추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이벤트 감지부(200)는 소리 획득부가 획득한 소리의 쇼트 타임 에너지, 진폭 스펙트럼(amplitude spectrum), 필터뱅크 에너지, 멜 주파수 특징(feature)을 추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장치의 운전자 판단부(300)를 나타내는 상세 블록도로서, 운전자 판단부(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 방향을 검출하는 주행방향 검출부(310), 차량에 시동이 걸리는 경우 변동되는 자기장값을 검출하는 자기장값 검출부(320) 및 자기장값 의 변동 폭,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방향, 차량의 주행 방향을 이용하여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운전자 판별부(3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방향 검출부(310)는 자이로 센서(120) 및 가속도 센서(110)가 획득한 데이터를 입력 받아, 사용자가 탑승한 차량의 주행 방향을 검출하고, 이를 벡터화한다. 운전자 판별부(330)는 주행방향 검출부(310)가 검출한 차량의 주행 방향과 사용자 동작 인식부(100)가 인식한 차량 탑승 방향을 이용하여,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운전석 측으로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부(300)는 전진하는 차량의 주행 방향과 사용자의 탑승 방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운전석 측에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주행방향 검출부(310)는 이벤트 감지부(200)가 이벤트(차량 문닫이음) 발생을 감지한 후 센서가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벡터값(방향, 속도)을 산출하되, 산출한 차량의 주행 벡터값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을 산출한다. 통상적으로 운전자가 주행을 시작하는 시점(예: 주차장에서 차량이 진출하는 시점)에는 전, 후진 주행이 반복되거나, 여러 번 회전 주행을 하거나, 차량의 속도가 빠르지 않으므로, 차량의 주행 벡터 값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을 산출한다.
일례로, 운전자 판별부(330)는 사용자 이동 궤적 벡터(사용자의 차량 탑승 방향을 나타냄)과 벡터화된 차량의 주행 방향 사이의 각도를 계산하여, 각도차가 양수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운전석에 착석한 것으로 판별하고, 각도차가 음수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운전자가 아닌 것으로 판별한다.
운전석은 차량 모델에 따라서 차량 내에서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부(300)는 해당 차량의 운전석이 차량 내에서 우측 및 좌측 중 어느 측에 배치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학습하여, 차량 모델과 무관하게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차량의 운전석에 탑승하는 경우와, 사용자가 운전석의 뒷좌석에 탑승하는 경우,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방향은 동일하다. 이러한 경우 해당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장치의 운전자 판별부(330)는 자기장값 검출부(320)가 검출한 자기장값 변동폭을 분석하여,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차량의 앞좌석에 탑승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자기장 센서가 획득하는 자기장 값은 주변 전자기기의 사용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즉, 차량에 시동이 걸리는 경우, 차량 내 전자기기들이 활성화됨에 따라, 자기장 센서가 획득하는 자기장 값이 변화된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뒷좌석보다 운전석 주변에 전자기기가 배치되므로, 차량에 시동이 걸리는 경우, 운전석에서 획득되는 자기장 값의 변화는 보조석 및 뒷좌석에서 획득되는 자기장 값의 변화보다 그 변동 폭이 더욱 크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앞좌석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단말(10a, 10b)는 차량(1)의 뒷좌석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단말(10c, 10d)보다 차량 시동 시 검출되는 자기장값 변동폭이 더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부(300)는 자기장값 검출부(320)가 획득한 자기장값 변동폭을 이용하고, 차량에 시동이 걸리는 상황의 전, 후에 획득한 자기장 값의 변동 폭을 분석하여, 해당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앞좌석에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장치는 운전자 판단부(300)가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운전자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드라이빙 모드 전환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모드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드 전환부는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방향과 차량 주행 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운전자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휴대단말의 작동 모드를 드라이빙 모드로 전환시키는 명령 신호를 전송한다. 일례로, 이러한 드라이빙 모드는 비행기 탑승 시 안전을 위한 비행기 탑승 모드와 같이 차량 운행 시 안전을 위하여 문자 및 여러 이벤트를 음성 모드로 지원하여 운전자가 도로 상황에 최대한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장치는 차량에 탑승하는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차량 탑승 시 발생하는 순차적인 동작 상태(이동, 정지, 앉기) 및 차량 문닫이음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차량 탑승을 감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장치는 획득한 차량 시동 시 변동되는 자기장값과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방향 및 차량의 주행 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차량의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방법은 센서가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 상태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착석 동작에 따른 차량 탑승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S100)와, 사용자가 탑승한 차량의 문이 닫히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200) 및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차량 시동 시 자기장값의 변동폭을 검출하고, 차량의 주행 방향 및 차량 탑승 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방법의 S100 단계는 센서가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 상태 변화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이동 궤적을 검출하여 사용자가 착석 동작 상태에 있음을 인식하며, 사용자의 착석 동작 시 차량에 탑승하는 방향을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방법의 S100 단계에 대하여는 아래 도 8에 관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방법의 S200 단계는 차량 문닫이음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탑승 후 차량의 문이 닫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방법의 S300단계는 센서가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 시동 시 자기장값의 변동폭을 검출하고, 차량의 주행 방향을 산출하고, 산출한 차량의 주행 방향 및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방법의 S200 및 S300 단계에 대하여는 아래 도 8에 관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방법을 나타내는 상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착석 판단 단계(S100)는 가속도 센서가 획득한 가속도 값을 이용하여, 이동 상태에서 정지 상태로 변하는 사용자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S110)와, 이러한 사용자의 정지 상태가 기설정 시간동안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와, 정지 상태가 기설정 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가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궤적을 검출하는 단계(S130) 및 검출한 사용자의 이동 궤적이 기학습한 착석 동작에 대한 이동 궤적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착석 동작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S110 단계에서는 가속도 센서가 획득한 가속도 값의 변화가 있을 경우 사용자의 동작 상태를 이동 상태로 인식하고, 획득하는 가속도계 값의 변화가 없을 경우 사용자의 동작 상태를 정지 상태로 인식한다. S120단계는 가속도 값에 따라서 사용자의 정지 상태가 기설정된 시간(예: 3초)동안 유지되는지 판단한다. S130단계는 자이로 센서가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속도 값을 절대좌표 값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의 이동 궤적을 검출한다. S140 단계는 S130단계에서 검출한 사용자의 이동 궤적(trajectory)과 기학습된 이동궤적(착석 시의 이동궤적)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이동 궤적이 착석 동작에 해당하는 이동 궤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차량 탑승 상황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방향을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 감지 단계는 획득된 소리로부터 소리 특성(feature)를 추출하는 단계(S210)와, S210 단계에서 추출한 소리 특성을 이용하여 특성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S220) 및 S220 단계에서 생성한 특성 벡터가 기학습된 차량 문닫이음에 대한 특성 벡터를 비교하여, 획득된 소리가 차량 문닫음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문닫이음 검출 단계(S230)를 포함한다.
S210 단계에서는 일례로 획득된 소리에 대하여 쇼트 타임 에너지(Short time energy),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필터뱅크 에너지(Filterbank energy), 멜 주파수(Mel-frequency) 등 음향학적 분석(acoustic analysis)에 주로 사용되는 특징(feafure)를 추출하고, S220 단계에서는 S210 단계에서 추출한 소리의 특성을 벡터형식으로 구성하여 특성 벡터를 생성한다. S230 단계에서는 S220 단계에서 생성한 특성 벡터가 차량 문닫이음에 발생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이 때 이상치 탐지(Outlier detection) 기반의 분류기를 이용하여, 획득된 소리의 특성 벡터가 차량 문닫이음 발생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230 단계에서 차량 문닫이음을 검출한 경우, 운전자 판단 단계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단계(S300)는 자기장 센서가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출한 차량 시동 시 자기장값의 변동폭을 검출하여 사용자가 차량의 앞좌석에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10), 가속도 및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을 벡터화하고(S320),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한 벡터와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방향에 대한 벡터 간의 각도차를 계산하고(S330), 각도차가 기설정값(예: 양수)인지 판단하여(S340),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운전석에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50).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방법은 차량에 시동이 걸림에 따라 변화하는 자기장값을 검출하여 사용자가 앞좌석에 앉은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10)를 포함하며, 이 단계에서는 차량에 시동이 걸림에 따라 자기장 센서가 획득한 자기장값의 변동 폭을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가 차량의 운전석에 착석하였는지, 또는 뒷좌석에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운전석 주변에 전자기기가 배치되어, 운전석에서 획득되는 자기장 값의 변화는 뒷좌석에서 획득되는 자기장 값의 변화보다 그 변동 폭이 더욱 크므로, 이러한 자기장값의 변동 폭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S320 단계는 차량 주행 방향을 검출함에 있어서, S230 단계에서 차량 문닫이음을 검출 한 후 센서가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을 산출하되, 산출한 차량의 주행 벡터값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을 산출한다. 이는 차량의 주행 초기 시점에는 주차장을 빠져 나오는 상황 등 전, 후진 상황이 랜덤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주행이 시작된 이후 일정 시점이 지나 차량의 전진 방향 주행이 지속되는 경우의 차량의 주행 방향을 검출하고, 이를 사용자 탑승 방향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운전석에 착석하였는지 여부에 대하여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함이다.
S330 단계는 사용자 이동궤적 벡터(사용자의 차량 탑승 방향을 나타냄)과 벡터화된 차량의 주행 방향 사이의 각도를 계산하고, S340 단계는 각도차가 양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S350 단계는 S340 단계의 판단 결과 각도차가 양수인 경우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를 운전자로 판별한다. 반면, 각도차가 음수인 경우에는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는 운전자가 아닌 것으로 판별된다.
운전석은 차량 모델에 따라서 차량 내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단계(S350)는 해당 차량의 운전석이 차량 내에서 우측 및 좌측 중 어느 측에 배치되는지에 대하여 사전에 학습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모델과 무관하게 사용자에 대하여 정확한 운전자 착석 판단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판단 방법은 운전자 판단 단계(S350)에서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운전자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드라이빙 모드 전환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모드 전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단계는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운전자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휴대 단말의 작동 모드를 드라이빙 모드로 전환시키는 명령 신호를 전송하며, 이러한 드라이빙 모드는 비행기 탑승 시 안전을 위한 비행기 탑승 모드와 같이 차량 운행 시 안전을 위하여 문자 및 여러 이벤트를 음성 모드로 지원하여 운전자가 운전에 최대한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하는 모드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동작 인식부 110: 가속도 센서
120: 자이로 센서 130: 착석 판단부
200: 이벤트 감지부 210: 특성 벡터 추출부
220: 문닫이음 판단부 300: 운전자 판단부
310: 주행방향 검출부 320: 자기장값 검출부
330: 운전자 판별부

Claims (13)

  1. 센서가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 상태와 차량 탑승 방향을 인식하는 사용자 동작 인식부;
    상기 사용자의 동작 상태가 기설정된 동작 상태 순으로 변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탑승한 차량의 문이 닫히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운전자 판단부
    를 포함하는 운전자 판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동작 인식부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 상태가 이동 상태에서 정지 상태로 변하고, 상기 정지 상태가 일정 시간 유지된 후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궤적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방향을 인식하는 것
    인 운전자 판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 상태가 이동, 정지, 착석 순으로 변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문닫이음을 감지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것
    인 운전자 판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판단부는
    상기 센서가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을 산출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 및 차량 탑승 방향의 관계성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
    인 운전자 판단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 중 상기 이벤트 감지부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후 획득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을 산출하되, 산출한 차량의 주행 벡터값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획득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을 산출하는 것
    인 운전자 판단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판단부는
    상기 차량에 시동이 걸리는 경우 변동되는 자기장값의 변동폭을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가 차량의 앞좌석에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
    인 운전자 판단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판단부가 상기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운전자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드라이빙 모드 전환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모드 전환부
    를 더 포함하는 운전자 판단 장치.
  8. (a) 센서가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 상태와 차량 탑승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가 탑승한 차량의 문이 닫히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을 산출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 및 차량 탑승 방향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운전자 판단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 상태가 이동 상태에서 정지 상태로 변하고, 상기 정지 상태가 일정 시간 유지된 후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궤적 및 차량 탑승 방향을 인식하는 것
    인 운전자 판단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 상태가 기설정된 동작 상태 순으로 변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문닫이음을 감지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것
    인 운전자 판단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센서가 획득한 데이터 중 이벤트 발생이 감지된 후 획득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차량의 주행 방향 및 차량 탑승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계산하여, 상기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
    인 운전자 판단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차량에 시동이 걸리는 경우 변동되는 자기장값의 변동폭을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가 차량의 앞좌석에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
    인 운전자 판단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드라이빙 모드 전환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모드 전환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운전자 판단 방법.
KR1020140084547A 2014-07-07 2014-07-07 운전자 판단 장치 및 방법 KR101531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547A KR101531873B1 (ko) 2014-07-07 2014-07-07 운전자 판단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547A KR101531873B1 (ko) 2014-07-07 2014-07-07 운전자 판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873B1 true KR101531873B1 (ko) 2015-06-26

Family

ID=53519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547A KR101531873B1 (ko) 2014-07-07 2014-07-07 운전자 판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8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16457A (zh) * 2020-12-30 2021-04-30 武汉理工大学 基于副任务的汽车驾驶员大脑行为负荷测量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9952A (ja) * 2011-08-30 2013-03-14 Aisin Seiki Co Ltd 車両制御装置および携帯情報端末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3181885A (ja) * 2012-03-02 2013-09-12 Mitsubishi Electric Corp 運転者特定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9952A (ja) * 2011-08-30 2013-03-14 Aisin Seiki Co Ltd 車両制御装置および携帯情報端末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3181885A (ja) * 2012-03-02 2013-09-12 Mitsubishi Electric Corp 運転者特定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16457A (zh) * 2020-12-30 2021-04-30 武汉理工大学 基于副任务的汽车驾驶员大脑行为负荷测量系统及方法
CN112716457B (zh) * 2020-12-30 2024-03-08 武汉理工大学 基于副任务的汽车驾驶员大脑行为负荷测量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97069B (zh) 汽车驾驶员疲劳驾驶智能控制方法
JP5942761B2 (ja) 運転支援装置および運転支援方法
Chu et al. I am a smartphone and I know my user is driving
CN110211335B (zh) 用于对车辆的驾驶员的微睡进行识别的方法和装置
WO2018046015A1 (zh) 车辆报警方法、装置及终端
CN107773255B (zh) 驾驶员身体状况检测装置
CN109477346B (zh) 动作判定装置及动作判定方法
TWI592883B (zh) Image recognition system and its adaptive learning method
CN108698606A (zh) 用于分类驾驶员运动的方法
JP2018030499A (ja) 車外情報提供装置および車外情報提供方法
JP6323510B2 (ja) 運転者体調検知装置及び方法
CN212098749U (zh) 智能系统和电子模块
JP2008070965A (ja) 車両制御装置および車両制御方法
WO2018233300A1 (zh) 语音识别方法和语音识别装置
WO2008114839A1 (ja) 覚醒度判定装置及び覚醒度判定方法
JP5061563B2 (ja) 検出装置、生体判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4423343A (zh) 认知功能推测装置、学习装置及认知功能推测方法
CN102725189B (zh) 一种用于机动车辆的物体碰撞警告系统和方法
CN108973898B (zh) 一种无人车及其安全启动方法、装置及设备
KR101531873B1 (ko) 운전자 판단 장치 및 방법
JP2018193031A (ja) ドア操作安全支援装置
KR20190056520A (ko) 얼굴 표정 인식 기술을 이용한 전방 집중도 분석 방법
KR20220014943A (ko) 주행 환경 연동 운전자 감정 판단 방법 및 시스템
CN107341428B (zh) 影像辨识系统及自适应学习方法
CN110536854B (zh) 电梯的防范运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