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860B1 - 정션 박스용 중계 터미널 - Google Patents

정션 박스용 중계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860B1
KR101531860B1 KR1020130150593A KR20130150593A KR101531860B1 KR 101531860 B1 KR101531860 B1 KR 101531860B1 KR 1020130150593 A KR1020130150593 A KR 1020130150593A KR 20130150593 A KR20130150593 A KR 20130150593A KR 101531860 B1 KR101531860 B1 KR 101531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terminal
insertion space
contact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5362A (ko
Inventor
최규룡
박창호
최기만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30150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860B1/ko
Publication of KR20150065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Abstract

본 발명은 정션 박스(Junction Box)에 구비되는 중계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릴레이(Relay)의 탭 단자 및 버스바(Bus bar)의 탭 단자를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중계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릴레이의 단자와 버스바의 단자를 강하게 접속하고, 외부 진동에도 내부가 흔들리거나 지지력이 약화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에 따른 마찰 과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정션 박스용 중계 터미널 {TRANSMISSION TERMINAL FOR JUNCTION BOX}
본 발명은 정션 박스(Junction Box)에 구비되는 중계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릴레이(Relay)의 탭 단자 및 버스바(Bus bar)의 탭 단자를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중계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다양한 요구 조건에 따라 복합 전자 기기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수의 각종 릴레이, 커넥터, 퓨즈가 내장되고 이를 상호 접속하기 위한 전기 회로 구성이 복잡화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 회로 구성의 간소화를 위해 탑재된 각각의 전기 부품을 내부의 버스바를 이용하여 일정한 접속 상태로 도통시키는 정션 박스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정션박스는 일반적으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구성되는데,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에 절연판과 버스바가 교대로 적층 배치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커넥터, 퓨즈, 릴레이 등의 전기 부품이 장착되도록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를 통해 삽입되는 각 전기 부품의 탭 단자와, 상기 버스 바로부터 돌설된 탭 단자를 중계 터미널을 통해 접속시킨다.
도 1은 종래의 중계 터미널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중계 터미널(1)은 양측으로 릴레이의 단자(2)와 버스바의 단자(3)가 하면부(11) 및 상면부(12)의 사이 공간 내로 삽입되며, 릴레이의 단자(2)와 버스바의 단자(3)의 사이에는 하면부(11)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는 탄성접촉부(15)가 고리 모양으로 돌출되어 있다.
릴레이의 단자(2)는 탄성접촉부(15)의 상방에 접촉되며 상면부(12)와 접촉되고, 버스바의 단자(3)는 탄성접촉부(15)의 하방에 접촉되면서 하면부(11)와 접촉된다.
이러한 중계 터미널(1)은 기존에 비해 강도가 균일하게 되고, 서로 나란히 위치됨으로써 전체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며, 탄성접촉부(15)를 사이에 두고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도록 하는 특징을 갖고 있는데, 이러한 중계 터미널(1)에도 문제점이 있다.
차량 내부에서 중계 터미널(1)은 진동 및 충격에 상시 노출되는데, 이 때 탄성접촉부(15)에 떨림이 발생되면서, 릴레이의 단자(2)와 버스바의 단자(3)의 사이가 과열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탄성접촉부(15)는 유동적으로 삽입된 릴레이의 단자(2)와 1개의 지점에서 접촉되면서, 마찬가지로 유동적으로 삽입된 버스바의 단자(3)와 1개의 지점에서 접촉될 뿐이어서, 탄성접촉부(15)가 제대로 지지되지 않은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흔들릴 수도 있고, 릴레이의 단자(2)나 버스바의 단자(3)도 이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고 같이 흔들릴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탄성접촉부(15), 릴레이의 단자(2)와 버스바의 단자(3) 간의 마찰, 진동, 충격에 의한 과열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접촉 불량이 발생되거나, 주변 부품이 녹아내리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릴레이의 단자(2)와 버스바의 단자(3)를 상호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진동에 따른 과열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중계 터미널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미국특허 제6,932,625호 한국특허 제114220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릴레이의 단자와 버스바의 단자를 분리하여 견고하게 지지하며, 이를 지지하는 탄성접촉편의 진동이나 움직임이 최소화되는 중계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양측에서 내측으로 접근하는 제1단자 및 제2단자를 접속시키기 위한 정션 박스용 중계 터미널에 있어서, 내측으로 상기 제1단자가 인입될 수 있는 제1삽입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삽입공간부 내에는 인입되는 상기 제1단자를 가압하며 제1외면측으로 밀며 지지하기 위한 제1탄성접촉부가 구비되는 제1접촉부; 및 내측으로 상기 제2단자가 인입될 수 있는 제2삽입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삽입공간부 내에는 인입되는 상기 제2단자를 가압하며 제2외면측으로 밀며 지지하기 위한 제2탄성접촉부가 구비되는 제2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는 서로 분할된 공간을 형성하며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 박스용 중계 터미널을 제공한다.
상기 제1삽입공간부 및 상기 제2삽입공간부는 상기 제1접촉부의 제1분할면 및 상기 제2접촉부의 제2분할면에 의해 상호 분할되며, 상기 제1분할면 및 상기 제2분할면은 서로 대면하여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탄성접촉부는 상기 제1분할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외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탄성접촉부는 상기 제2분할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외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탄성접촉부는: 상기 제1분할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절곡되는 제1절곡부; 상기 제1절곡부로부터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1경사부; 상기 제1경사부의 단부측에 형성되는 제1접점부; 및 상기 제1접점부로부터 다시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분할면에 근접하여 대면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탄성접촉부는: 상기 제2분할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절곡되는 제2절곡부; 상기 제2절곡부로부터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2경사부; 상기 제2경사부의 단부측에 형성되는 제2접점부; 및 상기 제2접점부로부터 다시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분할면에 근접하여 대면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단자가 내입되면,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제1접점부 및 상기 제1외면에 접촉되며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1분할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단자가 내입되면,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제2접점부 및 상기 제2외면에 접촉되며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2분할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삽입공간부는 제1측으로부터 상기 제1단자가 내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측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공간이고, 상기 제2삽입공간부는 상기 제1측의 반대측인 제2측으로부터 상기 제2단자가 내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측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탄성접촉부는 상기 제1삽입공간부의 입구를 대면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진 제1경사부가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탄성접촉부는 상기 제2삽입공간부의 입구를 대면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진 제2경사부가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접촉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접촉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출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접촉부에는 상기 걸림돌출부가 인입되어 맞물리는 걸림내입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돌출부는 단부측이 양 측방으로 더 돌출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내입홈은 상기 걸림부가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외측 부분에 내측으로 내입된 인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접촉부의 측면 및 상기 제2접촉부의 측면에는 각각 상기 제1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의 내측 공간으로 돌출되는 지지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자 및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지지돌출부에 의해 각각 상기 제1외면 및 상기 제2외면에 근접되는 위치로 유도되어 내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릴레이의 단자와 버스바의 단자를 강하게 접속하고, 외부 진동에도 내부가 흔들리거나 지지력이 약화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에 따른 마찰 과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중계 터미널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중계 터미널에 릴레이 단자 및 버스바 단자가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중계 터미널에 릴레이 단자 및 버스바 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중계 터미널을 다양한 방향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중계 터미널의 여러 방향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중계 터미널에 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중계 터미널 구성의 절곡 전 전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중계 터미널에 릴레이 단자 및 버스바 단자가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중계 터미널에 릴레이 단자 및 버스바 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중계 터미널(100)은 분리된 2개의 관통되는 공간과 벽면을 구비하는 형상이며, 양측으로 각각의 분리된 공간을 향해 릴레이 단자(2, 제1단자)와 버스바 단자(3, 제2단자)가 각각 삽입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중계 터미널을 다양한 방향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접촉부(130)는 상방으로 사각통형의 공간을 형성하고, 제2접촉부(150)는 하방으로 사각통형의 공간을 나란히 형성한다.
제1접촉부(130)의 제1삽입공간부(1331)로는 제1단자(미도시)가 삽입되며, 내측의 제1탄성접촉부(134)와 접촉되며 도면상 상방으로 가압된다. 도면상 보이는 제2접촉부(150)의 제2외측공간부(1532)로는 단자가 삽입되지 않으며, 그 반대쪽의 제2삽입공간부(1531)로 제2단자(미도시)가 삽입되도록 하며, 제2탄성접촉부(154)도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접촉부(130)와 제2접촉부(150)의 일측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타측은 분리되어 있으므로, 제1접촉부(130)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는 걸림돌출부(140)를 구비하고, 이 걸림돌출부(140)는 하방 연장되어 제2접촉부(150)의 외면에 형성된 걸림내입홈(160)내에 인입되어 맞물림으로써, 벌어지는 것을 잡아주게 된다. 이 때 걸림돌출부(140)가 걸림내입홈(16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걸림돌출부(140)의 단부는 좌우 방향으로 확장되며 돌출되는 걸림부(142)를 갖도록 하고, 걸림내입홈(160)의 상방에는 걸림부(142)가 빠져나가는 것을 잡아주기 위해 내입 형성되는 인입부(162)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로써 걸림부(142)는 인입부(162)에 의해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견고하게 고정된다.
제1접촉부(130) 및 제2접촉부(150)의 내측 측면(1301, 1501)에는 수평 중심의 제1분할면(131), 제2분할면(151)에 가까운 위치에 제1,2지지돌출부(1302, 1502)가 한 쌍씩 형성된다.
제1,2지지돌출부(1302, 1502)는 제1분할면(131), 제2분할면(151)에 가까운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내입되는 제1단자, 제2단자를 방해하며 외측으로 밀어내므로, 제1단자, 제2단자는 제1,2지지돌출부(1302, 1502)가 없는 외측의 제1외면(132), 제2외면(152)에 가까운 위치로 삽입되도록 가이드된다. 따라서 제1단자, 제2단자는 삽입 위치가 1차적으로 지정되며, 이를 각 탄성접촉부(134, 154)가 밀착되며 외측으로 가압하여 지지, 고정시킨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중계 터미널의 여러 방향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1접촉부(130)는 양측으로 제1삽입공간부(1331)과 제1외측공간부(1332)가 개방 형성되고, 그 중간에는 제1삽입공간부(1331)를 바라보며 경사진 제1탄성접촉부(134)가 제1외면(132)측으로 가압되도록 형성된다. 제1접촉부(130)는 제1분할면(131)에 의해 제2접촉부(150) 및 그 공간들과 분할되며, 제1탄성접촉부(134)는 제1분할면(131)으로부터 연장되어 견고하게 지지된다.
제2접촉부(150)도 양측으로 제2삽입공간부(1531)과 제2외측공간부(1532)가 개방 형성되고, 그 중간에는 제2삽입공간부(1531)를 바라보며 경사진 제2탄성접촉부(154)가 제2외면(152)측으로 가압되도록 형성된다. 제2접촉부(150)는 제2분할면(151)에 의해 제1접촉부(130) 및 그 공간들과 분할되며, 제2탄성접촉부(154)는 제2분할면(151)으로부터 연장되어 견고하게 지지된다. 이 때 제1삽입공간부(1331)와 제2삽입공간부(1531)는 상호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개방된다.
제1탄성접촉부(134)는 제1분할면(131)으로부터 절곡되는 제1절곡부(135), 제1절곡부(135)로부터 제1외면(132)에 근접하도록 경사지며 외측을 향하는 제1경사부(136), 제1경사부(136)의 상측 단부에 위치되며 제1단자와 접촉되는 제1접점부(137), 다시 내측으로 굽어져 제1분할면(131)에 근접하여 대면 위치되는 제1지지부(138), 다시 약간 들리는 형상으로 휘어진 제1단부(139)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제2탄성접촉부(154), 제2절곡부(155), 제2경사부(156), 제2접점부(157), 제2지지부(158), 제2단부(159)도 동일하다. 이 때 제1단자의 두께 및 제1탄성접촉부(134)의 제1접점(137)과 제1외면(132) 간의 간격과, 제1지지부(138)와 제1분할면(131) 간의 간격 설정이 중요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중계 터미널에 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단자(2)는 지지돌출부(1302)에 의해 지지되어 제1외면(132) 측에 근접하여 인입되며 제1접점부(137)에 의해 가압되어 견고하게 지지된다. 또한 제1탄성접촉부(134)는 제1지지부(138)가 제1분할면(131)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즉, 제1탄성접촉부(134)는 절곡부(135)와 제1지지부(138)가 고정된 제1분할면(131)을 기준으로 지지되면서, 반대측의 제1접점부(137)를 통해 제1단자(2)를 가압하며 접속된다. 또 다른 유동성 단자를 지지하던 종래와 달리 제1탄성접촉부(134)는 고정된 제1분할면(131)에 의해 제1지지부(138)가 지지되므로, 보다 견고하게 제1단자(2)를 지지하고 있게 되는데, 이를 통해 제1탄성접촉부(134)나 제1단자(2)의 떨림, 마찰, 진동은 최소화된다. 또한 제1지지돌출부(1302)에 의해서도 제1단자(2)의 수평 위치가 지정되면서, 흔들림이나 유격을 방지하게 된다. 이는 제2탄성접촉부(154)에도 동일하게 설명이 가능하다.
제1단자가 0.8mm의 두께인 경우, 제1접점부(137)와 제1외면(132) 사이의 최초 간격을 0.4mm로 설정하고, 제1지지부(138)와 제1분할면(131) 사이의 간격을 0.35mm로 설정하는 경우, 단자의 두께는 0.8mm 이고, 이격 간격의 합은 0.75mm이므로, 단자 삽입시 0.05m 간격을 확보하기 위해 제1탄성접촉부(134)가 변형되면서 탄성 가압력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단자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결국 기존에는 하나의 탄성접촉부를 통해 2개의 단자를 동시에 지지함으로써, 지지력이 약하고 진동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분할면을 도입하므로써, 공간을 2개로 분리하고 각각의 탄성접촉부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위치 유지가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특히 지지부는 움직이는 다른 단자를 지지시키지 않고, 고정된 분할면에 의해 지지되므로, 이 부분에서 마찰이나 진동 충격 발생이 감소되어 전체적인 지지력이 향상되고, 과열 발생 요소를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제1,2탄성접촉부(134, 154)는 중앙 내측의 제1,2분할면(131, 151)으로부터 중앙부분에서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2단자(2, 3)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고, 제1,2단자(2, 3)가 최대한 이격되어 지지되며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단자 간의 마찰이나 결합 상의 어려움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중계 터미널 구성의 절곡 전 전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중계 터미널(100)은 하나의 판재를 절개, 절곡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판재 위에 제1,2탄성접촉부(134, 154), 제1,2분할면(131, 151), 제1,2외면(132, 152) 등이 구성되고, 이를 평행의 사각 관 형태로 절곡하고, 걸림돌출부(140)가 걸림내입홈(160)에 내입되어 맞물림으로써, 구성이 완성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 도면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중계터미널 130 : 제1접촉부
1301 : 측면 1302 : 지지돌출부
131 : 제1분할면 132 : 제1외면
1331 : 제1삽입공간부 1332 : 제1외측공간부
134 : 탄성접촉부 135 : 절곡부
136 : 경사부 137 : 접점부
138 : 지지부 139 : 단부
140 : 걸림돌출부 142 : 걸림부
150 : 제2접촉부 1501 : 측면
1502 : 지지돌출부 151 : 제2분할면
152 : 제2외면 1531 : 제2삽입공간부
1532 : 제2외측공간부 154 : 탄성접촉부
155 : 절곡부 156 : 경사부
157 : 접점부 158 : 지지부
159 : 단부 160 : 걸림내입홈
162 : 인입부

Claims (9)

  1. 양측에서 내측으로 접근하는 제1단자 및 제2단자를 접속시키기 위한 정션 박스용 중계 터미널에 있어서,
    내측으로 상기 제1단자가 인입될 수 있는 제1삽입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삽입공간부 내에는 인입되는 상기 제1단자를 가압하며 제1외면측으로 밀며 지지하기 위한 제1탄성접촉부가 구비되는 제1접촉부; 및
    내측으로 상기 제2단자가 인입될 수 있는 제2삽입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삽입공간부 내에는 인입되는 상기 제2단자를 가압하며 제2외면측으로 밀며 지지하기 위한 제2탄성접촉부가 구비되는 제2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는 서로 분할된 공간을 형성하며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제1삽입공간부 및 상기 제2삽입공간부는 상기 제1접촉부의 제1분할면 및 상기 제2접촉부의 제2분할면에 의해 상호 분할되며, 상기 제1분할면 및 상기 제2분할면은 서로 대면하여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탄성접촉부는 상기 제1분할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외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탄성접촉부는 상기 제2분할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외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접촉부의 측면 및 상기 제2접촉부의 측면에는 각각 상기 제1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의 내측 공간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지지돌출부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 지지돌출부는 상기 제1분할면 및 제2분할면에 근접한 위치에 돌출되어, 상기 제1단자 및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돌출부에 의해 각각 상기 제1외면 및 상기 제2외면에 근접되는 위치로 유도되어 내입되며,
    상기 제1접촉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접촉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출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접촉부에는 상기 걸림돌출부가 인입되어 맞물리는 걸림내입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출부는 단부측이 양 측방으로 더 돌출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내입홈은 상기 걸림부가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외측 부분에 내측으로 내입된 인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 박스용 중계 터미널.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접촉부는:
    상기 제1분할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절곡되는 제1절곡부;
    상기 제1절곡부로부터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1경사부;
    상기 제1경사부의 단부측에 형성되는 제1접점부; 및
    상기 제1접점부로부터 다시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분할면에 근접하여 대면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탄성접촉부는:
    상기 제2분할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절곡되는 제2절곡부;
    상기 제2절곡부로부터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2경사부;
    상기 제2경사부의 단부측에 형성되는 제2접점부; 및
    상기 제2접점부로부터 다시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분할면에 근접하여 대면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단자가 내입되면,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제1접점부 및 상기 제1외면에 접촉되며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1분할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단자가 내입되면,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제2접점부 및 상기 제2외면에 접촉되며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2분할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 박스용 중계 터미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공간부는 제1측으로부터 상기 제1단자가 내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측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공간이고,
    상기 제2삽입공간부는 상기 제1측의 반대측인 제2측으로부터 상기 제2단자가 내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측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 박스용 중계 터미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접촉부는 상기 제1삽입공간부의 입구를 대면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진 제1경사부가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탄성접촉부는 상기 제2삽입공간부의 입구를 대면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진 제2경사부가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 박스용 중계 터미널.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30150593A 2013-12-05 2013-12-05 정션 박스용 중계 터미널 KR101531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593A KR101531860B1 (ko) 2013-12-05 2013-12-05 정션 박스용 중계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593A KR101531860B1 (ko) 2013-12-05 2013-12-05 정션 박스용 중계 터미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362A KR20150065362A (ko) 2015-06-15
KR101531860B1 true KR101531860B1 (ko) 2015-06-26

Family

ID=53504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593A KR101531860B1 (ko) 2013-12-05 2013-12-05 정션 박스용 중계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8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4994A (ko) 2021-11-04 2023-05-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 및 이를 가진 디바이스 프레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7951A (ja) * 1995-11-20 1997-06-06 Kansei Corp 雄端子結合用中継端子
JP2005209517A (ja) * 2004-01-23 2005-08-04 Yazaki Corp 中継端子
KR200457349Y1 (ko) * 2010-09-06 2011-12-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7951A (ja) * 1995-11-20 1997-06-06 Kansei Corp 雄端子結合用中継端子
JP2005209517A (ja) * 2004-01-23 2005-08-04 Yazaki Corp 中継端子
KR200457349Y1 (ko) * 2010-09-06 2011-12-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4994A (ko) 2021-11-04 2023-05-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 및 이를 가진 디바이스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362A (ko) 201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9069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female terminal
JP6249676B2 (ja) 電気コネクタ
JP5956071B2 (ja) 接続端子
US20150222046A1 (en) Electrical Connector
EP2822102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802171B1 (ko) 커넥터
JP2001210419A (ja) 雌型端子
KR101972237B1 (ko) 커넥터 장치
JP4034801B2 (ja) 電気コネクタ
US11158972B2 (en) Socket connector assembly
KR101531860B1 (ko) 정션 박스용 중계 터미널
JP3192828U (ja) 電気コネクタ
JP6687260B1 (ja) コネクタ
JP6350072B2 (ja) 電気コネクタ
JP7009976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CN114361841A (zh) 电端子
JP2014056718A (ja) コネクタ
KR101489787B1 (ko) 두 개의 스프링 구역을 갖는 직결식 플러그 소자
WO2014002408A1 (ja) 電気コネクタ
JP2020068059A (ja) コネクタ
JP5527229B2 (ja) コネクタ
JP7401500B2 (ja) 電気端子
WO2014126045A1 (ja) 電線圧接構造
JP6100117B2 (ja) コネクタ
KR20190071474A (ko) 정션블록 단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