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349Y1 -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 - Google Patents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349Y1
KR200457349Y1 KR2020100009336U KR20100009336U KR200457349Y1 KR 200457349 Y1 KR200457349 Y1 KR 200457349Y1 KR 2020100009336 U KR2020100009336 U KR 2020100009336U KR 20100009336 U KR20100009336 U KR 20100009336U KR 200457349 Y1 KR200457349 Y1 KR 2004573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terminal
side plate
terminal body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3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승우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93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3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3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3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by stamped-out resilient contact arm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은 터미널몸체(20)와 접촉편유니트(30)로 구성된다. 상기 터미널몸체(20)를 구성하는 모재는 상기 접촉편유니트(30)를 구성하는 몸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고 전기전도성이 좋은 것이다. 상기 접촉편유니트(30)는 탄성변형능력이 좋은 것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몸체(20)의 내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개방되게 제1 및 제2 결합공간(21,2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간(21,22)의 내부에는 접촉편유니트(30)에 구비되는 제1판부(31)와 제2판부(32)의 제1 및 제2 접촉편(34,34')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정점부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접촉편(34,34')은 아치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의 강도를 일정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전기전도특성이 또한 상대적으로 좋아지게 되어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Both ends receptacle terminal}
본 고안은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단으로 탭터미널이나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에서 터미널의 골격을 형성하는 부분과 탭터미널과의 접촉을 위한 부분을 별도로 만든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에 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이 구비된 정션박스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따르면, 정션박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커버(1)에는 부품결합부(3)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결합부(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9)와 결합될 릴레이(15)나 퓨즈(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부품이 안착된다.
상기 메인커버(1)의 하부에 안착되도록 절연판조립체(5)가 구비된다. 상기 절연판조립체(5)는 다수개의 절연판(7)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절연판(7)은 대략 장방형의 판상으로 대수개가 동일한 외곽형상을 가진다. 상기 절연판(7)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연판(7)에는 다수개의 관통공(도시되지 않음)들이 형성된다. 이는 하부의 절연판(7) 상에 배치된 후술할 버스바(9)의 단자부(11)들이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버스바(9)는 상기 절연판(7)의 사이 사이에 설치될 뿐만 아니라 최상단의 절연판(7)의 상부로 직립되게 일부가 돌출된 단자부(11)가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단자부(11)에는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13)이 장착된다. 상기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13)은 상기 버스바(9)와는 별개물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일단에는 상기 단자부(11)가 삽입되고, 타단부에는 릴레이(15)의 릴레이단자(16)가 삽입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릴레이(15)는 입력이 어떤 값에 도달하였을 때, 작동되어 다른 회로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메인커버(1)의 하부에는 하부커버(18)가 장착되면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절연판조립체(5)가 위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13)은 그 중간의 연결부(13')에 각각 내부가 빈 사각기둥 형상의 제1 및 제2결합부(14,14')가 구비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결합부(14)에는 상기 버스바(9)의 단자부(11)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결합부(14')에는 예를 들면 상기 릴레이(15)의 릴레이단자(16)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14,14')내에는 상대 터미널인 단자부(11)나 릴레이단자(16)와의 밀착을 위한 탄성편(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13)은 제1 및 제2 결합부(14,14')가 연결부(13')에 의해 차례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길이가 길어진다. 상기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13)의 길이가 길어지면 전체 정션박스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13)을 만들기 위해서는 하나의 모재를 사용하게 되는데,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13)을 구성하는 각 부분은 그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전체가 일체로 되도록 하나의 모재로 만들게 되면 각각의 부분의 최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의 길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에서 터미널몸체와 접촉편유니트를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모재를 사용하여 형성하여 각각의 부분이 최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제1결합공간과 제2결합공간이 서로 다른 높이에 평행하게 구비되고 양단으로 각각 개방되게 형성되며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터미널몸체와, 상기 터미널몸체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모재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공간 내에 각각 탄성변형가능한 제1 및 제2 접촉편이 각각의 결합공간의 양단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되게 형성되어 상대 탭터미널이 각각 상기 터미널몸체의 내면에 밀착되게 하는 접촉편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촉편유니트는 상기 제1 및 제2 접촉편이 각각 형성된 제1판부와 제2판부가 연결판부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접촉편유니트의 접촉편은 각각 아치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몸체는 상부를 형성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반대쪽에 위치되어 하부를 형성하는 하판부,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측판부, 상기 연결측판부의 반대쪽에 상기 상판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분리측판부, 상기 연결측판부의 반대쪽에서 상기 하판부의 일단부에서 연장되는 제2분리측판부와, 상기 제1분리측판부나 제2분리측판부중 어느 하나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의 사이에서 제1결합공간과 제2결합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부로 구성된다.
상기 구획판부에 의해 구획되는 제1 및 제2 결합공간에 위치되는 상기 제1 및 제2 접촉편은 각각 상기 구획판부를 향해 정점부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분리측판부에서는 걸이판부가 연장되어 상기 제2분리측판부와 하판부에 걸어지도록 되는데, 상기 제2분리측판부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연장편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편의 선단에는 상기 하판부에 걸어지는 걸이편이 연장편에서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분리측판부와 상기 연장편중 적어도 일측에는 걸이슬롯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연장편이 상기 터미널몸체의 외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터미널몸체에는 상기 접촉편유니트가 상기 터미널몸체내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가 형성되는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공간의 양쪽 입구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구획판부의 선단은 상기 접촉편유니트의 연결판부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몸체의 연결측판부에 밀착되거나 접촉편유니트와 연결측판부를 구획판부의 일부가 관통하도록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터미널몸체 내에 제1결합공간과 제2결합공간이 서로 다른 높이에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하였으므로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의 전체 길이가 대폭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터미널몸체를 형성하는 모재는 보다 높은 강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접촉편유니트를 형성하는 모재는 좋은 탄성변형특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이 원하는 강성을 가지면서도 상대 터미널과의 접촉 특성 또한 양호하게 되어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이 채용된 박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상대 탭터미널이 삽입된 상태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은 터미널몸체(20)가 외관과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터미널몸체(2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금속판을 절단하고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몸체(20)는 모재인 금속판의 두께가 아래에서 설명될 접촉편유니트(30)의 그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것이다. 이는 터미널몸체(20)의 강성이 일정 이상의 값을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터미널몸체(20)를 구성하는 모재의 재질은 통전성이 좋은 것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될 접촉편유니트(30)의 모재는 통전성이 필요하기는 하지만, 탄성변형특성이 좋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 필요하다.
상기 터미널몸체(20)의 내부에는 제1결합공간(21)과 제2결합공간(22)이 서로 다른 높이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공간(21)과 제2결합공간(22)은 각각 상기 터미널몸체(20)의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공간(21)과 제2결합공간(22)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터미널몸체(20)를 형성하는 금속판은 여러차례 절곡된다. 상기 터미널몸체(20)의 상부를 상판부(24)가 형성한다. 상기 상판부(24)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된다. 상기 상판부(24)와 반대쪽에는 하판부(24')가 구비된다. 상기 하판부(24')는 상기 상판부(24)와 거의 같은 형상으로 된다. 상기 상판부(24)와 하판부(24')를 서로 연결하도록 연결측판부(28)가 구비되어 터미널몸체(20)의 일측면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측판부(28)도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된다.
상기 연결측판부(28)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터미널몸체(20)의 측면은 제1분리측판부(28')와 제2분리측판부(28")가 형성한다. 상기 제1분리측판부(28')와 제2분리측판부(28")는 서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분리측판부(28')는 상기 상판부(24)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것이고, 상기 제2분리측판부(28")는 상기 하판부(24')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것이다.
상기 터미널몸체(20)의 내부에서 상기 제1결합공간(21)과 제2결합공간(22)을 구획하기 위해 구획판부(26)가 구비된다. 상기 구획판부(26)는 상기 상판부(24)나 하판부(24')와 거의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구획판부(26)는 상기 제1분리측판부(28')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거나 제2분리측판부(28")에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분리측판부(28")에서 절곡되어 연장되어 있다. 상기 구획판부(26)는 상기 상판부(24) 및 하판부(24')와 각각 평행하게 위치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터미널몸체(20)는 제1분리측판부(28'), 상판부(24), 연결측판부(28), 하판부(24'), 제2분리측판부(28") 그리고 구획판부(26)의 순서로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반드시 이와 같은 순서로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위에서도 설명한 바와같이 제1분리측판부(28')에 구획판부(26)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몸체(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결합공간(21)과 제2결합공간(22)에는 접촉편유니트(30)가 설치된다. 상기 접촉편유니트(30)는 상기 터미널몸체(20)를 만드는 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으면서도 탄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접촉편유니트(30)는 제1판부(31)와 제2판부(32)가 서로 마주보게 평행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1판부(31)와 제2판부(32) 각각의 단부를 연결판부(33)가 연결한다. 상기 연결판부(33)는 상기 제1판부(31) 및 제2판부(32)에 대략 직교하게 절곡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제1판부(31), 제2판부(32) 및 연결판부(33)는 하나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제1판부(31)와 제2판부(32)에는 각각 관통부(31',32')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31',32') 내에 제1접촉편(34)과 제2접촉편(3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접촉편(34)과 제2접촉편(34')은 각각 제1탭터미널(40) 및 제2탭터미널(40')과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제1접촉편(34)과 제2접촉편(34')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접촉편(34,34')들은 그 정점부가 서로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각각의 접촉편(34,34')의 중간부분에서 약간 일단부 측으로 치우친 부분이 정점부가 되도록 아치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이들 접촉편(34,34') 각각에는 분리슬롯(36)에 의해 형성된 아치부(38)가 다수개 씩 나란히 구비된다. 상기 분리슬롯(36)에 의해 다수개의 아치부(38)가 형성됨에 의해 접촉편(34,34')의 탄성변형 능력을 원하는 값으로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접촉편(34,34')은 각각 제1판부(31)와 제2판부(32)에 일단부가 연결된 것으로, 상기 제1판부(31)와 제2판부(32)에 관통부(31',32')를 형성함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통부(31',32')가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상기 접촉편유니트(30)가 상기 터미널몸체(20)의 내부에 설치되었을 때, 제1판부(31)는 상기 상판부(24)의 내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2판부(32)는 하판부(24')의 내면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판부(33)는 연결측판부(28)의 내면에 밀착되어 위치된다. 이는 상기 접촉편유니트(30)가 상기 터미널몸체(20)의 내부에 약간 탄성변형된 상태로 위치되게 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터미널몸체(20)의 전후 단부, 즉 상기 결합공간(21,22)의 양쪽 입구에 해당되는 부분에 상기 접촉편유니트(3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도시되지 않음)를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미널몸체(20)의 형상이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제1분리측판부(28')에서 걸이판부(29)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판부(29)는 상기 제2분리측판부(28")를 지나 하판부(24')에 걸어져 결과적으로 상기 상판부(24)와 하판부(24') 사이의 간격이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터미널몸체(20)를 구성하는 모재의 강성이 충분하여 상기 상판부(24)와 하판부(24') 사이의 거리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면 상기 걸이판부(29)가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걸이판부(29)는 상기 제1분리측판부(28')에서 연장되는 연장편(29')과 상기 연장편(29')의 선단에서 상기 하판부(24')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하판부(24')에 걸어지는 걸이편(29")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편(29')은 상기 제2분리측판부(28")에 형성된 걸이슬롯(28s)내에 위치된다. 상기 걸이슬롯(28s)은 상기 제2분리측판부(28")를 관통하거나 외면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걸이슬롯(28s)에 상기 연장편(29')이 위치됨에 의해 제1결합공간(21)과 제2결합공간(22)의 폭이 동일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은 터미널몸체(20)를 만드는 모재와 접촉편유니트(30)를 만드는 모재를 각각 두께가 다른 것을 사용하였고, 전기전도성의 경우에도 서로 다른 것을 사용하였다.
즉, 터미널몸체(20)의 모재는 접촉편유니트(30)의 모재보다 두께가 두꺼운 것을 사용하여 터미널몸체(20)의 강성을 일정 이상으로 유지하고, 접촉편유니트(30)의 모재는 탄성변형성능이 좋을 것을 사용하여 상대 탭터미널(40,40')이 터미널몸체(20)의 구획판부(26)에 보다 잘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터미널몸체(20)의 전기전도성은 접촉편유니트(30)의 그 것보다 좋은 것을 사용한다. 물론, 상기 접촉편유니트(30)는 전기전도성이 없어도 상관은 없다.
본 고안의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에는 상대 탭터미널(40,40')이 상기 터미널몸체(20)의 각각 반대 방향에서 제1 및 제2 결합공간(21,22)으로 삽입된다. 제1탭터미널(40)은 상기 제1결합공간(21)으로 삽입되어 상기 접촉편유니트(30)의 제1접촉편(34)의 선단쪽에서부터 각각의 아치부(38)에 접촉하여 이들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제1결합공간(21)의 내부로 더 진입한다.
상기 제1탭터미널(40)은 상기 제1결합공간(21)의 내부에서 상기 제1접촉편(34)의 복원력에 의해 밀려 상기 구획판부(26)의 일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제1탭터미널(40)과 터미널몸체(20)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제1탭터미널(40')은 상기 제2결합공간(22)으로 삽입되어 상기 접촉편유니트(30)의 제2접촉편(34')의 선단쪽에서부터 각각의 아치부(38)에 접촉하여 이들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제2결합공간(22)의 내부로 집입한다. 따라서, 제2탭터미널(40')은 상기 제2결합공간(22)의 내부에서 상기 제2접촉편(34')의 복원력에 의해 밀려 상기 구획판부(26)의 일면에 밀착되어 제2탭터미널(40')과 터미널몸체(20)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의 제1결합공간(21)과 제2결합공간(22)의 내부에 제1 및 제2 탭터미널(40,40')이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가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공간(21,22)에 탭터미널(40,40')들이 삽입되더라도 터미널몸체(20)의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터미널몸체(20)의 강성이 탭터미널(40,40')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하다면 걸이판부(29)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촉편유니트(30)의 접촉편(34,34')의 구성이 아치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즉, 접촉편(34,34')의 형상이 기저부에서 선단으로 가면서 상향경사를 가지고 끝부분에서 절곡되어 기저부방향으로 선단이 연장되어 만들어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접촉편(34,34')이 탭터미널(40,40')을 구획판부(26)에 밀착되게 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상관없다.
그리고, 상기 걸이판부(29)의 연장편(29')이 반드시 제2분리측판부(28")에 형성된 걸이슬롯(28S)에 위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2분리측판부(28")의 외면에 밀착되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 상기 연장편(29')은 터미널몸체(20)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된다.
또한, 상기 걸이슬롯(28s)이 상기 연장편(29')과 제2분리측판부(28")에 나누어져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접촉편유니트(30)가 상기 터미널몸체(20)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구획판부(26)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구획판부(26)의 선단이 상기 연결측판부(28)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는 정도의 치수가 되도록 하거나, 상기 접촉편유니트(30)의 연결판부(33)와 연결측판부(28)를 동시에 구획판부(26)의 선단 일부가 관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별도의 스토퍼가 사용되지 않아도 상관없다.
20: 터미널몸체 21: 제1결합공간
22: 제2결합공간 24: 상판부
24': 하판부 26: 구획판부
28: 연결측판부 28': 제1분리측판부
28": 제2분리측판부 29: 걸이판부
29': 연장편 29": 걸이편
30: 접촉편유니트 31: 제1판부
31': 관통부 32: 제2판부
32': 관통부 33: 연결판부
34: 제1접촉편 34': 제2접촉편
36: 분리슬롯 38: 아치부

Claims (9)

  1. 제1결합공간과 제2결합공간이 서로 다른 높이에 평행하게 구비되고 양단으로 각각 개방되게 형성되며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터미널몸체와,
    상기 터미널몸체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모재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공간 내에 각각 탄성변형가능한 제1 및 제2 접촉편이 각각의 결합공간의 양단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되게 형성되어 상대 탭터미널이 각각 상기 터미널몸체의 내면에 밀착되게 하는 접촉편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유니트는 상기 제1 및 제2 접촉편이 각각 형성된 제1판부와 제2판부가 연결판부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유니트의 접촉편은 각각 아치형상으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몸체는 상부를 형성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반대쪽에 위치되어 하부를 형성하는 하판부,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측판부, 상기 연결측판부의 반대쪽에 상기 상판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분리측판부, 상기 연결측판부의 반대쪽에서 상기 하판부의 일단부에서 연장되는 제2분리측판부와, 상기 제1분리측판부나 제2분리측판부중 어느 하나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의 사이에서 제1결합공간과 제2결합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부에 의해 구획되는 제1 및 제2 결합공간에 위치되는 상기 제1 및 제2 접촉편은 각각 상기 구획판부를 향해 정점부가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리측판부에서는 걸이판부가 연장되어 상기 제2분리측판부와 하판부에 걸어지도록 되는데, 상기 제2분리측판부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연장편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편의 선단에는 상기 하판부에 걸어지는 걸이편이 연장편에서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리측판부와 상기 연장편중 적어도 일측에는 걸이슬롯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연장편이 상기 터미널몸체의 외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몸체에는 상기 접촉편유니트가 상기 터미널몸체내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가 형성되는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공간의 양쪽 입구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부의 선단은 상기 접촉편유니트의 연결판부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몸체의 연결측판부에 밀착되거나 접촉편유니트와 연결측판부를 구획판부의 일부가 관통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
KR2020100009336U 2010-09-06 2010-09-06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 KR2004573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336U KR200457349Y1 (ko) 2010-09-06 2010-09-06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336U KR200457349Y1 (ko) 2010-09-06 2010-09-06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349Y1 true KR200457349Y1 (ko) 2011-12-15

Family

ID=45569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336U KR200457349Y1 (ko) 2010-09-06 2010-09-06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3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860B1 (ko) * 2013-12-05 2015-06-26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정션 박스용 중계 터미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860B1 (ko) * 2013-12-05 2015-06-26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정션 박스용 중계 터미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0893U (ja) 電気コネクタ
US4460239A (en) Connector terminal
CN107425368B (zh) 基板用连接器
US9699930B2 (en) Electric device system
US9393919B2 (en) Relay, relay module having the same, and electrical junction box
JP5956071B2 (ja) 接続端子
US8821197B2 (en) Fuse terminal
US9472938B2 (en) Busbar coupling device assembly
CN103311854B (zh) 电连接箱
JP7154782B2 (ja) 可動コネクタ
US20130224983A1 (en) Female-type metal terminal fitting
CN102725584A (zh) Led灯单元
JP7107708B2 (ja) コネクタ
US9246259B2 (en) Joint connector
US7699649B2 (en) Electrical connecting module
KR200457349Y1 (ko)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
KR20100083413A (ko) 버스바조립체
US20150349476A1 (en) Multiport terminal with current bars
US6416366B2 (en) Terminal metal fitting
JP6913278B2 (ja) 板状導電部材の接続構造及び板状導電路
CN102017346A (zh) 电连接盒
JP2002305828A (ja) 電気接続箱とコネクタハウジングとの固定構造
CN109564812B (zh) 线圈组装体、电路结构体及电气接线箱
JP5141451B2 (ja) 電気接続箱
EP3037304B1 (en) Electrical junction box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