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682B1 - 루버 구조체 - Google Patents

루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682B1
KR101531682B1 KR1020120103103A KR20120103103A KR101531682B1 KR 101531682 B1 KR101531682 B1 KR 101531682B1 KR 1020120103103 A KR1020120103103 A KR 1020120103103A KR 20120103103 A KR20120103103 A KR 20120103103A KR 101531682 B1 KR101531682 B1 KR 101531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ver
light
unit
color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698A (ko
Inventor
전진오
Original Assignee
전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진오 filed Critical 전진오
Priority to KR1020120103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682B1/ko
Publication of KR20140036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05Areas of differing opacity for light transmission contro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5/00Control of light, e.g. intensity, colour or ph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루버 구조체가 개시되며, 상기 루버 구조체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루버 유닛; 및 상기 복수 개의 루버 유닛이 설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루버 유닛 각각은 복수 개의 면을 가지고, 상기 복수 개의 루버 유닛은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구조물의 외부를 향한 면의 색상이 변화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루버 구조체는 제1 광투과성 판 및 제2 광투과성 판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광투과성 판은 개폐 유닛을 구비하여 실내에 열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루버 구조체 {LOUVER STRUCTURE}
본원은 루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루버는 길고 가는 평판을 수평이나 수직 혹은 격자 모양으로 개구부의 앞면에 설치하여 직사광선과 비를 막거나 통풍이나 환기를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기 조화기에서는 외기 흡입구 또는 배기구 등에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루버는 폭이 좁은 판을 비스듬히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하고 있어 판에 조사되는 빛을 차단시켜 직사광선을 막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루버는 빛을 차단시키는 역할만을 할 수 있고, 빛을 흡수하여 실내에 유입되는 에너지의 양을 조절한다는 등의 역할은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루버는 계절의 변화, 일교차, 날씨 등 외부 기후 여건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색상을 유지하고 있어, 루버의 색상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루버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루버가 직사광선이나 비를 막을 수 있기 위한 것임과 동시에, 빛을 흡수하여 열을 방출할 수 있어 실내로 에너지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는 루버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루버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스스로 색상이 변할 수 있는 루버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루버 구조체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루버 유닛 및 상기 복수 개의 루버 유닛이 설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루버 유닛 각각은 복수 개의 면을 가지고, 상기 루버 유닛은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구조물의 외부를 향한 면의 색상이 변화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루버 구조체는 상기 프레임에 이해 고정되는 제1 광투과성 판, 및 상기 복수 개의 루버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광투과성 판과 이격배치 되고 상기 프레임에 의해 고정되는 제2 광투과성 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광투과성 판은 빛을 흡수한 상기 루버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건물의 내부로 유입 가능하도록 개폐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루버 구조체에 포함된 복수 개의 루버 유닛이 온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구조물의 외부를 향한 면의 색상이 변화됨으로써 빛을 흡수하거나 반사시킬 수 있고, 빛을 흡수한 복수 개의 루버 유닛이 방출하는 열을 통해 실내로 에너지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루버 유닛이 온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색상이 변화됨으로써 다른 루버 유닛으로 교체하지 않더라도 계절에 따라 또는 하루 동안 온도 변화에 따라 루버 유닛의 색상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루버 구조체에 제1 광투과성 판과 제2 광투과성 판이 포함됨으로써 제1 광투과성 판을 투과하여 들어온 에너지를 한정영역인 제1 광투과성 판과 제2 광투과성 판의 사이에서 데워지도록 한 후 실내로 유입되게 할 수 있고, 제2 광투과성 판에 개폐 유닛이 포함됨으로써 원하는 때에만 제1 광투과성 판과 제2 광투과성 판의 사이에서 데워진 에너지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 내지 (e)는 루버 구조체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구조체에 포함된 개폐 유닛의 역할 및 루버 유닛의 색상변화에 따른 에너지 유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루버 유닛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구조체(이하 '본 루버 구조체'라 함)(1)에 대해 설명한다.
본 루버 구조체(1)는 루버 유닛(11)을 포함한다. 루버 유닛(11)은 복수 개이고,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러한 루버 유닛(11)은, 예시적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면을 가진 복수 개의 판들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경우 각각의 판을 의미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면을 가진 복수 개의 삼각 기둥들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경우 각각의 삼각 기둥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루버 유닛(11) 각각은 복수 개의 면을 가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루버 유닛(11)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면을 가지는 판 형상 일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면을 가지는 삼각기둥의 형상일 수도 있다.
이러한 루버 유닛(11)은 투명 부재, 반투명 부재, 또는 불투명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루버 유닛(11)은 판공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루버 유닛(11)은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판공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판공 부재라 함은 작은 구멍이 복수 개 뚫려 있는 부재를 의미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루버는 루버 유닛(11)을 수평이나 수직 혹은 격자 모양으로 개구부에 설치하여 직사광선과 비를 막거나 통풍이나 환기를 목적으로 한다. 루버 유닛(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루버 유닛(11)은 직사광선이나 비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복수 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루버 유닛(11)이 배치되는 방향은 필요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남향으로 루버 구조체(1)가 설치되는 경우는, 태양고도가 높기 때문에 빛을 가장 잘 받을 수 있도록 지면과 수평인 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시적으로 동향이나 서향으로 루버 구조체(1)가 설치되는 경우는, 태양고도가 낮기 때문에 빛을 가장 잘 받을 수 있도록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루버 유닛(11)은 온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구조물의 외부를 향한 면의 색상이 변화한다.
여기서, 변화는, 예시적으로 루버 유닛(11)의 색상 자체가 화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루버 유닛(11)의 면이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비되어 있어 외부를 향하는 면 자체가 교체됨으로써 물리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루버 유닛(11)은 감온 변색층(111)을 포함할 수 있다.
감온 변색층(111)은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층으로서,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색소 또는 안료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물질로 코팅되거나 이러한 물질로 제작된 필름을 부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감온 변색층(111)은 외부 요인에 의해 손상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루버 유닛(11)의 내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루버 유닛(11)과 함께 제작될 수도 있다.
감온 변색층(111)은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루버 유닛(11)은 모든 루버 유닛(11)에 감온 변색층(111)을 포함할 수 있고, 일부의 루버 유닛(11)에만 감온 변색층(111)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효율적으로 빛을 받기 위해 복수 개의 모든 루버 유닛(11)이 감온 변색층(111)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감온 변색층(111)은 효율적으로 빛을 받기 위해 빛이 잘 조사되는 위치인 루버 유닛(11)의 상부에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루버 유닛(11)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는, 루버 유닛(11)의 일면에 감온 변색층(111)이 포함될 수 있다. 감온 변색층(111)은 시온 안료층일 수 있다.
시온 안료란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안료이다. 시온 안료는 그 종류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기준 온도가 다르고, 기준 온도에 따라 변화되는 색상도 다르다. 본 루버 구조체(1)에 사용되는 시온 안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외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되는 안료로서, 어떤 기준 온도 이상이 되면 명도가 높은 색으로 변화하고 이와는 다른 기준 온도 이하가 되면 명도가 낮은 색으로 변화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온 안료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루버 유닛(11)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명도가 높은 색으로 변화하고, 온도가 낮아질수록 명도가 낮은 색으로 변화할 수 있다.
여기서, 명도란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말한다. 따라서, 명도가 높은 색이라는 것은 흰색에 가까운 색상을 의미하고, 명도가 낮은 색은 검정색에 가까운 색상을 의미한다.
루버 유닛(11)이 온도가 높아질수록 명도가 높은 색으로 변화되고, 온도가 낮아질수록 명도가 낮은 색으로 변화되는 것은 루버 유닛(11)에 포함된 감온 변색층(111)이 기준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즉, 본 루버 구조체(1)에 포함된 감온 변색층(111)은 어느 기준 온도보다 높아지면 명도가 높은 색으로 변화하고, 전술한 기준 온도와는 또다른 기준 온도보다 낮아지면 명도가 낮은 색으로 변화할 수 있다.
루버 유닛(11)이 실외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명도가 높은 색으로 변화할 수 있고, 실외의 온도가 낮아질수록 명도가 낮은 색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명도가 높은 색일수록 빛을 반사하는 특성을 가지고, 명도가 낮은 색일수록 빛을 흡수하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루버 유닛(11)의 색상이 명도가 높은 색으로 변화하는 경우, 제1 광투과성 판(15)을 투과하는 빛 중 대부분은 루버 유닛(11)에 의해 실외로 반사되고 적은 양의 빛이 루버 유닛(11)에 흡수된다. 반대로 루버 유닛(11)의 색상이 명도가 낮은 색으로 변화하는 경우, 제1 광투과성 판(15)을 투과하는 빛 중 대부분은 루버 유닛(11)에 흡수되고, 적은 양의 빛이 루버 유닛(11)에 의해 실외로 반사된다.
실외의 온도가 높은 경우 실내를 시원하게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버 유닛(11)이 명도가 높은 색으로 변화하여 제1 광투과성 판(15)을 투과하는 빛을 대부분 반사시키고, 적은 양의 빛이 루버 유닛(11)에 흡수된다. 적은 양의 빛을 흡수한 루버 유닛(11)은 적은 양의 열을 방출하고, 실내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를 시원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온도가 낮은 경우 실내를 따뜻하게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버 유닛(11)이 명도가 낮은 색으로 변화하여 제1 광투과성 판(15)을 투과하는 빛을 대부분 흡수한다. 많은 양의 빛을 흡수한 루버 유닛(11)은 많은 양의 열을 방출하고, 실내의 온도를 올라가도록 하여 실내를 따뜻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루버 유닛(11)에 포함된 감온 변색층(111)은 실외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명도가 높은 흰색으로 변화할 수 있고, 실외의 온도가 낮아질수록 명도가 낮은 검은색으로 변화할 수 있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감온 변색층(111)은 여름에는 실내가 시원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실외의 높은 온도에 대응하여 루버 유닛(11)의 색상이 명도가 높은 흰색으로 변화할 수 있고, 겨울에는 실내가 따뜻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실외의 낮은 온도에 대응하여 루버 유닛(11)의 색상이 명도가 낮은 검은색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루버 유닛(11)과 다른 실시예로서, 루버 유닛(11)은 두 개의 면을 가지고, 이 두 개의 면 중 일측면은 명도가 높은 색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측면은 명도가 낮은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도 조절부는 온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도 조절부에 의해 복수 개의 루버 유닛(11)의 회전각도가 조절가능 한 경우, 도 4의 (a)를 참조하면 외기의 온도가 높은 여름에는 명도가 높은 색상으로 이루어진 고명도층(115)이 구비된 루버 유닛(11)의 일측면이 빛을 받도록 루버 유닛(1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4의 (b)를 참조하면 외기의 온도가 낮은 겨울에는 명도가 낮은 색상으로 이루어진 저명도층(117)으로 구비된 루버 유닛(11)의 타측면이 빛을 받도록 루버 유닛(11)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루버 유닛(11)의 복수 개의 면은 세 개 이상의 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루버 유닛(11)은 단면이 다각형 일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면은 세 개의 면일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루버 유닛(11)은 단면이 삼각형일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루버 유닛(11)은 단면이 중앙의 한 점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뻗어나간 방사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루버 유닛(11)은 단면이 중앙의 한 점을 중심으로 세 방향으로 뻗어나간 방사형의 형태인 ‘Y’자 형일 수 있다.
각각의 면은 고명도층(115), 저명도층(117), 및 고명도층(115)과 저명도층(117)의 중간 명도를 갖는 색상의 층인 중간명도층(11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도 조절부는 온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도 조절부에 의해 복수 개의 루버 유닛(11)의 회전각도가 조절 가능한 경우, 도 5의 (a) 및 도 6의 (a)를 참조하면 외기의 온도가 높은 여름에는 명도가 높은 색상으로 이루어진 고명도층(115)이 구비된 루버 유닛(11)의 면이 빛을 받도록 루버 유닛(1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4의 (c) 및 도 5 의 (c)를 참조하면 외기의 온도가 낮은 겨울에는 명도가 낮은 색상으로 이루어진 저명도층(117)이 구비된 루버 유닛(11)의 면이 빛을 받도록 루버 유닛(11)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의 (b) 및 도 6의 (b)를 참조하면 봄과 가을에는 고명도층(115)과 저명도층(117)의 중간 명도를 갖는 색상으로 이루어진 중간명도층(116)이 구비된 루버 유닛(11)의 면이 빛을 받도록 루버 유닛(1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고명도층(115), 중간명도층(116) 및 저명도층(117)은 루버 유닛(11)의 복수 개의 면 각각에 해당 색상의 색소 또는 안료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해당 색상의 물질로 코팅 또는 도포되거나, 이러한 물질로 제작된 필름을 부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을 참조하면 루버 유닛(11)은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고, 둘레는 명도가 높은 색상에서 명도가 낮은 색상까지 그라데이션 될 수 있다. 또한 각도 조절부는 온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그라데이션이란 어두운데서 밝은 값으로, 또는 한 색상에서 다른 색상으로 등과 같이 점진적이며 매끄럽게, 단계적으로 변해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원통형의 루버 유닛(11)의 외주는 명도가 가장 높은 색상인 흰색을 출발점으로 하여 양 방향으로 명도가 점차 낮은 색상으로 그라데이션이 진행되어 흰색과 반대 측면은 검정색이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서, 원통형의 루버 유닛(11)의 외주는 명도가 가장 높은 색상인 흰색을 출발점으로 하여 일 방향으로 명도가 점차 낮은 색상으로 그라데이션이 진행되어 흰색과 검정색이 경계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 4 내지 도 6에 비해 루버 유닛(11)의 색상이 다양하므로 각도 조절부를 통해 루버 유닛(11)을 회전시킴으로써 외부의 온도에 따라 보다 섬세하게 루버 유닛(11)에 흡수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루버 유닛(11)은 자외선 차단층(113)을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층(113)은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빛 중 자외선 영역대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층(113)은 자외선 영역대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차단하여 시온 안료와 같이 자외선에 변성되기 쉬운 재료를 포함하는 감온 변색층이 자외선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의 (b), (d) 및 (e)를 참고하면, 자외선 차단층(113)은 루버 유닛(11)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고, 감온 변색층(11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의 (b), (d) 및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차단층(113)이 루버 유닛(11)의 상면에 구비되도록 시공하는 것은 도 2의 (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차단층(131)이 제1 광투과성 판(15)에 구비되는 경우보다 내구성이 크다. 이는 제1 광투과성 판(15)과 같은 넓은 면적을 가지는 면에 자외선 차단층(113)과 같은 얇은 플라스틱 필름(plastic film)을 부착시킬 경우, 자외선 차단층(113)이 부분적으로 제1 광투과성 판(15)으로부터 떨어질 확률이 더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2의 (b), (d) 및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차단층(113)은 제1 광투과성 판(15)보다 좁은 면적을 가지는 루버 유닛(11)의 상면에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도 2의 (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투과성 판(15)에 자외선 차단층(131)을 시공하는 경우가 도 2의 (b), (d) 및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버 유닛(11)의 상면에 자외선 차단층(113)을 시공하는 경우보다 시공이 용이하고 단가가 저렴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층(113)의 위치는 이에만 한정되지 않으나, 효과적으로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 빛이 조사되는 위치인 루버 유닛(11)의 상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예시적으로, 복수 개의 루버 유닛(11)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루버 유닛(11)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차단층(113)은 복수 개의 루버 유닛(11) 모두에 포함될 수도 있고, 일부의 루버 유닛(11)에만 포함될 수도 있으나, 효과적인 자외선 차단을 위해 복수 개의 모든 루버 유닛(11)에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차단층(113)은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물질을 복수 개의 루버 유닛(11)에 도포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물질이 포함된 필름이 복수 개의 루버 유닛(11)에 부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는 자외선 차단층(113)이 도시되지 않았으나, 자외선 차단층(113)은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 2의 (b), (d) 및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버 유닛(11)의 고명도층(115) 또는 저명도층(117)의 상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도 2의 (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투과성 판(15)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루버 구조체(1)는 프레임(1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3)은 복수 개의 루버 유닛(11)을 지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블라인드와 같이 복수개의 루버 유닛(11)이 연결부재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프레임(13)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복수개의 루버 유닛(11)이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프레임(13)에 각각 연결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3)은 제1 광투과성 판(15)과 제2 광투과성 판(15)을 고정시킬 수 있다. 프레임(1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복수 개의 루버 유닛(11)을 지지할 수 있으면 되고, 반드시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루버 구조체(1)는 제1 광투과성 판(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a), (b), (c) 및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루버 유닛(11)을 기준으로, 제1 광투과성 판(15)이 상대적으로 건물의 외측에 위치하여 복수 개의 루버 유닛(11)이 외기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광투과성 판(15)은 예시적으로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반투명 판 또는 투명한 판임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빛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포함되면 된다.
또한,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루버 유닛(11)은 건물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건물의 외부로 노출된다는 것은 루버 유닛(11)이 외기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도록 설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도 1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루버 유닛(11)을 기준으로, 제1 광투과성 판(15)이 상대적으로 건물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투과성 판(15)은 후술되는 제2 광투과성 판(17)과의 사이에 빛을 흡수한 루버 유닛(11)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잘 저장될 수 있도록 유리임이 바람직하다.
제1 광투과성 판(15)은 프레임(1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 광투과성 판(15)은 루버 구조체(1)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고, 프레임(1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광투과성 판(15)의 상하좌우가 모두 프레임(13)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나, 프레임(13)의 형태에 따라 제1 광투과성 판(15)의 상하 또는 좌우가 프레임(13)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제1 광투과성 판(15)은 자외선 차단층(1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차단층(113)이 제1 광투과성 판(15)에 포함될 수 있다.
자외선 차단층(113)은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물질을 제1 광투과성 판(15)에 도포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물질이 포함된 필름이 제1 광투과성 판(15)에 부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자외선 차단층(113)은 제1 광투과성 판(15)의 일면에 포함될 수 있지만, 제1 광투과성 판(15)의 전면에 구비되는 경우, 외부에 노출되어 마모될 수 있으므로 제1 광투과성 판(15)의 후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루버 구조체(1)는 제2 광투과성 판(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광투과성 판(17)은 전술한 제1 광투과성 판(15)과 같이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 판 또는 반투명 판임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광투과성 판(17)은 제1 광투과성 판(15)을 투과한 빛을 흡수한 루버 유닛(11)으로부터 방출되는 열(heat)을 제1 광투과성 판(15)과 제2 광투과성 판(17) 사이에 임시적으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제2 광투과성 판(17)은 제1 광투과성 판(15)과의 사이에 빛을 흡수한 루버 유닛(11)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잘 저장될 수 있도록 유리임이 바람직하다.
제2 광투과성 판(17)은 복수 개의 루버 유닛(11)을 사이에 두고 제1 광투과성 판(15)과 서로 이격배치 될 수 있다.
도 2의 (c), (e)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투과성 판(15)을 투과한 빛을 흡수한 복수 개의 루버 유닛(11)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제1 광투과성 판(15)과 제2 광투과성 판(17) 사이에 저장될 수 있도록 제2 광투과성 판(17)은 복수 개의 루버 유닛(11)을 사이에 두고 제1 광투과성 판(15)과 이격배치되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광투과성 판(17)은 프레임(1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광투과성 판(17)의 상하좌우가 모두 프레임(13)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고, 프레임(13)의 형태에 따라 제2 광투과성 판(17)의 상하 또는 좌우가 프레임(13)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제2 광투과성 판(17)은 개폐 유닛(171)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 유닛(171)은 개폐될 수 있도록 구비되면 되고, 반드시 도3의 (b)에 도시된 형태로만 제2 광투과성 판(17)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다.
개폐 유닛(171)은 필요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개폐 유닛(171)은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온도 감지 센서(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예시적으로 실내의 온도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실내의 온도가 온도 감지 센서에 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 자동으로 열려 제1 광투과성 판(15)과 제2 광투과성 판(17)사이에 저장된 열이 실내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고, 온도 감지 센서에 설정된 또다른 온도 이상인 경우 자동으로 개폐 유닛(171)이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개폐 유닛(171)은 상단이 제2 광투과성 판(17)에 고정되어 힌지 회동하는 형태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폐 유닛(171)은 빛을 흡수한 루버 유닛(11)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건물의 내부로 유입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빛이 제1 광투과성 판(15)을 투과한 후 루버 유닛(11)의 색상에 따라 일부는 루버 유닛(11)에 저장되고, 일부는 루버 유닛(11)으로부터 다시 실외로 반사될 수 있다. 빛을 흡수한 루버 유닛(11)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은 도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투과성 판(15)과 제2 광투과성 판(17)사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후, 실내의 온도를 따뜻하게 유지하려고 하는 경우 개폐 유닛(171)을 열어 제1 광투과성 판(15)과 제2 광투과성 판(17)의 사이에 저장된 열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실내의 온도를 시원하게 유지하려고 하는 경우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유닛(171)을 닫아 적은 양의 빛을 흡수한 루버 유닛(11)이 방출하는 적은 양의 열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개폐 유닛(171)은 제2 광투과성 판(17)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개폐 유닛(17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광투과성 판(17)의 하부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루버 유닛(11)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은 제1 광투과성 판(15)과 제2 광투과성 판(17) 사이의 한정된 영역에 임시적으로 저장되는데, 열(heat)과 같은 따뜻한 공기(warm air)는 차가운 공기보다 가벼워 공기 순환의 원리에 의해 따뜻한 공기는 상부에, 차가운 공기는 하부에 머물게 된다.
이 경우, 개폐 유닛(171)이 제2 광투과성 판(17)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개폐 유닛(171)을 열어 한정영역인 제1 광투과성 판(15)과 제2 광투과성 판(17)의 사이에서 데워지도록 한 열이 실내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으나, 한정영역에서 데워진 열은 실내의 차가운 공기보다 가벼워 상부에 머물게 되어 실내 전체를 따뜻하게 할 수 없다.
반대로 개폐 유닛(171)이 제2 광투과성 판(17)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개페 유닛(171)을 개방 시, 한정영역에서 데워진 열은 실내의 하부를 향해 유입되어 공기 순환의 원리에 따라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즉, 한정영역에서 데워져 실내로 유입된 열이 실내의 상, 하부 모두에 머물게 되므로 실내 전체를 따뜻하게 할 수 있다.
본 루버 구조체(1)는 각도 조절부(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는 복수 개의 루버 유닛(11)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태양 고도에 따라 루버 유닛(11)의 각도를 조절하여 루버 유닛(11)의 단위 면적당 빛을 받는 양을 최대화하여 빛을 잘 흡수하거나 반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루버 구조체(1)가 남향으로 설치되는 경우, 태양의 고도가 높으므로 루버 유닛(11)이 빛을 가장 잘 받을 수 있도록 지면과 수평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루버 구조체(1)가 동향과 서향으로 설치되는 경우, 태양의 고도가 낮으므로 루버 유닛(11)이 빛을 가장 잘 받을 수 있도록 지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도 조절부는 복수 개의 루버 유닛(11)이 모두 동일한 회전각도를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복수 개의 루버 유닛(11)이 최대한 효율적으로 빛을 흡수하거나 반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모두 동일한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각도 조절부는 각각의 루버 유닛(11)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장착부, 회전장착부와 이격되어 각각의 루버 유닛(11)이 동일한 회전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각각의 루버 유닛(11)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각각의 루버 유닛(11)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회전장착부는 고정되어 있어, 구동부재를 통해 회전장착부를 중심으로 복수 개의 루버 유닛(11)이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회전장착부는 회전축의 형태로 루버 유닛(11)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는 링크일 수 있고, 구동부재는 프레임(13)의 일측에서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레버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가이드 홈이 구비되어 있고 회전장착부는 가이드 홈을 따라 움직일 수 있어, 구동부재를 통해 회전장착부가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됨으로써 복수 개의 루버 유닛(11)이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도록 사용자가 구동부재를 수동으로 조절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구동부재는 복수 개의 루버 유닛(11)이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도록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고도감지센서일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동부재는 하루 중에서 태양 고도가 높은 시간에는 복수 개의 루버 유닛(11)이 지면과 수평에 가까운 각도로 배치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루버 구조체(1)에 각도 조절부가 더 포함되는 경우, 루버 유닛(11)의 일측면은 명도가 높은 색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측면은 명도가 낮은 색상으로 이루어지며, 각도 조절부는 온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루버 유닛(11)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름이 되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조절부를 통해 명도가 높은 색상으로 이루어진 고명도층(115)이 구비된 루버 유닛(11)의 일측면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루버 유닛(1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의 (a)와 같이 루버 유닛(11)이 명도가 높은 색상으로 변화되는 것과 대응된다. 따라서, 도 3의 (a)와 같은 원리에 따라 루버 유닛(11)이 제1 광투과성 판(15)을 투과하는 빛을 대부분 반사시키고, 적은 양의 빛이 루버 유닛(11)에 흡수된다. 적은 양의 빛을 흡수한 루버 유닛(11)은 적은 양의 열을 방출하고, 실내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를 시원하게 유지할 수 있다.
겨울이 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조절부를 통해 명도가 낮은 색상으로 이루어진 저명도층(117)이 구비된 루버 유닛(11)의 타측면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루버 유닛(1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의 (b)와 같이 루버 유닛(11)이 명도가 낮은 색상으로 변화되는 것과 대응된다. 따라서, 도 3의 (a)와 같은 원리에 따라 루버 유닛(11)이 제1 광투과성 판(15)을 투과하는 빛을 대부분 흡수한다. 많은 양의 빛을 흡수한 루버 유닛(11)은 많은 양의 열을 방출하고, 실내의 온도를 올라가도록 하여 실내를 따뜻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루버 구조체 11: 루버 유닛
13: 프레임 15: 제1 광투과성 판
17: 제2 광투과성 판 111: 감온 변색층
113: 자외선 차단층 115: 고명도층
116: 중간명도층 117: 저명도층
171: 개폐 유닛

Claims (19)

  1. 구조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루버 구조체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루버 유닛;
    상기 복수 개의 루버 유닛이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의해 고정되는 제1 광투과성 판; 및
    상기 복수 개의 루버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광투과성 판과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에 의해 고정되는 제2 광투과성 판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루버 유닛 각각은 복수 개의 면을 가지고,
    상기 루버 유닛은 상기 구조물의 외부를 향한 면의 색상이 온도가 높아지면 명도가 높은 색으로 변화하고, 온도가 낮아지면 명도가 낮은 색으로 변화하며,
    상기 제2 광투과성 판은 빛을 흡수한 상기 루버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건물의 내부로 유입 가능하도록 하부에 위치하는 개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루버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루버 유닛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루버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각각의 루버 유닛이 동일한 회전각도를 가지도록 조절하는 것인 루버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각각의 루버 유닛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장착부;
    상기 회전장착부와 이격되어 상기 각각의 루버 유닛이 동일한 회전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루버 유닛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루버 유닛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루버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 유닛은 판공 부재로 형성되는 것인 루버 구조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면은 두 개의 면이고,
    상기 두 개의 면 중 일측면은 명도가 높은 색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측면은 명도가 낮은 색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온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것인 루버 구조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면은 세 개 이상의 면이고,
    상기 세 개 이상의 면은 각각 명도가 높은 색상에서 명도가 낮은 색상까지 단계적으로 변화되는 색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온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것인 루버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면은 세 개의 면인 것인 루버 구조체.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 유닛은 원통형으로 구비되고, 외주는 명도가 높은 색상에서 명도가 낮은 색상까지 그라데이션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온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것인 루버 구조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 유닛은 감온 변색층을 포함하는 루버 구조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 유닛은 시온 안료층을 포함하는 루버 구조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온 안료층은 시온 안료가 상기 루버 유닛의 일면에 도포되거나 필름 형상으로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인 루버 구조체.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 유닛은 자외선 차단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루버 구조체.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투과성 판은 자외선 차단층을 포함하는 것인 루버 구조체.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20103103A 2012-09-18 2012-09-18 루버 구조체 KR101531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103A KR101531682B1 (ko) 2012-09-18 2012-09-18 루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103A KR101531682B1 (ko) 2012-09-18 2012-09-18 루버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698A KR20140036698A (ko) 2014-03-26
KR101531682B1 true KR101531682B1 (ko) 2015-06-26

Family

ID=50645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103A KR101531682B1 (ko) 2012-09-18 2012-09-18 루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6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3689A (ko) * 2017-04-07 2018-10-1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붕용 마감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75713B (zh) * 2022-06-13 2024-03-22 任丘市众盛金属制品有限公司 节能铝合金门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2521A (ja) * 1994-11-28 1996-06-11 Central Glass Co Ltd ルーバー
KR200389476Y1 (ko) * 2005-04-26 2005-07-14 김동화 이미지가 가변하는 커튼
JP2005315045A (ja) * 2004-03-30 2005-11-10 Maruchu:Kk 採光・通風調整窓
KR20120010857A (ko) * 2010-07-27 2012-02-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써모크로믹 스마트 윈도우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2521A (ja) * 1994-11-28 1996-06-11 Central Glass Co Ltd ルーバー
JP2005315045A (ja) * 2004-03-30 2005-11-10 Maruchu:Kk 採光・通風調整窓
KR200389476Y1 (ko) * 2005-04-26 2005-07-14 김동화 이미지가 가변하는 커튼
KR20120010857A (ko) * 2010-07-27 2012-02-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써모크로믹 스마트 윈도우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3689A (ko) * 2017-04-07 2018-10-1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붕용 마감재
KR102020708B1 (ko) * 2017-04-07 2019-09-1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붕용 마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698A (ko)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1114B2 (en) Light control device
Etzion et al.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radiant energy through windows: a novel ventilated reversible glazing system
US5303525A (en) Siding or roofing exterior panels for controlled solar heating
US20120118514A1 (en) Energy control device for windows and the like
US20140202643A1 (en) Light control panel
DK177109B1 (en) Window code unit for mounting externally on a building
US200602886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solar control
US20110222288A1 (en) Lighting device
US8307602B2 (en) Grate sunshade
CN110424593B (zh) 一种玻璃幕墙结构及其安装方法
ES2673863T3 (es) Techo de lamas
KR101531682B1 (ko) 루버 구조체
JP4077765B2 (ja) 通気や遮光・採光等に用いる回転型案内装置
JP6376475B2 (ja) 二重窓およびその組立キット、ならびに二重窓の製造方法
JPH0954274A (ja) 採光方法および採光装置
KR101595516B1 (ko) 태양광선 조절 기능을 갖는 열 차폐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2057304A (ja) 遮光機能付き窓構造
JP2013044223A (ja) 近赤外線反射機能と遠赤外線吸収機能を選択可能なロールカーテン
EP0922829A2 (en) Reversible ventilated glazing system
JP2018184831A (ja) 二重窓およびその組立キット、ならびに二重窓の製造方法
JP6142909B2 (ja) 光制御具
Ashdown Climate-based annual daylight modelling for greenhouses with supplemental electric lighting
JP6478012B2 (ja) 採光システム
JP2001082057A (ja) 調光ブラインド
KR101168493B1 (ko) 비대칭 반사면을 구비한 이중창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