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017B1 - 수중펌프 - Google Patents

수중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017B1
KR101531017B1 KR1020130150752A KR20130150752A KR101531017B1 KR 101531017 B1 KR101531017 B1 KR 101531017B1 KR 1020130150752 A KR1020130150752 A KR 1020130150752A KR 20130150752 A KR20130150752 A KR 20130150752A KR 101531017 B1 KR101531017 B1 KR 101531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pulse
unit
rotating shaft
puls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5432A (ko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전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전진
Priority to KR1020130150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017B1/ko
Publication of KR20150065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9/00Priming; Preventing vapour 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펌프의 임펠러가 역회전하는 것을 감지 및 펌핑되는 물에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수중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게하게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상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서로 이격되게 결합되는 복수의 날개들을 갖는 임펠러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임펠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에는 내부로 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개구부가 형성되며, 일 측에는 상기 흡입개구부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통로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는 임펠러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검지하여 역회전에 의해 수중펌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중펌프의 안정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하며, 임펠러의 회전속도를 검지하여 케이싱 내부에 이물질 유입 여부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어 수중펌프의 펌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수중펌프{Underwater pump}
본 발명은 수중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펌프의 임펠러가 역회전하는 것을 감지 및 펌핑되는 물에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수중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모터는 일반적인 지상에 설치되는 모터와는 달리 수중모터 전체가 밀폐되어 있으며, 수중에서만 동작시키기 때문에 공장에서 출고된 후에는 고장의 징후를 발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결국, 동작중 파손이 발생한 후에야 고장을 발견하게 된다.
수중모터가 사용되는 분야로서는 수중모터 펌프, 수중폭기 펌프, 수중믹서 등이 있고, 각각의 제품에서 수중모터의 전원으로는 3상 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제품들은 임펠러 또는 프로펠러가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하기 때문에 수중모터의 역회전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만약, 수중모터로 역상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원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수중모터가 과부하 상태에서 작동하게 되고, 제품의 동작에 오동작이 발생하며,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인해 수중모터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펌프를 수리해야 하기 때문에 수중모터의 수리비용뿐만 아니라 수중모터펌프의 운전정지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게 된다.
한편, 수중모터펌프는 수중에서 동작하는 이유로 인해 프로펠러 등에 수중의 이물질이 흡입되어 회전을 방해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수중모터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수중모터의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855729 B1 KR 10-0810045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중펌프의 임펠러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검지하여 역회전에 의해 수중펌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중펌프의 안정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수중펌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상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서로 이격되게 결합되는 복수의 날개들을 갖는 임펠러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임펠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에는 내부로 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개구부가 형성되며, 일 측에는 상기 흡입개구부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통로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포발생부는 공기공급부와, 상기 공기공급부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서 상기 케이싱 내부로 연장된 공기공급관과, 상기 공기공급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공급관의 단부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를 1차 분쇄하는 분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판의 중앙에는 상기 기포발생부에 의해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발생된 기포를 2차 분쇄하도록 상기 날개들의 배열 패턴과 대응하는 패턴으로 설치된 복수의 분쇄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지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특정지점을 감지함으로써 회전방향에 대응되는 제1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제1펄스발생부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펄스발생부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이격되어 상기 제1펄스신호와 위상 차이를 갖는 제2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제2펄스발생부와, 상기 제1펄스신호 및 제2펄스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펄스신호와 상기 제2펄스신호의 위상 차를 비교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판별하며 회전방향정보신호를 출력하는 회전방향판별부와, 상기 제1펄스신호 또는 제2펄스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판별하며 회전속도정보신호를 출력하는 회전속도판별부와, 상기 회전방향판별부 및 상기 회전속도판별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지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이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알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지부는 상기 구동모터에 구비된 각각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전압 또는 전류가 설정된 전압값 또는 전류값에 도달할 때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펄스발생부들과, 상기 각 펄스발생부들에서 발생된 펄스신호들을 수신하여 상기 펄스신호들이 수신된 시간정보와 함께 해당 펄스신호를 출력한 펄스발생부의 번호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시간정보 및 번호정보를 토대로 상기 펄스발생부들을 시간순으로 나열한 펄스발생부들의 출현패턴정보를 생성하는 패턴생성부와, 상기 패턴생성부에서 생성된 출현패턴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기준패턴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판별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준패턴정보는 상기 회전축이 정상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펄스발생부들이 출현패턴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는 임펠러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검지하여 역회전에 의해 수중펌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중펌프의 안정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하며, 임펠러의 회전속도를 검지하여 케이싱 내부에 이물질 유입 여부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어 수중펌프의 펌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임펠러의 확대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임펠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의 검지부를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의 임펠러가 정상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펄스발생부 및 제2펄스발생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의 임펠러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펄스발생부 및 제2펄스발생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퍼의 검지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블럭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중펌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는 구동모터(10)와; 상기 구동모터(10)의 회전축(15)에 결합된 회전판(21)과, 상기 회전판(21) 상에 상기 회전축(15)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서로 이격되게 결합되는 복수의 날개(23)들을 갖는 임펠러(20)와; 상기 회전축(15)의 회전방향을 검지하는 검지부(50)와; 상기 임펠러(2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에는 내부로 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개구부(32)가 형성되며, 일 측에는 상기 흡입개구부(32)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통로(33)가 형성된 케이싱(30)과; 상기 케이싱(30) 내부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부(40);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모터(10)는 단상 또는 3상 교류를 전력원으로 사용하는 기종을 적용할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3상 교류를 전력원으로 사용하는 3상 교류 모터를 적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는 수중에서 작동하는 관계로 구동모터(10)의 외측에 구동모터(10)를 밀봉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부재 내지 방수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다.
임펠러(20)는 구동모터(10)의 회전축(15) 단부에 결합되어 회전축(15)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회전축(15)이 고정되는 회전판(21)과, 회전판(21)에 결합된 복수의 날개(23)들을 구비한다.
상기 날개(23)들은 회전판(21)이 회전할 때, 회전판(21)의 중심부분에서 회전판(21)의 가장자리 측으로 물을 밀어내도록 회전판(21)의 중심부분과 근접한 부분으로부터 회전판(21)의 가장자리 측을 향하여 나선구조로 휘어지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날개(23)들은 통상의 원심펌프에서 사용되고 있는 임펠러의 날개를 적용한다.
임펠러(20)에는 복수의 분쇄편(25)이 더 구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판(21)의 중앙부분 상세하게는 회전축(15)이 결합된 일 면과 대향되는 타 면의 중앙부분에는 후술하는 기포발생부(40)에 의해 케이싱(30) 내부에 발생하는 기포를 2차 분쇄하도록 날개(23)들의 배열 패턴과 대응하는 패턴으로 복수의 분쇄편(25)들이 설치되어 있다.
분쇄편(25)들은 임펠러(20)의 날개(23) 구조와 대응하는 구조를 가지며, 후술하는 분쇄부재(43)에 의해 발생하는 미세한 기포를 더욱 작은 크기의 기포로 분쇄한다.
케이싱(30)은 회전축(15)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임펠러(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30)은 구동모터(10) 내지 구동모터(10)를 감싸는 커버부재에 결합되는 제1부분(31)과, 임펠러(20)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제1부분(31)의 하부에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형성된 제2부분(3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부분(35)의 하부에는 케이싱(30)의 내부 즉, 장착공간으로 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개구부(32)가 형성되며, 측방에는 흡입개구부(32)를 통해 장착공간 내부로 흡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통로(33)가 형성되어 있다.
기포발생부(40)는 장착공간에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송풍기(air blower) 또는 공기압축기(air compressor)와 같은 공기공급부(미도시)와, 공기공급부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은 케이싱(30)의 외부에서 케이싱(30) 내부로 연장된 공기공급관(42)과, 공기공급관(42)의 타 단에 결합되어 공기공급관(42)의 단부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를 1차 분쇄하는 분쇄부재(43)를 포함한다. 상기 분쇄부재(43)는 미세한 공기통로가 형성된 다공질 구조를 갖는 것을 적용하며, 일 예로 수조나 어항 등에서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포기의 공기석)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분쇄부재(4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21)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2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시킬 수도 있다.
검지부(50)는 회전축(15)의 회전방향 및 회전축(15)의 회전속도를 검지하는 것으로서, 제1펄스발생부(51)와, 제2펄스발생부(52)와, 회전방향판별부(53)와, 회전속도판별부(54)와, 제어부(55) 및 알림부(56)를 포함한다.
제1펄스발생부(51)는 회전축(15)과 인접하는 일 지점에 설치되어 회전축(15)의 회전시 특정지점을 감지함으로써 회전방향에 대응되는 제1펄스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제2펄스발생부(52)는 회전축(15)을 기준으로 제1펄스발생부(51)와 소정의 각도(일 예로, 90°)를 갖도록 이격되어 제1펄스신호와 위상 차이를 갖는 제2펄스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회전축(15)의 특정지점에는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지 또는 반사판이 부착되어 있고, 제1펄스발생부(51)와 제2펄스발생부(52)는 각각 구동모터(10)의 회전축(15) 외주면에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적외선을 방출시키는 발광소자와, 반사판에서 반사된 적외선을 입력받아 그에 따른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수광소자를 포함한다.
회전방향판별부(53)는 제1펄스신호 및 제2펄스신호를 입력받아 제1펄스신호와 제2펄스신호의 위상 차를 비교하여 회전축(15)의 회전방향을 판별하며 회전방향정보신호를 제어부(55)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속도판별부(54)는 제1펄스신호 또는 제2펄스신호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회전축(15)의 회전속도를 판별하며 회전속도정보신호를 제어부(55)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55)는 회전속도판별부(54)와, 회전방향판별부(53) 및 회전속도판별부(54)에서 각각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0)의 정상동작 또는 비정상동작 상태를 결정하며, 구동모터(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알림부(56)는 제어부(55)에서 상기 구동모터(10)의 동작이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5)의 제어에 따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관리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모터(10)의 회전축(15)이 정상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녹색 또는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LED램프, 회전축(15)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적색의 빛을 방출하는 LED램프 및 구동모터(10)의 비정상적인 작동을 소리로 알리도록 경고음을 송출하는 스피커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검지부(50)의 작동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본 실시 예에서 적용된 구동모터(10)는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수중모터로 3상의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구동모터(10)의 회전축(15)이 회전을 하게 되고, 회전축(15)이 회전함에 따라 제1펄스발생부(51) 및 제2펄스발생부(52)에서 펄스신호가 발생한다.
제1펄스발생부(51) 및 제2펄스발생부(52)에서 수광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은 하이(high)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수광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은 로우(low) 레벨의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펄스신호가 발생된다.
구동모터(10)에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은 구동모터(10)의 회전축(1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펄스발생부(51)에서 출력되는 제1펄스신호(P1)가 제2펄스발생부(52)(12)에서 출력되는 제2펄스신호(P2) 보다 위상이 더 앞서게 된다.
결국, 회전방향판별부(53)에서는 제1펄스신호(P1) 및 제2펄스신호(P2)를 입력받아 그 입력되는 순서를 확인함으로써 구동모터(10)의 회전축(15)의 회전방향을 판별하게 된다. 회전축(15)의 회전방향이 정상방향인 것으로 판단되면 구동모터(1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작업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제어부(55)는 녹색 LED램프를 점등시킨다.
만약,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펄스신호(P2)가 제1펄스신호(P1) 보다 먼저 입력되면 구동모터(10)에 역상의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것이므로 제어부(55)에서는 구동모터(1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한편, 회전속도판별부(54)에서는 제2펄스신호(P2)를 입력받아 카운트하고, 일정시간으로 나누어 속도를 구하는데, 현재의 속도가 정상속도에 비하여 90% 이하로 저하되면 케이싱(30) 내부에 이물질이 흡입된 것으로 판단하며, 구동모터(10)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작업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제어부(55)는 적색 LED램프를 점멸시킴과 동시에 구동모터(1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의 검지부(150)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중펌프의 검지부(150)는 복수의 펄스발생부들과, 메모리(154)와, 패턴생성부(155) 및 제어부(15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펄스발생부는 구동모터(10)에 구비된 각각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입력단자들로 각각 입력되는 전압 또는 전류가 설정된 전압값 또는 전류값에 도달할 때 펄스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펄스발생부는 구동모터(10)의 제1입력단자 내지 제3입력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제1펄스발생부(151), 제2펄스발생부(152), 제3펄스발생부(153)를 포함하며, 각각의 펄스발생부에서는 각각의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전압 또는 전류가 3상 교류 각 상의 최대값의 80~90%인 경우에만 펄스신호를 출력한다.
메모리(154)는 각각의 펄스발생부에서 출력된 펄스신호들을 각각 개별적으로 수신하고, 펄스신호들이 각각 수신된 시간정보와 함께 해당 펄스신호를 출력한 펄스발생부의 번호정보(본 실시 예에서는 제1 내지 제3펄스발생부(153)의 번호를 따라 1, 2, 3으로 함)를 저장하도록 되어 있다.
패턴생성부(155)는 메모리(154)에 저장된 시간정보 및 번호정보를 토대로 펄스발생부들을 시간순으로 나열한 펄스발생부들의 출현패턴정보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156)는 패턴생성부(155)에서 생성된 펄스발생부들의 출현패턴정보와 메모리(154)에 미리 저장된 기준패턴정보를 비교하여 회전축(15)의 회전방향을 판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기준패턴정보는 구동모터(10)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즉, 회전축(15)이 정상방향으로 회전할 때, 펄스발생부들의 출현패턴정보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검지부(15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며, 설명하기 이전에 구동모터(10)의 제1입력단자 내지 제3입력단자에 3개의 상들(R, S, T)이 각각 순차적으로 접속된 경우 즉, 제1입력단자에 R상이 접속되고, 제2입력단자에 S상이 접속되며, 제3입력단자에 T상이 접속되는 경우를 구동모터(10)의 회전축(15)이 정상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한다.
구동모터(10)의 제1입력단자와, 제2입력단자와, 제3입력단자에 각각 R상, S상, T상을 연결한 경우, 제1입력단자에는 R상의 전압 및 전류가 인가되고, 제2입력단자에는 R상 보다 늦은 S상의 전압 및 전류가 인가되며, 제3입력단자에는 S상 보다 늦은 T상의 전압 및 전류가 인가된다.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제1 내지 제3펄스발생부(153)에서는 펄스발생부들의 번호 순서대로 펄스신호가 출력되며, 출력신호는 메모리(154)에 각각 저장된다.
패턴생성부(155)에서는 제1 내지 제3펄스발생부(153)에 대응하는 번호들이 시간순으로 나열된 형태 즉, … 1, 2, 3, 1, 2, 3, 1, 2, 3, 1, 2, 3,…와 같은 펄스발생부들의 출현패턴정보(기준패턴정보)가 생성된다.
제어부(156)는 기준패턴정보와 출현패턴정보(기준패턴정보)를 비교하여, 기준패턴정보의 패턴과 출현패턴정보의 패턴이 동일하면 구동모터(10)의 회전축(15)이 정상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녹색 또는 청색의 LED램프를 포함하는 표시부(157)를 점등시킨다.
이 경우, 출현패턴정보에 기준패턴정보의 패턴과 동일한 (1, 2, 3) 또는 (2, 3, 1) 또는 (3, 1, 2)이 반복되는 패턴이 나타나므로 제어부(156)는 구동모터(10)의 회전축(15)이 정상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상기의 제1 내지 제3입력단자에 S상, T상, R상을 순차적으로 접속시킨 방식 및 T상, R상, S상을 순차적으로 접속시킨 방식 또한 R상, S상, T상을 순차적으로 접속한 방식과 동일한 출현패턴정보를 나타낸다.
한편, 구동모터(10)의 제1 내지 제3입력단자에 각각 R상, T상, S상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패턴생성부(155)에서는 … 1, 3, 2, 1, 3, 2, 1, 3, 2, 1, 3, 2,…와 같은 펄스발생부들의 출현패턴정보(비교패턴정보)가 생성된다.
제어부(156)는 기준패턴저옵와 비교패턴정보를 비교하여 비교패턴정보의 패턴과 기준패턴정보의 패턴이 다르면, 회전축(15)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구동모터(10)를 정지시키며 LED램프를 점멸시키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경우에는 비교패턴정보에 (1, 2, 3)이나 (2, 3, 1) 또는 (3, 1, 2)이 반복되는 패턴과는 다른 (1, 3, 2)이나 (3, 2, 1) 또는 (2, 1, 3)이 반복되는 패턴이 나타나므로 구동모터(10)의 회전축(15)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판단한 것이다.
상기의 제1 내지 제3입력단자에 T상, S상, R상을 순차적으로 접속시킨 방식 및 S상, R상, T상을 순차적으로 접속시킨 방식 또한 상기의 R상, T상, S상을 순차적으로 접속시킨 방식과 동일한 출현패턴정보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구동모터
15 : 회전축
20 : 임펠러
21 : 회전판
30 : 케이싱
40 : 기포발생부
43 : 분쇄부재
50 : 검지부
51 : 제1펄스발생부
52 : 제2펄스발생부
53 : 회전방향판별부
54 : 회전속도판별부
55 : 제어부
56 : 알림부

Claims (6)

  1.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상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서로 이격되게 결합되는 복수의 날개들을 갖는 임펠러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임펠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에는 내부로 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개구부가 형성되며, 일 측에는 상기 흡입개구부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통로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포발생부는 공기공급부와, 상기 공기공급부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서 상기 케이싱 내부로 연장된 공기공급관과, 상기 공기공급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공급관의 단부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를 1차 분쇄하는 분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펌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중앙에는 상기 기포발생부에 의해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발생된 기포를 2차 분쇄하도록 상기 날개들의 배열 패턴과 대응하는 패턴으로 설치된 복수의 분쇄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특정지점을 감지함으로써 회전방향에 대응되는 제1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제1펄스발생부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펄스발생부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이격되어 상기 제1펄스신호와 위상 차이를 갖는 제2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제2펄스발생부와, 상기 제1펄스신호 및 제2펄스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펄스신호와 상기 제2펄스신호의 위상 차를 비교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판별하며 회전방향정보신호를 출력하는 회전방향판별부와, 상기 제1펄스신호 또는 제2펄스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판별하며 회전속도정보신호를 출력하는 회전속도판별부와, 상기 회전방향판별부 및 상기 회전속도판별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펌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이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알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펌프.
  6.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상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서로 이격되게 결합되는 복수의 날개들을 갖는 임펠러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임펠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에는 내부로 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개구부가 형성되며, 일 측에는 상기 흡입개구부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통로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부;를 구비하고,
    상기 검지부는 상기 구동모터에 구비된 각각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전압 또는 전류가 설정된 전압값 또는 전류값에 도달할 때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펄스발생부들과, 상기 각 펄스발생부들에서 발생된 펄스신호들을 수신하여 상기 펄스신호들이 수신된 시간정보와 함께 해당 펄스신호를 출력한 펄스발생부의 번호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시간정보 및 번호정보를 토대로 상기 펄스발생부들을 시간순으로 나열한 펄스발생부들의 출현패턴정보를 생성하는 패턴생성부와, 상기 패턴생성부에서 생성된 출현패턴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기준패턴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판별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준패턴정보는 상기 회전축이 정상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펄스발생부들이 출현패턴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펌프.
KR1020130150752A 2013-12-05 2013-12-05 수중펌프 KR101531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752A KR101531017B1 (ko) 2013-12-05 2013-12-05 수중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752A KR101531017B1 (ko) 2013-12-05 2013-12-05 수중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432A KR20150065432A (ko) 2015-06-15
KR101531017B1 true KR101531017B1 (ko) 2015-06-23

Family

ID=5350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752A KR101531017B1 (ko) 2013-12-05 2013-12-05 수중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0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171B1 (ko) 2015-12-07 2016-01-26 이윤철 수중펌프
KR101850624B1 (ko) * 2016-11-26 2018-04-19 김상규 아스피레이터
KR101940562B1 (ko) * 2018-10-24 2019-01-21 대웅기업주식회사 수중모터펌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213Y1 (ko) * 2003-10-14 2004-01-24 (주)대진정공 펌프의 역회전 방지장치
KR100855729B1 (ko) * 2001-06-19 2008-09-03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덴키 고교쇼 수중교반 펌프
JP2013217217A (ja) * 2012-04-05 2013-10-24 Torishima Pump Mfg Co Ltd ポン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729B1 (ko) * 2001-06-19 2008-09-03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덴키 고교쇼 수중교반 펌프
KR200339213Y1 (ko) * 2003-10-14 2004-01-24 (주)대진정공 펌프의 역회전 방지장치
JP2013217217A (ja) * 2012-04-05 2013-10-24 Torishima Pump Mfg Co Ltd ポンプ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171B1 (ko) 2015-12-07 2016-01-26 이윤철 수중펌프
KR101850624B1 (ko) * 2016-11-26 2018-04-19 김상규 아스피레이터
KR101940562B1 (ko) * 2018-10-24 2019-01-21 대웅기업주식회사 수중모터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432A (ko) 201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017B1 (ko) 수중펌프
US20210396238A1 (en) Pump apparatus, test operation method of pump apparatus, motor assembly and method for identifying abnormal vibration of motor assembly
US20070048158A1 (en) Low Profile Pump
NO161709B (no) Fremgangsmaate for drift av pumpehjulet i en vaeskepumpe ved hjelp av en boersteloes vekselspenningsmotor, samt vaeskepumpe for utfoerelse av fremgangsmaate.
KR102111331B1 (ko)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
TW200307787A (en) Method for controlling a pump system
KR20150091840A (ko) 이물질의 절단이 가능한 수중펌프
KR20160092272A (ko) 입형 원심펌프
KR102112558B1 (ko) 스마트 감시제어형 펌프수문
KR101258091B1 (ko) 수중 그라인더 펌프
US3915394A (en) Centrifugal pump including contamination chopping means
EP3456973B1 (en) Control apparatus of a pump supplied with three-phase curr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said apparatus
KR20000024690A (ko) 수중모터펌프의 운전 보호장치
CN103511292A (zh) 排水泵
WO2018128004A1 (ja) ポンプ装置及びポンプ装置の制御方法
KR101671171B1 (ko) 수중펌프용 회전날개 스트레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펌프
WO2021039976A1 (ja) ポンプ装置
KR101940562B1 (ko) 수중모터펌프
JP7055737B2 (ja) 複数の電動機組立体を備えた駆動装置
JPH1193881A (ja) ボルテックス形ポンプ
JP2017089422A (ja) ポンプ装置
JP2000274387A (ja) 破砕ポンプ装置
JP2020007909A (ja) ポンプ装置及びポンプ装置の制御方法
JP2001280286A (ja) ターボ型ポンプ
JP2018100652A (ja) 井戸ポ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