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562B1 - 수중모터펌프 - Google Patents

수중모터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562B1
KR101940562B1 KR1020180127533A KR20180127533A KR101940562B1 KR 101940562 B1 KR101940562 B1 KR 101940562B1 KR 1020180127533 A KR1020180127533 A KR 1020180127533A KR 20180127533 A KR20180127533 A KR 20180127533A KR 101940562 B1 KR101940562 B1 KR 101940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tation
housing
pump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봉환
Original Assignee
대웅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웅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웅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7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5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88Testing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10Shaft sealings
    • F04D29/12Shaft sealings using sealing-rings
    • F04D29/126Shaft sealings using sealing-ring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04D29/128Shaft sealings using sealing-ring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with special means for adducting cooling or sealing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중모터펌프는, 고정자와, 회전자와,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모터가 수용되는 모터하우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임펠러가 수용되며, 유체흡입부와, 유체배출부가 구비된 펌프하우징; 상기 모터하우징과 상기 펌프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며, 오일이 수용되는 오일공급 하우징;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제 1 회전판 및 제 2 회전판과, 상기 모터하우징과 상기 펌프하우징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고정판 및 제 2 고정판과, 상기 모터하우징과 상기 펌프하우징 사이를 밀폐시키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메카니컬 씰; 상기 제 1 회전판과 상기 제 2 회전판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주연에 일정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날개; 오일의 회전에 의해 휘어짐이 방지되도록 강성이 있는 강성판과, 상기 강성판과 평행하도록 근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정방향으로의 회전시 오일의 회전에 의해 휘어져 상기 강성판과 접하는 탄성판과, 상기 강성판과 상기 탄성판에 각각 연결되며 지상으로 설치되는 전선과, 상기 전선에 연결되어 상기 강성판과 상기 탄성판의 접촉여부에 따른 저항을 감지하여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저항측정부로 이루어지는 회전축 회전방향 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수중모터펌프{Submersible Motor Pump}
본 발명은 수중에 설치되는 수중모터펌프의 회전축 회전방향을 지상에서 감지하도록 하는 수중모터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모터펌프는 수조에 저장된 유체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것으로서, 모터의 회전력으로 임펠러를 회전시켜 원심력을 발생시키고, 이 원심력으로 유체를 유입 및 토출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수중펌프는 수조의 내부에 저장된 유체를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수조에 설치되는 토출관에 결합되어 수중에서 유체를 흡입하고 토출관으로 토출하여 수조에 저장된 유체를 외부로 토출시킨다.
이러한 수중모터펌프는 단상인 경우에는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의 회전방향이 정해져 있으나, 3상인 경우에는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의 회전방향이 바뀌는 경우가 발생된다.
회전축의 회전방향이 정회전인 경우에는 임펠러에 의해 유체를 토출시키는 데에 문제가 되지 않지만, 회전축의 회전방향이 역회전인 경우에는 임펠러에 의해 토출시킬 때 임펠러의 방향성에 때문에 유체를 토출시키는 토출력이 저하되게 되고, 과부하가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09016호(고안의 명칭: 수중모터펌프의 실시간 회전수 및 회전방향측정장치)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이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였다.
상기 수중모터펌프의 회전방향측정장치는 수중모터펌프(P)의 내중심부에는 베어링(B)커버(10)로 설치되어 전동기 회전자(20)를 가지는 회전자축(30)둘레에 서로 대칭을 이루는 방향에 감지센서(S1)(S2)(S3)(S4)를 고정하고 있는 센서고정테(40)가 상기 감지센서(S1)(S2)(S3)(S4)와 사이로 위치하는 고정보울트(50)(50ㅄ)(50˝)(50˝ㅄ)로 커버(10)상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센서중 3개의 감지센서(S1)(S2)(S3)(S4)는 회전방향으로, 그리고 나머지 1개의 감지센서(S1)는 기준위치감지부(60)에 회전용으로 각각 전원선(E1)(E2)(E3)(E4)으로 연결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중모터펌프의 회전방향측정장치는 회전자축(30)에 구비된 기준위치감지부(60)를 베어링 커버(10)에 설치되는 다수의 감지센서에 의해 회전자축(30)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감지센서를 다수개 설치하여야 하며, 회전자축(30)에 구비된 기준위치감지부(60)가 감지센서를 지날 때 이를 분석하여 회전방향을 감지하도록 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다수개의 센서를 구비하여야 하고, 센서에 의한 신호를 분석하여 회전자축(30)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도록 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하여야 하며, 베어링 커버에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센서고정테(40)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장치가 매우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가 매우 간단하며, 미케니컬 씰에 의해 회전되는 오일의 방향을 감지하여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도록 하는 수중모터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자에 구비된 코일의 소손을 방지하도록 냉각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중모터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중모터펌프는, 코일(101a)이 권취된 고정자(101)와, 상기 고정자(101) 내측에 구비되는 회전자(102)와, 상기 회전자(102)의 중심에 결합되며 회전축(103)으로 이루어지는 모터(110)가 수용되는 모터하우징(120); 상기 모터하우징(12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103)에 결합되는 임펠러(131)가 수용되며, 임펠러(131)의 회전에 의해 유체를 흡입하는 유체흡입부(132)와, 유체흡입부(132)로부터 흡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유체배출부(133)가 구비된 펌프하우징(130); 상기 모터하우징(120)과 상기 펌프하우징(13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축(103)이 관통되어 수용되고, 오일이 수용되는 오일공급 하우징(140); 상기 오일공급 하우징(140)의 내측에 상부 및 하부에 이격되며 상기 오일공급 하우징(140)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축(103)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제 1 회전판(151) 및 제 2 회전판(152)과, 상기 모터하우징(120)과 상기 펌프하우징(130)에 각각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모터하우징(120)과 상기 펌프하우징(130)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고정판(153) 및 제 2 고정판(154)과, 상기 제 1 회전판(151)과 상기 제 2 회전판(15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회전판(151) 및 상기 제 2 회전판(152)을 상기 제 1 고정판(153)과 상기 제 2 고정판(154)으로 각각 밀착되도록 탄지시켜 상기 오일공급 하우징(140)과 상기 모터하우징(120) 사이 및 상기 오일공급 하우징(140)과 상기 펌프하우징(130) 사이를 밀폐시키는 스프링(155)으로 이루어지는 메카니컬 씰(150); 상기 회전축(103)의 회전시 상기 오일공급 하우징(140)에 수용된 오일이 회전되도록 상기 제 1 회전판(151)과 상기 제 2 회전판(152)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주연에 일정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날개(160); 상기 오일공급 하우징(140) 내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날개(160)에 의해 상기 오일공급 하우징(140)에 수용된 오일의 회전방향과 수직되게 설치되되, 오일의 회전에 의해 휘어짐이 방지되도록 강성이 있는 강성판(171)과, 상기 강성판(171)과 평행하도록 근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03)의 정방향으로의 회전시 오일의 회전에 의해 휘어져 상기 강성판(171)과 접하고, 상기 회전축(103)의 정지시 원위치로 복귀되며, 상기 회전축(103)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강성판(17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탄성판(172)과, 상기 강성판(171)과 상기 탄성판(172)에 각각 연결되며 지상으로 설치되는 전선(173)과, 상기 전선(173)에 연결되어 상기 강성판(171)과 상기 탄성판(172)의 접촉여부에 따른 저항을 감지하여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저항측정부(174)로 이루어지는 회전축 회전방향 감지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 회전방향 감지부(170)에 의한 회전축 회전방향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펌프하우징(130)의 유체배출부(133)로 배출되는 유체의 일부가 분기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배출부(133) 부위에서 분기되는 분기부(181); 상기 모터하우징(120)의 상부로부터 상기 펌프하우징(130)의 하부로 유체가 전달되도록 상기 회전축(103)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유체통과부(182); 상기 분기부(181)와 상기 유체통과부(182)의 상부를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분기파이프(18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수중모터펌프는, 장치가 매우 간단하며, 미케니컬 씰의 회전판에 블레이드를 설치하고, 회전되는 오일의 방향을 감지함으로써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회전축 회전방향 감지센서에 의해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감지하게 되므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제어장치가 필요없어 장치가 구조가 매우 간단하다. 또한, 회전축 회전방향 감지센서가 기계적인 메카니즘으로 작동하게 되므로 고장이 적고, 보수가 용이하다.
아울러, 임펠러에 의해 토출되는 유체를 분기시켜 회전축을 관통하는 관통공에 유체를 공급하여 회전축을 냉각시켜 회전자에 구비된 코일 또한 냉각시켜 코일의 소손을 방지함으로써 냉각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수중모터펌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중모터펌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수중모터펌프의 회전축 회전방향 감지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수중모터펌프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중모터펌프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수중모터펌프의 주요요부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수중모터펌프의 메카니컬 씰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수중모터펌프의 회전축 회전방향 감지부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중모터펌프(100)는, 모터(110)가 수용되는 모터하우징(120); 펌프하우징(130); 메카니컬 씰(150); 오일공급 하우징(140); 회전날개(160); 회전축 회전방향 감지부(1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터하우징(120)에는 모터(110)가 수용된다.
상기 모터(110)는, 도 3에서와 같이, 코일(101a)이 권취된 고정자(101)와, 상기 고정자(101) 내측에 구비되는 회전자(102)와, 상기 회전자(102)의 중심에 결합되며 회전축(103)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일반적인 구조이다.
상기 펌프하우징(130)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모터하우징(12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103)에 결합되는 임펠러(131)가 수용되며, 임펠러(131)의 회전에 의해 유체를 흡입하는 유체흡입부(132)와, 유체흡입부(132)로부터 흡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유체배출부(133)가 구비된다.
상기 오일공급 하우징(140)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모터하우징(120)과 상기 펌프하우징(13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축(103)이 관통되어 수용되고, 오일이 수용된다.
상기 메카니컬 씰(150)은, 일반적인 구조로, 도 5에서와 같이, 제 1 회전판(151) 및 제 2 회전판(152)과, 제 1 고정판(153) 및 제 2 고정판(154)과, 스프링(15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회전판(151) 및 제 2 회전판(152)은, 상기 오일공급 하우징(140)의 상부 및 하부에 이격되며 상기 오일공급 하우징(140)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축(103)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103)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상기 제 1 고정판(153) 및 제 2 고정판(154)은, 상기 모터하우징(120)과 상기 펌프하우징(130)에 각각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모터하우징(120)과 상기 펌프하우징(130)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155)은, 상기 제 1 회전판(151)과 상기 제 2 회전판(15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회전판(151) 및 상기 제 2 회전판(152)을 상기 제 1 고정판(153)과 상기 제 2 고정판(154)으로 각각 밀착되도록 탄지시켜 상기 오일공급 하우징(140)과 상기 모터하우징(120) 사이 및 상기 오일공급 하우징(140)과 상기 펌프하우징(130) 사이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날개(160)는, 상기 회전축(103)의 회전시 상기 오일공급 하우징(140)에 수용된 오일이 회전되도록 상기 제 1 회전판(151)과 상기 제 2 회전판(152)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주연에 일정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도 4 및 도 5 참조).
상기 회전축 회전방향 감지부(170)는, 상기 오일공급 하우징(140) 내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날개(160)에 의해 상기 오일공급 하우징(140)에 수용된 오일의 회전방향과 수직되게 설치되며, 강성판(171)과 탄성판(172)과, 전선(173) 및 저항측정부(174)로 이루어진다.
상기 강성판(171)은, 오일의 회전에 의해 휘어짐이 방지되도록 강성이 있는 길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판(172)은, 상기 강성판(171)과 평행하도록 근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03)의 정방향으로의 회전시 오일의 회전에 의해 휘어져 상기 강성판(171)과 접하고, 상기 회전축(103)의 정지시 원위치로 복귀되며, 상기 회전축(103)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강성판(17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탄성판(172)은 상기 강성판(171)과 동일하게 길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강성판(171)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탄성판(172)이 상기 회전축(103)의 정방향으로의 회전시 오일의 회전에 의해 휘어져 상기 강성판(171)과 접하게 되면, 후술하겠지만, 상기 전선(173)을 통해 상기 저항측정부(174)에 의해 감지되는 저항이 작게 되어 상기 회전축(103)의 정방향으로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회전축(103)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시 오일이 회전되더라도 상기 탄성판(172)은 상기 강성판(17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되어 상기 전선(173)을 통해 상기 저항측정부(174)에 의해 감지되는 저항은 매우 크게 되어(즉, 무한대가 되어) 상기 회전축(103)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회전축(103)의 정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탄성판(172)이 휘어져 상기 강성판(171)에 접하게 되는 것을 도시하였다(도 4 참조).
이때, 상기 강성판(171)과 상기 탄성판(172)은 위치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회전축(103)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시 오일의 회전에 의해 휘어져 상기 강성판(171)과 접하고, 상기 회전축(103)의 정지시 원위치로 복귀되며, 상기 회전축(103)의 정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강성판(17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전선(173)은, 상기 강성판(171)과 상기 탄성판(172)에 각각 연결되며 지상으로 설치된다(도 6 참조).
상기 저항측정부(174)는, 상기 전선(173)에 연결되어 상기 강성판(171)과 상기 탄성판(172)의 접촉여부에 따른 저항을 감지하여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지상에 설치된다. 상기 저항측정부(174)는 공지된 저항측정장치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 1 회전판(151)과 상기 제 2 회전판(152)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주연에 일정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날개(160)에 의해 오일공급 하우징(140)에 수용된 오일이 회전되어, 회전축(103)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에, 탄성판(172)이 휘어지도록 하거나, 상기 탄성판(172)이 상기 강성판(171)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게 될 때, 상기 저항측정부(174)에 의해 감지되는 저항치를 감지하게 되어 회전축(103)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지상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 회전방향 감지부(170)에 의한 회전축 회전방향을 표시하는 표시수단(미도시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저항측정부(174)에 의해 감지되는 저항치가 일정크기를 가지면, 상기 탄성판(172)이 상기 강성판(171)에 접한 상태로서 회전축(103)의 정회전임을 나타내는 예를 들어 청색등을 점등되도록 하여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상기 저항측정부(174)에 의해 감지되는 저항치가 매우 크게 되면, 상기 탄성판(172)이 상기 강성판(17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회전축(103)의 역회전임을 나타내는 예를 들어 적색등을 점등되도록 하여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표시수단은 점등방식이 아닌, 알람형태로도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수중모터펌프는 수중에 설치되는 관계로 육상에 설치되는 모터펌프와는 달리 모터하우징이 밀폐구조를 갖는다. 상기 모터하우징(120)에는 모터(110)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110)는 코일(101a)이 권취된 고정자(101)가 설치되는데, 과열이 되게 되면 코일이 소손이 발생되어 코일간의 합선 등으로 인한 고장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모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구조가 중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모터를 냉각시키기 위해, 회전축(103)을 냉각시키는 구조를 채택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분기부(181), 유체통과부(182), 분기파이프(183)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분기부(181)는, 상기 펌프하우징(130)의 유체배출부(133)로 배출되는 유체의 일부가 분기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배출부(133) 부위에서 분기된다.
상기 유체통과부(182)는, 상기 모터하우징(120)의 상부로부터 상기 펌프하우징(130)의 하부로 유체가 전달되도록 상기 회전축(103)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다.
상기 분기파이프(183)는, 상기 분기부(181)와 상기 유체통과부(182)의 상부를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임펠러(131)의 회전에 의해 유체가 상기 펌프하우징(130)의 유체배출부(133)로 배출되게 되면, 상기 유체배출부(133) 부위에서 분기되는 상기 분기부(181)에 의해 상기 펌프하우징(130)의 유체배출부(133)로 배출되는 유체의 일부가 분기되어 배출되게 되며, 상기 분기부(181)로 분기된 유체는 분기파이프(183)를 통해 상기 회전축(103)의 중앙을 상하로 관통되는 유체통과부(182)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통과하면서 상기 회전축(103)을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 유체통과부(182)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통과부(182)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게 되면 상기 유체통과부(182)를 통과하는 유체의 속도가 빠르게 되어 냉각효율을 더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터하우징(120)에는 온도센서(미도시됨)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분기파이프(183)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됨)를 구비하여,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설정이상의 온도가 되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분기부(181)에 의해 분기된 유체가 상기 회전축(103)에 형성된 상기 유체통과부(182)를 통과되도록 하여 상기 회전축(103)을 냉각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1: 고정자 102: 회전자
103: 회전축 110: 모터
120: 모터하우징 130: 펌프하우징
131: 임펠러 132: 유체흡입부
133: 유체배출부 140: 오일공급 하우징
150: 메카니컬 씰 151: 제 1 회전판
152: 제 2 회전판 153: 제 1 고정판
154: 제 2 고정판 155: 스프링
160: 회전날개 170: 회전축 회전방향 감지부
171: 강성판 172: 탄성판
173: 전선 174: 저항측정부
181: 분기부 182: 유체통과부
183: 분기파이프

Claims (3)

  1. 코일(101a)이 권취된 고정자(101)와, 상기 고정자(101) 내측에 구비되는 회전자(102)와, 상기 회전자(102)의 중심에 결합되며 회전축(103)으로 이루어지는 모터(110)가 수용되는 모터하우징(120);
    상기 모터하우징(12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103)에 결합되는 임펠러(131)가 수용되며, 임펠러(131)의 회전에 의해 유체를 흡입하는 유체흡입부(132)와, 유체흡입부(132)로부터 흡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유체배출부(133)가 구비된 펌프하우징(130);
    상기 모터하우징(120)과 상기 펌프하우징(13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축(103)이 관통되어 수용되고, 오일이 수용되는 오일공급 하우징(140);
    상기 오일공급 하우징(140)의 내측에 상부 및 하부에 이격되며 상기 오일공급 하우징(140)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축(103)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제 1 회전판(151) 및 제 2 회전판(152)과, 상기 모터하우징(120)과 상기 펌프하우징(130)에 각각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모터하우징(120)과 상기 펌프하우징(130)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고정판(153) 및 제 2 고정판(154)과, 상기 제 1 회전판(151)과 상기 제 2 회전판(15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회전판(151) 및 상기 제 2 회전판(152)을 상기 제 1 고정판(153)과 상기 제 2 고정판(154)으로 각각 밀착되도록 탄지시켜 상기 오일공급 하우징(140)과 상기 모터하우징(120) 사이 및 상기 오일공급 하우징(140)과 상기 펌프하우징(130) 사이를 밀폐시키는 스프링(155)으로 이루어지는 메카니컬 씰(150);
    상기 회전축(103)의 회전시 상기 오일공급 하우징(140)에 수용된 오일이 회전되도록 상기 제 1 회전판(151)과 상기 제 2 회전판(152)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주연에 일정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날개(160);
    상기 오일공급 하우징(140) 내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날개(160)에 의해 상기 오일공급 하우징(140)에 수용된 오일의 회전방향과 수직되게 설치되되,
    오일의 회전에 의해 휘어짐이 방지되도록 강성이 있는 강성판(171)과,
    상기 강성판(171)과 평행하도록 근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03)의 정방향으로의 회전시 오일의 회전에 의해 휘어져 상기 강성판(171)과 접하고, 상기 회전축(103)의 정지시 원위치로 복귀되며, 상기 회전축(103)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강성판(17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탄성판(172)과,
    상기 강성판(171)과 상기 탄성판(172)에 각각 연결되며 지상으로 설치되는 전선(173)과,
    상기 전선(173)에 연결되어 상기 강성판(171)과 상기 탄성판(172)의 접촉여부에 따른 저항을 감지하여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저항측정부(174)로 이루어지는 회전축 회전방향 감지부(1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모터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회전방향 감지부(170)에 의한 회전축 회전방향을 표시하는 표시수단;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모터펌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하우징(130)의 유체배출부(133)로 배출되는 유체의 일부가 분기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배출부(133) 부위에서 분기되는 분기부(181);
    상기 모터하우징(120)의 상부로부터 상기 펌프하우징(130)의 하부로 유체가 전달되도록 상기 회전축(103)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유체통과부(182);
    상기 분기부(181)와 상기 유체통과부(182)의 상부를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분기파이프(18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모터펌프.
KR1020180127533A 2018-10-24 2018-10-24 수중모터펌프 KR101940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533A KR101940562B1 (ko) 2018-10-24 2018-10-24 수중모터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533A KR101940562B1 (ko) 2018-10-24 2018-10-24 수중모터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562B1 true KR101940562B1 (ko) 2019-01-21

Family

ID=65277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533A KR101940562B1 (ko) 2018-10-24 2018-10-24 수중모터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5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242B1 (ko) * 2020-03-11 2020-10-13 동해엔지니어링주식회사 수중 모터펌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531B1 (ko) * 2009-07-23 2009-10-21 (주)대진정공 역회전 검출장치를 갖는 수중펌프
JP2012207550A (ja) * 2011-03-29 2012-10-25 Terada Pump Seisakusho:Kk 水中ポンプのオイル室内軸封装置における摺動面を潤滑するオイルリフター装置
KR101228415B1 (ko) * 2012-09-11 2013-01-31 화랑시스템(주) 오배수용 수중펌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방법
KR101531017B1 (ko) * 2013-12-05 2015-06-23 주식회사 전진 수중펌프
KR101596638B1 (ko) * 2015-07-30 2016-02-22 염대영 수중 펌프용 임펠러의 이물질 걸림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531B1 (ko) * 2009-07-23 2009-10-21 (주)대진정공 역회전 검출장치를 갖는 수중펌프
JP2012207550A (ja) * 2011-03-29 2012-10-25 Terada Pump Seisakusho:Kk 水中ポンプのオイル室内軸封装置における摺動面を潤滑するオイルリフター装置
KR101228415B1 (ko) * 2012-09-11 2013-01-31 화랑시스템(주) 오배수용 수중펌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방법
KR101531017B1 (ko) * 2013-12-05 2015-06-23 주식회사 전진 수중펌프
KR101596638B1 (ko) * 2015-07-30 2016-02-22 염대영 수중 펌프용 임펠러의 이물질 걸림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242B1 (ko) * 2020-03-11 2020-10-13 동해엔지니어링주식회사 수중 모터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4620B1 (en) Submersible pump containing two levels of moisture sensors
CN1941569B (zh) 密封电动机及密封泵
US5066200A (en) Double containment pumping system for pumping hazardous materials
JP5583823B2 (ja) モータおよびポンプ装置
KR101940562B1 (ko) 수중모터펌프
KR101732980B1 (ko) 침수배출기능을 구비한 수중펌프
KR200409016Y1 (ko) 수중모터펌프의 실시간 회전수 및 회전방향측정장치
RU2649722C1 (ru) Лопастной насос
JP5415800B2 (ja) モータおよびポンプ装置
KR101036437B1 (ko) 공랭식 수중펌프
US20120257995A1 (en) Submersible pump and motor rotation indication circuit
KR100922531B1 (ko) 역회전 검출장치를 갖는 수중펌프
KR102165242B1 (ko) 수중 모터펌프
KR100829917B1 (ko) 수중 모터 펌프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N109139497B (zh) 一种可远程控制的智能高效通用供水系统
KR20130045300A (ko) 역회전 방지를 위한 멈춤 쇠 장치가 구비되는 펌프
KR20150065432A (ko) 수중펌프
JP7055737B2 (ja) 複数の電動機組立体を備えた駆動装置
KR102239697B1 (ko) 모터실로 유입된 물을 배수하기 위해 워터펌프를 구비한 수중펌프
JP2020020336A (ja) 給水装置
JP6653968B2 (ja) 水中電動ポンプ
KR20240037452A (ko) 모터실 건조, 배수기능이 적용된 자기보호형 수중펌프
KR20200057864A (ko) 회전자-고정자 간극측정시스템 및 간극측정시스템을 포함하는 수중펌프
KR101336261B1 (ko) 수중모터펌프 역회전방지장치
WO2022254365A1 (en) Device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impeller of a p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