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509B1 - 폐비닐 파쇄장치 - Google Patents

폐비닐 파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509B1
KR101530509B1 KR1020150045275A KR20150045275A KR101530509B1 KR 101530509 B1 KR101530509 B1 KR 101530509B1 KR 1020150045275 A KR1020150045275 A KR 1020150045275A KR 20150045275 A KR20150045275 A KR 20150045275A KR 101530509 B1 KR101530509 B1 KR 101530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waste vinyl
shaft
rotary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송
Original Assignee
조규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규송 filed Critical 조규송
Priority to KR1020150045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4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48Cutting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하기 위하여 폐비닐을 일정한 크기로 파쇄하는 폐비닐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파쇄수단을 구비하여 폐비닐을 파쇄하는 파쇄챔버(10)와; 상기 파쇄수단을 구동하는 모터(20)와; 상기 파쇄챔버(10)와 상기 모터(20) 사이에 설치되어 모터(20)에서 파쇄수단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30)으로 구성된 폐비닐 파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쇄수단은 사각틀 형상으로 되어 상부에 투입호퍼(11)를 설치하는 챔버케이스(101)와; 상기 동력전달수단(30)을 통해 동력이 공급되어 회전하는 구동축(102)과; 상기 구동축(102)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피동축(103)과; 상기 구동축(102)과 피동축(103)에 번갈아가며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회전파쇄날(104)과; 상기 회전파쇄날(104) 사이사이에 설치하는 스페이서(105)와; 상기 스페이서(105)와 대응하는 제1가이드(106)와; 상기 회전파쇄날(104)과 대응하는 제2가이드(107)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폐비닐의 파쇄가 신속하게 이루어져 생산성이 향상되고, 회전파쇄날에 폐비닐이 들러붙는 것을 억제하여 파쇄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비닐 파쇄장치{Crushing apparatus of used vinyl}
본 발명은 재활용하기 위하여 폐비닐을 일정한 크기로 파쇄하는 폐비닐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폐비닐의 파쇄 작업시 파쇄성능 저하를 방지하면서도 대량의 폐비닐을 신속하게 파쇄할 수 있게 한 폐비닐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곡물이나 감자 등 각종 농수산물을 담는데 사용한 후 버려지거나, 각종 산업 현장에서 모래 등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을 담는데 사용한 후 버려진 폴리프로필렌으로 된 마대자루나, 비닐하우스에 사용한 후 버려진 비닐, 음식물 쓰레기의 수거 등에 사용된 후 버려진 비닐봉지나 가정에서 배출되는 각종 폐비닐은 무단 폐기되거나, 불법으로 소각되어 토양오염과 대기오염 및 생태계 파괴 등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주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러한 폐비닐의 불법적인 폐기에 따른 환경 파괴가 심각해지자, 정부는 폐비닐을 재활용 품목으로 지정하고, 폐비닐을 소각 처리하는 대신에 재활용하는 기술 개발에 다양한 정부 지원이 이루어지면서 폐비닐을 재활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폐비닐을 재활용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면서 폐비닐을 소각 처리하는 비중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폐비닐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각종 폐비닐을 수거하는 수집단계와; 수집된 폐비닐에 섞여있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폐비닐을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세척된 폐비닐을 일정한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단계와; 파쇄된 폐비닐을 일정한 블록 크기로 압착하는 압착단계 등 여러 단계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특히, 일반 가정에서 주로 배출되는 과자봉지나 음식물 쓰레기의 수거 등에 사용된 후 배출되는 비닐봉지 등은 크기가 소형이기 때문에 별도의 파쇄 과정 없이도 재활용 공정에 투입 가능하나, 농업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마대자루나 비닐하우스 등에서 사용되는 비닐은 부피가 크고, 흙이나 돌 등 각종 이물질이 섞여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재활용을 위해서는 반드시 폐비닐을 수거하여 세척한 후, 일정한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단계를 수행해야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폐비닐을 파쇄하는 파쇄단계에서는 생산성과 수익성 향상을 위하여 대량의 폐비닐을 한꺼번에 파쇄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처럼 대량의 폐비닐을 한꺼번에 파쇄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파쇄 성능이 중요하다.
따라서 대량의 폐비닐을 효율적으로 파쇄하기 위한 다양한 폐비닐 파쇄장치가 개발된 바 있는데, 종래 기술이 적용된 폐비닐 파쇄장치의 몇 가지 예를 살펴보며 다음과 같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3264호(2006.12.8)에는 상단에 폐비닐 투입구가 구비되고, 내부 후단에는 그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폐비닐을 유압실린더의 가압력으로 압착하면서 전진이송시키는 밀판과 밀판칼날, 밀판칼날 카트리지를 구비되며, 마주하는 후단의 출구측에는 상기 밀판에 의해 폐비닐이 압착/이동되는 폐비닐 압착 뭉치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파쇄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절단날을 가진 절단날 카트리지가 배치되는 통상의 폐비닐 절단/파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 카트리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절단날은 후방 밀판에 의해 압착되면서 이동된 폐비닐이 후방으로 갈수록 순차적이고 점진적으로 다단 밀착/절단될 수 있게 길이방향의 간격이 서로 다른 다단형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파쇄기가 게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0883702호(2009.2.12)에는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비닐투입구를 통해 인입된 비닐을 분쇄시키도록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분쇄롤러부와, 상기 분쇄롤러부의 저부에 분쇄된 비닐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는 폐비닐 분쇄기에 있어서, 상기 분쇄롤러부는, 상기 구동모터에 벨트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관통되어 결합되고 외주연에 다등분되어 형성된 칼날장착면에 분쇄칼날이 각각 장착된 다수개의 단위롤러로 구성되되, 상기 분쇄칼날은 양측면이 삼각형상의 절단면을 갖는 다이아몬드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위롤러와 간섭되면서 인입된 비닐을 분쇄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상기 분쇄칼날의 절단면이 삽입되게 다수의 삽입면을 갖는 고정칼날부가 구비되며, 상기 분쇄칼날은 상기 칼날장착면의 후방에서 관통되는 조임볼트에 의해 상기 칼날장착면에 고정되고, 상기 칼날장착면에 고정된 상기 분쇄칼날을 지지하도록 상부면이 삼각형상을 갖는 칼날지지편이 구비되어 상기 칼날장착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분쇄기가 게시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3264호(2006.12.8) 등록특허공보 제10-0883702호(2009.2.12)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폐비닐 파쇄장치 중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3264호의 "폐비닐 파쇄기"는 상기 밀판에 의해 출구측으로 이동하는 폐비닐 뭉치가 절단과 동시에 본체의 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다수의 칼날 전체의 측면에 폐비닐이 밀착되어 저항력이 크게 작용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다수의 칼날을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폐비닐을 작은 크기로 절단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또 다른 종래 기술이 적용된 등록특허공보 제10-0883702호의 "폐비닐 분쇄기"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분쇄롤러부와, 분쇄롤러부의 절단면이 삽입되게 다수의 삽입면을 가지는 고정칼날부로 구성됨으로써 본체 내부로 투입된 폐비닐이 회전하는 분쇄롤러부의 절단면과, 본체에 고정된 고정칼날부의 삽입면 사이로 투입되면서 분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분쇄 과정에서 고정칼날부의 상부에 폐비닐이 지속적으로 적체되는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폐비닐의 신속한 투입에 방해하여 폐비닐의 분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다량의 폐비닐이 고정칼날부의 상부에 적체되는 경우에 분쇄롤러부의 회전부하가 증가함으로써 폐비닐의 분쇄 성능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이 적용된 폐비닐 파쇄장치의 결점인 파쇄성능 저하를 방지하면서도 대량의 폐비닐을 작은 크기로 신속하게 파쇄할 수 있는 우수한 성능과 효율성을 겸비한 폐비닐 파쇄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폐비닐 파쇄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상부에 투입호퍼(11)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상기 투입호퍼(11)로 투입된 폐비닐을 파쇄하는 파쇄수단을 구비하며, 하부에는 상기 파쇄수단에 의해 파쇄된 폐비닐을 배출하는 배출부(12)를 형성하여 본체(40) 일측에 설치하는 파쇄챔버(10)와; 상기 본체(40)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파쇄수단을 구동하는 모터(20)와; 상기 파쇄챔버(10)와 상기 모터(20) 사이에 설치되어 모터(20)의 동력을 파쇄수단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30)으로 구성된 폐비닐 파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쇄수단은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세로돌부(101a)가 양측 내면에 지그재그로 위치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양측 내면의 하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가로돌부(101b)를 형성하며, 상면에는 투입호퍼(11)를 설치하는 챔버케이스(101)와;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결합부(102a)를 형성하고, 일측에는 구동기어(102b)를 설치하며, 상기 챔버케이스(101)에 설치된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케 지지되어, 상기 동력전달수단(30)과 플랜지커플링(102c, 32a)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102)과;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결합부(103a)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기어(102b)와 치합하는 피동기어(103b)를 일측에 결합하여 상기 구동축(102)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챔버케이스(101)에 설치된 베어링에 지지되는 피동축(103)과;
양측 경사면의 길이가 서로 다른 이빨을 방사형으로 형성한 라쳇 형태로 되어 이빨 방향은 서로 대향하면서, 지그재그로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축(102)과 피동축(103)의 결합부(102a, 103a)에 번갈아가며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회전파쇄날(104)과;
내주면의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하고, 외경은 일측면에 나란히 위치하는 회전파쇄날(104)에 닿지않는 최대한의 크기로 형성하여 상기 회전파쇄날(104) 사이사이에 설치하는 스페이서(105)와;
상기 회전파쇄날(104) 사이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챔버케이스(101)의 내면에 일정 간격로 형성된 세로돌부(101a) 사이로 투입하여 상기 가로돌부(101b) 상부에 안착되게 챔버케이스(101)의 측벽에 나사 결합하며, 내측면에는 상기 스페이서(105)의 외주연과 대응하는 만곡부(106a)를 형성한 제1가이드(106)와;
상기 스페이서(105) 사이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가로돌부(101b) 상부에 안착되게 상기 제1가이드(106)의 일측면에 나사 결합하고,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파쇄날(104)의 외경에 대응하는 만곡부(107a)를 형성한 제2가이드(107)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각종 폐비닐의 파쇄 작업시 파쇄성능 저하를 방지하면서도 대량의 폐비닐을 신속하게 파쇄할 수 있게 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폐비닐 파쇄장치는 라쳇 형태로 되어 이빨 방향이 서로 대향하게 형성된 회전파쇄날을 지그재그로 배치함으로써 폐비닐의 파쇄시에 폐비닐이 회전파쇄날 사이로 신속하게 강제 투입되기 때문에 투입 과정에서 폐비닐의 적체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그재그로 배치된 회전파쇄날에 의해 폐비닐의 파쇄가 신속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비닐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회전파쇄날 사이에 끼인 폐비닐은 회전파쇄날 사이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에 의해 제거되고, 회전파쇄날 외주면에 들러붙은 폐비닐은 제2가이드에 의해 제거됨으로써 파쇄된 폐비닐의 부착에 의한 파쇄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비닐 파쇄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폐비닐 파쇄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폐비닐 파쇄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파쇄챔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폐비닐 파쇄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파쇄챔버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폐비닐 파쇄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파쇄챔버 정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폐비닐 파쇄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파쇄챔버 평면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폐비닐 파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폐비닐 파쇄장치는 내부에 파쇄수단을 구비하여 폐비닐을 파쇄하는 파쇄챔버(10)와; 상기 파쇄수단을 구동하는 모터(20)와; 상기 파쇄챔버(10)와 상기 모터(20) 사이에 설치되어 모터(20)에서 파쇄수단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파쇄챔버(10)는 다량의 폐비닐을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상부에 투입호퍼(11)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상기 파쇄수단에 의해 파쇄된 폐비닐을 배출하는 배출부(12)를 형성하여 본체(40) 일측 상부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파쇄챔버(10)가 설치된 본체(40)의 일측 하부에는 상기 파쇄챔버(10)의 배출부(12)에서 파쇄되어 배출되는 폐비닐을 바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컨베이어나, 파쇄되어 배출되는 폐비닐을 담을 수 있는 적재함 등을 투입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20)는 상기 본체(40)의 타측에 설치하여 모터(20)의 회전축(21)을 통해 출력되는 동력을 상기 동력전달수단(30)의 입력축(31)으로 전달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30)은 상기 모터(20)의 회전축(21)에서 출력되는 동력을 전달받는 입력축(31)을 일측면에 형성하고, 내부에는 상기 입력축(31)으로 전달된 동력을 일정한 기어비를 통해 감속하는 감속기어부를 형성하며, 타측면에는 상기 감속기어부에서 감속된 동력을 최종 출력하는 출력축(32)을 구비한다.
상기 모터(20)의 회전축(21)과 상기 동력전달수단(30)의 입력축(31) 간의 동력 전달은 벨트나 체인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로 된 일반적인 동력전달용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폐비닐 파쇄장치의 특징부가 되는 상기 파쇄수단은 사각틀 형상으로 되어 상부에 투입호퍼(11)를 설치하는 챔버케이스(101)와; 상기 동력전달수단(30)을 통해 동력이 공급되어 회전하는 구동축(102)과; 상기 구동축(102)과 연동하여 구동축(102)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피동축(103)과; 상기 구동축(102)과 피동축(103)에 번갈아가며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회전파쇄날(104)과; 상기 회전파쇄날(104) 사이사이에 설치하는 스페이서(105)와; 상기 스페이서(105)와 대응하도록 상기 챔버케이스(101)의 측벽에 나사 결합하는 제1가이드(106)와; 상기 회전파쇄날(104)과 대응하도록 상기 제1가이드(106)의 일면에 나사 결합하는 제2가이드(107)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챔버케이스(101)는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틀 형상으로 되어 상부에는 파쇄하고자 하는 폐비닐을 투입하는 투입호퍼(11)를 설치하고, 하부의 개방된 배출부(12)를 통해서 파쇄된 폐비닐을 배출한다.
또한, 챔버케이스(101)의 양 측벽의 내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세로돌부(101a)가 양측 내면에 지그재그로 위치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양측 내면의 하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가로돌부(101b)를 형성한다.
상기 구동축(102)은 가운데 부분에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결합부(102a)를 형성하고, 선단에는 구동기어(102b)를 결합하여, 상기 챔버케이스(101)의 전후벽에 설치된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케 지지되도록 설치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30)의 출력축(32)과 구동축(102)의 선단부에는 각각 플랜지커플링(102c, 32a)을 설치하여 두 플랜지커플링(102c, 32a)을 연결함으로써 동력전달수단(30)의 출력축(32)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축(102)이 회전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수단(30)의 출력축(32)은 세레이션 가공을 통해서 플랜지커플링(32a)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축(102)의 선단부는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형태로 가공하여 플랜지커플링(102c)을 설치한 후, 두 플랜지커플링(32a, 102c)를 분해조립 볼트너트 결합하는 것이 분해 조립의 편의성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피동축(103)은 상기 구동축(102)과 마찬가지로 가운데 부분에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결합부(103a)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축(102)에 결합된 구동기어(102b)와 치합하는 피동기어(103b)를 일측에 결합하여 상기 구동축(102)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챔버케이스(101)의 전후벽에 설치된 베어링으로 지지되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구동축(102)의 구동기어(102b)와, 피동축(103)의 피동기어(103b)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의 잇수를 다르게 하여 구동축(102)과 피동축(103)의 회전수가 서로 다르게 한다.
상기 회전파쇄날(104)은 양측 경사면의 길이가 서로 다른 이빨을 방사형으로 형성한 라쳇 형태로 되어 사이 구동축(102)과 피동축(103)에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한다.
이때, 상기 구동축(102)과 피동축(103)에 각각 설치되는 회전파쇄날(104)의 이빨에 형성된 경사면의 길이가 짧은 쪽이 상호 대향하도록 함과 동시에 구동축(102)과 피동축(103)에 각각 설치된 회전파쇄날(104)이 지그재그로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축(102)과 피동축(103)의 결합부(102a, 103a)에 번갈아가며 설치함으로써 구동축(102)과 피동축(103)이 회전함에 따라서 구동축(102)에 설치된 회전파쇄날(104)의 이빨과, 피동축(103)에 설치된 회전파쇄날(104)의 이빨이 폐비닐을 동시에 물어서 강제 인입하면서 파쇄함으로써 폐비닐의 투입과 파쇄가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회전파쇄날(104)이 각각 설치된 상기 구동축(102)과 피동축(103)은 구동기어 구동기어(102b)와, 피동기어(103b)의 기어비에 의해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함으로써 구동축(102)의 회전파쇄날(104)과 피동축(103)의 회전파쇄날(104) 사이로 폐비닐이 투입되어 파쇄되는 과정에서 구동축(102)과 피동축(103)의 회전속도 차이에 의해 폐비닐이 뜯겨지면서 파쇄됨으로써 파쇄 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파쇄날(104) 중심부에 형성되는 결합공(104a)은 상기 구동축(102)과 피동축(103)에 각각 형성된 결합부(102a, 103a)의 다각형 단면 형상과 대응하게 형성함으로써 구동축(102)과 피동축(103)의 회전시 회전력이 회전파쇄날(104)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부피가 크고 질긴 대량의 폐비닐도 강한 힘으로 원활하게 파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페이서(105)는 상기 구동축(102)과 피동축(103)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회전파쇄날(104) 사이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동축(102)과 피동축(103)에 끼워서 설치하되, 링 형태로 된 스페이서(105)의 내주면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하여 구동축(102)과 피동축(103)의 회전시에 스페이서(105)의 슬립이 가능케 함으로써 폐비닐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스페이서(105)의 외표면에 폐비닐이 들러붙은 상태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스페이서(105)의 전후면은 회전파쇄날(104)의 전후면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회전파쇄날(104)의 설치 간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회전파쇄날(104)과 스페이서(105) 사이로 폐비닐이 끼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가이드(106)는 상기 회전파쇄날(104) 사이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챔버케이스(101)의 내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세로돌부(101a) 사이로 투입하여 챔버케이스(101)의 측벽에 나사 결합한다.
이때, 제1가이드(106)의 견고한 설치를 위하여 제1가이드(106)의 저면이 상기 챔버케이스(101)의 측벽 내면에 형성된 가로돌부(101b)의 상부에 안착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가이드(106)의 내측면에는 상기 링 형상으로 된 스페이서(105)의 외주연과 대응하는 만곡부(106a)를 형성함으로써 스페이스와 제1가이드(106) 간의 유격을 최소화하여 폐비닐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스페이서(105)와 제1가이드(106) 사이에 폐비닐을 끼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페이서(105)의 외표면에 폐비닐이 들러붙어 회전하는 경우에 스페이서(105)에 들러붙은 폐비닐을 긁어내어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가이드(107)는 상기 스페이서(105) 사이사이에 위치하도록 제2가이드(107)에 형성된 설치공(107b)으로 체결볼트를 투입하여 상기 제1가이드(106)의 일면에 형성된 체결공(106b)에 체결하여 제1가이드(106)의 일면에 밀착되게 설치하되, 견고한 설치를 위해서는 제2가이드(107)의 저면이 상기 챔버케이스(101)의 측벽 내면에 형성된 가로돌부(101b)의 상부에 안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107)의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파쇄날(104)의 외경에 대응하는 만곡부(107a)를 형성함으로써 회전파쇄날(104)과 제2가이드(107) 간의 유격을 최소화하여 폐비닐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회전파쇄날(104)과 제2가이드(107) 사이에 폐비닐이 끼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회전파쇄날(104)에 폐비닐이 들러붙어 회전하는 경우에 회전파쇄날(104)에 들러붙은 폐비닐이 제2가이드(107)에 의해 회전파쇄날(104)에서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폐비닐 파쇄장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농가에서 곡물이나 감자 등 각종 농수산물을 담는데 사용한 후 버려지거나, 각종 산업 현장에서 모래 등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을 담는데 사용한 후 버려진 폴리프로필렌으로 된 마대자루나, 비닐하우스에 사용한 후 버려진 비닐, 음식물 쓰레기의 수거 등에 사용된 후 버려진 비닐봉지나 가정에서 배출되는 각종 폐비닐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폐비닐을 수집한 후 세척하여 수집된 폐비닐에 섞여있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일정한 크기로 파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폐비닐 파쇄장치의 파쇄챔버(10)의 상부에 설치된 투입호퍼(11)를 통해 파쇄챔버(10) 내부로 투입한다.
상기 파쇄챔버(10)에는 모터(2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102)과, 상기 피동축(103)과 연동하여 구동축(102)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피동축(103)이 설치되고, 구동축(102)과 피동축(103)에는 라쳇 형태로 되어 이빨 방향이 서로 대향하도록 회전파쇄날(104)을 설치함으로써 투입호퍼(11)를 통해 투입된 폐비닐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파쇄날(104)에 의해 구동축(102)과 피동축(103)에 각각 설치된 회전파쇄날(104) 사이로 강제 인입됨과 회전파쇄날(104)에 의해 파쇄된 후, 파쇄챔버(10) 하부의 배출부(12)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폐비닐의 투입, 파쇄, 배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폐비닐 파쇄작업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회전파쇄날(104)에 의해 폐비닐이 일정 크기로 파쇄된 후, 배출부(12)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회전파쇄날(104) 사이에 설치된 스페이서(105)와, 파쇄챔버(10)의 측면 내면에 설치된 제1가이드(106) 및 제2가이드(107)가 스페이서(105)와 회전파쇄날(104)에 들러붙은 폐비닐을 제거함으로써 스페이서(105)와 회전파쇄날(104)에 들러붙은 폐비닐에 의한 파쇄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 파쇄챔버 11: 투입호퍼
12: 배출부 20: 모터
21: 구동축 30: 동력전달수단
31: 입력축 32: 출력축
40: 본체 101: 챔버케이스
101a: 세로돌부 101b: 가로돌부
102: 구동축 102a: 결합부
102b: 구동기어 102c: 플랜지커플링
103: 피동축 103a: 결합부
103b: 피동기어 104: 회전파쇄날
104a: 결합공 105: 스페이서
106: 제1가이드 107: 제2가이드
106a, 107a: 만곡부

Claims (2)

  1. 상부에 투입호퍼(11)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상기 투입호퍼(11)로 투입된 폐비닐을 파쇄하는 파쇄수단을 구비하며, 하부에는 상기 파쇄수단에 의해 파쇄된 폐비닐을 배출하는 배출부(12)를 형성하여 본체(40) 일측에 설치하는 파쇄챔버(10)와; 상기 본체(40)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파쇄수단을 구동하는 모터(20)와; 상기 파쇄챔버(10)와 상기 모터(20) 사이에 설치되어 모터(20)의 동력을 파쇄수단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30)으로 구성된 폐비닐 파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쇄수단은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세로돌부(101a)가 양측 내면에 지그재그로 위치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양측 내면의 하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가로돌부(101b)를 형성하며, 상면에는 투입호퍼(11)를 설치하는 챔버케이스(101)와;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결합부(102a)를 형성하고, 일측에는 구동기어(102b)를 설치하며, 상기 챔버케이스(101)에 설치된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케 지지되어, 상기 동력전달수단(30)과 플랜지커플링(102c, 32a)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102)과;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결합부(103a)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기어(102b)와 치합하는 피동기어(103b)를 일측에 결합하여 상기 구동축(102)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챔버케이스(101)에 설치된 베어링에 지지되는 피동축(103)과;
    양측 경사면의 길이가 서로 다른 이빨을 방사형으로 형성한 라쳇 형태로 되어 이빨 방향은 서로 대향하면서, 지그재그로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축(102)과 피동축(103)의 결합부(102a, 103a)에 번갈아가며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회전파쇄날(104)과;
    내주면의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하고, 외경은 일측면에 나란히 위치하는 회전파쇄날(104)에 닿지않는 최대한의 크기로 형성하여 상기 회전파쇄날(104) 사이사이에 설치하는 스페이서(105)와;
    상기 회전파쇄날(104) 사이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챔버케이스(101)의 내면에 일정 간격로 형성된 세로돌부(101a) 사이로 투입하여 상기 가로돌부(101b) 상부에 안착되게 챔버케이스(101)의 측벽에 나사 결합하며, 내측면에는 상기 스페이서(105)의 외주연과 대응하는 만곡부(106a)를 형성한 제1가이드(106)와;
    상기 스페이서(105) 사이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가로돌부(101b) 상부에 안착되게 상기 제1가이드(106)의 일측면에 나사 결합하고,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파쇄날(104)의 외경에 대응하는 만곡부(107a)를 형성한 제2가이드(1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파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30)의 출력축(32)은 세레이션 가공을 통해서 플랜지커플링(32a)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축(102)의 선단부는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형태로 가공하여 플랜지커플링(102c)을 설치한 후, 두 플랜지커플링(32a, 102c)를 분해조립 가능케 결합하며;
    상기 구동축(102)의 구동기어(102b)와, 피동축(103)의 피동기어(103b)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의 잇수를 다르게 하여 구동축(102)과 피동축(103)의 회전수가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파쇄장치.
KR1020150045275A 2015-03-31 2015-03-31 폐비닐 파쇄장치 KR101530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275A KR101530509B1 (ko) 2015-03-31 2015-03-31 폐비닐 파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275A KR101530509B1 (ko) 2015-03-31 2015-03-31 폐비닐 파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509B1 true KR101530509B1 (ko) 2015-06-19

Family

ID=53519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275A KR101530509B1 (ko) 2015-03-31 2015-03-31 폐비닐 파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5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90596A (zh) * 2016-03-14 2016-06-22 东莞市昶丰橡塑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结构改良的金属粉末注塑成型边料回收机
CN114571634A (zh) * 2022-03-14 2022-06-03 长春寅辉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废旧橡胶回收处理装置
US20230278040A1 (en) * 2022-03-02 2023-09-07 Battelle Energy Alliance, Llc Crusher/perforator for recylceable materials
CN117206308A (zh) * 2023-11-09 2023-12-12 全南县瑞隆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锂电池破碎回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1246A (ja) * 1998-04-09 1999-10-26 Nkk Corp 廃プラスチック再生処理設備におけるプラスチックを造粒するための装置
KR20010039606A (ko) * 1999-05-17 2001-05-15 스즈키 도시유키 폐기물의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KR200405320Y1 (ko) * 2005-09-06 2006-01-11 김명철 폐비닐 분쇄기
KR20120014761A (ko) * 2010-08-10 2012-02-20 조규송 폐 수지 파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1246A (ja) * 1998-04-09 1999-10-26 Nkk Corp 廃プラスチック再生処理設備におけるプラスチックを造粒するための装置
KR20010039606A (ko) * 1999-05-17 2001-05-15 스즈키 도시유키 폐기물의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KR200405320Y1 (ko) * 2005-09-06 2006-01-11 김명철 폐비닐 분쇄기
KR20120014761A (ko) * 2010-08-10 2012-02-20 조규송 폐 수지 파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90596A (zh) * 2016-03-14 2016-06-22 东莞市昶丰橡塑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结构改良的金属粉末注塑成型边料回收机
US20230278040A1 (en) * 2022-03-02 2023-09-07 Battelle Energy Alliance, Llc Crusher/perforator for recylceable materials
CN114571634A (zh) * 2022-03-14 2022-06-03 长春寅辉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废旧橡胶回收处理装置
CN117206308A (zh) * 2023-11-09 2023-12-12 全南县瑞隆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锂电池破碎回收装置
CN117206308B (zh) * 2023-11-09 2024-02-23 全南县瑞隆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锂电池破碎回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0509B1 (ko) 폐비닐 파쇄장치
US4757949A (en) Apparatus for shredding rubber tires
KR101787666B1 (ko) 폐기물 파쇄장치
KR100973771B1 (ko) 파쇄기
US8910891B2 (en) Comminution of waste and other materials
KR20120053449A (ko) 폐기물 파쇄기
KR20110096926A (ko) 파쇄기
US10799878B2 (en) Multi-region twin-shaft cutting system
JP4803793B2 (ja) 一軸型破砕機
CN206454757U (zh) 一种新型切片粉碎机
JP4870405B2 (ja) 剪断式破砕機
KR200385088Y1 (ko) 선별기
CN111921643B (zh) 一种用于垃圾处理的振动式破碎装置
GB1569672A (en) Solid waste comminutor
KR100469677B1 (ko) 임목폐기물 파쇄장치
JP2527685B2 (ja) 破砕機
CN213377045U (zh) 一种喂料机构及破碎机
KR200284147Y1 (ko) 재활용품 파쇄장치
JPH0763645B2 (ja) 粗大廃棄物の破砕装置
JP3566912B2 (ja) 破砕装置
JP2003260378A5 (ko)
CN211514766U (zh) 一种餐厨垃圾对辊破碎机
KR200284246Y1 (ko) 다목적 분쇄장치
CN218309961U (zh) 一种破碎分离装置及车载垃圾处理系统
CN217990396U (zh) 用于厨余垃圾的破碎装置及厨余垃圾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