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182B1 - 압연강재의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 - Google Patents

압연강재의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182B1
KR101530182B1 KR1020130138888A KR20130138888A KR101530182B1 KR 101530182 B1 KR101530182 B1 KR 101530182B1 KR 1020130138888 A KR1020130138888 A KR 1020130138888A KR 20130138888 A KR20130138888 A KR 20130138888A KR 101530182 B1 KR101530182 B1 KR 101530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rolled steel
cooling
steel materia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6201A (ko
Inventor
이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38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182B1/ko
Publication of KR20150056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B21B37/76Cooling control on the run-out 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3/00Cooling beds, whether stationary or moving; Means specially associated with cooling beds, e.g. for braking work or for transferring it to or from the bed
    • B21B43/04Cooling beds comprising rolls or w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33Spray nozzles, Nozzle headers; Spr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Abstract

폐열을 회수하는 압연강재의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연강재의 냉각장치는 유입부로부터 유입되는 압연강재를 집적부까지 이송하면서 냉각하고, 이송장치에 안착된 압연강재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하고, 압연강재가 냉각되면서 발생하는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를 유입하는 후드장치와, 후드장치로부터 유입되는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를 열원으로 하여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보일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연강재의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COOLING SYSTEM AND COOLING METHOD OF ROLLED STEEL}
본 발명은 압연강재의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열을 회수하는 압연강재의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연강재 중 하나인 빌릿(또는 빌렛, Billet)은 선재의 소재가 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강편가열로에서 탄소강 또는 합금강을 가열하여 제조된 블룸(Bloom)을 열간압연하여 제조된다.
열간압연을 실시하여 900도 이상의 고온 상태인 빌릿은 냉각장치를 통하면서 300도 근처까지 냉각되고, 이 과정에서 목표로 하는 미세조직 및 표면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압연강재의 냉각장치는 공랭을 이용하는 방법과 냉각수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어느 냉각방법을 사용하더라도 냉각도중에 발생하는 고온의 폐열을 대기중으로 방산하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다. 그러나, 냉각도중에 발생하는 폐열은 낭비되는 에너지원일 뿐만 아니라, 주변의 고열로 인하여 설비를 점검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작업환경이 열악한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1832호는 소재 냉각이송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폐열을 대기중으로 방산하고 있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1832호(2012년 07월 03일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각과정 동안에 방출되는 폐열을 회수할 수 있는 압연강재의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입부로부터 유입되는 압연강재를 집적부까지 이송하면서 냉각하는 압연강재의 냉각장치에 있어서, 이송장치에 안착된 상기 압연강재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압연강재가 냉각되면서 발생하는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를 유입하는 후드장치;와, 상기 후드장치로부터 유입되는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를 열원으로 하여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보일러;를 포함하는 압연강재의 냉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에 안착된 상기 압연강재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압연강재가 냉각되면서 발생하는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가 상기 후드장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를 송풍하는 급기팬을 더 포함하는 압연강재의 냉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후드장치는, 흡입되는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를 안내하는 후드; 상기 후드와 연결되어 상기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를 상기 보일러로 안내하는 덕트; 및 상기 후드 또는 상기 덕트에 마련되어 상기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를 흡입하는 흡기팬;을 포함하는 압연강재의 냉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후드장치는, 상기 후드 또는 상기 덕트에 마련되어 상기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의 불순물을 걸러내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압연강재의 냉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후드장치는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압연강재의 냉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압연강재의 이송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후드이송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드장치는, 상기 후드를 지지하고 상기 후드이송레일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휠을 포함하는 압연강재의 냉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후드장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압연강재의 냉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후드와 상기 덕트는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후드는 크레인에 결속 가능한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압연강재의 냉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후드의 흡입영역에 마련되어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는 노즐을 더 포함하는 압연강재의 냉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입부로부터 압연강재를 유입하여 이송장치 상에 안착시키고, 상기 압연강재의 하부에서 급기팬을 동작하여 상기 압연강재에 공기가 송풍되고, 상기 압연강재가 냉각하면서 발생하는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의 일부가 후드장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후드장치로 유입된 상기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를 열원으로 하여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켜 열이 필요한 장치에 공급하는 압연강재 냉각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연강재의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은 냉각과정 동안에 방출되는 폐열을 회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온의 작업환경을 개선하여 쾌적한 근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고열로 인한 설비 점검의 어려움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압연강재의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5는 후드의 이동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장치의 저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압연강재(Rolled steel)는 용강을 주형에 주탕하여 잉곳으로 만들고, 이것을 압연기로 압연하여 강판, 형강, 평강, 또는 봉강 등의 강재로 제조한 것을 의미하며, 압연 공정을 거쳐 알맞은 크기와 모양으로 잘라진 것을 강편이라 한다. 강편은 치수, 모양, 또는 용도 등에 따라 슬랩(Slab), 시트 바(Sheet bar), 블룸(Bloom), 빌릿(Billet), 원형강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하, 도면에는 선재로 사용되는 빌릿(또는 빌렛, 빌레트)을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압연강재가 빌릿에 한정되지는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압연강재의 냉각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연강재의 냉각장치(100)는 벨트 등에 의해 압연강재(B)를 냉각부(20)로 이동하는 유입부(10)와, 유입부(10)로부터 유입된 압연강재(B)를 이송하면서 공냉 또는 수냉 등에 의해 냉각하는 냉각부(20)와, 냉각부(20)를 지나면서 냉각된 압연강재(B)를 집적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키는 집적부(30)를 포함한다.
냉각부(20)는 빌릿(B)을 유입부(10)에서 집적부(30)까지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101)를 포함한다. 이송장치(101)는 빌릿(B)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빌릿(B)이 안착되는 구동빔(102)과 고정빔(103)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빔(102)과 고정빔(103)에는 빌릿(B)의 안착면이 톱니모양으로 형성되어 직육면체 형상의 빌릿(B)이 기울어진 상태로 안착될 수 있다. 구동빔(102)은 구동암(104)과 연결되어 빌릿(B)을 이송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구동암(104)은 구동부(105)에 의해 동작 가능하고, 구동빔(102)과 링크 구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구동암(104)의 움직임에 따라 구동빔(102)은 상하, 전후로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빔(103)이 상승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정빔(103)에 안차된 빌릿(B)을 들어 올려 이송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하강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전 고정빔(103)의 위치보다 전진된 위치에 빌릿(B)을 내려놓고 이전 위치로 복귀하는 형태로 빌릿(B)을 전진시킬 수 있다. 또한, 빌릿(B)의 일 면이 계속해서 구동빔(102)과 고정빔(103)에 안착되어 있는 경우 대기중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빌릿(B)의 타면과 표면성질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구동빔(102)이 회전운동하면서 빌릿(B)을 굴려서 안착되는 면과 개방되는 면을 교대로 바꿀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냉각부(20)는 편의상 빌릿(B)의 이송방향에 따라 고온부와 중온부와 저온부로 나눌 수 있다. 고온부는 보통 850도에서 900도 정도로 열간압연을 거친 고온의 빌릿(B)이 위치한다. 중온부는 냉각부(20)의 중간대를 의미하며 보통 650 전후의 온도를 나타낸다. 저온부는 냉각이 거의 완료된 상태로 보통 350도 이하의 온도를 나타낸다.
냉각부(20)를 지나면서 빌릿(B)은 크게는 500 내지 600도 정도까지 온도가 떨어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많은 열이 발생한다. 냉각과정 동안 발생하는 열은 대기로 방출되고, 방출된 열에 의해 냉각부(20) 주변은 매우 고열인 상태로 작업자가 접근하기 어렵다. 그러나, 설비 또는 빌릿(B) 등의 점검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냉각부(20)에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지만, 냉각부(20)의 고열로 인하여 작업에 어려움이 많다. 또한, 발생하는 열은 재사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폐열로서 에너지가 낭비되는 측면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100)는 빌릿(B)이 냉각되면서 발생되는 열을 폐열로 방치하지 않고, 이를 회수하여 열에너지로 저장하고자 한다. 바람직하게는 냉각부(20) 전 영역에 걸쳐 열 회수 장치를 설치하면 좋지만, 공간적 문제와 경제적 문제를 고려하여 배출열량이 가장 큰 고온부에 우선적으로 열 회수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100)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장치(200)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100)는 빌릿(B)이 냉각되면서 발생하는 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후드장치(200)와, 후드장치(200)에서 회수된 열을 열원으로 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보일러(12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드장치(200)는 이송장치(101)에 안착된 압연강재(B)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한다. 주위로 방출되어 버려지는 열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빌릿(B)에 근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구동암(104)의 상승 정도를 고려하여 간섭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로 이격될 수 있다. 후드장치(200)의 흡입영역은 이송장치(101)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빌릿(B)의 길이를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일러(120)는 공급되는 열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스팀보일러(120)일 수 있다. 스팀보일러(120)에서 생산되는 고온고압의 스팀은 열에너지로서 사용되거나 운동에너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팀보일러(120)를 일 예로 설명하지만, 열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모든 종류의 보일러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냉각장치(100)에서 사용되는 냉각방법은 공냉방법과 수냉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밖에 화학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어느 두 가지 이상의 냉각방법을 병행할 수도 있다. 공냉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과열공기가 후드장치(200)에 유입되고, 수냉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과열증기가 후드장치(200)에 유입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냉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냉각수가 빌릿(B)을 냉각한 후 발생되는 과열증기는 스팀보일러(120)로 들어가 급수를 가열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고, 곧바로 과열증기를 필요로 하는 다른 장치 등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100)는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가 후드장치(20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돕기 위해 급기팬(110)을 포함할 수 있다. 급기팬(110)은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필요한 곳에 고압으로 송풍하는 장치이다. 급기팬(110)은 빌릿(B)의 하부에 설치되고, 빌릿(B)에서 방출되는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가 후드장치(20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방향을 조준하여 송풍할 수 있다. 도 2에는 빌릿(B)의 하부 양 쪽에 두 개의 급기팬(110)이 설치되어 바람이 후드장치(20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급기팬(110)의 설치 수와 설치 장소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후드장치(200)는 상부로 갈수록 유입면적이 좁아지면서 흡입되는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를 안내하는 후드(210)와, 후드(210)와 연결되어 스팀보일러(120)까지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를 안내하는 덕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드(210)와 덕트(220)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후드(210)와 덕트(220)는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Cr을 포함하는 오스테나이트계 강종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는 후드(210)와 덕트(220)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결합스위치(212)를 도시하였으며, 작업자가 결합스위치(212)를 동작하면 결합부(211)가 분리될 수 있다. 결합부(211)의 분리는 후드장치(200)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결합부(211)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후드(210)의 상부에는 덕트(220)와 연결되고, 덕트(22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211a)가 마련될 수 있다. 삽입부(211a)에는 결합돌기(212)가 형성될 수 있고, 덕트(220)가 삽입부(211a)에 끼워지는 경우 결합돌기(212)와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홀(212a)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12)와 결합홀(212a)는 억지끼움 방식 등에 의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후드장치(200)는 빌릿(B)에서 방출되는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의 흡기를 돕기 위해 흡기팬(2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흡기팬(221)은 덕트(220) 또는 후드(2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와 도 4에는 덕트(220) 내부에 흡기팬(221)이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며, 흡기팬(221)이 원활하게 압력편차를 형성할 수 있도록 덕트(220)가 흡기팬(221)의 블레이드 회전영역에 맞도록 원통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또한, 후드장치(200)는 흡기팬(221)의 전단에 필터(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222)는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 이외의 불순물이 흡기팬(221) 또는 보일러(12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물망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후드장치(200)는 설치 시 또는 제거 시에 용이하게 운반될 수 있도록 고리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 고리부재(213)는 크레인의 고리가 결속될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고리부재(213)는 후드(2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무게중심을 맞춰서 안정적인 리프팅이 가능하도록 대칭되는 위치에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장치(200)는 상하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후드장치(200)는 빌릿(B)과 근접할수록 회수할 수 있는 열이 증가함은 설명한 바와 같다. 이 때, 구동빔(102)이 상승하지 않고 고정되는 경우에는 후드(210)가 빌릿(B)에 최대한 근접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러나, 구동빔(102)이 빌릿(B)의 이송을 위해 회전운동하는 경우 고정빔(103)보다 상승하기 때문에, 후드(210)는 구동빔(102)의 상승 정도를 고려하여 간섭을 피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여야 한다. 만일, 후드장치(200)가 구동빔(102)과 연결되어 구동빔(102)의 상승하강과 같은 정도로 상승하강하는 경우에는 구동빔(102)이 고정된 상태와 유사하게 후드(210)가 빌릿(B)에 근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후드장치(20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후드장치(200)는 후드(210)의 측부에 마련되는 가이드이동부재(214)를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이동부재(214)는 가이드고정부재(23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고정부재(230)는 후드(210)의 외측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는 가이드이동부재(214)가 가이드고정부재(230)를 감싸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와 달리 가이드고정부재(230)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에 가이드이동부재(214)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으로 나타낸 후드장치(200)의 상승 하강장치는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고, 다른 방법에 의하여 상승 하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고정부재(230)는 후드장치(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4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가이드고정부재(23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고정부재(230)의 단부는 가이드지지부재(23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후드장치(200)는 빌릿(B)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후드장치(200)는 후드(210)에 연결되는 휠(231)과 이송장치(101)를 따라 설치되는 후드이송레일(1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후드이송레일(130)은 구동빔(102)과 고정빔(103)을 포함하는 이송장치(101)의 외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며, 휠(231)은 4개의 가이드고정부재(230)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후드(210)의 이동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후드장치(200)는 냉각장치(100)의 고온부에 위치하는 것이 설비의 경제적 측면과 폐열 회수의 효율성 측면에서 우수하다. 그러나, 후드장치(200)는 휠(231)이 후드이송레일(130)을 따라 구름운동하면서 필요한 경우 중온부 또는 저온부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후드장치(200)가 설치되는 고온부의 이송장치(101) 또는 빌릿(B)을 점검하는 경우에 후드장치(200)를 상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또는 중온부 또는 저온부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이송장치(101)를 따라 마련되는 후드이송레일(130)을 따라 후드장치(200)가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장치(200)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장치(200)는 공냉과정과 함께 수냉과정을 병행할 수 있다. 따라서 후드장치(200)는 냉각수를 분출할 수 있는 노즐(241)을 포함할 수 있다. 후드(210)는 노즐지지부재(240)와 연결되며, 노즐지지부재(240) 내부에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관(242)이 마련될 수 있다. 노즐지지부재(240)는 후드(210)의 흡입영역에 마련되고, 다수의 노즐(241)을 포함하면서도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 가지로 분기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냉각수는 유입관(242)을 통해 후드(210)의 흡입영역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관(242)은 노즐지지부재(240)에 의해 지지되어 후드(210)의 흡입영역에 여러 갈래로 분기될 수 있으며, 유입관(242)을 통해 유입된 냉각수는 노즐지지부재(240)에 설치된 노즐(241)을 통해 분사된다. 이처럼 수냉과정을 병행하게 되면 보다 급속한 냉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후드장치(200)는 빌릿(B)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통해 수냉과정을 병행할지를 결정하게 된다. 만일 기준 시간 내에 설정된 온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제품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후드장치(200)는 제어부의 판단에 의해 노즐(241)을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유입부, 20: 냉각부,
30: 집적부, 100: 냉각장치,
101: 이송장치, 102: 구동빔,
103: 고정빔, 104: 구동암,
105: 구동부, 110: 급기팬,
120: 스팀보일러, 130: 후드이송레일,
200, 201: 후드장치, 210: 후드,
211: 결합부, 212: 결합스위치,
213: 고리부재, 214: 가이드이동부재,
220: 덕트, 221: 흡기팬,
222: 필터, 230: 가이드고정부재,
231: 휠, 232: 가이드지지부재,
240: 노즐지지부재, 241: 노즐,
242: 유입관,

Claims (11)

  1. 유입부로부터 유입되는 압연강재를 집적부까지 이송하면서 냉각하는 압연강재의 냉각장치에 있어서,
    이송장치에 안착된 상기 압연강재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압연강재가 냉각되면서 발생하는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를 유입하는 후드장치;
    상기 후드장치로부터 유입되는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를 열원으로 하여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보일러; 및
    상기 후드장치의 흡입영역에 마련되어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는 노즐;을 포함하는 압연강재의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에 안착된 상기 압연강재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압연강재가 냉각되면서 발생하는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가 상기 후드장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를 송풍하는 급기팬을 더 포함하는 압연강재의 냉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장치는,
    흡입되는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를 안내하는 후드;
    상기 후드와 연결되어 상기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를 상기 보일러로 안내하는 덕트; 및
    상기 후드 또는 상기 덕트에 마련되어 상기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를 흡입하는 흡기팬;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후드의 흡입영역에 위치하는 압연강재의 냉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장치는, 상기 후드 또는 상기 덕트에 마련되어 상기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의 불순물을 걸러내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압연강재의 냉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장치는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압연강재의 냉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강재의 이송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후드이송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드장치는, 상기 후드를 지지하고 상기 후드이송레일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휠을 포함하는 압연강재의 냉각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장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압연강재의 냉각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와 상기 덕트는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후드는 크레인에 결속 가능한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압연강재의 냉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강재의 온도와 미리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노즐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압연강재의 냉각장치.
  10. 유입부로부터 압연강재를 유입하여 이송장치 상에 안착시키고,
    상기 압연강재가 냉각되면서 발생하는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를 유입하는 후드장치의 흡입영역에 마련되는 노즐을 통해 냉각수를 분사하여 상기 압연강재를 수냉시키고,
    상기 압연강재의 하부에서 급기팬을 동작하여 상기 압연강재에 공기가 송풍되고,
    상기 압연강재가 냉각하면서 발생하는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의 일부가 상기 후드장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후드장치로 유입된 상기 과열공기 또는 과열증기를 열원으로 하여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켜 열이 필요한 장치에 공급하는 압연강재 냉각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강재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와 미리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노즐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압연강재 냉각방법.
KR1020130138888A 2013-11-15 2013-11-15 압연강재의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 KR101530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888A KR101530182B1 (ko) 2013-11-15 2013-11-15 압연강재의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888A KR101530182B1 (ko) 2013-11-15 2013-11-15 압연강재의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201A KR20150056201A (ko) 2015-05-26
KR101530182B1 true KR101530182B1 (ko) 2015-06-19

Family

ID=5339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888A KR101530182B1 (ko) 2013-11-15 2013-11-15 압연강재의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1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9018A (zh) * 2018-08-09 2018-12-18 杭州大策新能源有限公司 余热回收装置
KR102497576B1 (ko) * 2018-11-27 2023-02-0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압연강재의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
CN117340026B (zh) * 2023-12-05 2024-03-05 钢一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钢管轧制生产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6319A (ja) * 1997-04-25 1998-11-10 Nippon Steel Corp 冷却床での廃熱の利用方法
KR20020041125A (ko) * 2000-11-27 2002-06-01 이구택 제어압연을 포함하는 선재의 냉각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6319A (ja) * 1997-04-25 1998-11-10 Nippon Steel Corp 冷却床での廃熱の利用方法
KR20020041125A (ko) * 2000-11-27 2002-06-01 이구택 제어압연을 포함하는 선재의 냉각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201A (ko) 201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148B1 (ko) 용탕 운반용 래들링 장치
KR101530182B1 (ko) 압연강재의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
JP5795560B2 (ja) ワークを熱加工する炉
JP6908231B2 (ja) 高温非無端表面の均一な非接触冷却の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05848807A (zh) 板坯火焰清理装置及其控制方法
CN104946864A (zh) 快速送铆钉机构、全自动铆钉淬火机及快速送铆钉方法
JP2010249332A (ja) 熱処理装置及び熱処理方法
JP6622913B2 (ja) 鋳物の熱処理を改良する方法
JP2011184712A (ja) 連続熱処理装置
JP4698572B2 (ja) 連続鋳造機の冷却設備と鋳片の冷却方法
JP2014081124A (ja) 高温部品の冷却装置
WO2011138171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ÜCKGEWINNUNG VON ENERGIE HINTER EINER STRANGGIEßANLAGE
JP5924246B2 (ja) 引上式連続鋳造装置、引上式連続鋳造方法、及び凝固界面検出装置
KR101819378B1 (ko) 용탕 샘플 채취장치
JP2011251326A (ja) 棒鋼供給装置
JP2009132980A (ja) 連続真空浸炭炉
US7048032B2 (en) Device for continuously casting molten metals
KR101938583B1 (ko) 가열로용 대차
KR101377505B1 (ko) 주선기용 발전장치
KR200377469Y1 (ko) 보일러 설비의 버너 교환장치
KR20130117274A (ko) 용융물 제거장치, 이를 구비하는 주편 절단장치 및 그 제거방법
KR102389853B1 (ko)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
JP2007284708A (ja) 加熱炉抽出機
KR101220561B1 (ko) 불량재 처리 장치
CN112944922B (zh) 一种环式冷却机受料溜槽更换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