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711B1 -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711B1
KR101529711B1 KR1020140040289A KR20140040289A KR101529711B1 KR 101529711 B1 KR101529711 B1 KR 101529711B1 KR 1020140040289 A KR1020140040289 A KR 1020140040289A KR 20140040289 A KR20140040289 A KR 20140040289A KR 101529711 B1 KR101529711 B1 KR 101529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housing
inlet
machining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도산업
Priority to KR1020140040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6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impact tools, e.g. by chisels or other tools having a cutting edge
    • B28D1/28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impact tools, e.g. by chisels or other tools having a cutting edge without cutting edge, e.g. chise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3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to form contours, i.e. curved surfaces, irrespective of the method of working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드락 가공 공정 중 발생되는 석분(石粉)에 대한 자동 집진 및 배출 등의 기능을 갖는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는,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에 있어서, 석재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라인; 상기 이송 라인의 일부분을 하우징하며, 상기 석재의 통과를 위한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전단에 배치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석재의 표면을 도드락 가공하기 위한 가공부; 상기 하우징부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가공부에 의해 발생된 석분(石粉)을 포집하기 위한 집진부; 및 상기 가공부와 상기 집진부의 사이에 위치되며, 브러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석분을 정리하도록 동작하는 브러쉬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의 입구 및 출구에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의 차단막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Stone processing apparatus for automatic rotary processing hammered surface}
본 발명은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드락 가공 공정 중 발생되는 석분(石粉)에 대한 자동 집진 및 배출 등의 기능을 갖는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또는 토목자재로 사용되는 석재는 화강암, 안산암, 감람석, 웅회암 등 여러 종류의 자연석을 적절한 크기로 절단한 후, 이를 패널, 경계석, 블록, 조경용 블록 등의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하는데, 이렇게 다양하게 사용되는 석재는 원석을 각 사용처에 사용가능한 크기로 절단한 후,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연마 가공함으로써 평평하며 매끄러운 표면을 갖게 된다.
평평하고 매끄러운 표면은 건축 또는 토목에 있어 벽면이나 천정 및 실내 바닥면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나, 외부 바닥면에 그대로 사용할 경우 비나 눈이 내렸을 경우 보행자가 미끄러져 넘어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면이나 모서리 등에 사용되는 석재는 절단된 표면에 별도의 정작업인 도드락 작업을 통해 요철을 갖는 표면을 형성하게 된다.
도드락 작업은 석재의 가공면을 초경 팁이 부착되어 있는 공구로 두들겨 표면을 요철면으로 가공하는 것으로, 판형상의 매끄러운 석재 표면을 가공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도드락 작업은 초경 팁이 구비된 도드락 망치를 이용하여 석재 표면을 가공하게 됨으로써 석분(石粉) 등의 먼지가 심하게 발생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건강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 기기의 고장 등을 유발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도드락 작업 공정 중 발생되는 먼지가 작업 설비 및 작업자에게 최대한 해를 끼치지 않을 수 있도록 개량된, 새로운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도드락 가공 공정 중 발생되는 석분(石粉)에 대한 자동 집진 및 배출 등의 기능을 갖는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는,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에 있어서, 석재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라인; 상기 이송 라인의 일부분을 하우징하며, 상기 석재의 통과를 위한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전단에 배치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석재의 표면을 도드락 가공하기 위한 가공부; 상기 하우징부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가공부에 의해 발생된 석분(石粉)을 포집하기 위한 집진부; 및 상기 가공부와 상기 집진부의 사이에 위치되며, 브러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석분을 정리하도록 동작하는 브러쉬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의 입구 및 출구에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의 차단막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의 후단 상부면에는, 상기 집진부와 연결되며 상기 집진부를 통해 포집된 석분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석분의 이동을 위한 배출관이, 상기 배출구와 밀착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석분은 진공 흡착 방식 또는 송풍 방식에 의해 상기 배출구 및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측면 또는 내부 상면에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됨으로써 상기 석분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배출창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부는, 회전 가능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면에 다수의 초경 팁이 형성된 1 이상의 가공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공부는, 상하, 전후 또는 좌우 방향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하우징부의 입구측 또는 가공부의 어느 일측 등에 감지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석판의 투입 여부 또는 도드락 가공의 완료 여부 등을 자동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는, 집진부에 의해 석분이 제거된 석판의 상면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청소부는 자동 걸레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는, 상기 청소부에 의해 상면이 청소된 석판의 표면에 잔존하는 먼지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감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공부는 상기 가공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제어부와 체결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이동 제어부는,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프레임; 롤스크류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 끝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신장되는 수직바; 상기 수직바가 삽입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체결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연마기의 수직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 상기 롤스크류와 치합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롤스크류가 회전되면, 리프트되는 치합부; 양끝단이 상기 치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치합부와 연동하여 리프트되는 제 1 이동축; 및 상기 제 1 이동축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공부가 배치되고, 상기 연마기를 평면상에서 상기 이송방향에 직각인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이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치합부는, 나사산 형태 또는 볼 스크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이동축은, 회전력에 의해 회전가능한 기어; 및 상기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기어의 회전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는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이동축은, 상기 스크류의 위치 가변과 연동되어 상기 종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는, 도드락 작업 공정 중 발생되는 석분 등의 먼지를 자동으로 포집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다량의 석분 및 먼지 등에 의한 작업 설비의 훼손이나 작업자의 건강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작업 공정의 효율성 향상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을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에 적용되는 가공부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부분 확대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또 다른 부분 확대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 스크류와 기어 사이의 치합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에 적용되는 가공기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100)는, 이송 라인(110), 하우징(120), 가공부(130), 브러쉬부(140) 및 집진부(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먼저, 이송 라인(110)은 롤러 방식의 컨베이어 벨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컨베이어부가 나란히 배열되고 그 중 어느 하나가 모터와 연결되며, 다수의 컨베이어부들은 벨트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동시에 구동 가능하게 되는 통상의 롤러 방식 컨베이어 벨트 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100)에 구비되는 이송 라인(110)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하우징부(120)는 이송 라인(110)의 일부분을 하우징 하되, 석재가 하우징(120)의 내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입구 및 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우징부(120)는 이송 라인(110) 상을 이동하는 판형 석재에 대한 도드락 가공 공정이 수행되는 공간을 구분지음으로써, 자동 도드락 가공 공정 중 발생되는 석분 등의 먼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다만, 하우징부(120) 내부로 석판이 투입되기 위한 입구 및 가공이 끝난 석판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부(120)의 입구 및 출구에는 각각 차단막(125)이 구비됨으로써, 석분 등의 먼지가 상기 입구 및 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가공부(130)는 하우징부(120) 내부의 전단(前端)에 배치되며, 하우징부(120)로 투입되는 석판에 대해 도드락 가공 작업을 수행한다.
가공부(130)는 다수의 초경 팁이 형성된 1 이상의 가공기를 다수개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부(120)의 입구측 또는 가공부(130)의 어느 일측 등에 감지 센서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석판의 투입 여부 또는 도드락 가공의 완료 여부 등을 자동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공부(130)는 상하 또는 전후좌우 등의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과 동작 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추후 별도의 도면을 통해 기술하도록 한다.
브러쉬부(140)는 1 이상의 브러쉬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가공부(130)를 통해 도드락 가공이 완료된 석판 상면의 석분 등을 집진부(150)에 의해 포집하기 용이한 형태로 정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브러쉬부(140) 역시 가공부(130)와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 또는 전후좌우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향 이동을 위한 구성 또한 상기 가공부(130)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집진부(150)는 브러쉬부(140)를 통해 석분 등이 정돈된 석판 상부면에 대해, 진공 흡착 방식 또는 송풍 방식 등과 같은 통상의 집진 방식을 통해 집진 기능을 수행한다.
집진부(150)를 통해 포집된 석분 등의 먼지는 별도로 구비된 포집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포집되거나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에 적용되는 가공부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부분 확대도들이며, 도 8은 도 7에 있어 스크류와 기어 사이의 치합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에 적용되는 가공기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먼저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가공부(130)와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프레임(420), 수평 프레임(420)의 양 끝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신장된 수직바(416), 수직바(416)가 삽입되며 메인 프레임(410)에 연결 및 고정되는 수직 프레임(412), 적어도 하나의 가공부(130)의 상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422), 연동벨트(424)를 통해 구동모터(422)로부터의 회전력을 공급받아 수직바(416)를 회전시키는 제 1 및 제 2 풀리(426a, 426b)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풀리(426a)는 좌측에 위치하는 수직바(416)와 연동되고, 제 2 풀리(426b)는 우측에 위치하는 수직바(416)와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바(416)는 롤스크류(418) 등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공부(130)의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치합부(432a, 432b), 제 1 이동축(430), 제 2 이동축(440), 제 1 브릿지(442) 및 가공부 구동모터(450) 등을 구비함을 확인할 수 있다.
2개의 치합부(432a, 432b)는 상기 롤스크류(418) 등과 치합될 수 있고, 구동모터(422)에 의해 롤스크류(418)가 회전되면, 이와 대응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리프트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직바(416)가 롤스크류(418) 등의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치합부(432a, 432b)는 나사산 형태 또는 볼 스크류 등의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롤스크류(418)의 회전에 대응하여 리프트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 1 이동축(430)은 양끝단이 치합부(432a, 432b)와 연결되고, 치합부(432a, 432b)와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리프트될 수 있다.
이 경우 치합부(432a, 432b)는 제 1 이동축(43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볼트 연결 등을 통해 탈부착 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제 2 이동축(440)은 적어도 하나의 가공부(130)가 배치되고, 제 1 브릿지(442)를 통해 제 1 이동축(43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이동축(440)은 제 1 이동축(430)의 리프트시 연동되어 수직방향으로 리프트될 수 있다.
구동모터(422)가 구동되면, 수직바(416)는 연동벨트(424) 및 폴리(426a, 426b)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수직바(416)는 고정되어 제자리에서 회전하며, 치합부(432a, 432b)는 수직바(416)에 형성된 롤스크류(418) 등에 치합되어 상부 또는 하부로 리프트 될 수 있다.
또한, 제 2 이동축(44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가공부(130)도, 치합부(432a, 432b)에 연동되어 리프트됨으로써, 석재(S)로부터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다수의 가공부(130)는 등간격(D)으로 배치 가능하며 가공기(도 4의 134)를 이용하여 석재(S)의 표면을 도드락 가공하게 된다.
한편, 제 2 이동축(440)에 장착된 복수의 가공부(130)들은 등간격(D)으로 배열됨과 아울러 종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복수의 가공부(130)들이 제 2 이동축(440)에 장착되어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제 1 이동축(430)은 스크류(434) 및 기어(43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류(434)는 별도로 마련된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436)와 치합되어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크류(434)는 제 1 이동축(43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기어(436)의 회전력에 의해, 제 1 브릿지(442)로 연결된 제 2 이동축(44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1 브릿지(442)는 별도의 체결기구 또는 연결부재 등을 통해 스크류(434)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스크류(434)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이동축(440)에 장착된 복수의 가공부(130)도 종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스크류(434)는 기어(436)와 치합됨에 따라 기어(436)의 회전방향에 따라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어(43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스크류(434)는 왼쪽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연동되어 복수의 가공부(130)들 또한 왼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기어(43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스크류(434)는 오른쪽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연동되어 복수의 가공부(130)들 또한 오른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복수의 가공부(130)들은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종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도드락 가공을 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9에는 가공부(13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가공부(130)는 다수의 가공기(134)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의 가공기(134)는 표면에 다수의 초경 팁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가공기(134)가 연결부(136)를 통해 몸체부(132)와 고정 연결되며, 회전 가능한 원통형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보다 편리한 도드락 작업의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다.
가공부(130)가 제 2 브릿지(444)를 통해 제 2 브릿지(440)와 연결됨으로써, 상하 이동 또는 수평 이동 등의 방향 이동이 가능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는 집진부(150)와 연결되는 배출관(160)을 구비함으로써, 집진부(150)를 통해 포집된 석분 등의 먼지가 배출관(160)을 통해 외부로 배출 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배출관(160)은 진공 흡착 방식 등이 적용된 집진 설비와 연결되어 집진부(150)를 통해 흡착된 석분 등의 먼지가 상기 집진 설비측으로 이동되는 통로로써 기능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의 내부 측벽 또는 상벽 등에는 집진부(150) 또는 배출관(160)과 연통되는 배출구(155)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공구(130) 또는 브러쉬부(140) 등을 통해 발생되는 석분 등의 먼지를, 석판이 집진부(150)까지 이동되기 이전에 흡착할 수 있도록, 하우징부(120) 내벽의 적어도 일부 위치에 배출구(15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배출구(155)의 형태로 통상의 통풍구 및 환풍구 등에 사용되는 어떠한 구성이 적용되더라도 무방할 뿐만 아니라, 집진부(150)와 배출관(160)과 사이의 이음 연결 구조 또한 통상의 어떠한 방식을 통해 이루어지더라도 무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집진부(150)가 송풍 방식에 의해 운용되는 경우, 하우징부(120) 내부에 송풍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팬 등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의 배치 및 타 구성요소들과의 연결 관계 등 역시 통상의 어떠한 방식도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100)는, 집진부(150)에 의해 석분이 제거된 석판의 상면을 청소하기 위해, 자동 걸레 등으로 구성되는 청소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하우징부(120)를 통과하며 도드락 가공 및 집진 공정이 완료된 석판의 상면을 바로 상품화 가능할 정도의 수준으로 청결히 정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동 걸레 등에 의해 구성되는 청소부(17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경우, 청소부(170)는, 앞서 가공부(130) 또는 브러쉬부(140)의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등의 수평 방향 이동 가능 구성과 동일하도록 방향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100)는, 집진부(150)를 통해 집진 공정이 완료되거나 또는 청소부(170)에 의해 상면이 청소 완료된 석판의 표면에 잔존하는 먼지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감시부(18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감시부(180)는 촬상소자 등을 구비하는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집진부(150) 또는 청소부(170)를 통한 작업 공정이 완료된 석판의 상면을 정밀 센싱함으로써, 잔존 먼지의 수준이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자동 판단하고, 잔존 먼지의 수준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경보음 등의 알람을 발생시킴으로써, 작업 관리자 등에 의해 석판 상면에 대한 재정비 공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즉, 감시부(180)는, 도드락 작업 공정의 완전 자동화를 위한 선택적 구성요소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에 의해 가공 작업이 이루어진 석판에 대해 바로 상품화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최종적 검증 장비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가 반드시 이를 구비해야만 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브러쉬부(140) 및 청소부(170) 등의 방향 이동을 위한 구성이, 도 4를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은, 가공부(130)의 방향 이동을 위한 구성과 동일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에 구비되는 가공부(130)의 구성 및 이의 방향 이동을 위한 설비 구성 등이 반드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어떠한 방식이 적용되더라도 무방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 자명할 것이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 110: 이송 라인
120: 하우징 125: 차단막
130: 가공부 132: 몸체부
134: 가공기 136: 연결부
140: 브러쉬 150: 집진기
155: 배출창 160: 배출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에 있어서,
    석재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라인;
    상기 이송 라인의 일부분을 하우징하며, 상기 석재의 통과를 위한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전단에 배치되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석재의 표면을 도드락 가공하기 위한 가공부;
    상기 하우징부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가공부에 의해 발생된 석분(石粉)을 포집하기 위한 집진부; 및
    상기 가공부와 상기 집진부의 사이에 위치되며, 브러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석분을 정리하도록 동작하는 브러쉬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의 입구 및 출구에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의 차단막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측면 또는 내부 상면에는, 배출구와 연통됨으로써 상기 석분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배출창이 형성되고,
    상기 가공부는, 회전 가능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면에 다수의 초경 팁이 형성된 1 이상의 가공기가 구비되고,
    상하 또는 좌우 방향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
  5.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에 있어서,
    석재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라인;
    상기 이송 라인의 일부분을 하우징하며, 상기 석재의 통과를 위한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전단에 배치되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석재의 표면을 도드락 가공하기 위한 가공부;
    상기 하우징부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가공부에 의해 발생된 석분(石粉)을 포집하기 위한 집진부; 및
    상기 가공부와 상기 집진부의 사이에 위치되며, 브러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석분을 정리하도록 동작하는 브러쉬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의 입구 및 출구에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의 차단막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측면 또는 내부 상면에는, 배출구와 연통됨으로써 상기 석분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배출창이 형성되고,
    상기 가공부는 상기 가공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제어부와 체결되며,
    상기 이동 제어부는,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프레임;
    롤스크류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 끝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신장되는 수직바;
    상기 수직바가 삽입되며 메인 프레임에 체결되는 수직 프레임;
    연마기의 수직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
    상기 롤스크류와 치합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롤스크류가 회전되면, 리프트되는 치합부;
    양끝단이 상기 치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치합부와 연동하여 리프트되는 제 1 이동축; 및,
    상기 제 1 이동축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공부가 배치되고, 상기 연마기를 평면상에서 이송방향에 직각인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이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치합부는, 나사산 형태 또는 볼 스크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
KR1020140040289A 2014-04-04 2014-04-04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 KR101529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289A KR101529711B1 (ko) 2014-04-04 2014-04-04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289A KR101529711B1 (ko) 2014-04-04 2014-04-04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711B1 true KR101529711B1 (ko) 2015-06-29

Family

ID=53519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289A KR101529711B1 (ko) 2014-04-04 2014-04-04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7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563A (ko) * 2018-12-17 2020-06-25 통명석재 주식회사 오염방지에 따라 유지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잔다듬 브러쉬 석재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잔다듬 브러쉬 석재 및 이를 제조하는 잔다듬 브러쉬 형성기
KR20240008004A (ko) 2022-07-11 2024-01-18 유한회사 동일석재 판석 가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130A (ko) * 2004-07-20 2006-01-31 박종건 석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
KR200464338Y1 (ko) * 2011-04-22 2012-12-28 이봉기 보도블럭 가공장치
KR20130052990A (ko) * 2011-11-14 2013-05-23 주식회사 마인 타일 표면 연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130A (ko) * 2004-07-20 2006-01-31 박종건 석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
KR200464338Y1 (ko) * 2011-04-22 2012-12-28 이봉기 보도블럭 가공장치
KR20130052990A (ko) * 2011-11-14 2013-05-23 주식회사 마인 타일 표면 연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563A (ko) * 2018-12-17 2020-06-25 통명석재 주식회사 오염방지에 따라 유지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잔다듬 브러쉬 석재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잔다듬 브러쉬 석재 및 이를 제조하는 잔다듬 브러쉬 형성기
KR102140756B1 (ko) * 2018-12-17 2020-08-03 통명석재 주식회사 오염방지에 따라 유지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잔다듬 브러쉬 석재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잔다듬 브러쉬 석재 및 이를 제조하는 잔다듬 브러쉬 형성기
KR20240008004A (ko) 2022-07-11 2024-01-18 유한회사 동일석재 판석 가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91097A1 (en) Transport cleaning device
CN106659344A (zh) 机器人真空吸尘器
US5291697A (en) Surface abrading machine having transverse oscilliation
KR101529711B1 (ko) 석재 자동 회전형 도드락 가공 장치
WO2006122283A1 (en) Transport cleaning device
CN103522199A (zh) 一种平面移动式智能抛丸机
JP5325003B2 (ja) 研削装置
KR102228703B1 (ko) 안전기능이 추가된 쌍발 피니셔를 이용한 폴리싱머신
KR20090086307A (ko) 연삭기로부터 먼지를 추출하는 기기 및 방법
KR101514201B1 (ko) 트리플 회전부를 구비하는 로봇 청소기
KR20110004186U (ko) 집진 효율을 높인 바닥 연삭기
CN110479697B (zh) 一种废料清理设备
KR20100123073A (ko) 집진구조를 갖는 핸드 그라인더
CN210081336U (zh) 墙面抹灰机构及清扫机
KR100406324B1 (ko) 대리석 연마장치
CN210210015U (zh) 一种便于除尘的打磨石料用磨料磨具
CN109531313B (zh) 一种建筑工程用内墙面打磨设备
CN207171002U (zh) 一种线路板自动数控钻孔机
CN105922138B (zh) 一种无尘石雕的磨削的方法
JP5611890B2 (ja) 不断水切削における切屑回収方法及び切屑回収装置
CN113026504A (zh) 建筑施工用混凝土铣刨设备
KR20120094979A (ko) 진공흡입식 건식 컷팅기
KR20070082705A (ko) 도장표면 연마용 로봇의 분진제거장치
CN217668707U (zh) 一种研磨机的研磨片边盖结构
CN213258642U (zh) 一种建筑施工用零件打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