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321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321B1
KR101529321B1 KR1020090024195A KR20090024195A KR101529321B1 KR 101529321 B1 KR101529321 B1 KR 101529321B1 KR 1020090024195 A KR1020090024195 A KR 1020090024195A KR 20090024195 A KR20090024195 A KR 20090024195A KR 101529321 B1 KR101529321 B1 KR 101529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module
bracket
front pane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5259A (ko
Inventor
김철수
김무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4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321B1/ko
Priority to PCT/KR2010/001427 priority patent/WO2010107198A1/ko
Publication of KR20100105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테두리부가 외부에 노출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테두리부에 정의되는 영상 비표시 영역의 폭이 실제보다 좁아지게 되어, 영상 표시 영역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보이는 효과가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프런트 패널, 백커버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라 함은, 영상을 통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TV, 컴퓨터 모니터 등이 여기에 속한다.
최근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과같이 고화질, 대형화 디스플레이 장치가 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뿐만 아니라, 동일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모듈 대비 디스플레이 영상이 상대적으로 커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가장자리 부위의 폭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수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영상 비표시 영역의 폭이 실제보다 더 좁게 보이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에 결합되고, 가장자리 영역에 빛의 이동 경로를 변경시키는 광경로 변경부가 형성되는 프런트 패널; 상기 프런트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양 측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모듈 브라켓; 상기 모듈 브라켓의 전면에 제공되어, 영상 비표시 영역을 정의하는 차폐 부재;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는 백커버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에 결합되고, 가장자리 영역에 빛의 이동 경로를 변경시키는 광경로 변경부가 형성되는 프런트 패널; 상기 프런트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적어도 양 측단부를 지지하는 모듈 브라켓; 상기 모듈 브라켓의 전면에 제공되어, 영상 비표시 영역을 정의하는 차폐 부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는 백커버; 및 상기 모듈 브라켓과 상기 백커버 사이에 개입되며, 상기 백커 버를 관통하는 체결 부재에 의하여 상기 백커버와 한몸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결합되는 투명 소재의 미들 브라켓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동일한 규격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가지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화면이 더 커보이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표시 영역이 실제로 확대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져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테두리부를 덮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가장자리 영역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조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이 수려하게 디자인되고, 제품의 고급화를 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동일한 규격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가지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화면이 더 커보이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표시 영역이 실제로 확대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져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테두리부를 덮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가장자리 영역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조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이 수려하게 디자인되고, 제품의 고급화를 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도면을 통하여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시되는 각각의 실시예 뿐 아니라 각각의 실시예들의 조합에 의하여 구현되는 다른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됨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면부가 영상 표시 영역과 영상 비표시 영역으로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다. 상세히,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영상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부와, 상기 영상 표시 영역의 외곽 테두리를 형성하는 영상 비표시 영역 모두가 검은색에 가깝게 보인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어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영상이 출력되면, 영상 표시 영역과 영상 비표시 영역이 명확하게 구분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경로 변경부(후술함)에 의하여 영상 비표시 영역의 폭이 실제보다 좁아진다. 다시 말하면, 영상 비표시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부위에 형성되는 광경로 변경부에 의하여 빛의 굴절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시청자의 눈에는 영상 비표시 영역의 폭이 실제보다 좁게 보인다. 이러한 광학 현상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투명 재질의 프런트 패널(11)과, 상기 프 런트 패널(11)의 배면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덮어서 보호하고, 상기 프런트 패널(11)의 배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는 백커버(1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패널(11)의 가장자리에는 영상 비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차폐 부재(12)가 제공된다. 상기 차폐 부재(12)는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차폐 부재(12)는 빛이 투과하지 못하는 불투명 재질의 박형 시트(thin sheet)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검은 색 필름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 부재(12)는 당업자에 의하여 베젤(Bezel)이라고 일컬어지며,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을 가지고 상기 프런트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둘러지는 사각형 띠 형상을 이룬다.
도 2는 오목 렌즈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오목 렌즈(L1)의 전방에 대상 물체(M)가 놓여 있을 때 상이 어떻게 맺히는지 보여준다.
상세히, 상기 오목 렌즈(L1)로부터 초점까지의 거리를 f, 상기 오목 렌즈(L1)로부터 대상 물체(M)까지의 거리를 a, 상기 대상 물체(M)의 상(m)까지의 거리를 b라고 하면, 초점 거리 공식은 다음과 같다.
1/a + 1/b = 1/f
그리고, 상기 대상 물제(M)가 초점 거리(f) 내측에 놓이는 경우, 상기 대상 물체(M)와 오목 렌즈(L1) 사이의 어느 지점에 축소된 크기의 직립 허상(m)이 맺힌다. 즉, 관찰자의 눈에는 상기 축소된 크기의 직립 허상(m)이 인지되어, 대상 물 체(M)가 실제 크기보다 작게 보인다. 예컨대, 상기 대상 물체(M)의 상단을 지나는 빛은 상기 오목 렌즈(L1)를 통과하면서 실선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상측으로 굴절된다. 그리고, 관찰자의 눈에는 상기 오목 렌즈(L1)가 없는 상태에서 점선으로 표시되는 광로를 가지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적용되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의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레넬 렌즈는 애초에 볼록 렌즈와 같은 작용을 가지게 하면서 그 두께를 줄인 렌즈로부터 기인한다. 상세히, 볼록 프레넬 렌즈는 직립 상태의 볼록 렌즈를 횡방향(빛의 통과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다수 개의 세그먼트(segment)로 자르고, 이들 조각을 하나의 평면에 수평 이동시켜 만들어진다. 그리고, 각각의 조각에 형성되는 볼록 렌즈의 라운드진 굴절면을 평면화하여 프리즘 형태로 변형시킨다. 이와 같이 볼록 렌즈의 라운드진 굴절면이 평명화되면 색수차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으며, 렌즈 자체의 두께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볼록 프레넬 렌즈의 원리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오목 프레넬 렌즈를 만들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런트 패널에 적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영역(l)만큼에 해당하는 오목 렌즈의 가장자리 일부분을 다수 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한다. 그리고, 각각의 세그먼트에 형성되는 상기 오목 렌즈의 라운드진 굴절면을 평평하게 하여, 다수 개의 프리즘이 하나의 평면에 일렬로 배열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프리즘의 굴절면은 오목렌즈의 라운드진 굴절면을 그대로 가져갈 수도 있 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다수 개의 작은 프리즘이 하나의 평면에 일렬로 배열되는 형태를 프리즘 어레이(prizm array)로 정의한다. 상기 프리즘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프리즘 조각의 굴절면은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진다. 즉, 외측으로 갈수록 프리즘 조각의 굴절면 경사각이 커지고, 내측으로 갈수록 프리즘 조각의 굴절면 경사각이 작아진다. 여기서 경사각이라 하면 도면 상에서, 수직면에 대하여 굴절면이 이루는 각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작업에 의하면, 오목 렌즈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면서 빛의 파장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색수차가 줄어들 뿐 아니라, 기존의 오목렌즈 가장자리 두께보다 얇은 형태의 오목 프레넬 렌즈가 만들어진다.
상기와 같은 프리즘 어레이 영역을 가지는 오목 프레넬 렌즈는 일반적인 오목 렌즈와 동일한 원리를 가진다. 즉, 상기 프리즘 어레이 영역을 통과하는 빛은 렌즈의 바깥쪽으로 굴절되어 확산된다. 그리고, 상기 오목 프레넬 렌즈의 좌측에 물체가 놓인 경우, 관찰자에게는 실제 물체의 크기보다 작은 정립 허상이 인지된다. 그리고, 상기 프리즘 어레이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가장자리 영역, 특히 영상 비표시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형성되는 프리즘 어레이를 광경로 변경부로 정의하며, 프리즘 어레이와 광경로 변경부가 혼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프리즘 어레이 영역을 지나는 빛의 실제 진행 경로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제공되는 프런트 패널과 영상 비표시 영역을 정의하는 차폐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 패널(11)의 전면 가장자리에는 프리즘 어레이가 적용되는 광경로 변경부(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패널(11)의 후방에는 불투명 소재의 차폐 부재(12)가 제공되며, 상기 차폐 부재(12)에 의하여 상기 프런트 패널(11)이 영상 표시 영역(Q)과 영상 비표시 영역(P)으로 나뉘어진다. 즉, 상기 차폐 부재(12)의 내측 공간이 영상 표시 영역(Q)으로 정의되고, 상기 차폐 부재(12)에 의하여 둘러지는 부분이 영상 비표시 영역(P)이 된다. 여기서, 상기 불투명 재질의 차폐 부재(12)에서 불투명하다는 것의 의미는, 영상이 외부로 투영되지 못하여 시청자가 영상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상기 차폐 부재(12)의 직후방에 배치되는 물체 또는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정도로 빛의 통과를 차단하는 수준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빛이 전혀 통과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또한, 광경로 변경부(111)라 함은, 프런트 패널(11)의 배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진행하는 빛이 특정 방향으로 굴절되도록 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즉, 상기 프런트 패널(11)의 배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진행하는 빛이 한 곳으로 모이도록 하거나 외측으로 확산되도록 빛의 이동 경로를 인위적으로 변경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어떠한 구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빛이 외측으로 확산되도록 하여, 프런트 패널의 배면에 제공되는 차폐 부재(12)의 폭이 좁아지도록 하는 광경로 변경부(111)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이 빛의 이동 경로를 인위적으로 변경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광경로 변경부(111)의 일 실시예로서,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프레넬 렌즈의 원리를 이용한 프리즘 어레이가 제안될 수 있다.
상세히, 일반적인 프레넬 렌즈의 경우, 렌즈 표면에 다수 개의 동심원 형태의 돌출부와 홈부가 형성되나, 본 발명에서는 다수 개의 돌출부와 홈부가 프런트 패널(11)의 가장자리면과 평행한 직선 형태를 이루는 것을 실시예로 들어 설명한다.
더욱 상세히, 직선 형태의 프리즘 어레이가 프런트 패널(11)의 가장자리 부분, 즉 상하좌우 가장자리 부분에 직선형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프리즘 어레이, 즉 광경로 변경부(111)의 폭은 상기 차폐 부재(12)의 외측 가장자리를 어느 정도로 좁힐 것인지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경로 변경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런트 패널에 나타나는 광학 현상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영상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영상 비표시 영역이 축소된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차폐 부재(12)가 프런트 패널(11)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제공될 때 시청자의 눈에 맺히는 차폐 부재(12)의 상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상세히, 오목 프레넬 렌즈가 적용되는 경우, 대상 물체와 렌즈 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맺히는 상의 크기는 작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차폐 부재(12)와 상기 프런트 패널(11) 간의 거리(k)에 따라 시청자의 눈에 맺히는 상의 감소량이 달라진다. 즉, 상기 차폐 부재(12)와 프런트 패널(11) 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의 크기는 작아지게 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차폐 부재(12)의 상단부를 통과하는 빛의 경로와 상맺힘을 보여준다.
상세히, 상기 차폐 부재(12)의 상단에서 빛은 사방으로 퍼지고, 상기 프런트 패널(11) 쪽으로 퍼지는 빛은 상기 프런트 패널(11)을 통과하면서 굴절된다. 이러한 굴절 현상은 매질이 다른 물질, 즉 공기와 프런트 패널(11)을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패널(11)을 통과하는 빛은 오목 렌즈 형태의 상기 광경로 변경부(111)를 통과하면서 확산되는 방향으로 재차 굴절된다. 최종적으로 시청자의 눈에 맺히는 허상(121)은 차폐 부재(12)의 실제 크기보다 작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청자의 눈에는 상기 차폐 부재(12)의 상단이 아래로 하강한 지점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굵은 화살표로 표시되는 부분은 시청자의 눈에 도달하는 빛을 대표적으로 표시하며, 상기 화살표가 교차하는 지점에 허상(121)이 맺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허상(121)은 상기 차폐 부재(12)와 프런트 패널(11) 사이에 맺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런트 패널(11)의 두께(t)는 고정값이므로, 상기 차폐 부재(12)와 프런트 패널(11) 간의 거리(k)에 따라 상기 허상(121)의 상단부 위치가 결정된다. 즉, 상기 차폐 부재(12)가 프런트 패널(11)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허상(121)의 상단은 아래쪽으로 더 내려가게 된다. 그러면, 전체적으로 영상 비표시 영역(P)의 폭이 실제보다 좁아보이게 된다. 그 결과, 영상 표시 영역(Q)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커보이는 착시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폐 부재(12)의 외측 테두리 부분에만 광경로 변경부(111)가 형성되므로, 차폐 부재(12)의 외측 테두리부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로 시청자에게 인식될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도 6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경로 변경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도로서, 광경로 변경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전면 가장자리 부위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는 상태로 조립되는 구조를 이룬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에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4)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의 전면에 제공되고, 가장자리부가 후측으로 절곡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면 전체 및 측면 일부를 형성하는 프런트 패널(11)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이 상기 프런트 패널(11)의 배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모듈 브라켓(13)과, 상기 모듈 브라켓(13)이 접촉되는 상기 프런트 패널(11)의 배면에 부착되는 차폐 부재(12)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의 배면과 상기 모듈 브라켓(13)의 배면에 결합되는 미들 브라켓(15)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을 보호하는 백커버(16)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프런트 패널(11)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빛의 굴절 현상을 유발 하는 광경로 변경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광경로 변경부(111)는 상기 프런트 패널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고 형성되어, 상기 차폐 부재(12)의 외측 가장자리가 내측으로 축소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차폐 부재(12)는 상기 프런트 패널(11)이 절곡되는 지점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고 프런트 패널(11)의 배면에 둘러지고,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프런트 패널(11)의 배면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모듈 브라켓(13)은 절곡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의 가장자리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잡아주게 된다. 즉, 프런트 패널(11)의 배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의 전면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접촉면(131)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면(132)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의 배면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누름면(13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접촉면(131)은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프런트 패널(11)의 배면에 강하게 부착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모듈 브라켓(13)은 다수 회 절곡되어, 내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의 두께에 해당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모듈 브라켓(13)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의 양 측면에 각각 제공된다.
또한, 상기 모듈 브라켓(13)의 후면(도면상에서는 상면), 즉 누름면(133)에는 상기 미들 브라켓(15)의 일단이 안착된다. 상세히, 상기 미들 브라켓(15)은 다수 회 절곡되어, 상기 모듈 브라켓(13)에 안착되는 안착면(15)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의 배면에 안착되는 체결면(15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안착면(151)은 접착제(17)에 의하여 상기 모듈 브라켓(13)의 누름면(133)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의 배면에는 체결 보스(141)가 돌출되고, 상기 미들 브라켓(15)의 체결면(152)은 상기 체결 보스(141)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 보스(141)가 접촉하는 상기 체결면(152)에는 체결홀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백커버(16)의 가장자리부는 전방으로 절곡되어 측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미들 브라켓(15)의 안착면(151)에 밀착된다. 이 때, 상기 백커버의 측면부 외측면은 상기 프런트 패널의 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정렬되거나, 상기 프런트 패널의 측면보다 내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백커버(16)에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은 상기 미들 브라켓(15)의 체결홀에 정렬한다. 이 상태에서, 체결 부재는 상기 백커버(16)와 상기 미들 브라켓(15)을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의 체결 보스(141)에 삽입된다. 그러면, 상기 백커버(16)와, 미들 브라켓(15) 및 디스플레이 모듈(14)이 한번에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모듈 브라켓(13)은 알루미늄 압출물과 같이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금속편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면(131)과 상기 누름면(133)의 간격이 상기 지지면(132)의 길이보다 짧은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이 상기 프런트 패널(11)의 후방 하측으로부터 밀어 올린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의 양측면이 상기 모듈 브라켓(13)에 형성된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이 끼워지면서 상기 모듈 브라켓(13)의 누름면(133)이 벌어지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의 배면 가장자리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이 상기 모듈 브라켓(13)에 의하여 흔들림없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미들 브라켓(15)을 상기 모듈 브라켓(13)에 접착시키고, 백커버(16)를 안착시킨 다음 체결 부재로 한 번에 결합한다. 한편, 상기 미들 브라켓(15)으로 투명 소재의 사출물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들 브라켓(15)과 모듈 브라켓(13) 사이에 제공되는 접착제와, 상기 모듈 브라켓(13)과 프런트 패널(11) 사이에 제공되는 접착제는 투명 접착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브라켓(13)의 접촉면(131) 두께와 상기 차폐 부재(12)의 두께의 합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이 프런트 패널(11)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차폐 부재(12)의 두께는 무시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분해 과정은 조립 과정의 역순으로 행해진다.
상기와 같은 조립 구조에 의하여, 프런트 패널(11)의 가장자리 부위가 백커버(16) 또는 다른 부재에 의하여 가려지지 않고, 외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실제보다 더 커보일 뿐 아니라, 외관이 깔끔하게 디자인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오목 렌즈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적용되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의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제공되는 프런트 패널과 영상 비표시 영역을 정의하는 차폐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경로 변경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런트 패널에 나타나는 광학 현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영상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영상 비표시 영역이 축소된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경로 변경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도로서, 광경로 변경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Claims (13)

  1.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에 결합되고, 가장자리 영역에 빛의 이동 경로를 변경시키는 광경로 변경부가 형성되는 프런트 패널;
    상기 프런트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양 측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모듈 브라켓;
    상기 모듈 브라켓의 전면에 제공되어, 영상 비표시 영역을 정의하는 차폐 부재;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는 백커버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로 변경부는 축소된 정립 허상이 맺히도록 하는 오목 렌즈 형태의 프리즘 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브라켓과 상기 백커버 사이에 개입되는 투명 소재의 미들 브라켓이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는 체결 보스가 돌출되고,
    상기 미들 브라켓은 다수 회 절곡되어, 상기 모듈 브라켓에 안착되는 안착면과, 상기 체결 보스에 안착되는 체결면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브라켓과 프런트 패널의 결합 또는 상기 모듈 브라켓과 상기 미들 브라켓의 결합 중 적어도 하나는 접착제에 의한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의 가장자리부는 전방으로 절곡되어 측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미들 브라켓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의 측면부 외측면은 상기 프런트 패널의 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정렬되거나, 상기 프런트 패널의 측면보다 내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와 상기 미들 브라켓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체결 부재에 의하여 한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브라켓은 탄성력을 가지는 금속편이고,
    다수 회 절곡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 가장자리, 배면 가장자리 및 측면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 일부가 상기 모듈 브라켓에 삽입될 때, 상기 모듈 브라켓이 벌어지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브라켓은,
    상기 프런트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부에 밀착되는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밀착되는 누름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적어도 상기 모듈 브라켓의 두께만큼 상기 프런트 패널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에 결합되고, 가장자리 영역에 빛의 이동 경로를 변경시키는 광경로 변경부가 형성되는 프런트 패널;
    상기 프런트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적어도 양 측단부를 지지하는 모듈 브라켓;
    상기 모듈 브라켓의 전면에 제공되어, 영상 비표시 영역을 정의하는 차폐 부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는 백커버; 및
    상기 모듈 브라켓과 상기 백커버 사이에 개입되며, 상기 백커버를 관통하는 체결 부재에 의하여 상기 백커버와 한몸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결합되는 투명 소재의 미들 브라켓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0024195A 2009-03-20 2009-03-20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29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195A KR101529321B1 (ko) 2009-03-20 2009-03-20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10/001427 WO2010107198A1 (ko) 2009-03-20 2010-03-08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195A KR101529321B1 (ko) 2009-03-20 2009-03-20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259A KR20100105259A (ko) 2010-09-29
KR101529321B1 true KR101529321B1 (ko) 2015-06-16

Family

ID=43009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195A KR101529321B1 (ko) 2009-03-20 2009-03-2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3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744A (ko) * 2001-04-19 2002-10-30 주식회사 토비스 평면 디스플레이의 프레임 및 그 제작방법
KR20060009515A (ko) * 2004-07-26 2006-02-0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장착 구조
KR100841318B1 (ko) * 2006-08-11 2008-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효율 개선 필터가 부착된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티브이 수신기
KR20080106604A (ko) * 2007-06-04 2008-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744A (ko) * 2001-04-19 2002-10-30 주식회사 토비스 평면 디스플레이의 프레임 및 그 제작방법
KR20060009515A (ko) * 2004-07-26 2006-02-0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장착 구조
KR100841318B1 (ko) * 2006-08-11 2008-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효율 개선 필터가 부착된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티브이 수신기
KR20080106604A (ko) * 2007-06-04 2008-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259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30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4925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492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162999A (ja) 画像表示装置ならびに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CN104503115A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EP3125022B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4012712A (ja) テーブル型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54925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2035988A1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50217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0295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2932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55821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20100120365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5010226A (ja) ホログラムディスプレイ装置
CN212965691U (zh) 一种显示装置
KR1015656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TW201719201A (zh) 光學膜及窄邊框顯示裝置
JP2018025620A (ja) 透過型スクリーン、映像表示装置
KR20100120367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16009129A (ja) 画像表示装置
KR102227116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광학 직조 부재
JP4867167B2 (ja) 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背面投射型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1010359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15821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