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048B1 - 오존처리수 내의 잔류용존오존 제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오존처리수 내의 잔류용존오존 제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9048B1 KR101529048B1 KR1020140054690A KR20140054690A KR101529048B1 KR 101529048 B1 KR101529048 B1 KR 101529048B1 KR 1020140054690 A KR1020140054690 A KR 1020140054690A KR 20140054690 A KR20140054690 A KR 20140054690A KR 101529048 B1 KR101529048 B1 KR 1015290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zone
- hydrogen peroxide
- dissolved ozone
- tank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장 또는 하수처리장 등에서 오존 처리 후 오존처리수 내에 남아 있는 잔류오존을 제거시키는 오존처리수 내의 잔류용존오존 제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오존접촉조에서 오존처리한 오존처리수가 잔류용존오존제거조의 내부로 유입되기 전에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순환수를 이용하여 용존오존을 1차적으로 제거한 후 잔류용존오존제거조에서 폭기에 의해 잔류용존오존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오존접촉조(1)에서 잔류용존오존제거조(5)로 오존처리수(2)가 유입되는 입구(5a)에 복수 개의 노즐(6)을 갖는 배관(7)을 설치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오존접촉조(1) 내의 용존오존농도를 용존오존농도계(3)가 측정함에 따라 정량의 과산화수소가 희석된 순환수(4)를 분사하는 과산화수소 주입설비(10)와, 상기 잔류용존오존제거조(5)의 하부에 수평방향을 따라 설치된 배관(21)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노즐(22)을 통해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 가압하여 폭기시키는 폭기설비(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오존접촉조(1)에서 잔류용존오존제거조(5)로 오존처리수(2)가 유입되는 입구(5a)에 복수 개의 노즐(6)을 갖는 배관(7)을 설치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오존접촉조(1) 내의 용존오존농도를 용존오존농도계(3)가 측정함에 따라 정량의 과산화수소가 희석된 순환수(4)를 분사하는 과산화수소 주입설비(10)와, 상기 잔류용존오존제거조(5)의 하부에 수평방향을 따라 설치된 배관(21)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노즐(22)을 통해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 가압하여 폭기시키는 폭기설비(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수장 또는 하수처리장 등에서 오존 처리 후 오존처리수 내에 남아 있는 잔류오존을 제거시키는 오존처리수 내의 잔류용존오존 제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Quenching장치와 탈기 및 촉매를 이용한 배오존 처리장치를 병합한 설비를 이용하여 오존 처리 후 오존처리수에 남아 있는 잔류오존이 탈기에 의해 환경기준치(0.1ppmv) 이상으로 대기 중에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존처리수 내의 잔류용존오존 제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속한 산업화로 배출되는 하수, 폐수 및 오폐수의 량은 급속히 증가하고 그와 함께 오염물의 형상도 매우 다양해지고 이의 처리를 위한 시설 또한 고도화되고 처리비용 또한 증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먹는 물에 대한 시민들의 높은 기대감으로 정수처리공정에서는 오존+활성탄 공정을 이용한 고도처리가 현재 국내에 보편화 되어 있고, 또한 물부족 국가인 우리나라도 하수처리수의 재이용 산업이 확대되면서 오존을 이용한 고도처리가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오존처리공정은 정수처리분야에서도 고도의 정수처리분야에 속하는데, 오존(ozone;O3)은 강력한 산화력으로 맛 및/또는 냄새물질,
THM(trihalomathane) 전구물질을 분해·제거, 색도 제거, 철 및 망간의 불용화, 각종 미량의 유해물질의 산화 제거할 수 있어 정수처리에서 그 활용도가 매우 광범위하다.
또한, 전술한 효과로 인하여, 국내·외에서 설치된 다수의 정수장에서 오존공정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상기 오존은 주입지점에 따라 전 오존처리(Pre-ozonation)와, 중 오존처리(Intermediate-ozonation) 그리고 후 오존처리(Post-ozonation)로 구분되는데, 전 오존처리는 취수단계에서 오존 처리하는 것을 의미하고 중 오존처리는 침전지 다음인 모래여과지 전단에 오존을 주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후 오존처리는 모래여과지 후단에 오존을 주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국내에서는 후 오존 이후에 입상활성탄공정이 연결되어 생물활성탄공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정수처리시스템에서 오존은 공기나 산소를 원료가스로 하여 오존발생기를 통해 생산되며 기체상태의 오존을 산기관(혹은 이젝터)을 통해 수중에 용해시켜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오존은 완전하게 100% 물에 용해되지 않으며, 물과 접촉되고 남은 용존오존은 밀폐형 오존접촉조 상부에서 배오존파괴기로 이송되어 처리되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존의 수질개선효과 때문에 정수처리에 많이 사용되고는 있지만, 이러한 오존기체를 장시간 흡입하면 기관지나 폐포까지 도달하여 폐기종을 야기하고, 생체물질과 반응하여 과산화물 등을 생성하여 염색체 이상 혹은 적혈구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수장의 작업자들은 기체 상의 오존에 노출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만 한다.
한국특허출원 등록 10-0890246(잔류오존을 제거하는 상향류식 오존접촉조)
그러나 현재 운영중인, 오존접촉조는 밀폐형으로 되어 있어 오존접촉조 내의 용존오존을 처리할 수 있으나 오존접촉조 이후의 공정으로 가는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에 노출된다.
즉, 잔류오존이 포함된 물이 대기 중에 노출될 때 오존가스가 휘산되는데, 후 오존공정에서는 유출수의 잔류오존농도를 0.03~0.4 mg/L 범위로 유지할 수 있게 오존을 주입하고, 오존접촉조 이후의 후단공정으로 적용될 입상활성탄지는 하향류(위에서 아래로 이동시킴)식으로 되어 있어 입상활성탄지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오존냄새가 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오존가스는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냄새를 건물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고이게 되므로 입상활성탄지 건물에서 근무하는 운영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고, 오존의 강한 부식성에 견디기 위해서는 입상활성탄지 내 금속성 구조부재들은 고가의 내식성 재질을 사용해야만 한다.
따라서 오존가스에 노출되지 않도록 입상활성탄지 상부를 복개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설비들은 그 관리와 공정운영상태를 직접적으로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정수장의 방문객 또는 작업자들에게 정수처리시설이 위험한 시설로 인식됨은 물론이고, 티오황산칼륨, 아황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등과 같은 화학약품을 주입하여 잔류오존을 제거할 수는 있으나 이를 위해서 운영비의 상승은 피할 수 없으며 화학약품의 취급과 사용으로 친환경적 방안은 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한 것으로써, 그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오존접촉조에서 오존처리한 오존처리수가 잔류용존오존제거조의 내부로 유입되기 전에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순환수를 이용하여 용존오존을 1차적으로 제거한 후 잔류용존오존제거조에서 폭기에 의해 잔류용존오존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잔류용존오존제거조에서 잔류용존오존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잉여오존가스가 발생할 경우에는 탈기된 잉여오존가스를 잔류용존오존제거조의 상부에서 포집한 다음 배오존파괴설비에 의해 완전히 제거하여 대기 중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오존접촉조에서 오존처리하고 난 오존처리수를 다음 공정인 잔류용존오존제거조로 보낼 때 오존접촉조 내의 용존오존농도를 용존오존농도계가 측정하여 설정된 농도 이상임을 감지함에 따라 잔류용존오존제거조의 입구 측으로 정량의 과산화수소가 희석된 순환수를 오존처리수 측으로 분사하여 용존오존을 제거하는 단계와, 용존오존이 제거된 오존처리수가 잔류용존오존제거조로 유입됨에 따라 잔류용존오존제거조의 하부에서 대기 중의 공기를 브로어로 흡입, 가압하여 폭기시켜 잔류용존오존을 강제로 탈기시키는 단계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오존처리수에 함유된 잔류용존오존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처리수 내의 잔류용존오존 제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오존접촉조에서 잔류용존오존제거조로 오존처리수가 유입되는 입구에 복수 개의 노즐을 갖는 배관을 설치함과 함께 오존접촉조 내의 용존오존농도를 용존오존농도계가 측정하여 설정된 농도 이상임을 감지함에 따라 잔류용존오존제거조의 입구 측으로 상기 노즐을 통해 정량의 과산화수소가 희석된 순환수를 분사하는 과산화수소 주입설비와, 상기 잔류용존오존제거조의 하부에 수평방향을 따라 설치된 배관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노즐을 통해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 가압하여 폭기시키는 폭기설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처리수 내의 잔류용존오존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오존접촉조에서 오존처리하고 난 오존처리수가 잔류용존오존제거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용존오존을 1차 처리한 다음 잔류용존오존제거조에서 이를 폭기시켜 잔류용존오존을 2차 제거한 후 배오존파괴설비에서 완전 제거함으로 용존오존이 환경기준치(0.1ppmv) 이상으로 대기 중에 방출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둘째, 오존처리에 따라 발생된 용존오존의 완전 제거가 가능하므로 용존오존으로 인해 운영자(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됨은 물론이고 용존오존에 의해 여과지 내의 장비가 부식되는 현상 또한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셋째, 티오황산칼슘 또는 아황산나트륨 등과 같은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정수처리시설을 친환경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정수처리시설의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오존접촉조 및 잔류용존오존제거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2는 본 발명의 오존접촉조 및 잔류용존오존제거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오존접촉조 및 잔류용존오존제거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써, 본 발명은 오존접촉조(1) 내의 오존처리수(2)의 용존오존농도를 용존오존농도계(3)가 측정하여 설정된 농도 이상임을 감지함에 따라 정량의 과산화수소가 희석된 순환수(4)를 오존처리수 측으로 분사하도록 오존처리수(2)가 유입되는 잔류용존오존제거조(5)의 입구에 복수 개의 노즐(6)을 갖는 배관(7)을 설치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순환수를 분사하는 과산화수소 주입설비(10)와, 상기 잔류용존오존제거조(5)의 하부에 수평방향을 따라 설치된 배관(21)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노즐(22)을 통해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 가압하여 폭기시키는 폭기설비(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산화수소 주입설비(10)는, 과산화수소가 저장되는 과산화수소 저장탱크(11)와, 상기 과산화수소 저장탱크(11)에 배관(12)으로 연결되어 과산화수소 저장탱크(11) 내의 과산화수소를 펌핑하는 과산화수소 주입펌프(13)와, 상기 과산화수소 주입펌프에 의해 펌핑된 과산화수소의 유량을 나타내는 유량계(14)와, 상기 잔류용존오존제거조(5) 내의 혼화수(8)를 배관(7) 측으로 펌핑하는 혼화수 순환펌프(15)와, 상기 배관(7)(12)의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과산화수소 및 혼화수(8)를 믹싱하는 믹서(1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폭기설비(20)는, 잔류용존오존제거조(5)의 바닥에 설치된 배관(21)과, 상기 배관(21)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폭기시키는 노즐(22)과, 상기 배관에 또 다른 배관(23)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 가압하는 브로어(24)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잔류용존오존제거조(5)의 상부에 배오존파괴설비(30)를 배관(31)으로 연결하여 잔류용존오존제거조(5)의 상부에 모인 잉여오존가스(32)를 배오존파괴설비(30)의 배오존파괴기(33)에서 제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잔류용존오존제거조(5)에서 잔류용존오존이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여 발생되는 잉여오존가스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배오존파괴설비(30)로는, 상기 잉여오존가스(32)에 포함된 포화농도이상의 수분을 제거하는 데미스터(34)와, 상기 잉여오존가스를 가열하는 히터챔버(35)와, 상기 잉여오존가스를 촉매에 의해 산소로 환원시켜 제거하는 반응촉매탑(36)과, 환원된 산소를 대기 중으로 강제 배출하는 송풍기(37)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존접촉조(1)에서 오존처리수(2)를 오존처리하는 과정은 종래의 방법과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100)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오존접촉조(1)에서 오존처리하고 난 오존처리수를 다음 공정인 잔류용존오존제거조(5)로 보내기 전에 오존접촉조(1) 내의 용존오존농도를 용존오존농도계(3)가 측정하게 된다.(S200)
이와 같이 용존오존농도계(3)가 오존접촉조(1) 내의 용존오존의 농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농도 이상임을 감지하면 잔류용존오존제거조(5)의 입구(5a)에서 노즐(6)을 통해 정량의 과산화수소가 희석된 순환수(4)를 오존처리수 측으로 분사하여 오존처리수에 남아있던 용존오존을 기준치 이하가 되게 제거하게 된다.(S300)
즉, 과산화수소가 희석된 순환수(4)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6)을 통해 잔류용존오존제거조(5)로 유입되는 오존처리수(2) 측으로 분사되면 과산화수소의 짝염기인 HO2-는 오존을 분해할 수 있는 반응유발물질(촉매)로 작용하여 수산화기보다 훨씬 빠르게 오존을 분해하는데, 이를 화학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O3 + H2O2 → 2OH- + 3O2
상기 화학식에서 확인되듯이 화학양론식에서 2몰의 오존과 1몰의 과산화수소가 반응하여 2몰의 OH라디컬과 3몰의 O2로 분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에서 과산화수소 저장탱크(11)에 저장되는 과산화수소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30 ∼ 40중량%이다.
상기 과산화수소의 주입율은 오존처리수의 온도에 따라 달라짐에 따라 반응비는,
용존오존 : 과산화수소 = 1 : 0.3(평상시) ∼ 10배(겨울철)이다.
상기 반응비는 이론적 반응비 및 실험에 의한 결과치로써, 용존오존농도가 0.12ppm 기준으로 계산할 때, 과산화수소 원액기준으로 한 과산화수소량은 0.12 × 0.3 ∼ 0.12 × 10 = 0.036 ∼ 1.2ppm 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원리에 의해 용존오존이 제거된 오존처리수가 잔류용존오존제거조(5)의 내부로 유입되면 오존처리수에는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순환수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잔류용존오존이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잔류용존오존처리조(5)에서 오존처리수 내의 잔류용존오존을 처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용존오존이 제거된 오존처리수가 잔류용존오존제거조(5)로 유입됨에 따라 잔류용존오존제거조(5)의 하부에서 대기 중의 공기를 브로어(24)로 흡입, 가압하면 배관(23)을 통해 노즐(22)로 분사되어 잔류용존오존이 포함된 오존처리수를 폭기시켜 오존처리수에 남아 있던 잔류용존오존을 강제로 탈기시키는데, 이 때 공기유입량은 물 1m3 당 공기 1m3/hr(하수도시설 기준유량 조정조 교반장치)이지만, 반응을 위한 폭기강도는 일반적으로 2배를 적용하므로 물 1m3 당 공기 2m3/hr을 공급하게 된다.(S400)
예를 들어, 100m3의 잔류용존오존제거조(5)일 경우에는,
100m3 × 2m3/hr = 200m3/hr이다.
그러나 전술한 과정을 거치더라도 상기 잔류용존오존제거조(5)에서 오존처리수를 폭기시켜 잔류용존오존을 제거하더라도 잔류용존오존처리조(5)의 내부에 탈기된 잉여오존가스(32)가 발생되면 발생된 잉여오존가스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이를 포집하여 완전히 제거시켜야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잔류용존오존제거조(5)의 상부공간으로 모인 잉여오존가스(32)를 배오존파괴설비(30)로 강제 흡입하여 파괴시킨 후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게 된다.(S500)
즉, 잔류용존오존제거조(5)의 상부공간으로 모인 잉여오존가스(32)가 배관(31)을 통해 배오존파괴설비(30)의 데미스터(34)를 통과하면서 포화농도 이상의 수분을 1차적으로 제거한 다음 배오존파괴기(33)의 히터챔버(35)에서 약 50℃로 가열하는데, 이는 후 공정인 반응 촉매탑(36)에서 잉여오존가스(32)를 제거할 때 반응 촉매탑(36)의 내부 여재인 촉매(도시는 생략함)에 결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반응 촉매탑(36)에서 내부 여재인 촉매(Manganese dioxide / Copper oxide)에 의해 잉여오존가스(32)는 산소로 환원되어 환경기준 오존농도(0.1oom) 이하로 처리되어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오존접촉조 2 : 오존처리수
3 : 용존오존농도계 4 : 순환수
5 : 잔류용존오존처리조 6, 22 : 노즐
7, 12, 23, 31 :배관 10 : 과산화수소 주입설비
11 : 과산화수소 저장탱크 13 : 과산화수소 주입펌프
15 : 혼화수 순환펌프 16 : 믹서
20 : 폭기설비 30 : 배오존파괴설비
32 : 잉여오존가스 33 : 배오존파괴기
34 : 데미스터 35 : 히터챔버
36 : 반응 촉매탑 37 : 송풍기
3 : 용존오존농도계 4 : 순환수
5 : 잔류용존오존처리조 6, 22 : 노즐
7, 12, 23, 31 :배관 10 : 과산화수소 주입설비
11 : 과산화수소 저장탱크 13 : 과산화수소 주입펌프
15 : 혼화수 순환펌프 16 : 믹서
20 : 폭기설비 30 : 배오존파괴설비
32 : 잉여오존가스 33 : 배오존파괴기
34 : 데미스터 35 : 히터챔버
36 : 반응 촉매탑 37 : 송풍기
Claims (10)
- 오존접촉조(1)에서 오존처리하고 난 오존처리수(2)를 다음 공정인 잔류용존오존제거조(5)로 보낼 때 오존접촉조(1) 내의 용존오존농도를 용존오존농도계(3)가 측정하여 설정된 농도 이상임을 감지함에 따라 잔류용존오존제거조(5)의 입구(5a) 측으로 정량의 과산화수소가 희석된 순환수(4)를 오존처리수(2) 측으로 분사하여 잔류용존오존을 제거하는 단계와, 용존오존이 제거된 오존처리수가 잔류용존오존제거조(5)로 유입됨에 따라 잔류용존오존제거조(5)의 하부에서 대기 중의 공기를 브로어(24)로 흡입, 가압하여 폭기시켜 잔류용존오존을 강제로 탈기시키는 단계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오존처리수(2)에 함유된 잔류용존오존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처리수 내의 잔류용존오존 제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잔류용존오존제거조(5)에서 탈기된 잉여오존가스(32)를 배오존파괴설비(30)로 강제 흡입하여 파괴시킨 후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처리수 내의 잔류용존오존 제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잔류용존오존제거조(5)로 유입되는 입구에서 30-40중량%농도의 과산화수소가 혼합된 순환수(4)를 오존처리수(2) 측으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처리수 내의 잔류용존오존 제거방법.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 주입율의 반응비는 용존오존 : 과산화수소일 때, 1 : 0.3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처리수 내의 잔류용존오존 제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잔류용존오존제거조(5)에서 잔류용존을 제거하는 단계에서 오존처리수 1㎥ 당 주입되는 공기량이 2㎥/hr되는 폭기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처리수 내의 잔류용존오존 제거방법.
- 오존접촉조(1)에서 잔류용존오존제거조(5)로 오존처리수(2)가 유입되는 입구(5a)에 복수 개의 노즐(6)을 갖는 배관(7)을 설치함과 함께 오존접촉조(1) 내의 용존오존농도를 용존오존농도계(3)가 측정하여 설정된 농도 이상임을 감지함에 따라 잔류용존오존제거조(5)의 입구(5a) 측으로 상기 노즐(6)을 통해 정량의 과산화수소가 희석된 순환수(4)를 분사하는 과산화수소 주입설비(10)와, 상기 잔류용존오존제거조(5)의 하부에 수평방향을 따라 설치된 배관(21)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노즐(22)을 통해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 가압하여 폭기시키는 폭기설비(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처리수 내의 잔류용존오존 제거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 주입설비(10)는, 과산화수소가 저장되는 과산화수소 저장탱크(11)와, 상기 과산화수소 저장탱크(11)에 배관(12)으로 연결되어 과산화수소 저장탱크(11) 내의 과산화수소를 펌핑하는 과산화수소 주입펌프(13)와, 상기 과산화수소 주입펌프에 의해 펌핑된 과산화수소의 유량을 나타내는 유량계(14)와, 상기 잔류용존오존제거조(5) 내의 혼화수(8)를 배관(7) 측으로 펌핑하는 혼화수 순환펌프(15)와, 상기 배관(7)(12)의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과산화수소 및 혼화수(8)를 믹싱하는 믹서(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처리수 내의 잔류용존오존 제거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폭기설비(20)는, 잔류용존오존제거조(5)의 바닥에 설치된 배관(21)과, 상기 배관(21)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폭기시키는 노즐(22)과, 상기 배관에 또 다른 배관(23)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 가압하는 브로어(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처리수 내의 잔류용존오존 제거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잔류용존오존제거조(5)의 상부에 배오존파괴설비(30)를 배관(31)으로 연결하여 잔류용존오존제거조(5)의 상부에 모인 잉여오존가스(32)를 배오존파괴설비(30)의 배오존파괴기(33)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처리수 내의 잔류용존오존 제거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배오존파괴설비(30)는, 상기 잉여오존가스(32)에 포함된 포화농도이상의 수분을 제거하는 데미스터(34)와, 상기 잉여오존가스를 가열하는 히터챔버(35)와, 상기 잉여오존가스를 촉매에 의해 산소로 환원시켜 제거하는 반응 촉매탑(36)과, 환원된 산소를 대기 중으로 강제 배출하는 송풍기(3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처리수 내의 잔류용존오존 제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4690A KR101529048B1 (ko) | 2014-05-08 | 2014-05-08 | 오존처리수 내의 잔류용존오존 제거방법 및 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4690A KR101529048B1 (ko) | 2014-05-08 | 2014-05-08 | 오존처리수 내의 잔류용존오존 제거방법 및 그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29048B1 true KR101529048B1 (ko) | 2015-06-19 |
Family
ID=53519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4690A KR101529048B1 (ko) | 2014-05-08 | 2014-05-08 | 오존처리수 내의 잔류용존오존 제거방법 및 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9048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9795A (ko) | 2017-11-23 | 2019-05-31 | 차태영 | 잉여 오존가스 제거장치 |
KR20200003473A (ko) | 2018-07-02 | 2020-01-10 | 주식회사 페스텐 | 플라즈마 발생기의 오존 및 슬러지 처리 시스템 |
KR102210131B1 (ko) * | 2020-07-22 | 2021-01-29 | 한문조 |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 |
RU2809452C1 (ru) * | 2023-02-28 | 2023-12-11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Сибир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агробиотехнологий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СФНЦА РАН) | Способ нейтрализации токсичных газов из воздуха, удаляемого из животноводческого помещения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3567A (ja) * | 1997-07-25 | 1999-02-09 | Meidensha Corp | オゾン分解方法とその装置 |
KR20110021243A (ko) * | 2009-08-25 | 2011-03-04 |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환원성 폐수를 이용한 배오존 처리방법 |
-
2014
- 2014-05-08 KR KR1020140054690A patent/KR1015290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3567A (ja) * | 1997-07-25 | 1999-02-09 | Meidensha Corp | オゾン分解方法とその装置 |
KR20110021243A (ko) * | 2009-08-25 | 2011-03-04 |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환원성 폐수를 이용한 배오존 처리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9795A (ko) | 2017-11-23 | 2019-05-31 | 차태영 | 잉여 오존가스 제거장치 |
KR102024871B1 (ko) | 2017-11-23 | 2019-09-24 | 차태영 | 잉여 오존가스 제거장치 |
KR20200003473A (ko) | 2018-07-02 | 2020-01-10 | 주식회사 페스텐 | 플라즈마 발생기의 오존 및 슬러지 처리 시스템 |
KR102210131B1 (ko) * | 2020-07-22 | 2021-01-29 | 한문조 |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 |
RU2809452C1 (ru) * | 2023-02-28 | 2023-12-11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Сибир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агробиотехнологий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СФНЦА РАН) | Способ нейтрализации токсичных газов из воздуха, удаляемого из животноводческого помещения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96949B2 (ja) | スラッジ処理の方法 | |
KR20060104476A (ko) | 오존 용해 산화 장치를 이용한 고도 수 처리장치 | |
KR101529048B1 (ko) | 오존처리수 내의 잔류용존오존 제거방법 및 그 장치 | |
US8308146B2 (en) | Gaseous effluent treatment apparatus | |
CN104355389B (zh) | 一种去除水中难降解有机物的方法和装置 | |
RU2442754C2 (ru) |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подземных вод от железа и марганца и малогабарит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
JP5808663B2 (ja) | 廃水中の1,4−ジオキサンの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 |
JP2001205277A (ja) | 水中の難分解性有機化合物の除去方法および装置 | |
CN109264845A (zh) | 一种反渗透浓水有机物和氨氮同时去除的装置及方法 | |
CN104710077B (zh) | 合成橡胶废水的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 |
KR101646192B1 (ko) | 인산 용액의 오염 물질 제거 방법 및 플랜트 | |
JP2005074409A (ja) | 1,4−ジオキサンの処理方法 | |
KR20090083141A (ko) | 폐수의 암모니아 제거방법 | |
KR102098338B1 (ko) | 활성탄흡착지 오존가스 제거를 위한 환기시스템 | |
JP5183538B2 (ja) | 余剰汚泥減量装置 | |
CN103420539A (zh) | 一体式污水处理装置及方法 | |
CN103848494B (zh) | 一种降低有机胺脱硫工艺废水中cod浓度的方法和处理系统 | |
KR101003268B1 (ko) | 폐수의 암모니아 처리장치 | |
JP5200224B2 (ja) | 水処理装置 | |
CN106608673B (zh) | 一种利用气液冲击混合反应系统降低废水中可溶性杂质含量的方法 | |
JPH04135694A (ja) | 水処理装置 | |
KR101003220B1 (ko) | 폐수의 암모니아 제거장치 | |
JP2011041868A (ja) | 有機物含有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 |
CN107758936A (zh) | 一种含氨有机废水处理装置与处理方法 | |
JPS6328429A (ja) | 弗素,過酸化水素含有廃水及び排ガスの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