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131B1 -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131B1
KR102210131B1 KR1020200090696A KR20200090696A KR102210131B1 KR 102210131 B1 KR102210131 B1 KR 102210131B1 KR 1020200090696 A KR1020200090696 A KR 1020200090696A KR 20200090696 A KR20200090696 A KR 20200090696A KR 102210131 B1 KR102210131 B1 KR 102210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ated carbon
ozone
slide
carbon paper
sl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문조
홍성오
이성우
박민철
강신욱
손두정
엄세준
Original Assignee
한문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문조 filed Critical 한문조
Priority to KR1020200090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6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71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not provided for in B01D53/8603 - B01D53/8668
    • B01D53/8675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유입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활성탄이 내부에 배치된 활성탄지의 오존 가스에 대한 파괴 및 환기를 위한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은, 상기 활성탄지의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식 후드와, 상기 활성탄지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식 후드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활성탄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슬라이드식 덮개와, 상기 슬라이드식 덮개가 상기 활성탄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활성탄지의 양 변에 상기 활성탄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과, 상기 고정식 후드에 연결되어 상기 활성탄지로부터 배출되는 오존 가스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오존 가스에서 수분을 분리해내기 위한 데미스터와, 상기 데미스터에 의해 수분이 분리된 오존 가스를 촉매로 분해하는 촉매탑;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A SYSTEM FOR TREATMENT AND VENTILATION FOR EXCESS OZONE}
본 발명은 배오존 파괴 및 환기와 관련되며, 구체적으로는 정수장 처리 시설 등에서 정수장의 소독 후 물속에 잔존하는 잉여 오존을 활성탄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활성탄지에서의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과 관련된다.
정수장 처리 시설 등에서 소독을 위해 주입되는 오존은 소독 후 잔존하게 된다. 오존처리공정(고도처리공정)에서 사용된 후 잔존하는 오존의 처리를 위해, 활성탄 흡착법, 열분해법, 촉매법 및 NaOH 법 등 다양한 처리 방법이 있다.
시설용량이나 처리 환경에 따라서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오존처리공정에서 사용된 후 잔존하는 오존(이하에서는 이를 '배오존' 이라 함)은 대체로 100 ~ 3,000ppmv(parts per million volume) 정도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배오존이 인체에 유해하지 않기 위해서는 8시간 평균치 0.06ppmv 이하로 분해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오존에 관한 관련법규, 고시 및 기준 등도 마련되고 있다. 예컨대, 오존의 대기환경기준을 마련하고 있는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제2조, 오존을 포함한 위험물질 및 관리대상 유해물질을 지정하고 있는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84조, 관리대상 유해물질의 종류(가스 상태 물질류 15종 중 오존 포함)를 지정하고 있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420조, 및 관리대상 유해물질의 종류별 산업환경 허용농도치를 규정하고 있는 고용노동부 고시 및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 등이 그것이다.
활성탄흡착지를 이용한 기존의 배오존 처리 기술의 일 예는 대한민국등록특허 10-2098338(2020.04.01. 등록, 이하 '종래기술 1')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 1에 개시된 활성탄흡착지(또는 활성탄지) 오존가스 제거를 위한 환기시스템은, 외부의 모래여과지나 오존접촉지의 전처리 후 유입수로를 통해 유입되는 처리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흡착하도록 그 내부에 활성탄층이 형성된 활성탄흡착지의 오존가스 제거를 위한 환기시스템으로서, 활성탄흡착지에 설치되어, 활성탄흡착지의 오존가스를 유입수로로 모으는 흡기구, 유입수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입수로로 모인 오존가스를 배기팬으로 전달하는 연결배관, 연결배관으로 전달된 오존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관을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활성탄흡착지 유입수로를 덕트로 활용하여 오존가스를 포집하는 덕트리스 방식을 구현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 1에서는 환기유량에 맞도록 적절한 설계가 이뤄지기 어렵고, 수분이 존재함으로 인해 처리시설의 오존 제거 성능이 그다지 높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배오존 환기장치에 관한 예들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배오존 환기 장치는 활성탄지(1)의 상부 외곽을 따라 덕트(2)를 설치하여, 이를 통해 환기시키는 방식이다. 이 경우, 배오존의 환기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게 되고, 그 결과 실내 오존 축적으로 인해 작업자들의 호흡 곤란을 초래하거나 불편함을 호소하는 문제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배오존 환기 장치는, 활성탄지의 상부에 덮개(3, 4)를 설치하여 실내 오존 축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방식이다. 도 2의 (a)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덮개(3)를 개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창 형태로 개방할 수 있도록 환기 장치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창 형태의 덮개(3)의 설치에 따른 비용의 상승이나, 작업자가 덮개를 개방하고자 할 때 어려움이 따른다. 뿐만 아니라, 도 1과 같이 활성탄지가 완전히 개방된 형태에 비해, 활성탄을 끄집어 내는 작업시 어려움이 따른다.
한편, 도 2의 (b)와 같이 활성탄지를 완전히 덮도록 덮개(4)를 설치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활성탄을 끄집어 내는 작업을 위해, 덮개를 분리해내고, 활성탄을 교체한 후 다시 결합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여러 가지 배오존 환기 장치들에 있어서는, 부적절한 덕트 및 후드 설치로 인해 전체 환기가 불가능하고, 실내 오존 축적으로 인해 작업자들의 호흡곤란이나 불편함이 따르고, 실내에 음압이 발생하며, 덮개의 부적절한 설계로 활성탄지 내부에 음압이 발생하고, 잘못 설계된 덮개 크기로 인해 활성탄 교체시 어려움이 따르며, 오존 환기의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배오존 환기 장치들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이 기술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2098338(2020.04.01.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배오존 환기 장치들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 즉, 부적절한 덕트 및 후드 설치로 인해 전체 환기가 불가능하고, 실내 오존 축적으로 인해 작업자들의 호흡곤란이나 불편함이 따르고, 실내에 음압이 발생하며, 덮개의 부적절한 설계로 활성탄지 내부에 음압이 발생하고, 잘못 설계된 덮개 크기로 인해 활성탄 교체시 어려움이 따르며, 오존 환기의 어려움이 따르는 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은, 유입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활성탄이 내부에 배치된 활성탄지의 오존 가스에 대한 파괴 및 환기를 위한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활성탄지의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식 후드, 상기 활성탄지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식 후드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활성탄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슬라이드식 덮개, 상기 슬라이드식 덮개가 상기 활성탄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활성탄지의 양 변에 상기 활성탄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 상기 고정식 후드에 연결되어 상기 활성탄지로부터 배출되는 오존 가스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덕트, 상기 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오존 가스에서 수분을 분리해내기 위한 데미스터, 및 상기 데미스터에 의해 수분이 분리된 오존 가스를 촉매로 분해하는 촉매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덕트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식 후드에 대하여 탈부착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식 덮개는, 제1 슬라이드 유닛 및 제2 슬라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의 일부 구간이 상기 고정식 후드 내에 삽입되거나 상기 고정식 후드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활성탄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레일을 통해 위치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활성탄지의 일부 구간을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슬라이드 유닛의 적어도 일부 구간이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 내에 삽입되도록 상기 활성탄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레일을 통해 위치이동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식 덮개는, 복수 개의 슬라이드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슬라이드 유닛들은 상기 한 쌍의 레일을 통해 상기 활성탄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드식 덮개의 전체 길이가 가변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식 덮개는 복수 개의 슬라이드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슬라이드 유닛들은 상기 한 쌍의 레일을 통해 상기 활성탄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활성탄지의 일부 구간을 개방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고정식 후드, 상기 슬라이드식 덮개, 상기 한 쌍의 레일, 및 상기 덕트는 활성탄지 실내에 배치되고, 상기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은, 상기 활성탄지 실내에서 오존의 누적으로 인한 압력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실내 압력 측정부, 및 상기 실내 압력 측정부에서 측정된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존 경보 발생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레일 각각은,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제1 레일 홈과 상기 제2 슬라이드 유닛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제2 레일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제1 레일 홈에 삽입되는 제1 레일 홈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제2 레일 홈에 삽입되는 제2 레일 홈 삽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단 슬라이드 후드가 장착된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배오존 환기 장치들에 있어서, 부적절한 덕트 및 후드 설치로 인해 전체 환기가 불가능한 문제점, 실내 오존 축적으로 인해 작업자들의 호흡곤란이나 불편함, 실내에 음압이 발생하는 문제점, 덮개의 부적절한 설계로 활성탄지 내부에 음압이 발생하는 문제점, 잘못 설계된 덮개 크기로 인해 활성탄 교체시의 어려움, 그리고 오존 환기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배오존 환기장치에 관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활성탄지 상부에 위치한 고정식 후드, 슬라이드식 덮개 및 레일의 위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각각에 대응되는 고정식 후드 및 슬라이드식 덮개를 구비한 복수 개의 활성탄지들의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3에서 활성탄지 상부에 위치한 고정식 후드, 슬라이드식 덮개 및 레일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활성탄지 상부에서 고정식 후드, 슬라이드식 덮개 및 레일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고정식 후드, 슬라이드식 덮개, 및 레일의 분해도이고,
도 10은 도 6에서 I - I 라인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하여 활성탄지 실내의 오존 상황, 및 배출구 측의 오존 상황을 실시간으로 기록, 모니터링 및 처리할 수 있는 실시간 기록 및 처리부(150)의 블록도이다.
배오존 파괴 시스템에 있어서, 특히 활성탄 흡착법의 경우, 열분해법이나 촉매법 등에 비해 소용량, 저농도의 오존에 적합하며, 설비의 유지보수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어, 일반적으로 수처리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은, 종래의 활성탄 흡착법을 이용하는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부적절한 덕트 및 후드 설치로 인해 전체 환기가 불가능한 문제점, 실내 오존 축적으로 인해 작업자들의 호흡곤란이나 불편함, 실내에 음압이 발생하는 문제점, 덮개의 부적절한 설계로 활성탄지 내부에 음압이 발생하는 문제점, 잘못 설계된 덮개 크기로 인해 활성탄 교체시의 어려움, 그리고 오존 환기의 어려움 등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내에서의 배오존 파괴는 배오존 처리를 의미하는 현장 용어임에 유의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도면들 및 실시예들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간략화되고 예시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활성탄지 상부에 위치한 고정식 후드, 슬라이드식 덮개 및 레일의 위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각각에 대응되는 고정식 후드 및 슬라이드식 덮개를 구비한 복수 개의 활성탄지들의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3에서 활성탄지 상부에 위치한 고정식 후드, 슬라이드식 덮개 및 레일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활성탄지 상부에서 고정식 후드, 슬라이드식 덮개 및 레일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고정식 후드, 슬라이드식 덮개, 및 레일의 분해도이고, 도 10은 도 6에서 I - I 라인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다만, 도 10에서 산기관 장치(12, 13)는 이해를 돕기 위해 단면에 추가로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11은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하여 활성탄지 실내의 오존 상황, 및 배출구 측의 오존 상황을 실시간으로 기록, 모니터링 및 처리할 수 있는 실시간 기록 및 처리부(150)의 블록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100)은, 크게, 환기 장치(110)와 처리 장치(120)로 나눠볼 수 있다.
환기 장치(110)는 활성탄지 상부에서 덕트(114a, 114b, 이하 총괄하여 114라 함)를 이용하여, 활성탄지(10a, 10b, 이하 총괄하여 10이라 함)의 상부로 배출되는 오존 가스를 내보내기 위한 구성요소이고, 처리 장치(120)는 덕트(114)를 통해 나오는 오존 가스를 촉매 반응을 이용하여 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환기 장치(110)는 고정식 후드(111a, 111b, 이하 총괄하여 111이라 함), 슬라이드식 덮개(112a, 112b, 이하 총괄하여 112라 함), 레일(도 3 참조, 113a1, 113a2, 이하 총괄하여 113이라 함), 및 덕트(114)를 포함하고, 처리 장치(120)는 데미스터(121) 및 촉매탑(122)을 포함한다.
고정식 후드(111)는 활성탄지(10)의 상부에 배치되며 활성탄지(10)의 상부 중 일부 구간을 덮는다. 본 명세서 내에서 일부 구간이라는 용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도 6의 직각 좌표계에서 X 축 방향)으로의 구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고정식 후드(111)는 슬라이드식 덮개(112)와는 다르게 고정되어 있으며, 오존 가스의 배출 통로를 제공하는 덕트(114)는 이러한 고정식 후드(111)에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드식 덮개(112)는 활성탄지(10)의 상부에서 고정식 후드(111)의 후단에 배치되고, 활성탄지(10)의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레일(113) 위를 따라서 이동가능하다. 슬라이드식 덮개(112)의 구체적인 예는 도 4 및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된다.
고정식 후드(111)와 슬라이드식 덮개(112) 전체는 활성탄지(10)의 상부 전체를 덮도록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활성탄지(10) 내부의 활성탄을 교체하고자 할 때, 슬라이드식 덮개(112)를 한 쌍의 레일(113)을 따라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활성탄지(10)의 상부를 개방하여 활성탄지 교체 작업이나 활성탄지 내부 정화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이 활성탄지의 상부 전체를 개방시키고 그 둘레에 덕트를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배오존 파괴 및 환기의 미흡, 그리고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이 덮개로 활성탄지 상부 전체를 덮는 경우에 있어서의 활성탄지 내부 음압 발생 문제 그리고 활성탄 교체 작업의 어려움 등의 문제를 본 발명의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은 해결할 수 있다.
한 쌍의 레일(113)은 슬라이드식 덮개(112)가 활성탄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활성탄지(10)의 양 변에 활성탄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즉, 한 쌍의 레일(113)은, 활성탄지(10)의 상부 전체를 덮거나 필요에 따라 일부 구간을 개방시키고자 할 때, 슬라이드식 덮개(112)를 길이 방향으로 쉽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해준다. 따라서, 슬라이드식 덮개(112)는, 하단부의 간격이 한 쌍의 레일(113)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덕트(114)는 고정식 후드(111)에 연결되어 활성탄지(10)로부터 배출되는 오존 가스의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덕트(114)는 활성탄지들(10a, 10b) 각각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즉, 활성탄지(10a)의 고정식 후드(111a)에 덕트(114a)가 연결되고, 활성탄지(10b)의 고정식 후드(111b)에 덕트(114b)가 연결되어 활성탄지들(10a, 10b 각각으로부터의 배오존을 처리부(120) 측으로 배출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덕트(114)는 활성탄지 실내(115) 공간의 상황에 따라 길이나 방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방향조절도 가능하도록 플렉서블하게 형성된다. 예컨대,곡선 구간과 연결부를 제외한 부분에서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덕트(114)는 고정식 후드(111)에 대하여 탈부착 가능하다.
다음으로, 처리 장치(120)의 데미스터(121)는 덕트(114)를 통해 배출되는 오존 가스(배오존)에서 수분을 분리해내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활성탄지(10)의 상부로 나오는 배오존은 기본적으로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므로, 촉매탑(122)에서의 촉매 반응을 위해서는 사전에 수분을 분리해낼 필요가 있다.
촉매탑(122)은 데미스터(121)에 의해 수분이 분리된 오존 가스를 촉매를 이용하여 분해하는 구성요소이다. 촉매탑(122)에서는 이산화망간 계열의 촉매를 이용하여 오존을 분해할 수 있다. 이산화망간 촉매를 이용한 오존분해 메커니즘은 이하와 같이 정리된다.
O3 + * → O2 + O*
O3 + * → O2 + O2*
O2* → O2 + *
* : 이산화망간 촉매활성점
특히, 이산화망간 촉매의 경우, 대체로 450℃까지의 내열성을 가지므로 고온에서 실활되지 않고 촉매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수분이 액적으로 응축(과포화)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습한 공기중의 오존도 잘 분해하는 특성이 있다.
도 3에서 참조부호 12a, 12b 및 13은 활성탄지(10) 내에서 버블 발생을 위한 산기관 장치이다. 산기관 장치에서 버블 발생을 위한 호스(또는 노즐)는 활성탄지(10) 각각에서 활성탄(11a, 11b)의 하부에 위치한다. 주기적으로(예컨대, 몇 주, 1 ~ 2개월 단위), 활성탄지(10)의 활성탄(11a, 11b)에 흡착된 오존 가스를 배출할 필요가 있을 시, 산기관 장치(12a, 12b, 13)가 가동된다.
또한, 활성탄지(10)와 함께 활성탄지(10)의 상부에서 고정식 후드(111), 슬라이드식 덮개(112), 한 쌍의 레일(113) 및 덕트(114)가 위치한 활성탄지 실내(115)에서, 고정식 후드(111), 슬라이드식 덮개(112) 및 덕트(114)를 통해 포집되지 않는 오존 가스의 누적으로 인한 활성탄지 실내(115)의 압력 변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활성탄지 실내(115)에 실내 압력 측정부(132)가 구비되고, 실내 압력 측정부(132)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 미리 설정된 일정 압력 수준 이상인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존 경보 발생부(131a, 131b)가 더 구비된다. 실내 압력 측정부(132), 그리고 활성탄(11a, 11b)의 역세척을 위한 산기관 장치(12a, 12b, 13)의 작동과 동시에 활성탄지 실내(115)에 배치된 송풍기를 최대로 가동하여, 오존 가스의 누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활성탄지(10)에서 발생되는 잉여 오존 가스를 파괴 및 환기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다단 슬라이드로 개폐가 가능하게 형성된 덮개와, 플렉서블한 배관 재질로 제작된 덕트 등으로 구성된 환기 장치(110)와, 배오존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 장치(120)로 구성된다. 또한, 환기 장치(110) 측의 활성탄지 실내(115)에는 오존 유출 감지를 위한 실내 압력 측정부(132) 및 오존 경보 발생부(131a, 131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환기 장치(110) 및 처리 장치(120)를 자동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실시간 데이터를 기록하는 사물 인터넷(IoT)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배출구, 즉 활성탄지 실내(115)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의 오존 농도를 기록하는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이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음으로, 도 4,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에서의 환기 장치(11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도 3에서 좌측에 위치한 활성탄지(10a)의 구성에 대해 예시한 것이므로 참조부호들도 그에 대응되게 넘버링되어 있으며(예컨대, 111a, 112a, 113a1, 113a2, 114a 등), 도 6 내지 도 8에서는 별도로 구별하지 않고 총괄한 참조부호로 넘버링되어 있다(예컨대, 111, 114 등).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덕트(114a)가 연결된 고정식 후드(111)의 후단에 위치한 슬라이드식 덮개(112a)는 제1 슬라이드 유닛(112a1) 및 제2 슬라이드 유닛(112a2)을 포함한다.
제1 슬라이드 유닛(112a1)은, 제1 슬라이드 유닛(112a1)의 일부 구간이 고정식 후드(111) 내에 삽입되거나 고정식 후드(111)로부터 분리되도록 활성탄지(1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레일(113a1, 113a2)을 통해 위치 이동가능하다. 즉, 제1 슬라이드 유닛(112a1)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시 그 일부가 고정식 후드(111) 내에 삽입된다. 이와는 반대로 제1 슬라이드 유닛(112a1)이 우측으로 이동시 활성탄지(10a)의 상부의 일부 구간을 개방시킬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유닛(112a1)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슬라이드 유닛(112a1)이 제2 슬라이드 유닛(112a2)의 외곽으로 이동하여, 제1 슬라이드 유닛(112a1)이 제2 슬라이드 유닛(112a2)의 일부 구간을 덮게 된다. 여기서, 길이 방향은 x 축 방향(도 6 참조)을 의미한다.
한편, 제2 슬라이드 유닛(112a2)은 제1 슬라이드 유닛(112a1)과는 독립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가능하다. 즉, 제2 슬라이드 유닛(112a2)은, 활성탄지(10a)의 일부 구간을 개방시키기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시 제2 슬라이드 유닛(112a2)의 적어도 일부 구간이 제1 슬라이드 유닛(112a1)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제2 슬라이드 유닛(112a2)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한 쌍의 레일(113a1, 113a2)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슬라이드 유닛(112a1) 및 제2 슬라이드 유닛(112a2)의 적절한 이동을 통해, 잔존 오존 공정을 위해 사용된 활성탄의 교체 작업시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에서 환기장치(110)는, 덕트(114)가 연결된 고정식 후드(111), 슬라이딩되어 고정식 후드(111)에 그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슬라이드식 덮개(1121, 1122)를 포함한다. 환기장치(110)는 활성탄지(10)의 상부에 마련된다.
도 6은 산기관장치(도 3의 12a, 12b, 13 참조)를 가동하여 환기장치(110)를 가동시키는 경우의 슬라이드식 덮개(1121, 1122)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경우, 고정식 후드(111), 제1 슬라이드 유닛(1121) 및 제2 슬라이드 유닛(1122)에 의해 활성탄지(10)의 상부 전체가 덮여 있다.
환기 작업의 완료후 또는 주기적으로 활성탄지(10) 내부의 활성탄을 교체할 필요가 있는데, 활성탄을 교체하기 위해 도 7 및 도 8과 같이, 제1 슬라이드 유닛(1121)을 한 쌍의 레일(1131, 1132)을 따라 X1 방향으로 이동시켜, 활성탄지(10)의 상부(115)를 개방시키거나, 제2 슬라이드 유닛(1122)을 한 쌍의 레일(1131, 1132)을 따라 x2 방향으로 이동시켜, 활성탄지(10)의 상부(115)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는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슬라이드식 덮개(1121, 1122) 전체를 한 쌍의 레일(1131, 1132)을 따라 X1 방향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활성탄지(10)의 상부(115) 전체를 개방시켜 활성탄지 내의 활성탄 교체 작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슬라이드식 덮개(1121, 1122)가 두 개로 구성된 예만을 나타내었으나, 세 개 또는 그 보다 많은 다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슬라이드식 덮개(1121, 1122)를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슬라이드 유닛들로 다단으로 구성함으로써, 한 쌍의 레일(1131, 1132)을 통해 활성탄지의 길이 방향(즉, X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슬라이드식 덮개(1121, 1122)의 전체 길이(X 축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복수 개의 슬라이드 유닛들을 한 쌍의 레일(1131, 1132)을 통해 활성탄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활성탄지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개방시킴으로써, 활성탄지 내의 활성탄 교체 작업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에서 환기 장치(110)의 분해도이다. 앞서 충분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환기 장치(110)는, 덕트(114)가 연결된 고정식 후드(111), 슬라이드식 덮개(1121, 1122)가 활성탄지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X 축 방향)으로 순서대로 설치된다. 그리고, 활성탄지의 상부를 개방시키고자 할 때 슬라이드식 덮개(1121, 1122)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한 쌍의 레일(1131, 1132)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도 10의 (a)는 도 6에서 I-I 라인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b)는 레일과 슬라이드식 덮개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고, (c)는 레일 부분만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한 쌍의 레일(113) 각각은, 제1 슬라이드 유닛(1121)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제1 레일 홈(R1)과 제2 슬라이드 유닛(1122)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제2 레일 홈(R2)을 포함한다. 또한, 이에 대응되게, 제1 슬라이드 유닛(1121)은 제1 레일 홈(R1)에 삽입되는 제1 레일 삽입부(S1)를 포함하고, 제2 슬라이드 유닛(1122)은 제2 레일 홈(R2)에 삽입되는 제2 레일 삽입부(S2)를 포함한다. 제1 레일 홈(R1)과 제1 레일 삽입부(S1), 제2 레일 홈(R2)과 제2 레일 삽입부(S2)에 의해, 필요시 작업자가 레일(113)을 따라 슬라이드식 커버(1121, 1122)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적절히 활성탄지의 상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한 쌍의 레일(113), 제1 슬라이드 유닛(1121) 및 제2 슬라이드 유닛(1122)의 형상, 즉 제1 레일 홈(R1)과 제2 레일 홈(R2)을 포함하는 한 쌍의 레일(113), 그리고 제1 슬라이드 유닛(1121)에 형성된 제1 레일 삽입부(S1) 및 제2 슬라이드 유닛(1122)에 형성된 제2 레일 삽입부(S2)는 도 10에 도시된 형상이 아닌 다른 형상으로도 얼마든지 구현가능하므로, 도 10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5는 활성탄지 실내에 2개보다 더 많은 활성탄지들(A, B, C, D)가 위치하고, 활성탄지들(A, B, C, D) 각각에 대응되게 덕트, 고정식 후드, 슬라이드식 덮개, 및 레일이 구비된 경우의 환기 장치(110)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서는 네 개인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보다 더 많은 곳에 적용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하여 활성탄지 실내의 오존 상황, 및 배출구 측의 오존 상황을 실시간으로 기록, 모니터링 및 처리할 수 있는 실시간 기록 및 처리부(150)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실시간 기록 및 처리부(150)는 실내 압력 측정부(132)에서 측정된 실내 압력 정보, 오존 경보 발생부(131a, 131b)에서의 오존 경보 발생 정보, 그리고 촉매탑(122) 후단의 배출구 측에 설치된 센서(140)로부터의 배출구측 오존 농도 정보를 인터넷 프로토콜로 통신하여, 환기 장치(110) 및 처리 장치(120)를 원격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간 기록 및 처리부(150)는 수신된 각종 정보들을 필요에 따라 실무자(작업자)의 PC 또는 모바일 기기(160) 측으로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실무자(작업자)는 PC 또는 모바일 기기(160)를 통해 환기 장치(110) 및 처리 장치(120)를 원격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실시간 기록 및 처리부(150)는, 예컨대, 인터넷 통신기(151), 수신기(152), 게이트웨이(153), VPN(154), 데이터베이스부(155) 등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100 :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
110 : 환기 장치
111 : 고정식 후드
112 : 슬라이드식 덮개
113 : 레일
114 : 덕트
120 : 처리 장치
121 : 데미스터
122 : 촉매탑

Claims (9)

  1. 유입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활성탄이 유입수에 잠긴 상태로 내부에 배치된 활성탄지의 오존 가스에 대한 파괴 및 환기를 위한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활성탄지의 상부의 일부 구간을 덮도록 배치되는 고정식 후드;
    상기 활성탄지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식 후드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식 후드와 함께 상기 활성탄지의 상부 전체를 덮는 상태와, 상기 고정식 후드와 함께 상기 활성탄지의 상부의 일부 구간만을 덮는 상태를 갖도록, 상기 활성탄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슬라이드식 덮개;
    상기 슬라이드식 덮개가 상기 활성탄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활성탄지의 양 변에 상기 활성탄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
    상기 고정식 후드에 연결되어 상기 활성탄지로부터 배출되는 오존 가스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덕트;
    상기 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오존 가스에서 수분을 분리해내기 위한 데미스터; 및
    상기 데미스터에 의해 수분이 분리된 오존 가스를 촉매로 분해하는 촉매탑;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식 덮개는, 제1 슬라이드 유닛 및 제2 슬라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의 일부 구간이 상기 고정식 후드 내에 삽입되거나 상기 고정식 후드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활성탄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레일을 통해 위치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활성탄지의 일부 구간을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슬라이드 유닛의 적어도 일부 구간이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 내에 삽입되도록 상기 활성탄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레일을 통해 위치이동가능하며,
    상기 한 쌍의 레일 각각은,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제1 레일 홈과 상기 제2 슬라이드 유닛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레일 홈의 아래에 위치한 제2 레일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제1 레일 홈에 삽입되는 제1 레일 홈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제2 레일 홈에 삽입되는 제2 레일 홈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식 후드에 대하여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후드, 상기 슬라이드식 덮개, 상기 한 쌍의 레일, 및 상기 덕트는 활성탄지 실내에 배치되고,
    상기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은,
    상기 활성탄지 실내에서 오존의 누적으로 인한 압력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실내 압력 측정부;
    상기 실내 압력 측정부에서 측정된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존 경보 발생부; 및
    상기 활성탄지 실내의 오존 상황, 및 배출구 측의 오존 상황을 실시간으로 기록, 모니터링 및 처리할 수 있는 실시간 기록 및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
  8. 삭제
  9. 유입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활성탄이 유입수에 잠긴 상태로 내부에 배치된 활성탄지들의 오존 가스에 대한 파괴 및 환기를 위한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활성탄지들 각각의 상부의 일부 구간을 덮도록 배치되는 고정식 후드들;
    상기 활성탄지들 각각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식 후드들 각각에 대응되게 상기 고정식 후드들 각각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활성탄지들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슬라이드식 덮개들;
    상기 슬라이드식 덮개들 각각이 상기 활성탄지들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활성탄지들 각각의 양 변에 상기 활성탄지들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들;
    상기 고정식 후드들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활성탄지들 각각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존 가스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덕트들;
    상기 덕트들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상기 덕트들 각각을 통해 배출되는 오존 가스에서 수분을 분리해내기 위한 데미스터; 및
    상기 데미스터에 의해 수분이 분리된 오존 가스를 촉매로 분해하는 촉매탑;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식 후드들 각각과 상기 고정식 후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슬라이드식 덮개에 의해 상기 활성탄지들 각각의 상부 전체가 덮인 상태와, 상기 고정식 후드들 각각과 상기 고정식 후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슬라이드식 덮개에 의해 상기 활성탄지들 각각의 상부의 일부 구간만이 덮인 상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
KR1020200090696A 2020-07-22 2020-07-22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 KR102210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696A KR102210131B1 (ko) 2020-07-22 2020-07-22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696A KR102210131B1 (ko) 2020-07-22 2020-07-22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131B1 true KR102210131B1 (ko) 2021-01-29

Family

ID=74236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696A KR102210131B1 (ko) 2020-07-22 2020-07-22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1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0311A (zh) * 2021-12-08 2022-03-01 无锡星亿智能环保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电泳生产线的废气回收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554A (ja) * 1996-02-05 1997-08-12 Meidensha Corp 排オゾン処理装置
KR101529048B1 (ko) * 2014-05-08 2015-06-19 오조니아코리아(주) 오존처리수 내의 잔류용존오존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01554455B1 (ko) * 2015-06-15 2015-09-18 구제진 탈취 수단이 설치된 악취발생시설용 덮개
KR20190059795A (ko) * 2017-11-23 2019-05-31 차태영 잉여 오존가스 제거장치
KR102098338B1 (ko) 2018-05-31 2020-04-08 이기웅 활성탄흡착지 오존가스 제거를 위한 환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554A (ja) * 1996-02-05 1997-08-12 Meidensha Corp 排オゾン処理装置
KR101529048B1 (ko) * 2014-05-08 2015-06-19 오조니아코리아(주) 오존처리수 내의 잔류용존오존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01554455B1 (ko) * 2015-06-15 2015-09-18 구제진 탈취 수단이 설치된 악취발생시설용 덮개
KR20190059795A (ko) * 2017-11-23 2019-05-31 차태영 잉여 오존가스 제거장치
KR102098338B1 (ko) 2018-05-31 2020-04-08 이기웅 활성탄흡착지 오존가스 제거를 위한 환기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0311A (zh) * 2021-12-08 2022-03-01 无锡星亿智能环保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电泳生产线的废气回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580B1 (ko) 복합식 다중이용시설 공기질 개선장치
KR100530851B1 (ko) 공기청정장치 및 공기청정방법
CN105289132B (zh) 一种模块化废气处理装置
KR102210131B1 (ko) 배오존 파괴 및 환기 시스템
KR20100118643A (ko) 배출가스 정화장치
KR20120043511A (ko) 이동형 국소 배기 정화장치
KR102402701B1 (ko)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KR100691729B1 (ko) 원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190060496A (ko) 흄후드
CN112246100A (zh) 一种用于化学实验室外排空气污染治理的气体净化装置
CN107456836A (zh) 一种吸附催化一体化废气治理设备
KR100485007B1 (ko) 이동형 혼합 교반기의 배기장치
CN101204591A (zh) 一种室内空气污染快速治理装置
KR101492834B1 (ko) 이동식 유해가스 정화장치
WO2018062763A1 (ko) 실내 유입공기 정화장치
KR100792766B1 (ko) 탈취장치
CN205550043U (zh) 一种复合式含尘废气净化装置
KR101748782B1 (ko) 모니터링이 가능한 휘발성 유해가스 처리장치
KR20040084307A (ko) 자동차 도장용 분진 제거장치
CN113617784A (zh) 具有局部排气功能的有害气体净化装置
KR200307143Y1 (ko) 이동형 혼합 교반기의 배기장치
KR20210051299A (ko) 광촉매 파이프 필터
CN108031278A (zh) 一种无组织车间废气处理装置及方法
KR20040019426A (ko) 광촉매 필터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N210645831U (zh) 一种工业废气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