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920B1 -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920B1
KR101528920B1 KR1020080037878A KR20080037878A KR101528920B1 KR 101528920 B1 KR101528920 B1 KR 101528920B1 KR 1020080037878 A KR1020080037878 A KR 1020080037878A KR 20080037878 A KR20080037878 A KR 20080037878A KR 101528920 B1 KR101528920 B1 KR 101528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m
surface energy
present
coating layer
fluo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8467A (ko
Inventor
박미경
박수정
김진호
최상호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98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8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4Thermosetting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내흔성, 방오성 및 반사방지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은 기판과, 제1 범위의 표면 에너지값을 갖는 제 1 물질 및 제 1 범위의 표면 에너지값보다 낮은 제 2 범위의 표면 에너지값을 갖는 제 2 물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물질은 상기 기판과 접촉하는 상기 코팅층의 제1측에 주로 분포하고, 상기 제2물질은 상기 제1측과 반대쪽인 상기 코팅층의 제2측에 주로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및 그 제조방법{OPTICAL FILM FOR A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학필름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흔성, 방오성 및 반사방지 특성을 개선시킨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계발광 디스플레이(Electroluminescent Display),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응답속도가 빠르고, 소비전력이 낮으며, 색재현율이 뛰어나 주목받아 왔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TV, 컴퓨터용 모니터, 노트북, 휴대폰(mobile phone), 냉장고의 표시부 등 여러 가지 전자제품에 사용되어 왔다. 특히, 최근에는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현금 자동 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외부 광의 투과 및 반사로 인한 콘트라스트의 저하 또는 이미지의 반사를 방지하고 화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백라이트 유닛이나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학필름, 편광판, 프리즘 시트 등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터치 스크린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에 손이나 펜을 사용하여 집적 접촉함으로써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는 손이나 펜의 터치로 인한 지문 또는 얼룩에 대하여 뛰어난 저항성을 갖거나, 또는 이들 지문이나 얼룩을 제거하는 특성, 즉 방오성을 갖는 광학필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광학필름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화면에 아크릴계의 고분자 물질이 존재하고, 이 아크릴계 고분자 물질은 비교적 높은 표면에너지(40mN/m~60mN/m 정도의 표면 에너지)를 가지기 때문에 오염물과의 강한 상호작용(인력)에 의해 오염물이 쉽게 부착되고 오염물의 제거가 곤란할 뿐 아니라 스크래치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프리즘 시트의 경우 상부 구조가 산과 골모양으로 되어 있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작은 힘에 의해서도 돌출부가 마모되거나 흠집이 생기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구성에서, 제 1 물질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물질은 불소계 폴리머, 규소계 폴리머 및 불소-규소계 폴리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극성 물질은 수산기(-OH)를 함유하고, 상기 무극성 물질은 탄화플루오로기(-CF)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물질은 30mN/m ~ 45mN/m 범위의 표면 에너지값을 갖고, 상기 제 2 물질은 10mN/m ~ 25mN/m 범위의 표면 에너지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코팅층은 실리카 입자, 나노-실리카 입자, 도전체 입자 및 나노-도전체 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판은 확산시트, 편광판, 프리즘 시트, 표시화면(display screen)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제조공정이 간단하면서도 내흔성, 방오성, 및 반사방지 특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은 기판과, 제1 범위의 표면 에너지값을 갖는 제 1 물질 및 제 1 범위의 표면 에너지값보다 낮은 제 2 범위의 표면 에너지값을 갖는 제 2 물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물질은 상기 기판과 접촉하는 상기 코팅층의 제1측에 주로 분포하고, 상기 제2물질은 상기 제1측과 반대쪽인 상기 코팅층의 제2측에 주로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은 기판 과, 극성 물질과 무극성 물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코팅층을 포함하며,상기 코팅층에서 상기 극성 물질은 상기 기판과 접촉하는 상기 코팅층의 제 1 측에 주로 분포되고, 상기 무극성 물질은 상기 코팅측의 제 1 측의 반대측인 제 2 측에 주로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은 모노머 및 올리고머 중의 하나에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고분자 수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고분자 수지에 불소 및 규소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혼합하여 코팅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코팅액을 기판 상에 공급하여 상기 고분자 수지가 상기 기판 상으로 향해 이동하고 상기 불소 및 규소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상기 기판과 반대쪽으로 이동하는 상분리를 일으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제 1 물질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물질은 불소계 폴리머, 규소계 폴리머 및 불소-규소계 폴리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극성 물질은 수산기(-OH)를 함유하고, 상기 무극성 물질은 탄화플로오로기(-CF)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물질은 30mN/m ~ 45mN/m 범위의 표면 에너지값을 갖고, 상기 제 2 물질은 10mN/m ~ 25mN/m 범위의 표면 에너지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코팅층은 실리카 입자, 나노-실리카 입자, 도전체 입자 및 나노-도전체 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판은 확산시트, 편광판, 프리즘 시트, 표시화면(display screen)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원 발명의 광학필름에 의하면, 혼합층 중 광학필름이 부착되는 쪽에는 표면 에너지가 큰 값을 갖는 물질이 주로 분포되고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반대 쪽에는 표면 에너지가 작은 값을 갖는 물질이 주로 분포된다. 따라서, 터치가 이루어지는 쪽의 광학필름의 표면 에너지 값은 종래보다 감소하게 되고, 부착이 이루어지는 쪽의 광학필름의 표면 에너지는 비교적 높은 값을 유지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에 터치 등에 의한 오염물이 잘 부착하지 않게 되고 오염물이 부착되더라도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내흔성, 방오성, 및 반사방지성이 우수한 광학필름, 편광판, 프리즘 시트 및 이들을 적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광학필름이 충분한 내흔성, 방오성 및 반사방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광학필름 표면의 접촉각과 표면에너지가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광학필름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최상부에 부착되어 사용되므로 부착면은 사용시 들뜨지 않도록 표면에너지가 높아야 하며, 노출면은 오염물질이 부착되지 않도록 표면에너지가 낮아야 한다. 즉, 어떤 물질의 표면 에너지가 높으면 인력이 증가하여 타물질과의 흡착성이 좋아지고 표면에너지가 낮으면 인력이 감소하여 타물질과의 흡착성이 약화되므로, 광학필름의 노출면은 표면에너지가 낮게 광학필름의 부착면은 표면에너지가 높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광학필름을 이중층으로 구성하여 일면에는 표면에너지가 높은 물질을 타면에는 표면에너지가 낮은 물질을 서로 접착하여 이용하고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공정을 거치지 않고 표면 에너지, 고체상태에서의 접촉각 또는 극성도가 서로 다른 두 물질을 액상에서 혼합하고 이를 대상물질에 코팅하여 한번에 광학필름을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을 단순화 함과 동시에 내흔성, 방오성 및 오염물 소거성이 우수한 광학필름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은 광학필름을 구성하는 두 물질의 표면 에너지값 차이, 고체상태에서의 접촉각의 차이, 또는 극성도의 차이에 따라 상분리 효과가 달라지고, 내흔성, 방오성 및 오염물 소거성이 달라지는 것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은 다양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화면, 편광판, 프리즘 시트 등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광학필름이 갖는 주요 특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1. 두 물질이 갖는 표면에너지의 차이값
표면에너지 값이 다른 두 물질을 혼합하게 되면, 표면에너지가 높은 물질은 광학필름이 접촉하는 접촉면으로 이동하려는 성향이 있으며, 표면에너지가 낮은 물질은 공기와 접촉하는 노출면 쪽으로 이동하는 성향이 있다. 본 발명자는 두 물질의 표면 에너지값의 차이가 5mN/m~35mN/m의 범위를 갖는 경우에 상분리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다음의 표 1은 상대적으로 표면 에너지 가 큰 제 1 물질로서 아크릴계 재료를 사용한 경우와, 표면에너지가 작은 제 2 물질로서 불소계 재료를 사용한 경우의 표면 에너지값을 보여주고 있다.
재료 표면 에너지 (mil/m)
불소계 폴리머 -CF3 14.5
-CF2H 26.5
-CF3 , -CF2- 17.0
-CF2 22.6
-CH2CF3 22.5
아크릴계 폴리머 케틸아크릴레이트 폴리머 40.1
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머 37.0
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머 33.7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폴리머 30.2
2. 두 물질의 고체상태에서의 접촉각의 차이값
광학필름을 구성하는 두 물질의 고체상태에서의 접촉각의 차이값이 10°~ 80°의 범위를 가질 때 방오성 및 오염물 소거성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제1물질인 아크릴계 재료의 고체상태에서의 접촉각의 범위가 50°~ 90°이고 제2물질인 불소계 물질의 고체상태에서의 접촉각의 범위가 100°~ 130°인 경우에 방오성 및 오염물 소거성이 우수한 광학필름을 얻을 수 있었다.
3. 두 물질의 극성도의
극성이 다른 두 물질을 혼합하면 열역학적으로 불안정 상태에 있는 두 물질은 계면에서 상분리가 일어난다. 본 발명에서는 극성도가 높은 제 1 물질과 무극성도가 높은 제 2 물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혼합물층으로 광학필름을 구성하여, 접촉면 쪽에는 상기 제 1 물질이 주로 분포하고, 노출면 쪽에는 제 2 물질이 주로 분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을 구현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극성도가 높은 제 1 물질은 수산기(-OH)를 함유하는 물질을 포함하고, 무극성도가 높은 제 2 물질은 탄화플루오르기(-CF)를 함유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을 구성하는 코팅층(15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코팅층(150)은 제1 범위의 표면 에너지값을 갖는 제 1 물질(110) 및 제 1 범위의 표면 에너지값보다 낮은 제 2 범위의 표면 에너지값을 갖는 제 2 물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혼합물층으로 이루어진다. 이 혼합물층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과 접촉하는 접착면 쪽에는 제 1 물질(110)이 주로 분포하고, 노출면 쪽에는 제 2 물질(130)이 주로 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원발명의 광학필름을 구성하는 코팅층에서 제 1 물질(110)과 제 2 물질의(130) 표면 에너지값의 차는 약 5mN/m~35mN/m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 1 물질(110)은 30mN/m~45mN/m 범위의 표면 에너지값을 갖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제 2 물질(130)은 10mN/m~25mN/m 범위의 표면 에너지값을 갖는 불소계 폴리머, 규소계 폴리머 및 불소-규소계 폴리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의 광학필름에서, 불소, 규소 성분은 다른 물질과 결합하여 화합물의 경도를 높이고 표면 에너지를 낮추어 주므로, 우수한 내흔성, 방오성 및 반사방지특성을 갖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e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A)에 중합 개시제(B)를 첨가하여 고분자 수지(110)를 형성한다.
상기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A)는 광 중합성 모노머나 올리고머 또는 열 중합성 모노머나 올리고머인 것이 바람직하며,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TAC), 폴리에스테르(polyester;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배향된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르보네이트(PC),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을 형성하기 위한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모노머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그리고,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는 아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올 (메타)아크릴레이트, 멜라민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각종 (메타)아크릴레이트류 모노머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모노머나 올리고머가 상기 언급된 것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고분자 수지(110)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TAC),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배향된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르보네이트(PC),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의 광 경화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중합 개시제(B)로서는,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벤조인, 벤질메틸케탈, 미힐러케톤(Michler's ketone), 벤조일벤조에이트, 티옥산톤류, α-아실옥심에스테르(acyloxymester) 등의 광 라디칼 중합개시제나, 오늄(onium)염류, 설폰산 에스테르, 유기 금속착체 등의 광 양이온 중합개시제가 이용될 들 수 있다. 그러나 중합 개시제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여러 가지 중합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고분자 수지(110)와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130)을 혼합하여 코팅액을 제조한다. 여기에서,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130)은 불소 함유 화합물, 규소 함유 화합물, 불소-규소 함유 화합물 중의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130)은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기 또는 알콕시 실란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용도에 따라, 상기 코팅액에는 실리카 입자, 나노 실리카 입자, 도전체 입자, 나노 도전체 입자와 같은 무기 입자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기판(200) 상에 상기와 같이 혼합된 코팅액을 도포한다. 기판(200)에 코팅액을 도포하면, 기판(200)과 접촉하는 접촉면 쪽으로는 표면에너지가 높은 고분자 수지(110)가 이동하고, 기판(200)과 접촉하지 않고 공기와 접촉하는 노출면 쪽으로는 표면 에너지가 낮은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130)이 이동하여 상분리가 일어난다. 즉, 코팅액 중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130)들은 작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고 있고, 상대적으로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A)보다 표면층에 위치할 때 더욱 안정하기 때문에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A)들이 중합개시제(B)에 의해 중합되면서 작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는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130)이 상부 표면층으로 자발적으로 이동하면서 상분리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고분자 수지(110)는 약 30mN/m~45mN/m 범위의 표면 에너지값을 가지며,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130)은 약 10mN/m~25mN/m 범위의 표면 에너지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130)이 적게 포함되고 고분자 수지(110)가 많이 포함된 하부 표면층은 손 또는 펜에 의한 터치에 견딜 수 있도록 연필 경도 H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H 이상의 특성을 갖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도 2d 및 도 2e를 참조하면, 기판(200) 상에 코팅된 코팅액에 열 또는 광을 가하여 그를 경화시켜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00)과 코팅층(150)을 갖는 광학필름을 얻는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은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가지는 공정이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광학필름에 따르면, 표면 에너지가 다른 두 종류의 물질을 별도로 접착하는 공정 없이 표면에너지가 다른 두 물질을 혼합하여 경화시키는 것만으로 광학필름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이 간단해 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은 노출면에 위치하는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130)은 작은 표면 에너지를 가짐과 아울러, 낮은 굴절률을 갖는다. 따라서, 외부의 압력에 의한 스크레치 등에 견딜 수 있는 강한 내흔성, 향상된 방오성 및 반사방지특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8은 상술한 본 발명의 광학필름을 이용한 다양한 실시예의 편광판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은 베이스층(300)상에 형성되는 코팅층(25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층(300)은 광투과율이 높고, 복굴절성이 비교적 낮으며, 표면 개질에 의한 친수화가 용이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TAC) 또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배향된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르보네이트(PC) 등으로 제조된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베이스층(300)은 충분한 강도를 얻기 위해 30㎛~ 300㎛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300) 상에 코팅층(250)이 위치한다. 여기서, 코팅층(250)은 AG 필름(anti-glare film) 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250)은 고분자 수지(210), 실리카 입자(220) 및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2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표면은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실리카 입자 대신 나노 실리카 입자와 같은 무기물 입자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층(300)과 접촉하는 코팅층(250)의 하부 표면층의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230)의 농도보다 상부 표면층의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210)의 농도가 높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은 뛰어난 내흔성, 방오성 및 반사방지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은 베이스층(400) 상에 형성되는 코팅층(3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350)은 고분자 수지(310), 실리카 입자(320), 도전체 입자(325) 및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330)을 포함하는 AG/AS(Anti-Glare/Anti-Static) 필름일 수 있으며, 그 표면은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실리카 입자를 대신하여 나노 실리카 입자, 도전체 입자를 대신하여 나노 도전체 입자와 같은 무기물 입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400)과 접촉하는 코팅층(350)의 하부 표면층의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330)의 농도보다 상부 표면층의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330)의 농도가 높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은 뛰어난 내흔성, 방오성 및 반사방지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은 베이스층(500) 상에 형성되는 코팅층(450)을 포함한다. 상기 코팅층(450)은 고분자 수지(410), 도전체 입자(425),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430)을 포함하는 HC/AS필름(Hard-Coating/Anti-Static)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100)과 접촉하는 코팅층(450)의 하부 표면층의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430)의 농도보다 상부 표면층의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430)의 농도가 높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은 뛰어난 내흔성, 방오성 및 반사방지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은 베이스층(600)에 형성되는 제 1 코팅층(525) 및 제 2 코팅층(55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코팅층(525)은 실리카 입자(520) 및 고분자 수지(523)를 포함하며, 요철 형상을 가지는 AG 필름(anti-glare film)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 코팅층(550)은 고굴절률을 가지는 HR 필름(high reflactive film)일 수 있다.
상기 제 2 코팅층(550)은 고분자 수지(510) 및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5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수지(510)는 고굴절률 단량체, 예를 들면, 비스(4-메타크릴로일티오페닐) 설파이드, 비닐나프탈렌, 비닐페닐 설파이드 및 4-메타크릴옥시페닐-4'-메톡시페닐 티오에테르를 포함하여 중합함으로써, 고굴절률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고굴절률층은 ZrO2및 TiO2 등의 무기 입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코팅층(550)은 고굴절률을 갖는 고분자 수지(510) 및 저굴절률을 갖는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530)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코팅층(525)과 접촉하는 상기 제 2 코팅층(550)의 하부 표면층의 불소 및/규소 화합물의 농도보다 상부 표면층의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530)의 농도가 높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고굴절률 및 저굴절률의 판단은 베이스층(500)을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뛰어난 내흔성, 방오성 및 반사방지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베이스층(700), 제 1 광학필름인 하드코팅 필름(625) 및 제2 광학필름(650)인 HR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광학필름(625)은 고분자 수지(6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광학필름(650)은 고굴절률을 갖는 고분자 수지(610) 및 저굴절률을 갖는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6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광학필름(625)과 접촉하는 상기 제 2 광학필름(650)의 하부 표면층의 불소 및/규소 화합물의 농도보다 상부 표면층의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630)의 농도가 높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고굴절률 및 저굴절률의 판단은 베이스층(700)을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은 뛰어난 내흔성, 방오성 및 반사방지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은 베이스층(800) 상에 형성되는 코팅층(750)을 포함한다. 상기 코팅층(750)은 고분자 수지(710) 및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730)을 포함하는 HR 필름일 수 있으며, 그 표면은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800)과 접촉하는 코팅층(750)의 하부 표면층의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의 농도보다 상부 표면층의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의 농도가 높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은 뛰어난 내흔성, 방오성 및 반사방지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베이스층은 확산시트, 편광판, 프리즘 시트 및 표시화면(display screen)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 외에도 제 1 베이스층, 편광 필름 및 제 2 베이스층을 포함하도록 광학필름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베이스층은 TAC(tri-acetyl-cellulose) 필름일 수 있으며, 편광 필름은 폴리비닐알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베이스층은 TAC 및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편광 필름과 접촉하는 상기 제 2 베이스층의 하부 표면층의 불소 및/규소 화합물의 농도보다 상부 표면층의 불소 및/또는 규소 함유 화합물의 농도가 높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광학필름은 뛰어난 내흔성, 방오성 및 반사방지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전계발광 디스플레이(ELD),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광학필름이 사용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더욱 향상된 내흔성, 방오성 및 반사방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9A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이 적용된 프리즘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는 베이스부(920) 및 베이스부(920) 상부에 위치하는 프리즘부(91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920)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ET는 플라스틱 수지 중에서 강도가 가장 높은 필름에 속하고 전기적 성질이 우수하며 극히 얇은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내열성이 강하고 투명하여 빛을 통과시키며 열을 견뎌야 하는 프리즘시트(900)에 좋은 재료가 될 수 있다. 베이스부(920)의 두께는 120μm 내지 14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프리즘부(910)의 하부에 위치하여 프리즘부(9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프리즘부(910)는 베이스부(920)의 상부에 위치하며, 도 2a-도 2e에 도시된 코팅층(150)과 동일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B는 베이스부(920)와 프리즘부(910) 사이에 기저부(930)가 추가로 형성된 프리즘 시트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기저부(930)는 베이스부(920)와 프리즘부(910)를 연결하며 베이스부(920)와 함께 프리즘부(910)의 하부에 위치하여 프리즘부(9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기저부(930)는 프리즘부(910)를 용이하게 형성하기 위한 기저역할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9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프리즘 시트가 적용된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더욱 향상된 내흔성, 방오성 및 반사방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가 적용된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백라이트 유닛은 형광램프가 위치하는 방식에 따라 에지형과 직하형으로 구분된다. 도 10의 실시예는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고 있으나, 본 발명은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도 당연히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의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1000)은 반사시트(1010), 형광램프(1060), 도광판(1040), 확산시트(1020), 프리즘 시트(900), 보호시트(1030)를 포함한다.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형광램프(1060) 및 실장부(1050)를 포함한다.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부는 냉음극형광램프를 사용할 수 있고, 형광램프(1060) 대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실장부(1050)는 형광램프(1060)를 실장하며, 형광램프(1060)로부터 발생된 빛을 반사시킨다. 도광판(1040)은 그의 상면 및 하면의 반사 조건을 제어하여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빛을 도광판(1040) 전체에 걸쳐서 골고루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판(1040)은 상기 확산된 빛을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의 패널 방향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반사시트(1010)는 도광판(1040)을 통과하여 액정표시장치의 패널과 반대방향으로 조사된 빛을 도광판(1040)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확산시트(1020)는 도광판(1040)과 반사시트(1010)로부터 진행되는 빛을 확산 또는 집광시킬 수 있다.
프리즘 시트(900)는 확산시트(1020)에 의해 확산 또는 집광된 빛 중 일부를 보호시트(1030) 방향으로 집광시키고, 나머지 빛을 도광판(1040)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프리즘 시트(900)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620) 또는 베이스부(620) 상부의 기저부(930) 상에 배치된다.
보호시트(1030)는 액정표시패널의 시야각을 넓히기 위하여 프리즘 시트(900)에 의해 집광된 빛을 확산시키고, 확산된 빛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할 수 있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은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과 비교하여 형광램프의 위치 및 도광판의 구비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형광램프가 확산시트 및 반사시트 사이에 위치하여 도광판이 없어도 빛을 디스플레이 패널쪽으로 바로 조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 내지 도 8의 편광판과 도 10의 백라이트 유닛이 적용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1100)는 액정표시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1000)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1000)은 직하형 또는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일 수 있다.
액정표시패널은 하부편광필름(1120a), 상부편광필름(1120b), 하부유리기판(1130a), 상부유리기판(1130b), 컬러필터(1190), 블랙매트릭스(1180), 화소전극(1150), 공통전극(1160), 액정층(1170) 및 박막트랜지스터(1140)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러필터(1190)는 R(red), G(green), B(blue)에 해당하는 필터를 포함하며, 빛이 인가되는 경우 각각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공통전극(1160) 및 화소전극(1150)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소정 전압에 따라 액정층(1170)의 분자를 배열시킬 수 있다. 화소전극(1150)은 박막트랜지스터(1140)에 의해 스위칭 될 수 있다.
액정층(1170)은 액정분자들로 이루어져 있고, 이 액정분자는 화소전극(1150)과 공통전극(1170)에 인가되는 전압차에 따라 분자축이 일정하게 배열된다. 그 결과, 프리즘시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1000)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이 액정층(1170)의 분자배열에 상응하여 컬러필터에 입사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000)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빛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의 광학필름과 이를 이용한 편광판, 프리즘 시트, 백라이트 유닛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노트북, 휴대폰(mobile phone), 냉장고의 표시부 등 여러 가지 전자제품과,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현금 자동 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표면 분석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12는 에칭 깊이에 따른 탄소, 산소 및 불소의 함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실험은 모노 엑스레이 건(mono X-ray gun)을 이용하여 광학필름의 표면에 엑스레이를 조사하여 실행하였다. 표 2는 광학필름의 표면에 엑스레이 를 조사하여 광학필름의 깊이에 따라 나타나는 탄소, 산소 및 불소의 함량을 나타낸 실험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입사각 탄소 불소 산소
23° 42.77 42.35 14.89
83° 31.54 63.81 4.65
표 2에서 광학필름과 수직방향에 대하여 23° 방향으로 엑스레이를 조사하여 분석한 데이터는 상대적으로 벌크층에 대한 탄소, 불소 및 산소에 대한 원자 퍼센트(atomic %)를 나타낸 것이며, 광학필름과 수직방향에 대하여 83° 방향으로 엑스레이를 조사하여 분석한 데이터는 상대적으로 표면에 대한 탄소, 불소 및 산소에 대한 원자 퍼센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 에서 도시된 부호 ●은 광학필름의 하부 표면층(BULK)으로부터 상부 표면층(SURFACE)까지의 불소의 농도 분포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상부 표면층(SURFACE)으로 갈수록 그 농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탄소(F) 및 산소(G)의 원자 퍼센트는 에칭 시간이 길수록 점점 증가하는 반면, 불소(E)의 원자 퍼센트는 에칭 시간이 짧을수록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표 2,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은 표면으로 갈수록 불소 함량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14는 광학필름에 오염물이 부착된 후 그 오염물을 소거하기 위한 오염물 소거성을 테스트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4에서 가로축은 표면에너지(mN/m)를, 세로축은 오염물 소거횟수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A영역과 B영역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이 적용된 경우를, 그리고 C영역과 D영역은 종래의 광학필름이 적용된 경우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소거 테스트는 티슈를 이용하여 시행하였으며, 도 14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을 테스트에 사용하였을 경우(도면에서 영역 A와 영역 B), 표면에너지가 15mN/m 미만일 때에는 소거횟수 2회에서 오염물이 제거되었고, 표면 에너지가 15mN/m~28mN/m 범위일 때에는 소거횟수 2~3회 정도에서 오염물이 제거되었다. 이에 대하여, 종래의 광학필름을 테스트에 사용하였을 경우(도 14에서 영역 C와 영역 D)에는, 표면 에너지가 29~42mN/m의 범위에서는 소거횟수 4회 정도에서 오염물이 제거되고, 표면 에너지가 43mN/m 이상에서는 소거횟수 4~5회 정도에서 오염물이 제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필름은 오염물 소거성이 종래의 광학필름에 비해 현저히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15는 광학필름에 인위적으로 오염물을 부착시킨 경우, 광학필름이 오염물에 대해 갖는 방오성을 테스트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5에서 가로축은 표면에너지(mN/m)를, 세로축은 광투과율의 변동률을 각각 나타내고 있으며, 부호 ■는 오염물 제거 후의 변동투과율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또한, A영역과 B영역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이 적용되는 경우를, C영역과 D영역은 종래의 광학필름이 적용되는 경우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방오성 테스트는 광학필름에 유성펜으로 1.5cm의 라인 4줄을 그린 후 폴리에스터로 된 천으로 소거횟수 5회를 적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였다. 여기에서, 유성펜으로 라인을 그린 후의 변동투과율과 라인을 소거한 후의 변동투과율은 다음의 수학식으로 부터 구해진다.
라인을 그린 후의 변동투과율=(라인을 그리기 전 투과율-라인을 그린 후 투과율)/(라인을 그리기 전 투과율)
라인 소거후 변동투과율=(라인 소거 전 투과율-라인 소거 후 투과율)/(라인 소거 후 투과율)
도 1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을 테스트에 사용하였을 경우(영역 A 및 영역 B), 표면에너지 15mN/m 이하의 경우에는 라인을 그린 후의 변동투과율과 라인 소거 후의 변동투과율이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과 종래의 광학샘플에 대한 방오성을 테스트한 시험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에서, 샘플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을 구성하는 두 물질의 고체상태에서의 접촉각의 차이값을 30도로 하고, 표면 에너지 값의 차이를 16mN/m로 한 경우의 방오성을 테스트한 것으 로서, 레벨 테스트 결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호한 상태(LV1)로 측정되었다. 샘플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을 구성하는 두 물질의 고체상태에서의 접촉각의 차이값을 25도로 하고, 표면 에너지 값의 차이를 12mN/m로 한 경우의 방오성을 테스트한 것으로서, 레벨 테스트 결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호한 상태(LV1)로 측정되었다. 샘플 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을 구성하는 두 물질의 고체상태에서의 접촉각의 차이값을 20도로 하고, 표면 에너지 값의 차이를 8mN/m로 한 경우의 방오성을 테스트한 것으로서, 레벨 테스트 결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양호한 상태(LV2)로 측정되었다. 샘플 D는 종래의 광학필름을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광학필름을 구성하는 두 물질간의 접촉각의 차이와 표면 에너지차가 0인 경우를 테스트한 것이다. 샘플 D의 테스트 결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오성이 불량한 상태(LV3)로 측정되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사용되는 확산시트, 편광판, 프리즘 시트 및 표시화면(display screen)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은 디스플레이 장치 의 표시화면(screen)에 직접 부착시켜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조공정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일체화된 상태로 형성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필름은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의 화면보호용 필름 및 터치패널에 사용되는 투명필름 등 광범위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을 도시한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e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을 도시한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이 적용된 프리즘 시트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9A 및 도 9B의 프리즘 시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과 프리즘 시트가 적용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표면 분석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탄소, 산소 및 불소의 함량을 에칭 깊이에 따라 도시한 그래프
도 14는 광학필름에 오염물이 부착된 후 그 오염물을 소거하기 위한 오염물 소거성을 테스트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 15 는 광학필름에 인위적으로 오염물을 부착시킨 경우, 광학필름이 오염물에 대해 갖는 방오성을 테스트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과 종래의 광학샘플에 대한 방오성을 테스트한 시험결과를 나타낸 도면

Claims (20)

  1. 기판과;
    제1 범위의 표면 에너지값을 갖는 제 1 물질 및 제 1 범위의 표면 에너지값보다 낮은 제 2 범위의 표면 에너지값을 갖는 제 2 물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물질은 상기 기판과 접촉하는 상기 코팅층의 제1측에 주로 분포하고, 상기 제2물질은 상기 제1측과 반대쪽인 상기 코팅층의 제2측에 주로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범위의 표면 에너지값과 상기 제 2 범위의 표면 에너지값의 차이는 5mN/m ~ 35m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질은 30mN/m ~ 45mN/m 범위의 표면 에너지값을 갖고, 상기 제 2 물질은 10mN/m ~ 25mN/m 범위의 표면 에너지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확산시트, 편광판, 프리즘 시트 및 표시화면(display screen)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질은 고체상태에서의 접촉각의 범위가 50°~90°이고, 상기 제 2 물질은 고체상태에서의 접촉각의 범위가 100°~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질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물질은 불소계 폴리머, 규소계 폴리머 및 불소-규소계 폴리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실리카 입자, 나노-실리카 입자, 도전체 입자 및 나노-도전체 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과 상기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다른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다른 코팅층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코팅층은 실리카 입자, 나노-실리카 입자, 도전체 입자 및 나노-도전체 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질은 수산기(-OH)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물질은 탄화플루오로기(-CF)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80037878A 2007-05-05 2008-04-23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528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43826 2007-05-05
KR1020070043826 2007-05-05
KR1020070141368 2007-12-31
KR1020070141368A KR20080098466A (ko) 2007-05-05 2007-12-31 광학필름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8467A KR20080098467A (ko) 2008-11-10
KR101528920B1 true KR101528920B1 (ko) 2015-06-16

Family

ID=400789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368A KR20080098466A (ko) 2007-05-05 2007-12-31 광학필름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제조방법
KR1020080037878A KR101528920B1 (ko) 2007-05-05 2008-04-23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및 그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368A KR20080098466A (ko) 2007-05-05 2007-12-31 광학필름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080098466A (ko)
CN (1) CN1012990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436B1 (ko) * 2010-05-28 2014-03-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융 가공용 수지 혼합물, 펠렛 및 이를 이용한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JP6265316B2 (ja) * 2010-09-22 2018-01-2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556651B2 (ja) * 2016-03-23 2019-08-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20170122972A (ko) * 2016-04-28 2017-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지문 센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JP2020076067A (ja) * 2018-11-08 2020-05-21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0892A1 (en) * 2003-09-22 2005-04-07 E.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a fluorinated organosilane polymer
KR20060045700A (ko) * 2004-04-14 2006-05-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오염 제거가 용이한 디스플레이 반사 방지용 코팅 조성물
US20060147729A1 (en) * 2004-12-30 2006-07-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ransferable antireflection material for use on optical displ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0892A1 (en) * 2003-09-22 2005-04-07 E.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a fluorinated organosilane polymer
KR20060045700A (ko) * 2004-04-14 2006-05-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오염 제거가 용이한 디스플레이 반사 방지용 코팅 조성물
US20060147729A1 (en) * 2004-12-30 2006-07-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ransferable antireflection material for use on optical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99074A (zh) 2008-11-05
KR20080098466A (ko) 2008-11-10
KR20080098467A (ko) 2008-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8938B2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10042481B2 (en) Transparent electroconductive laminate and transparent touch panel
US10267973B2 (en) Wavelength conversion member, backlight unit,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7057864B2 (ja)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167480B2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10061461B2 (en) Transparent electroconductive laminate and transparent touch panel using the same
US10605433B2 (en) Wavelength conversion member, backlight unit,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avelength conversion member
JP5294540B2 (ja) 高屈折重合性組成物とその用途
EP2639798A1 (en) Transparent electroconductive laminate and transparent touch panel
KR101528920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05103979A (ja) ハードコート層の滑り性を改善した積層体
KR20130008078A (ko)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2002267818A (ja) 光拡散性シート及び光学素子
TWI767118B (zh) 防眩光膜及顯示設備
WO2014103686A1 (ja) 光学積層体、こ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6790524B2 (ja) 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シート、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シートの選別方法
US8431216B2 (en) Optical film for a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5103973A (ja) ハードコート層のカール化を抑制した積層体
JP6056144B2 (ja)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TW201037368A (en) Anti-glare film
JP2010238455A (ja) 透明導電性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透明タッチパネル
KR101031817B1 (ko) 방현성 필름
TWI444649B (zh) 光學膜及其製造方法
JP6825235B2 (ja)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光学積層体の水接触角制御方法、および保護フィルム付き光学積層体
TWI838633B (zh) 附防污層之光學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