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704B1 - 입체시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입체시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704B1
KR101528704B1 KR1020140056414A KR20140056414A KR101528704B1 KR 101528704 B1 KR101528704 B1 KR 101528704B1 KR 1020140056414 A KR1020140056414 A KR 1020140056414A KR 20140056414 A KR20140056414 A KR 20140056414A KR 101528704 B1 KR101528704 B1 KR 101528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rame body
protruding
display unit
r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행봉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56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704B1/ko
Priority to US14/709,748 priority patent/US946294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binocular or stereoscopic vision, e.g. strabis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41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displa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75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adjusting devices, e.g. operated by control le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measuring interpupillary distance or diameter of pup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with means for aligning, spacing or blocking spurious reflection ; with means for relax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시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을 통해 하부 방향으로 3D 영상을 표출하는 3D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3D 디스플레이부로부터 표출된 3D 영상을 전방을 향해 반사하는 반사 미러와, 상기 3D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반사 미러 사이의 상기 프레임 본체의 후방에 배치되고 3D 영상의 시청이 가능한 접안부와, 상기 반사 미러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된 3D 영상을 투과 및 반사시키고, 상하 방향으로의 반사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프 미러와, 상기 하프 미러의 전방에 배치되고, 바닥면에 기 설정된 돌출도 단위로 다수의 돌출도 마커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타겟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테이지와, 상기 타겟을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타겟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안부를 통해 시청한 상기 하프 미러로 부터 반사된 3D 영상의 돌출도 0의 오브젝트의 허상이 상기 돌출도 마커 중 돌출도 0인 돌출도 마커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프 미러의 반사 각도가 조절되며; 특정 돌출도를 갖는 3D 영상의 오브젝트의 허상과 상기 타겟이 일치하도록 상기 타겟 구동부를 조작하여, 상기 돌출도 마커 중 상기 타겟이 근접한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실험자의 입체시가 평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체시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STEREOVISION}
본 발명은 입체시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험자가 3D 영상에 표출된 오브젝트의 돌출도를 느끼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입체시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3D 콘텐츠를 느끼는데 있어 입체시(Stereovision)가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는데, 입체시는 특정 대상물을 찍은 중복 사진을 명시 거리(대략 25cm)에서 왼쪽 사진은 왼쪽 눈으로, 오른쪽 사진은 오른쪽 눈으로 볼 때 좌우의 상이 하나로 융합되면서 입체감을 얻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근래에 3D 영화와 3D TV와 같은 3D 디스플레이장치들의 보급에 따라 3D 콘텐츠의 수요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근래의 통계 자료에서는 전체 인구의 15%가 입체를 느끼지 못하거나 제대로 감상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입체시 중 3D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대한 돌출도(깊이값)는 3D 영상을 입체감 있게 느끼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3D 콘텐츠의 제작자들은 3D 영상에 포함되는 여러 오브젝트에 각각 일정한 돌출도를 부여하여 영상의 입체감을 부여하게 되는데, 동일한 돌출도로 제작된 오브젝트에 대해 사람마다 느끼는 돌출도는 달라, 제작자가 원했던 돌출도로 시청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돌출도의 경우, 특정 돌출도 이상으로 돌출도가 형성된 3D 영상을 시청하게 되면 시청자가 어지러움을 느끼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데, 돌출도를 과도하게 느끼는 시청자의 경우 일반적인 돌출도에서도 어지러움을 느끼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소를 위해, 근래에 3D 영상의 오브젝트들의 돌출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 통해 시청자가 자신에게 맞는 돌출도로 3D 영상의 돌출도를 조절하게 되면, 보다 선명하고 입체감 있는 3D 영상이 시청이 가능해질 것이다.
여기서, 돌출도의 조절이 가능한 3D 콘텐츠가 개발되는 경우, 개개인이 느끼는 돌출도의 정도를 측정이 필요해진다. 즉, 평균적인 사람의 돌출도 인식 정도에 비해 자신의 돌출도 인식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먼저 알아야 하고, 이를 통해 자신이 시청하는 3D 콘텐츠의 돌출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71772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실험자가 3D 영상에 표출된 오브젝트의 돌출도를 느끼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입체시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실험자의 안간 거리, NPA(Near Point of Accommodation), 및 NPC(Near Point of Convergence)도 측정이 가능한 입체시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을 통해 하부 방향으로 3D 영상을 표출하는 3D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3D 디스플레이부로부터 표출된 3D 영상을 전방을 향해 반사하는 반사 미러와, 상기 3D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반사 미러 사이의 상기 프레임 본체의 후방에 배치되고 3D 영상의 시청이 가능한 접안부와, 상기 반사 미러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된 3D 영상을 투과 및 반사시키고, 상하 방향으로의 반사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프 미러와, 상기 하프 미러의 전방에 배치되고, 바닥면에 기 설정된 돌출도 단위로 다수의 돌출도 마커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타겟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테이지와, 상기 타겟을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타겟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안부를 통해 시청한 상기 하프 미러로 부터 반사된 3D 영상의 돌출도 0의 오브젝트의 허상이 상기 돌출도 마커 중 돌출도 0인 돌출도 마커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프 미러의 반사 각도가 조절되며; 특정 돌출도를 갖는 3D 영상의 오브젝트의 허상과 상기 타겟이 일치하도록 상기 타겟 구동부를 조작하여, 상기 돌출도 마커 중 상기 타겟이 근접한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실험자의 입체시가 평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시 측정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3D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돌출도 0인 돌출도 마커까지의 거리와, 상기 3D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상기 접안부까지의 거리는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3D 디스플레이부는 3D 영상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표출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프 미러와 상기 접안부 간의 높이차와, 상기 하프 미러의 반사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접안부에서의 3D 영상의 기울어짐 현상이 제거되도록 상기 3D 디스플레이부의 표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 미러는 상기 3D 디스플레이로부터 표출되는 3D 영상의 반사 높이가 조절 가능하게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 본체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실험자가 3D 영상에 표출된 오브젝트의 돌출도를 느끼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입체시 측정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실험자의 안간 거리, NPA(Near Point of Accommodation), 및 NPC(Near Point of Convergence)도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시 측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시 측정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시 측정 장치의 스테이지에 표시되는 돌출도 마커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시 측정 장치의 측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시 측정 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시 측정 장치(10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체시 측정 장치(100)는 프레임 본체(110), 3D 디스플레이부(120), 반사 미러(130), 접안부(150), 하프 미러(140), 스테이지(160) 및 타겟 구동부(170)를 포함한다.
프레임 본체(110)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시 측정 장치(100)의 전체 외형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3D 디스플레이부(120), 접안부(150), 하프 미러(140)가 설치된다. 프레임 본체(110)의 내부 공간은 3D 디스플레이부(120)로부터 표출되는 3D 영상의 광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3D 디스플레이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3D 디스플레이부(120)는 3D 영상을 프레임 본체(110)의 내부 공간을 통해 하부 방향으로 표출하게 된다.
반사 미러(130)는 프레임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반사 미러(130)는 3D 디스플레이부(120)로부터 표출된 3D 영상을 전방을 향해 반사한다. 본 발명에서는 반사 미러(130)가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 45°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부의 3D 디스플레이부(120)로부터 표출된 3D 영상을 전방을 향해 반사시키도록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한다.
하프 미러(140)는 반사 미러(130)의 전방에 설치된다. 여기서, 프레임 본체(110)의 하부 전방에는 전방을 향해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며, 하프 미러(140)는 프레임 본체(110)의 개구 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하프 미러(140)는 반사 미러(130)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된 3D 영상을 투과 및 반사시킨다. 즉, 반사 미러(130)에 의해 반사된 3D 영상의 일부, 즉 광의 일부는 하프 미러(140)에서 반사되어 접안부(150)를 통해 시청 가능하게 되고, 나머지는 투과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하프 미러(140)의 투과 특성으로 인해, 접안부(150)를 통해 전방을 주시하는 실험자는 하프 미러(140)의 반대측, 즉 스테이지(160) 측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접안부(1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디스플레이부(120)와 반사 미러(130) 사이의 프레임 본체(110)의 후방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접안부(150)에 3D 영상의 시청이 가능하도록 편광 필터가 설치되어 3D 영상을 형성하기 위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을 각각 구분하여 시청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한다. 또한, 접안부(15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자의 얼굴이 고정될 수 있도록 턱 받침 구조(151)가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스테이지(160)는 프레임 본체(110)의 외부에 설치되는데, 하프 미러(14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프레임 본체(110)와 연결된다. 그리고, 스테이지(160)의 바닥면에는 기 설정된 돌출도 단위로 다수의 돌출도 마커(161a, 161b, 161c, 161d)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도 4는 스테이지(160)의 바닥면에 배열된 돌출도 마커(161a, 161b, 161c, 161d)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도 +1, 0, -1, -2의 돌출도를 각각 나타내는 돌출도 마커(161a, 161b, 161c, 161d)가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여기서, 접안부(150)를 통해 실험자가 돌출도 마커(161a, 161b, 161c, 161d)를 주시할 때 그 크기가 동일하게 인식되도록 접안부(15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돌출도 마커(161a, 161b, 161c, 161d)의 크기가 크게 마련됨으로써, 접안부(150)에서 실험자가 돌출도 마커(161a, 161b, 161c, 161d)를 주시하게 되면 동일한 크기로 인식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테이지(160)에는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타겟(162)이 설치된다. 여기서, 타겟 구동부(170)는 타겟(162)을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시키는데, 본 발명에서는 볼 스크루 형태의 직전 왕복 이동 구조가 타겟(162)이 설치된 타겟(162) 받침을 이동시켜 타겟(162)을 움직이도록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시 측정 장치(100)의 초기 셋팅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디스플레이부(120)로부터 3D 영상(검은 초승달 모양)이 표출되면 하부의 반사 미러(130)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된다. 이 때, 반사 미러(130)에 의해 반사된 3D 영상은 좌우가 반전된 상태(흰색 초승달 모양)가 되는데, 하프 미러(140)에 의해 다시 반사됨으로써, 3D 영상이 원래의 상태(검은색 초승달 모양)로 반전되어 접안부(150)를 통해 실험자가 시청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실험자의 시선, 즉 접안부(150)의 위치가 하프 미러(14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하프 미러(140)의 상부에서 화면을 주시하기 때문,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각에 의해 3D 영상 내의 오브젝트(OB, 도 5 참조, 이하 동일)의 허상이 스테이지(160)의 상부가 아닌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3D 영상 내의 오브젝트(OB)의 허상이 스테이지(16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 미러(140)의 반사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하프 미러(140)는 반사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프레임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3D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돌출도가 0인 오브젝트(OB)가 포함된 3D 영상을 표출하는 상태에서, 3D 영상 내의 오브젝트(OB)의 허상이 돌출도 마커(161a, 161b, 161c, 161d) 중 돌출도가 0인 돌출도 마커(161a, 161b, 161c, 161d)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프 미러(140)의 반사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예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체시 측정 장치(100)는 3D 디스플레이부(120)로부터 돌출도 0인 돌출도 마커(161a, 161b, 161c, 161d)까지의 거리와, 3D 디스플레이부(120)로부터 접안부(150) 까지의 거리는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즉, 돌출도가 0인 상태에서 돌출도 0인 돌출도 마커(161a, 161b, 161c, 161d)까지의 시청 거리와, 3D 디스플레이부(120)로부터 표출되는 3D 영상의 시청 거리가 일치하도록 설명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하프 미러(140)의 반사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하프 미러(140)를 회전시키게 되면, 접안부(150)를 통한 시청시 3D 영상의 기울어짐 현상이 발생함과 동시에 3D 디스플레이부(120)로부터 접안부(150) 까지의 거리가 바뀌게 된다.
이와 같은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입체시 측정 장치(100)의 3D 디스플레이부(12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영상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표출 각도가 조절되도록 프레임 본체(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통해 3D 디스플레이부(120)를 회전시켜, 하프 미러(140)의 반사 각도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3D 영상의 기울어짐 현상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3D 디스플레이부(120)의 회전을 통해 접안부(150)가 하프 미러(140)의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실험자의 시청시 발생하는 기울어짐 현상도 제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하프 미러(140)를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3D 디스플레이부(120)로부터 접안부(150) 까지의 거리는 반사 미러(130)의 조작을 통해 보정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 미러(130)는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프레임 본체(110)에 설치된다. 여기서, 반사 미러(13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3D 디스플레이부(120)로부터 표출된 3D 영상의 반사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결과적으로 3D 디스플레이부(120)로부터 접안부(150)까지의 시청 거리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입체시 측정 장치(100)를 이용하여 실험자의 돌출도 인식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돌출도 마커(161a, 161b, 161c, 161d)는 평균적인 사람이 인식하는 돌출도를 기준으로 설치된다. 예를 들어, 한국인의 평균적인 안간 거리인 6.5cm의 안간 거리를 갖는 사람을 표본으로 돌출도의 인식 정도를 나타내는 돌출도 마커(161a, 161b, 161c, 161d)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간격으로 설치한다. 돌출도가 0인 돌출도 마커(161a, 161b, 161c, 161d)를 기준으로 돌출도 -1의 오브젝트(OB)를 포함하는 3D 영상을 시청하게 되면, 돌출도 0인 돌출도 마커(161a, 161b, 161c, 161d)로부터 돌출도 -1인 돌출도 마커(161a, 161b, 161c, 161d) 정도로 해당 오브젝트(OB)가 돌출되는 것으로 인식하는 형태로 기 연구된 표준을 기준으로 돌출도 마커(161a, 161b, 161c, 161d)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셋팅된 상태에서, 돌출도 -2의 오브젝트(OB)가 포함된 3D 영상이 3D 디스플레이부(120)로부터 표출되고, 실험자가 접안부(150)를 통해 해당 오브젝트(OB)를 주시하게 되면, 해당 오브젝트(OB)의 허상이 스테이지(160) 중 특정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느끼게 된다.
이 때, 타겟(162)이 오브젝트(OB)의 허상과 일치하도록 타겟 구동부(170)를 조작하게 되는데, 실험자가 3D 영상의 오브젝트(OB)를 주시한 상태에서 타겟 구동부(17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다 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162)이 오브젝트(OB)와 함께 명확하게 보이는 순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타겟(162)의 위치가 해당 오브젝트(OB)에 대해 실험자가 느끼는 돌출도에 해당하게 된다.
이는 사람의 시선이 특정 위치의 물체를 주시할 때 그 물체와 동일한 거리의 물체는 명확히 보이지만, 다른 거리의 물체는 희미하게 보이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오브젝트(OB)를 주시하는 과정에서 타겟(162)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때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될 때를 찾아 현재 오브젝트(OB)의 돌출도를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표준이 되는 돌출도 마커(161a, 161b, 161c, 161d)와 타겟(162)의 위치가 일치하게 되면, 현재 실험자는 표준과 일치하게 된다. 반면, 돌출도 마커(161a, 161b, 161c, 161d)와 타겟(162)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표준과 돌출도를 느끼는 정도가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고, 돌출도 마커(161a, 161b, 161c, 161d)와 타겟(162) 간의 거리 차이에 따라 그 정도의 차이도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돌출도 -1, 0, +1의 오브젝트(OB)가 포함된 3D 영상에 대해서도 진행함으로써, 현 실험자가 3D 영상의 오브젝트(OB)의 돌출도를 어느 정도 느끼는지 여부가 측정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체시 측정 장치(100)는 안간 거리 측정, NPA(Near Point of Accommodation), 및 NPC(Near Point of Convergence)의 측정에도 활용될 수 있다.
먼저, 안간 거리의 측정의 경우, 실험자가 접안부(150)에 얼굴을 고정하고 전방을 주시할 때, 프레임 본체(110) 내부에 접안부(150)에 위치하는 실험자의 두 눈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설치하고, 접안부(150) 측에 눈금으로 표시해 둠으로써,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실험자의 물리적인 안간 거리를 1차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NPA(Near Point of Accommodation)의 경우, 프레임 본체(110) 내부의 반사 미러(130)의 전방에 특정 패턴의 투명한 패턴을 설치하고, 접안부(150)로부터 멀어지도록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패턴을 인식하였을 때의 거리를 기준으로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NPC(Near Point of Convergence)의 경우, 3D 영상의 오브젝트(OB)의 디스패러티(Disparity)를 최대로 하고, 타겟(162)을 해당 돌출도 마커(161a, 161b, 161c, 161d)에 위치시켰을 때 타겟(162)이 흐려지게 느끼는 위치를 기준으로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100 : 입체시 측정 장치 110 : 프레임 본체
120 : 3D 디스플레이부 130 : 반사 미러
140 : 하프 미러 150 : 접안부
151 : 턱 받침 구조 160 : 스테이지
161a, 161b, 161c, 161d : 돌출도 마커
162 : 타겟 170 : 타겟 구동부

Claims (4)

  1. 입체시 측정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을 통해 하부 방향으로 3D 영상을 표출하는 3D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3D 디스플레이부로부터 표출된 3D 영상을 전방을 향해 반사하는 반사 미러와,
    상기 3D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반사 미러 사이의 상기 프레임 본체의 후방에 배치되고 3D 영상의 시청이 가능한 접안부와,
    상기 반사 미러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된 3D 영상을 투과 및 반사시키고, 상하 방향으로의 반사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프 미러와,
    상기 하프 미러의 전방에 배치되고, 바닥면에 기 설정된 돌출도 단위로 다수의 돌출도 마커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타겟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테이지와,
    상기 타겟을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타겟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안부를 통해 시청한 상기 하프 미러로 부터 반사된 3D 영상의 돌출도 0의 오브젝트의 허상이 상기 돌출도 마커 중 돌출도 0인 돌출도 마커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프 미러의 반사 각도가 조절되며;
    특정 돌출도를 갖는 3D 영상의 오브젝트의 허상과 상기 타겟이 일치하도록 상기 타겟 구동부를 조작하여, 상기 돌출도 마커 중 상기 타겟이 근접한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실험자의 입체시가 평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시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돌출도 0인 돌출도 마커까지의 거리와, 상기 3D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상기 접안부까지의 거리는 일치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시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D 디스플레이부는 3D 영상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표출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프 미러와 상기 접안부 간의 높이차와, 상기 하프 미러의 반사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접안부에서의 3D 영상의 기울어짐 현상이 제거되도록 상기 3D 디스플레이부의 표출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시 측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미러는 상기 3D 디스플레이로부터 표출되는 3D 영상의 반사 높이가 조절 가능하게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 본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시 측정 장치.
KR1020140056414A 2014-05-12 2014-05-12 입체시 측정 장치 KR101528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414A KR101528704B1 (ko) 2014-05-12 2014-05-12 입체시 측정 장치
US14/709,748 US9462942B2 (en) 2014-05-12 2015-05-12 Apparatus for measuring stereovi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414A KR101528704B1 (ko) 2014-05-12 2014-05-12 입체시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704B1 true KR101528704B1 (ko) 2015-06-15

Family

ID=53504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414A KR101528704B1 (ko) 2014-05-12 2014-05-12 입체시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62942B2 (ko)
KR (1) KR1015287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772B1 (ko) * 2013-01-28 2014-03-1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시 검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4769B1 (en) * 2007-05-23 2013-02-26 Kwangwoon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For Industry Cooperation 3D image display method and system thereof
JP5678710B2 (ja) * 2011-02-14 2015-03-0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772B1 (ko) * 2013-01-28 2014-03-1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시 검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62942B2 (en) 2016-10-11
US20150320305A1 (en) 2015-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0771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using focus and context displays
US8203599B2 (en) 3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detected eye information
JP3387624B2 (ja) 立体ディスプレイ装置
EP3548955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using image renderers and optical combiners
US20050190258A1 (en) 3-D imaging arrangements
WO2010084716A1 (ja)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画像処理方法、記録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67882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s
WO2018100239A1 (en) Imaging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images for display apparatus
WO20121759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JP2014106532A (ja) 立体画像表示装置
JP2002223458A (ja) 立体映像作成装置
KR101046259B1 (ko) 응시위치를 추적하여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JP2011085830A (ja) 映像表示システム
CN109997067B (zh) 使用便携式电子设备的显示装置和方法
JP2002196280A (ja) 表示装置
US20220060680A1 (en)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KR20120093693A (ko)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4216126A (zh) 一种变焦3d显示技术
JP2012244466A (ja) 立体画像処理装置
JP2002303821A (ja) 立体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立体ディスプレイ装置における画面制御方法
KR101528704B1 (ko) 입체시 측정 장치
JP5331785B2 (ja) 立体画像分析装置
JP6915368B2 (ja) 多焦点視覚出力方法、多焦点視覚出力装置
JP2012022278A (ja) 映像実体感メガネ
USRE32487E (en) Binocular presentation of visual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