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323B1 -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323B1
KR101528323B1 KR1020150003460A KR20150003460A KR101528323B1 KR 101528323 B1 KR101528323 B1 KR 101528323B1 KR 1020150003460 A KR1020150003460 A KR 1020150003460A KR 20150003460 A KR20150003460 A KR 20150003460A KR 101528323 B1 KR101528323 B1 KR 101528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propylene carbonate
dexamethasone
acceptable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3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규
이경희
홍한기
이충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동
Priority to KR1020150003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 A61K31/573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substituted in position 21, e.g. cortisone, dexamethasone, prednisone or aldoste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성분으로 플로르페니콜(florfenicol), 타일로신(tylosine) 및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을 함유하는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플로르페니콜 타일로신 또는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덱사메타손 또는 그의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부형제로 글리세롤포말, 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1-메칠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 프로필렌카보네이트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농도의 플로르페니콜을 함유하면서도 점도가 낮고, 연속주사기로 주사시 주사기 배럴(barrel)이 뿌옇게 되지 않고 또한 대상동물에의 통증을 크게 완화시켜 주사가 용이하며 전체 조성물의 안정성이 뛰어나 유효성분의 재결정이 생기지 않고 주사할 수 있는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Composition of the combined antibiotics for veterinary applications}
본 발명은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크로라이드계 항생물질로 알려진 타일로신과 플로르페니콜을 복합처방함으로써 고농도의 플로르페니콜을 함유하면서 점도가 낮고, 연속주사기로 주사시 주사기 배럴(barrel)이 뿌옇게 되지 않으며, 또한 대상 동물에의 통증을 크게 완화시켜 주사가 용이하고, 제제의 안정성이 뛰어나 유효성분의 재결정이 생기지 않고 주사할 수 있는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플로르페니콜(Florfenicol)은 D-(트레오)-1-p-메틸설포닐페닐-2-디클로르아세트아미드-3-플루오르-1-프로판올 구조를 가진 물질로, 동물용으로 개발된 살균 및 항균제이며 수의학적 목적으로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플로르페니콜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아 주사용 조성물로 제조되기가 어려우며 1,2-프로판디올, 글리세린, 벤질알코올 등과 같은 많은 약제학적 허용 유기용매 중에서도 용해도가 낮고, 또한 연속주사기로 주사시 주사기 배럴(barrel)이 뿌옇게 되어 고가의 연속주사기를 사용할 수 없게 한다. 소, 돼지 등과 같은 거대 동물을 치료하는 경우 플로르페니콜이 고농도로 함유된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이 때때로 바람직하다.
타일로신(tylosin)은 마크로라이드계 항생물질로 연쇄상구균속세균, 포도상구균속세균 등 여러 세균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어 돼지의 돈적리, 개의 대장염 등 여러 가지 동물의 다양한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타일로신은 수용해도가 커 주사제로 제조하기 용이한 반면, 타일로신 주사제의 경우 보관 중에 타일로신의 함량이 떨어져 저장 안정성이 매우 나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주성분 중의 하나인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역시 항염증 작용, 진통 및 항알러지 작용이 있는 약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대개의 플로르페니콜과 타일로신 함유 주사제의 경우 20 cp(센티포아즈) 이하가 되도록 조제함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cp(센티포아즈) 정도면 주사하기가 아주 용이하다고 한다.
또한 친수성 용매,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유제 타입의 플로르페니콜 함유 주사용 조성물이 알려져 있으나, 장기 보관시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플로르페니콜이 고용량 함유된 조성물인 경우 플로르페니콜의 용해도 저하로 침전이 형성되는 등 제제의 안정성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최근에 소개된 하기와 같은 특허기술이 있다.
먼저, 종래특허 제104340호 (출원번호 제93-700553호, 공고번호 제96-5705호)의 조성물은 플로르페니콜 10~50 중량%을 주 유효성분으로 하고, 피롤리돈 10~65 중량%,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5~15 중량%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 5~40 중량%로 구성된 점도 약 40 cp(센티포아즈)의 제제가 알려져 있으나, 점도가 높아 사용자가 농장에서 대량의 동물에게 주사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중국특허 제1582909 A호 (2005. 02. 23. 공개)에는 플로르페니콜 : 타이로신의 1 : 1.5 ~ 1 : 6 중량비의 복합제제가 알려져 있으며, 국내특허 제0756164호 (2007. 09. 05. 공고)에는 플로르페니콜 : 타이로신의 2 : 1 중량비로 구성된 조합물에 덱사메타손이 물 중에 함유된 조성물이 알려져 있으며, 국내특허 제0748252호 (2007. 08. 10. 공고)에는 플로르페니콜 15~30 중량%, 타이로신 2~8 중량%, 덱사메타손 0.01~0.5 중량%을 디메틸설폭사이드 30~7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2~20 중량% 및 물 5~10 중량%에 포함하는 주사용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국내특허 제1458611호 (2014. 11. 11. 공고)에는 플로르페니콜 10-40 중량%, 타이로신 2-10 중량%, 덱사메타손 0.01-0.5 중량%을 글리세롤포말 20~40 중량%, 부틸히드록시톨루엔 0.01~0.1 중량%, 부틸히드록시아니솔 0.1~2 중량%, 1-메칠피롤리돈 40-65 중량%를 포함하는 주사용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점도나 주사시 통증완화도 많이 개선되었으나, 이 주사제를 농장에서 대량의 동물에게 연속주사기로 주사시 약이 석출되어 주사기 배럴(barrel)이 뿌옇게 되는 등 고가의 연속주사기를 쓸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고농도의 플로르페니콜, 타일로신 또는 수의학적 허용가능한 염, 덱사메타손 또는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동물용 복합항생제에 글리세롤포말, 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도록시아니솔, 1-메칠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등 혼합물을 사용하여 점도가 낮고, 연속주사기로 주사시 주사기 배럴(barrel)이 뿌옇게 되지 않아서 주사가 용이하며 플로르페니콜, 타일로신, 덱사메타손의 안정성이 뛰어나며 플로르페니콜 용해도가 높은 우수한 주사제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점도가 낮고, 연속주사기로 주사시 주사기 배럴(barrel)이 뿌옇게 되지 않으며, 또한 대상 동물에의 통증을 크게 완화시켜 주사가 용이하고, 제제시의 안정성이 뛰어나 유효성분의 재결정 생성이 없는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플로르페니콜 10~40 중량%, 타일로신 또는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2~10 중량%, 덱사메타손 또는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0.01~0.5 중량%, 글리세롤포말 20~40 중량%, 부틸히드록시톨루엔 0.01~0.1 중량%, 부틸히드록시아니솔 0.1~2 중량%, 1-메칠피롤리돈 1~20 중량%, 디메틸아세트아미드 1~30 중량%, 프로필렌카보네이트 25~6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바람직한 조성물은, 플로르페니콜 200 mg/ml, 타일로신타르타르산 58.9 mg/ml, 덱사메타손아세테이트 0.5 mg/ml, 글리세롤포말 200~300 mg/ml, 부틸히드록시톨루엔 0.2 mg/ml, 부틸히드록시아니솔 1~5 mg/ml, 1-메칠피롤리돈 50~60 mg/ml, 디메틸아세트아미드 100~150 mg/ml, 프로필렌카보네이트 290~450 mg/ml를 함유한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글리세롤포말 20~40 중량%, 1-메칠피롤리돈 1~20 중량%, 디메틸아세트아미드 1~30 중량% , 프로필렌카보네이트 25~65 중량%을 혼합한 후, 플로르페니콜 10~40 중량%, 타일로신 또는 그의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2~10 중량% 및 덱사메타손 또는 그의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0.01~0.5 중량%, 부틸히드록시톨루엔 0.01~0.1 중량%, 부틸히드록시아니솔 0.1~2 중량%를 가하여 용해시켜 얻은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바람직한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 글리세롤포말 200~300 mg/ml, 1-메칠피롤리돈 50~60 mg/ml, 디메틸아세트아미드 100~150 mg/ml, 프로필렌카보네이트 290~450 mg/ml을 혼합한 후, 플로르페니콜 200 mg/ml, 타일로신타르타르산 59.8 mg/ml, 덱사메타손아세테이트 0.5 mg/ml, 부틸히드록시톨루엔 0.2 mg/ml, 부틸히드록시아니솔 1~5 mg/ml를 가하여 용해시켜 얻은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점도가 1~10 cP(센티포아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연속주사기로 주사시 주사기 배럴(barrel)이 뿌옇게 되지 않고 또한 대상 동물에의 통증을 크게 완화시켜 주사가 용이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주사용 조성물은 유효성분 중 하나인 플로르페니콜을 총 중량 대비 10~4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중량% 미만에서는 대상 동물에 주사하는 경우 충분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너무 많은 부피를 주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재결정 형성 등 우수한 주사제를 만들기 어렵다. 본 발명의 주사용 조성물은 유효성분 중 하나인 타일로신 또는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조성물 중 중량대비 2~1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일로신 또는 이의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친수성이 강하여 물에 용해하기 쉬운 반면, 상기 플로르페니콜은 친수성이 떨어져 물, 알코올 등의 용해에 녹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다른 성분의 함량이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되어 플로르페니콜 및 타일로신이 모두 용해된 주사제를 제조하는 것이 어렵고 점도가 높아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주사용 조성물은 항염증제인 덱사메타손 또는 이의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총 중량 대비 0.01~0.5 중량%의 덱사메타손 또는 이의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된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아세테이트 염, 벤젠설포네이트 염, 벤조에이트 염, 비카르보네이트 염, 비타르트레이트 염, 캄실레이트 염, 카보네이트 염, 클로라이드 염, 브로마이드 염, 아이오다이드 염, 시트레이트 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에데테이트 염, 에디실레이트 염, 에스토레이트 염, 에실레이트 염, 퓨마레이트 염, 글루셉테이트염, 글루코네이트 염, 글루타메이트 염, 락테이트 염,말레이트 염, 말레에이트 염, 만델레이트 염, 메실레이트 염, 메틸설페이트 염, 니트레이트 염, 포스페이트/디포스페이트 염, 살리실레이트 염, 스테아레이트 염, 석시네이트 염, 설페이트 염, 타르트레이트 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의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플로르페니콜 용제로 글리세롤포말 20~40 중량%, 1-메칠피롤리돈 1~20 중량%, 디메틸아세트아미드 1~30 중량% 혼합물 및 용해보조제인 프로필렌카보네이트를 25~65 중량%를 사용한다. 글리세롤포말 20 중량% 이하 사용시 주사액의 갈변이 일어나며, 글리세롤포말 40 중량% 이상 사용시 점도가 높아져서 주사액 사용이 불편하다. 또한 1-메틸피롤리돈의 경우 1 중량% 이하 사용시 점도가 높아지고 석출이 일어나며, 20 중량% 이상 사용시 용해도는 증가하나 연속주사기를 뿌옇게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프로필렌카보네이트를 25 중량% 이하에는 석출이 일어나며 65 중량% 이상 사용시에도 석출이 일어나서 안정성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글리세롤포말(glycerol formal)과 1-메칠피롤리돈(N-methyl-2-pyrollidone), 디메틸아세트아미드(dimethylacetamide),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는 기존에 플로르페니콜 용해시키기 위해 주로 사용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용매와 비교하여 점도가 낮고, 연속주사기로 주사시 주사기 배럴(barrel)이 뿌옇게 되지 않으며, 또한 대상 동물에의 통증을 크게 완화시켜 주사가 용이하고, 플로르페니콜, 타일로신을 함유한 제제의 안정성이 뛰어나며 플로르페니콜 용해도가 높은 우수한 주사제를 만들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된 항산화제로 부틸히드록시톨루엔 0.01~0.1 중량%, 부틸히드록시아니솔 0.1~2 중량%를 투여할 때 우수한 주사제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은 동물용 주사제, 액제, 또는 주입제 등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글리세롤포말, 1-메칠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를 용해제로 사용하고, 프로필렌카보네이트를 용해보조제로 사용하며, 여기에 추가 첨가제로 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등을 사용하여 점도가 낮고, 연속주사기로 주사시 주사기 배럴(barrel)이 뿌옇게 되지 않으며, 또한 대상 동물에의 통증을 크게 완화시켜 주사가 용이하고, 전체조성물의 제제 안정성이 뛰어나 유효성분의 재결정이 생기지 않고 주사할 수 있는 플로르페니콜, 타일로신 및 덱사메타손을 함유한 동물용 복합항생제 약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는 특장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연속주사기로 주사 후 주사기 배럴(barrel)의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도 1A : 실시예 2를 연속 주사 후 물로 세척한 상태이고, 도 1B : 실시예 2를 2 ml 채워 4 시간 후 물로 세척한 상태이다.)
도 2는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연속주사기로 주사 후 주사기 배럴(barrel)의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도 2A : 비교예 1을 연속 주사 후 물로 세척한 상태이고, 도 2B : 비교예 1을 2 ml 채워 4 시간 후 물로 세척한 상태이다.)
도 3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3 성상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A : 실시예 2 실온 6 개월 후 성상이고, 도 3B : 비교예 3 초기 석출된 성상이다.)
도 4 중 도 4A는 헨케 사스 볼프(HENKE SASS WOLF)사(독일)의 연속주사기(Model-HSW ECO-Matic 2 ml LL with bottle attachment)의 형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실시예 1 ~ 3의 제조 및 비교예 1 ~ 3
하기 표 1-2에 기재된 조성으로 주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비이커에 글리세롤포말 및 1-메칠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 프로필렌카보네이트를 혼합한 후, 플로르페니콜을 가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여기에 타일로신타르타르산 덱사메타손아세테이트 및 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을 순서되로 가하여 완전 용해 시킨다. 프로필렌카보네이트로 표선한 후 미리 멸균된 무균여과지로 여과하여 각 실시예의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의 경우, 비이커에 주용매를 넣고 플로르페니콜, 타일로신타르타르산, 덱사메타손아세테이트를 넣고 완전 용해시킨다. 보조용매로 표선한 후 미리 무균된 무균여과지로 여과하여 비교예의 조성물을 얻었다.
성분(단위mg/ml)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플로르페니콜 200 200 200
타일로신타르타르산 59.9 58.9 58.9
덱사메타손아세테이트 0.5 0.5 0.5
글리세롤포말 200 250 300
부틸히드록시톨루엔 0.2 0.2 0.2
부틸히드록시아니솔 1 5 5
1-메칠피롤리돈 50 50 60
디메틸아세트아미드 100 100 150
프로필렌카보네이트 450 400 290
성분(단위mg/ml)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플로르페니콜 200 200 200
타일로신타르타르산 58.9 58.9 58.9
덱사메타손아세테이트 0.5 0.5 0.5
글리세롤포말 300 - 300
디메칠설폭시드 - 330
부틸히드록시톨루엔 0.2 - 0.2
부틸히드록시아니솔 5 - 5
1-메칠피롤리돈 500 - 100
폴리에칠렌글리콜400 - 530
2-피롤리돈 - - 400
실험예 1 : 점도의 측정
모세관점도계(케논휀스크형)을 사용하여 표준물과의 낙하시간을 상대 비교하여 점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점도 6.5 cP 6.7 cP 6.9 cP 7.0 cP 18.3 cP 19.0 cP
상기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교예 조성물보다 점도가 낮은 주사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실험예 2 : 주사액을 연속주사기로 주사시 주사기 배럴( barrel )의 안전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 2 ml를 취하여 19 게이지, 3.3 cm 길이의 니들이 부착된 총길이 179 mm의 폴리스타이렌 주사기에 채워 넣어 주사기 샘플로 준비하였다. 상온에서 헨켈 사스 볼프(HENKE SASS WOLF)사(독일)의 연속주사기(Model-HSW ECO-Matic 2 ml LL with bottle attachment)를 사용하여 주사 후, 2 ml채워 4 시간 후 연속주사기의 주사기 배럴(barrel)의 안전성을 측정하였고, 이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주사기 배럴 비교예 주사기 배럴
1 양 호 1 뿌옇게됨
2 양 호 2 뿌옇게됨
3 양 호 3 뿌옇게됨
상기 표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교예의 조성물에 비하여 연속주사기로 주사시 주사기 배럴(barrel)이 뿌옇게 변하지 않아서 주사하기가 용이함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상기 조성물의 주사시에 뻑뻑하지 않고 부드럽게 주사가 가능하며, 고가의 연속주사기 수명을 늘려 다수의 동물에 주사하는 경우 경제적으로도 이익이 큼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 주사용 조성물의 안정성 평가
제조된 조성물의 보관에 따른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교예, 실시예에서 제조된 주사용 조성물을 온도: 40±2 ℃, 상대습도 75±5 % 조건에서 6 개월간 보관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플로르페니콜, 타일로신 ,덱사메타손 아세테이트의 함량을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HPLC)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HPLC는 YL9101 vaccum degasser, YL9110 Quaternary pump, YL9131 Column compartment, YL9120 uv/vis detecter, YL9150 Autosampler System(영린기기), 칼럼 : Cosmosil 5C18-AR-Ⅱ(4.6×150 mm), 5 ㎛(Nacalai tesque 사), 이동상 : Florfenicol(Acetonitrile:Water:Acetic acid=1000:2000:3), Tylosin(0.85 m/l 과염소산나트륨: Acetonitrile=600:400에 묽은 염산으로 pH 2.5조정), Dexamethason acetate(Methanol:0.05M Phosphate Buffer=52:48), 파장: Florfenicol (224 nm), Tylosin (280 nm), Dexamethason acetate (254 nm), 유속 : 1.0 ml/min, 주입량 : 20 ㎕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플로르페니콜, 타일로신, 덱사메타손아세테이트 함량변화를 표 5, 6에 나타내었다
보관기간
(40℃)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플로르페니콜 타일로신 덱사메타손아세테이트 플로르페니콜 타일로신 덱사메타손아세테이트 플로르페니콜 타일로신 덱사메타손아세테이트
초기 101.6 107.9 103.0 100.8 106.8 103.0 102.7 106.4 102.6
3개월 101.3 104.5 102.1 100.2 103.6 102.5 102.4 103.5 101.9
6개월 101.1 102.7 101.5 99.9 101.9 101.8 102.1 102.3 100.3
보관기간
(40℃)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플로르페니콜 타일로신 덱사메타손아세테이트 플로르페니콜 타일로신 덱사메타손아세테이트 플로르페니콜 타일로신 덱사메타손아세테이트
초기 101.3 106.5 102.6 100.7 107.9 102.0 100.9 106.8 101.6
3개월 101.0 103.5 102.0 100.2 90.1 99.9 100.4 100.1 101.1
6개월 100.3 101.4 101.2 99.9 79.3 99.1 99.8 78.5 100.3
상기 표 5,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시예가 비교예 2, 3 조성물보다 가속 6 개월 보관시 함량의 저하 없이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 주사용 조성물의 성상( 석출 -육안관찰)
상기 제조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조성물을 20 ml 바이알에 약을 담아서 실온에 6 개월간 보관하여 석출(육안관찰) 등을 관찰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보관기간
(실온)
실시예 1
(석출유무)
실시예 2
(석출유무)
실시예 3
(석출유무)
비교예 1
(석출유무)
비교예 2
(석출유무)
비교예 3
(석출유무)
초기 육안 관찰 미황색의 액 육안 관찰 미황색의 액 육안 관찰 미황색의 액 육안 관찰 미황색의 액 육안 관찰 미황색의 액 육안 관찰 석출
3개월 육안 관찰 미황색의 액 육안 관찰 미황색의 액 육안 관찰 미황색의 액 육안 관찰 미황색의 액 육안 관찰 약간 석출 육안 관찰 중단
6개월 육안 관찰 미황색의 액 육안 관찰 미황색의 액 육안 관찰 미황색의 액 육안 관찰 미황색의 액 육안 관찰 중단 육안 관찰 중단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시예 1, 2, 3 모두 석출(육안관찰) 등이 관찰되지 않았다.
비교예 2-3은 조제 후 모두 석출되어 실험을 중단하였다.
실험예 5 : 주사용 조성물 통증 시험
상기 제조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조성물을 양돈 농장의 돼지에 연속주사기로 주사하여, 돼지의 통증에 대한 반응 정도를 측정하였다. 상시 실험은 각 샘플에 대하여 신뢰를 높이기 위해 무작위로 돼지 20 마리를 대상으로, 샘플의 주사시 돼지의 반응 정도를 0~5 범위로 나타내었으며, 주사 후 격렬한 반응을 나타낼수록 높은 수치로 나타내어 그 평균을 표 8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통증정도 비교예 통증정도
1 0.6 1 0.8
2 0.5 2 4.3
3 0.4 3 4.2
*반응정도: 5 (소리를 매우 크게 지르며 안절부절 함), 4 (소리를 크게 지르며 안절부절 함), 3 (소리를 지르며 안절부절 함), 2 (소리를 약하게 지르며 약간 왔다갔다 함), 1 (소리 거의 지르지 않고 제자리에 서 있음)
상기 실험을 통하여 비교예의 조성물과 달리 실시예의 조성물은 주사시 동물에 통증이 적어, 돼지가 소리를 크게 지르거나 안절부절 못하는 등의 스트레스 반응이나 쇼크 반응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Claims (7)

  1. 플로르페니콜 10~40 중량%, 타일로신 또는 그의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2~10 중량% 및 덱사메타손 또는 그의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0.01~0.5 중량%를 약효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글리세롤포말 20~40 중량%, 부틸히드록시톨루엔 0.01~0.1 중량%, 부틸히드록시아니솔 0.1~2 중량%, 1-메칠피롤리돈 1~20 중량%, 디메틸아세트아미드 1~30 중량% 및 프로필렌카보네이트 25~65 중량%를 부형제로 함유한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플로르페니콜 200 mg/ml, 타일로신타르타르산 58.9 mg/ml, 덱사메타손아세테이트 0.5 mg/ml, 글리세롤포말 200~300 mg/ml, 부틸히드록시톨루엔 0.2 mg/ml, 부틸히드록시아니솔 1~5 mg/ml, 1-메칠피롤리돈 50~60 mg/ml, 디메틸아세트아미드 100~150 mg/ml 및 프로필렌카보네이트 290~450 mg/ml를 함유한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
  3. 글리세롤포말 20~40 중량%, 1-메칠피롤리돈 1~20 중량%, 디메틸아세트아미드 1~30 중량% 및 프로필렌카보네이트 25~65 중량%을 혼합한 후, 플로르페니콜 10~40 중량%, 타일로신 또는 그의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2~10 중량%, 덱사메타손 또는 그의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0.01~0.5 중량%, 부틸히드록시톨루엔 0.01~0.1 중량% 및 부틸히드록시아니솔 0.1~2 중량%를 가하여 용해시켜 얻은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글리세롤포말 200~300 mg/ml, 1-메칠피롤리돈 50~60 mg/ml, 디메틸아세트아미드 100~150 mg/ml 및 프로필렌카보네이트 290~450 mg/ml을 혼합한 후, 플로르페니콜 200 mg/ml, 타일로신타르타르산 59.8 mg/ml, 덱사메타손아세테이트 0.5 mg/ml, 부틸히드록시톨루엔 0.2 mg/ml 및 부틸히드록시아니솔 1~5 mg/ml를 가하여 용해시켜 얻은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제로서 글리세롤포말, 1-메칠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해보조제로서 프로필렌카보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
  7.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은 동물용 주사제, 액제 또는 주입제로 제형화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
KR1020150003460A 2015-01-09 2015-01-09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 KR101528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460A KR101528323B1 (ko) 2015-01-09 2015-01-09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460A KR101528323B1 (ko) 2015-01-09 2015-01-09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323B1 true KR101528323B1 (ko) 2015-06-12

Family

ID=53503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3460A KR101528323B1 (ko) 2015-01-09 2015-01-09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3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9949A (ko) * 2011-11-07 2013-05-15 주식회사 한동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
KR20140018554A (ko) * 2012-08-02 2014-02-13 주식회사 한동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9949A (ko) * 2011-11-07 2013-05-15 주식회사 한동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
KR20140018554A (ko) * 2012-08-02 2014-02-13 주식회사 한동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5937B2 (ja) 抗真菌組成物
KR20150027265A (ko) 소수성 조성물용 생분해성 약물 전달
CA2634394C (en) Homogeneous paste formulations
KR20100085162A (ko) 속방성 고체 제형, 제조 및 이의 용도
CN108055825A (zh) 包含异噁唑啉活性剂的延长释放可注射制剂、其方法和用途
EP1752139A1 (de) Stabile, flüssige Formulierung von Paracetamol
AU2007332222C1 (en) Pour on formulation
WO2006054315B1 (en) Nonaqueous liquid parenteral aceclofenac formulation
EP3481426A1 (en)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a levothyroxine solution
KR101564538B1 (ko)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
KR101528323B1 (ko)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
CN100551376C (zh) 一种局部应用的抗生素的缓释制剂
KR100748252B1 (ko) 플로르페니콜 및 타이로신 함유 주사용 조성물
US11337921B2 (en) Multi-use torasemide composition
KR101458611B1 (ko)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
KR101352867B1 (ko)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
KR20190089758A (ko) 미라베그론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지속 방출 제제
KR101774218B1 (ko) 동물용 복합항생제 조성물
US20210315803A1 (en) Sustained-release injectable antibiotical formulation
KR101092597B1 (ko) 플로르페니콜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0748251B1 (ko) 플로르페니콜 함유 주사용 조성물
KR101776274B1 (ko) 동물용 복합 항생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097739A (ko) 플로르페니콜의 약제학적 조성물
JP2010526783A (ja) 水性医薬組成物
KR20140130881A (ko) 보리코나졸을 함유하는 안정한 주사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