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007B1 - Toilet for cats - Google Patents

Toilet for ca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007B1
KR101527007B1 KR1020130123026A KR20130123026A KR101527007B1 KR 101527007 B1 KR101527007 B1 KR 101527007B1 KR 1020130123026 A KR1020130123026 A KR 1020130123026A KR 20130123026 A KR20130123026 A KR 20130123026A KR 101527007 B1 KR101527007 B1 KR 101527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at
sensing
toilet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0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44108A (en
Inventor
손병재
안창영
Original Assignee
손병재
안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병재, 안창영 filed Critical 손병재
Priority to KR1020130123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007B1/en
Publication of KR20150044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1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0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2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adapted to fit on conventional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 상에 설치가능한 고양이용 변기로서, 고양이가 내부에서 용변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펜스부와, 고양이가 상기 펜스부 내부로 진입시 발판 역할을 하도록 상기 펜스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일정폭의 상판부와, 상기 펜스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판상 부분으로 중앙에 고양이 배설물이 떨어질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하판부가 구비된 변기 몸체부; 상기 하판부의 하부에서 상기 홈을 막거나 개방하도록 이동가능한 모래 용기부; 상기 모래 용기부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부; 상기 상판부의 아래쪽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하판부 상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감지판부; 고양이의 앞발 또는 뒷발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도록, 상기 감지판부의 내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제1 감지센서; 및 상기 제1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모래 용기부가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기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for a cradle which can be installed on a toilet seat, comprising: a fence part for forming a rim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cat can take a posture in the inside of the cage; And a lower plate having a groove formed at a center thereof to allow the cat excretion to fall therefrom; A sand container portion which is movable to close or open the groove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portion; A mo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sand container part; A sensing plate disposed at an edge of the lower plate to be formed below the upper plate; A first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side or below the detection plate to detect contact by a forefoot or a rear foot of the ca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mechanism to move the sand container unit in response to the sensing signal of the first sensing sensor.

Description

고양이용 변기{Toilet for cats}Toilet for cats

본 발명은 고양이 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변기에 설치하여 고양이의 배설물을 자동 처리할 수 있도록 동작가능한 고양이용 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 lit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t litter which is installed at the left side of the cat litter to operate the cat litter automatically.

애완용 동물로서, 고양이를 키우는 사람들이 늘어남에 따라 고양이용 먹이관련, 위생관련, 배설물 처리 및, 미용관련 분야 등에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짐과 함께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As the number of people who raise cats increases as a pet animal,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in various fields such as food for cats, sanitation, disposal of feces, and cosmetics.

여기서, 고양이 배설물 처리 분야의 고양이 화장실과 관련하여, 고양이는 모래에 배설을 하고 배설물을 모래로 덮는 습성이 있다. 이에 따라, 고양이 화장실로서 넓은 용기에 모래를 채워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식이었다.Here, in relation to the cat litter in the cat litter field, the cat has a habit of excreting in the sand and covering the excrement with sand. Accordingly, it was a common practice to use a large container filled with sand as a cat toilet.

한편, 고양이 화장실에 관한 특허 문헌으로서, 공개 특허 제10-2010-0121932호(공개일자 2010년 11월 19일)에는 배변 유도가 용이한 고양이 화장실이 있다. 이것은 상측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하단에 관통공이 구비되어 하단 방향으로 점차 감소하는 내측경사면을 형성하는 원추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경사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링을 포함하여 배변유도가 용이한 고양이 화장실을 제공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s a patent document relating to a cat toilet, there is a cat toilet which is easy to induce a bowel movement in the patent publication 10-2010-0121932 (published on Nov. 19, 2010). This includes a conical body formed with an opening at the upper side and a through hole at the lower end to form an inner inclined face gradually decreasing in the lower end direction and a retaining ring detachably installed on the inner inclined face of the body, The cat has a toilet.

그런데, 이와 같은 특허 문헌 및 상기의 일반적인 고양이 배설물 처리 방식은, 배치된 모래 상에 직접 배설이 이루어지므로, 위생이나 냄새 등의 이유로 모래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장기간 집을 비우는 경우 고양이를 위탁해야하는 주된 이유가 되었다.However, such a patent document and the above-mentioned general cat litter treatment method have a problem that the sand is periodically replaced because of the hygiene or the smell because the cat litter is disposed directly on the placed sand. This problem became the main reason for commissioning cats if they were to leave the house for a long time.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눈속임을 통해 고양이가 모래에 용변을 본다고 착각하게 하고 실제로는 모래가 아닌 좌변기 내로 배설물이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양이의 배설물을 자동 처리할 수 있도록 동작가능한 고양이용 변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theter which is operable to automatically treat cats' excrements by causing the cat to mistake the cat in the sand through spoofing, The purpose of providing cats is to provide ca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고양이용 변기는, 좌변기 상에 설치가능한 고양이용 변기로서, 고양이가 내부에서 용변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펜스부와, 고양이가 상기 펜스부 내부로 진입시 발판 역할을 하도록 상기 펜스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일정폭의 상판부와, 상기 펜스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판상 부분으로 중앙에 고양이 배설물이 떨어질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하판부가 구비된 변기 몸체부; 상기 하판부의 하부에서 상기 홈을 막거나 개방하도록 이동가능한 모래 용기부; 상기 모래 용기부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부; 상기 상판부의 아래쪽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하판부 상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감지판부; 고양이의 앞발 또는 뒷발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도록, 상기 감지판부의 내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제1 감지센서; 및 상기 제1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모래 용기부가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기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oilet for use in a crad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ilet for a cradle which can be installed on a toilet seat, And a lower plat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ence portion so that the cat acts as a scaffold when the cat enters the fence portion and a plate port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ence portion, A toilet bowl body; A sand container portion which is movable to close or open the groove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portion; A mo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sand container part; A sensing plate disposed at an edge of the lower plate to be formed below the upper plate; A first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side or below the detection plate to detect contact by a forefoot or a rear foot of the ca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mechanism to move the sand container unit in response to the sensing signal of the first sensing sensor.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센서의 접촉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모래 용기부가 상기 홈을 개방하도록 상기 이동기구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감지센서의 비접촉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모래 용기부가 상기 홈을 막도록 상기 이동기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movement mechanism to open the groove according to the contact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sensor, and in response to the non-contact sensing signal of the first senso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vement mechanism.

또한, 상기 상판부는, 고양이가 용변 자세를 취할 때 뒷발이 상기 상판부를 밟지 않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기 상판부 상면의 내측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upper plate portion is formed with protrusions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inner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to guide the rear legs not to step on the upper plate portion when the cat is in the use 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고양이용 변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좌변기의 물내리기 버튼을 누르도록 구동하는 버튼 구동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접촉 감지신호가 유지되는 경우, 일정 시간 후 상기 버튼 구동부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The toilet-operated toilet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utton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toilet-operated toilet bowl to press the water-drop button of the left-hand sid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controller controls to drive the button driving unit after a predetermined time.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고양이용 변기는, 좌변기 상에 설치가능한 고양이용 변기로서, 고양이가 내부에서 용변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펜스부와, 상기 펜스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판상 부분으로 중앙에 고양이 배설물이 떨어질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하판부와, 고양이 진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펜스부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상기 펜스부의 외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진입 유도판부가 구비된 변기 몸체부; 상기 하판부의 하부에서 상기 홈을 막거나 개방하도록 이동가능한 모래 용기부; 상기 모래 용기부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부; 상기 펜스부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하판부 상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감지판부; 고양이의 앞발 또는 뒷발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도록, 상기 감지판부의 내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제1 감지센서와 상기 진입 유도판부의 내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제2 감지센서; 및 상기 제1 감지센서와 제2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상기 모래 용기부가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기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at toil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t toilet capable of being installed on a left side of a toilet, wherein a rim having a certain height is formed so that the cat can take a used posture inside A lower plate having a fence portion and a plate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ence portion and having a groove formed at a center thereof so as to allow the cat feces to fall thereon and a lower plate portion coupled to an outer edge of the fence portion with a lower height than the fence portion, A toilet bowl body provided with an entry inducing plate; A sand container portion which is movable to close or open the groove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portion; A mo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sand container part; A sensing plate portion provided at an edge of the lower plate portion so as to be formed adjacent to an inner surface of the fence portion; A first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side or below the detection plate and a second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side or below the entry-inducing plate to detect contact with the front or back of the cat; And a controller receiving the sensing signals of the first sensing sensor and the second sensing sensor and controlling the movement mechanism to move the sand container.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센서의 접촉 감지신호와 제2 감지센서의 비접촉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제1 경우, 상기 모래 용기부가 상기 홈을 개방하도록 상기 이동기구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감지센서의 접촉 감지신호와 제2 감지센서의 접촉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제2 경우, 또는 상기 제1 감지센서의 비접촉 감지신호와 제2 감지센서의 비접촉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제3 경우, 또는 상기 제1 감지센서의 비접촉 감지신호와 제2 감지센서의 접촉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제4 경우, 상기 모래 용기부가 상기 홈을 막도록 상기 이동기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vement mechanism to open the groove in the first case of receiving the touch sensing signal of the first sensing sensor and the non-contact sensing signal of the second sensing sensor, A third case in which a contact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sensor and a contact sensing signal of the second sensing sensor are inputted or a noncontact sensing signal of the first sensing sensor and a noncontact sensing signal of the second sensing sensor are input, A fourth case of receiving the contactless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sensing sensor and the contact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sensing sensor, and controlling the moving mechanism so that the sand container unit blocks the groov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펜스부는, 고양이가 용변 자세를 취할 때 뒷발이 상기 펜스부의 상면을 밟지 않도록 유도하기 위해, 펜스부 상면의 폭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펜스부 상면의 내측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fence portion may be formed to minimize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ence portion in order to induce the rear foot not to step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ence portion when the cat is in the useable posture,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고양이용 변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좌변기의 물내리기 버튼을 누르도록 구동하는 버튼 구동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감지센서의 접촉 감지신호와 제2 감지센서의 비접촉 감지신호가 유지되는 경우, 일정 시간 후 상기 버튼 구동부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The toilet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utton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toilet-operated toilet bowl so as to press the water-drop button of the left-hand sid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n the contact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sensor and the non-contact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sensor are maintaine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button driver to be dri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또한, 상기 제1 감지센서 및 제2 감지센서는, 압력 센서, 접촉 스위치, 터치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first sensing sensor and the second sensing sensor may be any one of a pressure sensor, a contact switch, and a touch sensor.

또한, 상기 모래 용기부는 고양이가 모래를 파헤치더라도 모래가 튀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모래집기방지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nd container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dust collecting protrusion portion so that the sand does not splash even when the cat digs the san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양이용 변기를 통해 고양이의 배설물을 자동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양이를 키우는 사람들에게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process cat feces through a toilet for cats. This can provide the following benefits to cats.

1. 고양이 배설물이 모래에 직접적으로 떨어지지 않으므로, 모래를 주기적으로 교체할 필요가 없어 청소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모래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1. Since cat feces does not fall directly into the sand, there is no need to periodically replace the sand, which not only eliminates the hassle of cleaning but also reduces sand replacement costs.

2. 배설물 처리를 자동화함으로써, 위생적인 환경 속에서 고양이를 키울 수 있다. 2. By automating disposal, you can grow cats in a sanitary environment.

3. 고양이는 먹이량을 스스로 조절하는 능력이 있으므로, 배설물 처리를 자동화함에 따라, 장기간 집을 비우는 경우에도 고양이를 위탁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고양이 위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3. Because cats have the ability to control the amount of food themselves, they do not have to consign their cats even if they are emptied for a long period of time by automating disposal. As a result, the cost of catering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고양이용 변기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고양이용 변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고양이용 변기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고양이용 변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 용기부와 이동기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 용기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oilet for a caterpilla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for a caterpilla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oileting toil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for a caterpilla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and container unit and a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and contain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고양이용 변기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고양이용 변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ushion using a toil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shion using a toil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고양이용 변기는, 좌변기(200) 상에 설치가능한 고양이용 변기로서, 고양이가 내부에서 용변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펜스부(12)와, 고양이가 펜스부(12) 내부로 진입시 발판 역할을 하도록 상기 펜스부(12)의 상단에 형성되는 일정폭의 상판부(14)와, 펜스부(12)의 하단에 형성되는 판상 부분으로 중앙에 고양이 배설물이 떨어질 수 있도록 홈(H)이 형성된 하판부(16)가 구비된 변기 몸체부(10); 하판부(16)의 하부에서 상기 홈(H)을 막거나 개방하도록 이동가능한 모래 용기부(30); 모래 용기부(30)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부(40); 상판부(14)의 아래쪽으로 형성되도록 하판부(16) 상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감지판부(50); 고양이의 앞발 또는 뒷발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도록 감지판부(50)의 내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제1 감지센서(73); 및 제1 감지센서(73)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모래 용기부(30)가 이동하도록 이동기구부(40)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toilet for use in a cush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ilet for a crib that can be installed on a toilet 200, A top plate portion 14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ence portion 12 so as to serve as a scaffold when the cat enters the fence portion 12 and a fence portion 12, And a lower plate portion 16 having a groove H formed at a center thereof so as to allow the cat excretion to fall off the plate body portion 10; A sand container portion (30) movable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portion (16) to block or open the groove (H); A moving mechanism part (40) for moving the sand container part (30); A sensing plate portion 50 provided at an edge of the lower plate portion 16 so as to be formed below the upper plate portion 14; A first detection sensor (73) installed inside or below the detection plate (50) so as to detect the contact by the paw or hind leg of the cat; And a control unit 80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mechanism 40 to move the sand container unit 30 based on a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73.

여기서, 상기 제어부(80)는, 제1 감지센서(73)의 접촉 감지신호에 따라 모래 용기부(30)가 홈(H)을 개방하도록 이동기구부(40)를 제어하고, 제1 감지센서(73)의 비접촉 감지신호에 따라 모래 용기부(30)가 홈(H)을 막도록 이동기구부(4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80 controls the movement mechanism 40 to open the groove H in accordance with the contact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sensing sensor 73, Contact detection signal of the sand container unit (73) to control the movement mechanism (40) so that the sand container unit (30) closes the groove (H).

여기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고양이용 변기와 고양이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고양이는 변기 몸체부(10)의 상판부(14)를 통해 펜스부(12) 내로 진입한다. 진입한 고양이는 하판부(16)의 홈(H)을 막도록 위치하는 모래 용기부(30)의 모래를 확인하고 뒤로 돌아 용변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 때 고양이는 앞발 또는 뒷발로 감지판부(50)를 누르게 되고 제어부(80)는 제1 감지센서(73)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이동기구부(40)를 제어하여 모래 용기부(30)가 홈(H)을 개방하도록 위치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고양이의 배설물은 홈(H)을 관통하여 좌변기로 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자는 학습을 통해 고양이가 변기 몸체부(10)의 펜스부(12) 내부에서 대략 일정하게 용변자세를 잡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용 변기는 고양이 눈속임을 통해 고양이는 모래에 용변을 한다고 착각하게 하고 실제로는 모래가 아닌 좌변기 내로 배설물이 떨어지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The cat will enter the fence portion 12 through the top plate portion 14 of the toilet bowl body 10 to explain the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at toil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cat. The cat that has entered enters the toilet stance after checking the sand of the sand container portion 30 positioned so as to cover the groove H of the lower plate portion 16 and backward. At this time, the cat presses the detection plate 50 with the front foot or the back foot, and the control unit 80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73 and controls the movement mechanism unit 40 so that the sand container unit 30 (H). Accordingly, the excretion of the cat passes through the groove H and falls to the left side. For this purpose,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learned through learning that the cat is held in a substantially constant position in the fence portion 12 of the toilet body portion 10. That is, the cat l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uses the cat to mistake the cat for the cat litter, and actually operates the cat litter to fall into the left litter, not the sand.

여기서, 상기 상판부(14)는 감지판부(50)를 가리도록 위쪽으로 형성됨으로써, 고양이가 진입 중 감지판부(50)를 잘못 누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upper plate 14 is formed upwardly to cover the sensing plate 50, thereby preventing the cat from accidentally pressing the sensing plate 50 during its entry.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상판부(14)는, 고양이가 용변 자세를 취할 때 뒷발이 상판부(14)를 밟지 않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판부(14) 상면의 내측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돌기부(1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돌기부(15)는 도면에서는 과장되게 표현하였으나, 고양이가 밟았을 때 불편함을 느낄 수 있도록 돌출된 형상이면 어떤 형상이어도 상관없다.A protruding portion 15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inner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4 so as to guide the rear legs against the upper plate 14. [ . Here, the protrusion 15 is exaggerated in the drawing, but it may be any shape as long as it protrudes so that the cat may feel inconvenience when the cat is stepped on.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고양이용 변기는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좌변기(200)의 물내리기 버튼(220)을 누르도록 구동하는 버튼 구동부(90)를 더 구비하되, 제어부(8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접촉 감지신호가 유지되는 경우, 일정 시간 후 버튼 구동부(90)를 구동하여 물내리기 버튼(220)을 누르도록 제어한다. 이 때,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실험에 의한 설정값으로서, 고양이가 용변을 보기 위해 누르는 경우와 고양이가 용변자세를 취하는 중 짧게 반복하여 잘못 누르는 경우를 구분하기 위해 설정되는 시간(예로써, 3초 이상)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일정 시간도 실험에 의한 설정값으로서, 고양이가 용변을 본 후 변기를 떠나는 기간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시간(예로써, 10초 이상)을 의미한다. 이로써, 고양이가 용변을 본 후 물내리기 동작에 의해 놀라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The toil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utton driving unit 90 for driving the water drop button 220 of the left side machine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80 so as to press the water drop button 220, The control unit 80 controls the button driving unit 90 to press the water drop button 220 afte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contact detection signal is maintained for a preset time.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time is an experimentally set value, which is a time set to distinguish a case where the cat presses to see the toilet and a case where the cat presses the toilet for a short while repeatedly taking the toilet posture (for example, Or more). Also, the predetermined time is an experimentally set value, which means a time (for example, 10 seconds or more) set in consideration of a period of leaving the toilet after the cat has used the toilet.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t from being surprised by the operation of dripping after having been washed.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변기 몸체부(10)는, 고양이 진입이 용이하도록, 펜스부(12)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펜스부(12)의 외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진입 유도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진입 유도판부는 펜스부(12)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해도 좋고, 또는 일부의 외측 가장자리에만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다만, 고양이 용변시 고양이의 변이 홈(H)을 통과하여 좌변기(200) 상으로 떨어질 때 물이 튀는 것을 줄이기 위해, 기존 좌변기의 형상을 고려하여 변기 몸체부(10)는 좌변기의 앞쪽으로 배치되고, 진입 유도판부는 뒷쪽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의 진입 유도판부(18) 참조).Preferably, the toilet body portion 10 further includes an entry guide plate portion that is lower than the fence portion 12 and is coupled to an outer edge of the fence portion 12, Do. At this time, the entry guide plate portion may be formed entirely along the outer edge of the fence portion 12, or may be formed only on a part of the outer edge. However, in order to reduce splashing of water when the cat passes through the transition groove H of the cat litter and falls onto the toilet seat 200, the toilet seat body 1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toilet seat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existing toilet seat , And the entrance-inducing plate portion is preferably disposed rearward (see the entry-inducing plate portion 18 in Fig. 3).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고양이용 변기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고양이용 변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oilet for a cush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for a cush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고양이용 변기는, 좌변기(200) 상에 설치가능한 고양이용 변기로서, 고양이가 내부에서 용변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펜스부(11)와, 펜스부(11)의 하단에 형성되는 판상 부분으로 중앙에 고양이 배설물이 떨어질 수 있도록 홈(H)이 형성된 하판부(16)와, 고양이 진입이 용이하도록 펜스부(11)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펜스부(11)의 외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진입 유도판부(18)가 구비된 변기 몸체부(10); 하판부(16)의 하부에서 상기 홈(H)을 막거나 개방하도록 이동가능한 모래 용기부(30); 모래 용기부(30)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부(40); 펜스부(11)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도록, 하판부(16) 상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감지판부(50); 고양이의 앞발 또는 뒷발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도록 감지판부(50)의 내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제1 감지센서(73)와 진입 유도판부(18)의 내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제2 감지센서(77); 및, 상기 제1 감지센서(73)와 제2 감지센서(77)의 감지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모래 용기부(30)가 이동하도록 이동기구부(40)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toilet for cat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ilet for cats, which can be installed on the toilet 200, A lower plate 16 formed with a groove H for allowing the cat feces to fall in the center with a plateau port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ence portion 11, A toilet bowl body 10 having an entrance induction plate portion 18 which is lower than the fence portion 11 and is engaged with the outer edge of the fence portion 11; A sand container portion (30) movable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portion (16) to block or open the groove (H); A moving mechanism part (40) for moving the sand container part (30); A sensing plate portion 50 provided at an edge of the lower plate portion 16 so as to be formed adjacent to an inner surface of the fence portion 11; A first detection sensor 73 installed inside or below the detection plate 50 and a second detection sensor 77 installed inside or below the entry guide plate 18 to detect contact by the paw or foot of the cat ); And a control unit 80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mechanism 40 to move the sand container unit 30 by receiving the sensing signals of the first sensing sensor 73 and the second sensing sensor 77, do.

여기서, 상기 제어부(80)는, 제1 감지센서(73)의 접촉 감지신호와 제2 감지센서(77)의 비접촉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제1 경우, 모래 용기부(30)가 홈(H)을 개방하도록 이동기구부(40)를 제어하고, 제1 감지센서(73)의 접촉 감지신호와 제2 감지센서(77)의 접촉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제2 경우, 또는 제1 감지센서(73)의 비접촉 감지신호와 제2 감지센서(77)의 비접촉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제3 경우, 또는 제1 감지센서(73)의 비접촉 감지신호와 제2 감지센서(77)의 접촉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제4 경우, 모래 용기부(30)가 홈(H)을 막도록 이동기구부(4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80 receives the touch sensing signal of the first sensing sensor 73 and the non-contact sensing signal of the second sensing sensor 77, The first sensing sensor 73 and the second sensing sensor 7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sensing sensor 73 and the second sensing sensor 77, Contact sensing signal of the first sensing sensor 73 and the contact sensing signal of the second sensing sensor 77 are input to the first sensor 73 and the second sensor 77, And controls the moving mechanism (40) so that the sand container (30) covers the groove (H).

여기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고양이용 변기와 고양이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고양이는 변기 몸체부(10)의 펜스부(11)를 넘어 펜스부(11) 내로 진입한다. 진입한 고양이는 하판부(16)의 홈(H)을 막도록 위치하는 모래 용기부(30)의 모래를 확인하고 뒤로 돌아 용변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 때 고양이는 앞발 또는 뒷발로 감지판부(50)를 누르게 되고 제어부(80)는 제1 및 제2 감지센서(73, 77)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이동기구부(40)를 제어하여 모래 용기부(30)가 홈(H)을 개방하도록 위치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고양이의 배설물은 홈(H)을 관통하여 좌변기로 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자는 학습을 통해 고양이가 변기 몸체부(10)의 펜스부(11) 내부에서 대략 일정하게 용변자세를 잡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cat will move beyond the fence portion 11 of the toilet bowl body 10 and enter the fence portion 11 as described above. The cat that has entered enters the toilet stance after checking the sand of the sand container portion 30 positioned so as to cover the groove H of the lower plate portion 16 and backward. At this time, the cat presses the detection plate 50 with the front foot or the back foot, and the control unit 80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sensors 73 and 77, controls the movement mechanism unit 40, (30) opens the groove (H). Accordingly, the excretion of the cat passes through the groove H and falls to the left side. For this purpose,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learned through learning that the cat catches the used position in the fence portion 11 of the toilet body portion 10 in a substantially constant manner.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제1 및 제2 감지센서(73, 77)의 감지신호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고양이가 고양이용 변기로 진입하기 전의 대기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감지센서(73, 77)가 모두 비접촉 감지신호인 OFF 상태에 있고, 이에 따라 모래 용기부(30)가 홈(H)을 막도록 위치제어된다. 이 후, 고양이의 진입 중 상태에서, 제2 감지센서(77)가 접촉 감지신호인 ON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감지센서(73)의 접촉 여부에 상관없이 모래 용기부(30)가 계속 홈(H)을 막도록 위치제어된다. 이어서, 고양이가 펜스부(11) 내로 진입한 상태에서는, 제2 감지센서(77)가 비접촉 감지신호인 OFF 상태에 있고, 제1 감지센서(73)가 접촉 감지신호인 ON 상태로 될 때 모래 용기부(30)가 홈을 개방하도록 위치제어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80)는 고양이가 펜스부(11) 내부에서 용변자세를 잡을 때와, 고양이가 펜스부(11) 내부로 진입할 때를 구별하여 모래 용기부(30)의 위치이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sensors 73 and 77 will be described. First, in the standby state before the cat enters the toilet for cats, The sensors 73 and 77 are all in the OFF state, which is the noncontact sensing signal, so that the sand container portion 30 is positionally controlled so as to block the groove H. Thereafter, when the second detection sensor 77 is in the ON state, which is the contact detection signal, in the state where the cat is in the inflow state, the sand container portion 30 continues to be kept in contact with the first detection sensor 73, (H). Then, when the cat enters the fence portion 11, when the second sensing sensor 77 is in the OFF state, which is the noncontact sensing signal, and the first sensing sensor 73 is in the ON state, which is the contact sensing signal, The container portion 30 is position-controlled to open the groove. The control unit 80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sand container unit 30 by distinguishing between when the cat is in the use position inside the fence unit 11 and when the cat enters the fence unit 11, .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3의 상기 펜스부(11)는, 고양이가 용변 자세를 취할 때 뒷발이 펜스부(11)의 상면을 밟지 않도록 유도하기 위해, 펜스부(11) 상면의 폭을 최소화하거나, 펜스부(11) 상면의 내측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돌기부(1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ence portion 11 is minimized in order to induce the rear foot not to step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ence portion 11 when the cat is in the use posi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s 15 are formed at the inner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ence portion 11 at regular intervals.

여기서, 상기 돌기부(15)는 도면에서는 과장되게 표현하였으나, 고양이가 밟았을 때 불편함을 느낄 수 있도록 돌출된 형상이면 어떤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펜스부(11)의 상면의 폭을 최소화하는 경우도, 펜스부(11)의 상면의 폭은 고양이가 밟았을 때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폭이어야 하며, 대략 25 mm보다 작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25mm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rotrusion 15 is exaggerated in the drawing, but it may be any shape as long as it protrudes so that the cat may feel inconvenience when the cat is stepped on. Even when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ence portion 11 is minimized,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ence portion 11 should be a width at which the cat can feel inconvenience when the cat is stepped on, , More preferably 20 to 25 mm in width.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용 변기는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좌변기(200)의 물내리기 버튼(220)을 누르도록 구동하는 버튼 구동부(90)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8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감지센서(73)의 접촉 감지신호와 제2 감지센서(77)의 비접촉 감지신호가 유지되는 경우, 일정 시간 후 상기 버튼 구동부(90)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실험에 의한 설정값으로서, 고양이가 용변을 보기 위해 누르는 경우와 고양이가 용변자세를 취하는 중 짧게 반복하여 잘못 누르는 경우를 구분하기 위해 설정되는 시간(예로써, 3초 이상)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일정 시간도 실험에 의한 설정값으로서, 고양이가 용변을 본 후 변기를 떠나는 기간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시간(예로써, 10초 이상)을 의미한다. 이로써, 고양이가 용변을 본 후 물내리기 동작에 의해 놀라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3 and 4, the toilet-use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tton driving unit 90 (FIG. 3) for driving the water-dropping button 220 of the toilet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80 When the contact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73 and the contact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detection sensor 77 are maintained for a preset time, So as to drive the driving unit 90. As mentioned above, the predetermined time is an experimentally set value. The predetermined time is a time set to distinguish a case where the cat presses to see the toilet and a case where the cat repetitively presses the toilet for a short while, , 3 seconds or more). Also, the predetermined time is an experimentally set value, which means a time (for example, 10 seconds or more) set in consideration of a period of leaving the toilet after the cat has used the toilet.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t from being surprised by the operation of dripping after having been washed.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제1 감지센서(73) 및 제2 감지센서(77)는, 각각 고양이가 앞발 또는 뒷발로 각각 감지판부(50)나 진입유도판부(18)를 밟을 때, 누르는 압력 등에 의해 고양이의 접촉을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공지된 압력 센서, 접촉 스위치, 터치 센서 등 다양한 센서 및 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The first sensing sensor 73 and the second sensing sensor 77 may be provided on the sensing plate 50 or the entry inducing plate 18 with the forefoot or the hind paw, Various sensors and switches, such as a known pressure sensor, a contact switch, and a touch sensor, can be used as the configuration for sensing the contact of the cat.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모래 용기부(30)는, 고양이가 모래를 파헤치더라도 모래가 튀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모래집기방지 돌기부(3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모래 용기부(30)의 모래가 튀어 나가 고양이용 변기의 다른 구성 특히 이동기구부(40)를 손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it is preferable that the sand container portion 30 includes at least one sand catching protrusion 35 so that sand does not splash even if the cat digs the s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ossibility that the sand of the sand container portion 30 is protruded to damage other structures of the toilet bowl, particularly the moving mechanism 40.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몸체부(10)의 펜스부(11, 12)는 고양이가 용변을 보기 위해 대략 일정한 위치에서 대략 일정한 용변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환형의 펜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환형의 펜스 형상 범위 내에서 용변자세를 잡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특히, 펜스부(11, 12)는 고양이 진입시 이동이 어렵지 않으며, 용변시 적절하게 장애물 역할을 하여 편안하게 용변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적절한 높이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략 3 ~ 15Cm의 범위 내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fence portions 11 and 12 of the body portion 10 are configured to guide the cat to take a substantially constant use position at a substantially constant position in order to see the cat, And is guided so as to be able to catch the use posture within the annular fence shape range.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fence portions 11 and 12 are designed to have a proper height so that they can move comfortably when they enter the cat, .

또한, 상기 하판부(16)의 홈(H)은 중앙에 배설물이 떨어질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홈을 형성한다.The groove (H) of the lower plate portion (16) is formed with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the excrement can fall off at the center.

여기서, 상기 변기 몸체부(1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종래의 모래가 담겨지는 용기에 비유될 수 있다.Here, the toilet bowl body 10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may be compared to a container containing conventional sand.

또한, 상기 이동기구부(40)는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모래 용기부(30)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도 6와 같이 제어부(80)의 제어신호에 따라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동 모터(41)와, 구동 모터(41)의 축에 연결된 이동벨트(43)와, 이동벨트(43)의 회전에 따라 모래 용기부(30)가 이동하는 일정 구간의 레일(45)과, 레일(45)의 양단에서 모래 용기부(3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개구 감지센서(46) 및 폐구 감지센서(4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기구부(40)는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모래 용기부(30)를 일정 구간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면 어떤 구성을 사용해도 좋다. The moving mechanism unit 40 is configured to move the sand container unit 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80 and is configured to rotate in both direction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80, A moving belt 43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driving motor 41 and a rail 45 having a predetermined section in which the sand container unit 30 mov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ving belt 43, And an opening detection sensor 46 and a closure detection sensor 49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sand container portion 30 at both ends of the rail 45. [ In this manner, any configuration may be used as long as the movable mechanism 40 can move the sand container unit 30 within a predetermined interv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80. [

또한, 상기 감지판부(50)는 하판부(16) 상에 설치되되, 펜스부(11, 12)의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환형의 판상으로서, 고양이가 용변자세를 잡을 때 앞발 또는 뒷발로 누를 수 있도록(또는 밟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The detection plate 50 is an annular plate formed on the lower plate 16 so as to be adjacent to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fence portions 11 and 12 so that the cat is pushed with the forelimb or hind paw (Or can be stepped on).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하판부(16)와 감지판부(50)의 상면이 대략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하판부(16)는 감지판부(50)가 설치되는 부분만큼 홈을 형성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1 and 3, the lower plate portion 16 is provided with a sensing plate portion 50 so that the lower plate portion 16 and the sensing plate portion 50 can have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shown in FIG.

또한, 버튼 구동부(90)는 제어부(80)의 제어신호에 따라 좌변기의 물내기기 버튼(220)을 누른 후, 다시 복귀하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버튼 구동부(90)는 제어부(80)의 제어신호에 따라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스크류바와, 상기 스크류바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후진 가능한 버튼부를 구비하여, 좌변기(200)의 물내리기 버튼(220)을 누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버튼 구동부(90)는 좌변기의 급수탱크(210) 내의 충전된 물이 내려가게 하기 위한 스위치적인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button driving unit 90 is configured to return to the home position by pressing the button 220 on the left side of the toile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80. For example, And a button portion that can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crew bar, so that the water drop button 220 of the left side lid 200 can be rotated . ≪ / RTI > That is, the button driving unit 90 can be understood as a switch-type configuration for allowing the charged water in the left-hand side water supply tank 210 to descend.

참고적으로, 상기 제어부(80)는 전원장치에 의해서 전원을 공급받으며, 전원장치는 배터리일 수도 있고 외부전원으로부터 연결될 수도 있다.For reference, the controller 80 is supplied with power by a power source device, and the power source device may be a battery or an external power sourc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고양이용 변기를 통해 고양이의 배설물을 자동 처리할 수 있다.The cat litter can be automatically processed through the cat li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이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허권리범위는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라 하겠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atent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equivalents which do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atent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 변기 몸체부 11, 12 : 펜스부
14 : 상판부 15 : 돌기부
16 : 하판부
30 : 모래 용기부 40 : 이동기구부
50 : 감지판부
73 : 제1 감지센서 77 : 제2 감지센서
80 : 제어부 90 : 버튼 구동부
200 : 좌변기 210 : 급수탱크
220 : 물내리기 버튼
10: toilet bowl body part 11, 12: fence part
14: upper plate part 15:
16:
30: a sand container part 40:
50:
73: first detection sensor 77: second detection sensor
80: control unit 90: button driving unit
200: toilet seat 210: water tank
220: Water drop button

Claims (13)

좌변기 상에 설치가능한 고양이용 변기로서,
고양이가 내부에서 용변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펜스부(12)와, 고양이가 상기 펜스부(12) 내부로 진입시 발판 역할을 하도록 상기 펜스부(12)의 상단에 형성되는 일정폭의 상판부(14)와, 상기 펜스부(12)의 하단에 형성되는 판상 부분으로 중앙에 고양이 배설물이 떨어질 수 있도록 홈(H)이 형성된 하판부(16)가 구비된 변기 몸체부(10);
상기 하판부(16)의 하부에서 상기 홈(H)을 막거나 개방하도록 이동가능한 모래 용기부(30);
상기 모래 용기부(30)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부(40);
상기 상판부(14)의 아래쪽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하판부(16) 상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감지판부(50);
고양이의 앞발 또는 뒷발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도록, 상기 감지판부(50)의 내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제1 감지센서(73); 및
상기 제1 감지센서(73)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모래 용기부(30)가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기구부(40)를 제어하는 제어부(80);
를 포함하는 고양이용 변기.
As a toilet for a crib that can be installed on a toilet seat,
A fence portion 12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ence portion 12 so as to serve as a scaffold when the cat enters the fence portion 12; And a lower plate portion 16 having a groove H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o allow cat drop to fall off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portion 14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ence portion 12, );
A sand container portion (30) movable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portion (16) to close or open the groove (H);
A moving mechanism (40) for moving the sand container (30);
A sensing plate portion 50 provided at an edge of the lower plate portion 16 so as to be formed below the upper plate portion 14;
A first detection sensor (73) installed inside or below the detection plate (50) so as to detect contact by a forefoot or a rear foot of the cat; And
A control unit (80)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mechanism (40) to receive the sensing signal of the first sensing sensor (73) and move the sand container unit (30);
A toilet utilizing ca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1 감지센서(73)의 접촉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모래 용기부(30)가 상기 홈(H)을 개방하도록 상기 이동기구부(40)를 제어하고,
상기 제1 감지센서(73)의 비접촉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모래 용기부(30)가 상기 홈(H)을 막도록 상기 이동기구부(4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80)
Controls the movement mechanism (40) so that the sand container (30) opens the groove (H) according to the contact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sensing sensor (73)
And controls the movement mechanism (40) so that the sand container (30) blocks the groove (H) according to a non-contact sensing signal of the first sensing sensor (7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14)는, 고양이가 용변 자세를 취할 때 뒷발이 상기 상판부(14)를 밟지 않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기 상판부(14) 상면의 내측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돌기부(1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변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upper plate portion 14 is formed with protrusions 15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14 to guide the rear legs against the upper plate portion 14 when the cat takes a posture Featuring cottages for cat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좌변기(200)의 물내리기 버튼(220)을 누르도록 구동하는 버튼 구동부(90)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8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접촉 감지신호가 유지되는 경우, 일정 시간 후 상기 버튼 구동부(90)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변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button driving unit (90) for driving the water drop button (220) of the left side machine (200) to be pressed by the control unit (80)
Wherein the control unit (80) controls the button driving unit (90) to be dri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contact detection signal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센서(73)는, 압력 센서, 접촉 스위치, 터치 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ensing sensor (73) is any one of a pressure sensor, a contact switch, and a touch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몸체부(10)는, 고양이 진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펜스부(12)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상기 펜스부(12)의 외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진입 유도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oilet body (1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n entrance induction plate portion having a lower height than the fence portion (12) and coupled to an outer edge of the fence portion (12) Utilization toil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 용기부(30)는 고양이가 모래를 파헤치더라도 모래가 튀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모래집기방지 돌기부(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and container portion (3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dust collecting protrusion (35) so that the sand does not splash even when the cat digs the sand.
좌변기 상에 설치가능한 고양이용 변기로서,
고양이가 내부에서 용변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펜스부(11)와, 상기 펜스부(11)의 하단에 형성되는 판상 부분으로 중앙에 고양이 배설물이 떨어질 수 있도록 홈(H)이 형성된 하판부(16)와, 고양이 진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펜스부(11)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상기 펜스부(11)의 외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진입 유도판부(18)가 구비된 변기 몸체부(10);
상기 하판부(16)의 하부에서 상기 홈(H)을 막거나 개방하도록 이동가능한 모래 용기부(30);
상기 모래 용기부(30)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부(40);
상기 펜스부(11)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하판부(16) 상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감지판부(50);
고양이의 앞발 또는 뒷발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도록, 상기 감지판부(50)의 내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제1 감지센서(73)와 상기 진입 유도판부(18)의 내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제2 감지센서(77); 및
상기 제1 감지센서(73)와 제2 감지센서(77)의 감지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상기 모래 용기부(30)가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기구부(40)를 제어하는 제어부(80);
를 포함하는 고양이용 변기.
As a toilet for a crib that can be installed on a toilet seat,
A fence portion 11 that forms a rim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cat can take a used posture therein, and a plate port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ence portion 11, And an entrance inducing plate portion 18 which is lower than the fence portion 11 and is engaged with an outer edge of the fence portion 11 so as to facilitate entry of a cat, 10);
A sand container portion (30) movable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portion (16) to close or open the groove (H);
A moving mechanism (40) for moving the sand container (30);
A sensing plate 50 installed at an edge of the lower plate 16 so as to be adjacent to an inner surface of the fence 11;
A first detection sensor 73 installed inside or below the detection plate 50 and a second detection sensor 73 installed inside or below the entrance guide plate 18 to detect contact with the front or rear foot of the cat, A sensor 77; And
A control unit 80 for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first sensing sensor 73 and the second sensing sensor 77 and controlling the movement mechanism unit 40 to move the sand container unit 30;
A toilet utilizing cat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1 감지센서(73)의 접촉 감지신호와 제2 감지센서(77)의 비접촉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제1 경우, 상기 모래 용기부(30)가 상기 홈(H)을 개방하도록 상기 이동기구부(40)를 제어하고,
상기 제1 감지센서(73)의 접촉 감지신호와 제2 감지센서(77)의 접촉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제2 경우, 또는 상기 제1 감지센서(73)의 비접촉 감지신호와 제2 감지센서(77)의 비접촉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제3 경우, 또는 상기 제1 감지센서(73)의 비접촉 감지신호와 제2 감지센서(77)의 접촉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제4 경우, 상기 모래 용기부(30)가 상기 홈(H)을 막도록 상기 이동기구부(4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변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80)
The first case of receiving the touch sensing signal of the first sensing sensor 73 and the non-contact sensing signal of the second sensing sensor 77 is a first case in which the sand container unit 30 opens the groove H, (40)
A second case in which the contact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sensor 73 and the contact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detection sensor 77 are input or a second case in which the contactless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73 and the non- Contact sensing signal of the first sensing sensor 73 and the contact sensing signal of the second sensing sensor 77 are input to the first sensing sensor 73 or the fourth sensing device 77, 30) controls the movement mechanism (40) so as to block the groove (H).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11)는, 고양이가 용변 자세를 취할 때 뒷발이 상기 펜스부(11)의 상면을 밟지 않도록 유도하기 위해, 펜스부(11) 상면의 폭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펜스부(11) 상면의 내측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돌기부(1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변기.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ence portion 11 may be minimized or the width of the fence portion 11 may be minimized so as to induce the rear foot not to step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ence portion 11 when the cat takes a posture, And protrusions (15) are formed on the inner edge of the upper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좌변기(200)의 물내리기 버튼(220)을 누르도록 구동하는 버튼 구동부(90)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8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감지센서(73)의 접촉 감지신호와 제2 감지센서(77)의 비접촉 감지신호가 유지되는 경우, 일정 시간 후 상기 버튼 구동부(90)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변기.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button driving unit (90) for driving the water drop button (220) of the left side machine (200) to be pressed by the control unit (80)
When the contact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sensor 73 and the contact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sensor 77 are maintained for a preset time,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button driver 90 So as to control the toile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센서(73) 및 제2 감지센서(77)는, 압력 센서, 접촉 스위치, 터치 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변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sensing sensor (73) and the second sensing sensor (77) are any one of a pressure sensor, a contact switch, and a touch senso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 용기부(30)는 고양이가 모래를 파헤치더라도 모래가 튀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모래집기방지 돌기부(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변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and container portion (3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dust collecting protrusion (35) so that the sand does not splash even when the cat digs the sand.
KR1020130123026A 2013-10-16 2013-10-16 Toilet for cats KR1015270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026A KR101527007B1 (en) 2013-10-16 2013-10-16 Toilet for ca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026A KR101527007B1 (en) 2013-10-16 2013-10-16 Toilet for ca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108A KR20150044108A (en) 2015-04-24
KR101527007B1 true KR101527007B1 (en) 2015-06-09

Family

ID=5303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026A KR101527007B1 (en) 2013-10-16 2013-10-16 Toilet for ca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00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724B1 (en) * 2015-03-02 2017-03-02 박용식 Toilet device for ca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6979A (en) * 1991-05-06 1993-06-08 Sallee Earnest W Toilet bowl mountable trap door cat litter box
JP2534869Y2 (en) * 1990-11-30 1997-05-07 建治 三村 Toilet bow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4869Y2 (en) * 1990-11-30 1997-05-07 建治 三村 Toilet bowl
US5216979A (en) * 1991-05-06 1993-06-08 Sallee Earnest W Toilet bowl mountable trap door cat litter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108A (en) 2015-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824B1 (en) Apparatus for excrement of pet
CA1086455A (en) Pet commode
CA2969678C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eidentified pets selective access to a predetermined location or object
KR101423739B1 (en) An excrement prop for a pet
KR101157038B1 (en) Toilet for pet
TWI669051B (en) Excrement collection device and intelligent excrement collection system using the same
US10455804B2 (en) Toilet for cat
KR20190018859A (en) Bowel Movement Device For a Pet
KR101617338B1 (en) Apparatus for automatic excrement of pet
KR20150033390A (en) An excrement prop for a pet
KR101712260B1 (en) Dog toilet
KR20090089779A (en) The apparatus for automatic excrement of pet
KR20200015193A (en) Apparatus for cleaning excretion of pet
JP2009142384A (en) Excrement disposal device
KR20170016662A (en) Dog automatic toilet
KR101527007B1 (en) Toilet for cats
KR20170008137A (en) Auto flushing system for cat which use toilet flusher
KR101415871B1 (en) An excrement prop for a pet
KR102078698B1 (en) division type excretion disposal apparatus of pet dog
KR101796113B1 (en) Auto disposal apparatus for pet excrements
KR101711724B1 (en) Toilet device for cats
KR20130140414A (en) An excrement prop for a pet
KR101738630B1 (en) Flush type excrement prop for pet
RU120331U1 (en) AUTOMATIC WATER RINSING FOR PETS
RU171732U1 (en) Automatic Pet Toi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