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731B1 -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731B1
KR101526731B1 KR1020130152953A KR20130152953A KR101526731B1 KR 101526731 B1 KR101526731 B1 KR 101526731B1 KR 1020130152953 A KR1020130152953 A KR 1020130152953A KR 20130152953 A KR20130152953 A KR 20130152953A KR 101526731 B1 KR101526731 B1 KR 101526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inge
refrigerator
adjustment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식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2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05D7/0045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냉장고 도어의 힌지축 상부가 삽입 고정되는 힌지 리브가 그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냉장고의 본체 상단부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힌지 브라켓 및 상기 힌지 브라켓 상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조절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 브라켓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힌지 브라켓이 좌우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HINGE ASSEMBLY FOR REFRIGERATOR DOOR}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 도어의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축에 마련되는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 및 팽창 수단과 증발기를 따라 순환되고, 상기 증발기 내부에서 냉매가 증발되면서 주변 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온도를 강하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는 동시에 냉동실 또는 냉장실 배면에 구비된 송풍팬을 구동시켜 냉기를 냉동실 및 냉장실 측으로 토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냉기에 의해 냉동실에 음식물을 냉동 보관하거나, 냉장실에 음식물을 저온 보관하여 음식물의 변질 및 신선도 저하를 방지하여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장시간 보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냉장고는 냉동실 및 냉장실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는데, 보통 국내에서는 냉동실 및 냉장실이 상하 측에 위치된 탑 마운트 냉장고와, 냉동실 및 냉장실이 양측에 나란히 위치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냉장고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 도어에서 힌지 어셈블리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냉장고 중 냉동실 및 냉장실이 양측에 나란히 위치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냉장고는, 전면이 개방된 본체(2a)의 내부 양측에 냉장실(R) 및 냉동실이 나란히 구획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2a) 전면에 한 쌍의 도어(2b)가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며, 상기 본체(2a) 하측에 전면이 개방된 냉동실(4a)이 추가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내부에 서랍(4b)이 인출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도어(2b)는 상, 하단이 각각 상, 하부 힌지 어셈블리(6,8)에 의해 상기 본체(2a)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2b)의 일측 상, 하단에는 각각 힌지홈(H)이 형성되고, 각각의 힌지홈(H)과 상기 본체(2a) 전면 사이에 각각 상,하부 힌지 어셈블리(6,8)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8)는 상기 도어(2b)를 지지하도록 한 다음, 상기 상부 힌지 어셈블리(6)는 상기 도어(2b)가 정확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부 힌지 어셈블리(6)는 상기 도어(2b)의 상단에 형성된 힌지홈(H)에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축이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반면,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8)는 상기 도어(2b)의 하단에 형성된 힌지홈(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축이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8)는 상기 도어(2b)를 지지한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힌지 어셈블리(6)는 힌지 플레이트(6a) 일단에 힌지축(6b)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힌지축(6b)이 상기 본체(2a)로부터 돌출되도록 위치시킨 다음, 상기 힌지 플레이트(6a)의 타측에 형성된 삽입홀과 상기 본체(2a)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기들을 일치시켜 조립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힌지축(6b)은 상기 힌지 플레이트(6a)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별도의 코킹 등의 작업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힌지축(6b)이 일단에 연결된 힌지 플레이트(6a)가 단순히 상기 본체(2a)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한 번 상기 힌지 플레이트(6a)가 상기 본체(2a)에 설치되면 상기 힌지 플레이트(6a)와 일체로 연결된 힌지축(6b)을 이동할 수 없으므로 설계 또는 조립 오차로 인하여 상기 도어(2b)가 상기 본체(2a)의 전면에 양측 방향으로 어긋나게 설치될 수도 있고, 이로 인하여 냉장실 또는 냉동실 측의 냉기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0080617호(1999. 11. 1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장고 도어의 힌지축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냉장고 도어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는, 냉장고 도어의 힌지축 상부가 삽입 고정되는 힌지 리브가 그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냉장고의 본체 상단부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힌지 브라켓; 및 상기 힌지 브라켓 상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조절 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 브라켓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힌지 브라켓이 좌우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는, 복수의 체결 위치를 가지도록 상기 조절 브라켓에 형성되는 조절 슬릿을 통하여 상기 조절 브라켓과 상기 힌지 브라켓을 체결하는 체결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의 체결 위치에 따라 상기 조절 브라켓 및 상기 힌지 브라켓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힌지 브라켓 상에서 돌출 형성되고, 복수의 삽입 위치를 가지도록 상기 조절 브라켓에 형성되는 조절 슬릿에 삽입 고정되는 가이드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삽입 위치에 따라 상기 조절 브라켓 및 상기 힌지 브라켓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 슬릿은 그 단부에서 일측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 슬릿은 그 중심에서 양측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 브라켓의 이동에 따른 상기 힌지 브라켓의 이동 거리를 표시하는 눈금선이 상기 조절 슬릿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 브라켓에는 상기 냉장고 본체의 상단부에서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가이드 보스가 삽입되는 제1횡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 브라켓에는 상기 제1가이드 보스가 삽입되는 종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힌지 브라켓 및 상기 조절 브라켓을 상기 냉장고 본체의 상단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가이드 보스에 체결되는 고정 부재; 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힌지 브라켓에는 상기 냉장고 본체의 상단부에서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가이드 보스가 삽입되는 제2횡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 브라켓에는 상기 냉장고 본체의 상단부에서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삽입 돌기가 삽입되도록 그 너비가 상기 삽입 돌기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 브라켓의 타측에는 상기 냉장고 본체의 상단부에서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도록 그 너비가 상기 가이드 돌기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의 생산 출하 시 도어의 외관 품질인 도어 간의 간격이 도어의 높이 방향에 따라 일정하지 않을 경우 또는 냉장고 도어의 포켓에 식품을 보관하여 사용 중 도어 처짐에 따른 도어 위치 교정이 필요한 경우 힌지축을 좌우를 조절함으로써 도어 간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 도어에서 힌지 어셈블리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힌지 어셈블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힌지 어셈블리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냉장고 도어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냉장고 도어의 힌지축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브라켓(100), 조절 브라켓(200), 체결 부재(300) 및 고정 부재(5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힌지 브라켓(100)은 냉장고의 본체(10, 도 4 참조) 상단부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냉장고 도어의 힌지축(20, 도 4 참조)의 상부가 삽입 고정되는 힌지 리브(102)가 그 일측에 마련된다.
즉, 상기 힌지 브라켓(100)이 좌우 이동함에 따라 상기 힌지축(20)도 좌우 이동하고,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상기 힌지축(20)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도어 간의 간격이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브라켓(100) 상에는 제1횡슬릿(110), 제2횡슬릿(120) 및 삽입홀(130)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 브라켓(100)의 타측에는 가이드 홈(140) 등이 형성된다.
상기 제1횡슬릿(110)에는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상단부에서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가이드 보스(11, 도 4 참조)가 삽입되고, 상기 제2횡슬릿(120)에는 상기 제1가이드 보스(11)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상단부에서 상향 돌출 형성되는 제2가이드 보스(12, 도 6 참조)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130)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가이드 보스(11)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냉장고 본체의 상단부에서 상향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 돌기(13, 도 4 참조)가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홈(140)에는 상기 제2가이드 보스(12)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냉장고 본체의 상단부에서 상향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4, 도 4 참조)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 브라켓(100)은 냉장고 본체(10)의 상단부에서 좌우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삽입홀(130) 및 상기 가이드 홈(140)의 너비는 각각 상기 삽입 돌기(13) 및 상기 가이드 돌기(14)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홀(130) 및 상기 가이드 홈(140)의 너비는 상기 힌지 브라켓(100)이 좌우 이동하는 경우 삽입 돌기(13) 및 상기 가이드 돌기(14)에 간섭되지 않을 만큼의 너비로 형성된다.
상기 조절 브라켓(200)은 상기 힌지 브라켓(100) 상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조절 브라켓(200)의 조립 위치가 조절 슬릿(210)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힌지 브라켓(100)이 좌우로 이동되는데, 이러한 작동 과정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상긱 조절 브라켓(200)의 전후(前後) 이동이라 함은 상기 냉장고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냉장고 도어 측이 전방이고, 상기 냉장고의 배면 측이 후방인 경우,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함을 의미하며, 상기 힌지 브라켓(100)의 좌우 이동이라 함은 상기 냉장고를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그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 슬릿(210)은 복수의 체결 위치를 가지도록 상기 조절 브라켓(200) 상에 한 쌍이 형성되며, 그 단부에서 일측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 부재(300)의 체결 위치가 세 부분에서 이루어지도록 상기 조절 슬릿(210)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 부재(300)의 체결이 네 부분 이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조절 슬릿(2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 위치의 갯수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조절 브라켓(200) 상에는 상기 제1가이드 보스(11)가 삽입되는 종슬릿(2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 브라켓(200)의 일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 리브(230)가 마련되는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리브(230)는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13)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조절 브라켓(200)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 한다.
상기 체결 부재(300)는 상기 조절 슬릿(210)을 통하여 상기 조절 브라켓(200)과 상기 힌지 브라켓(100)을 체결하도록 한 쌍이 마련되고, 상기 체결 부재(300)의 체결 위치에 따라 상기 조절 브라켓(200) 및 상기 힌지 브라켓(100)이 각각 전후, 좌우로 이동된다.
상기 고정 부재(500)는 상기 제1횡슬릿(110) 및 상기 종슬릿(220)이 각각 삽입된 상태의 제1가이드 보스(11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힌지 브라켓(100) 및 상기 조절 브라켓(200)을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상단부에 고정시킨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힌지 어셈블리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힌지축(20)이 초기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힌지 브라켓(100)과 상기 조절 브라켓(200)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며, 이때 상기 체결 부재(300)는 상기 조절 슬릿(21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 위치 중 중심에 체결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230)는 상기 삽입홀(130)을 통해 냉장고 본체(10)의 상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삽입 돌기(13) 사이에 지지되고, 상기 제1가이드 보스(11)는 상기 제1횡슬릿(110)과 상기 종슬릿(220)을 통하여 냉장고 본체(10)의 상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기(14)는 상기 가이드 홈(14)을 통하여 냉장고 본체(10)의 상부로 돌출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고정 부재(500, 도 8 참조)는 상기 제1횡슬릿(110) 및 상기 종슬릿(220)이 각각 삽입된 상태의 제1가이드 보스(11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힌지 브라켓(100) 및 상기 조절 브라켓(200)을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상단부에 고정시킨다.
도 5는 상기 힌지축(20)을 냉장고의 전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좌측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힌지 브라켓(100)과 상기 조절 브라켓(200)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조절 브라켓(200)은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로서, 상기 체결 부재(300)는 상기 조절 슬릿(21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 위치 중 하단에 체결되고, 상기 제1가이드 보스(11)는 상기 종슬릿(220)의 하단 측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 리브(230)는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13)에 지지되어 상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 브라켓(200)이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힌지 브라켓(100)은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는 상기 조절 슬릿(210)이 그 하단부에서 우측 사선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가능하다.
즉, 상기 조절 브라켓(200)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힌지 브라켓(100)과 체결되는 경우, 상기 체결 부재(300)의 체결 위치는 상기 조절 슬릿(210)의 중심에 형성되는 체결 위치에서 하단 좌측에 형성되는 체결 위치로 변경되고, 이에 따라 힌지 브라켓(100)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힌지 브라켓(100)이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그 일측에 마련되는 힌지 리브(102) 및 상기 힌지 리브(102)에 삽입되는 힌지축(20)도 좌측으로 이동(d)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 보스(11), 상기 제2가이드 보스(12, 도 6 참조) 및 상기 가이드 돌기(14)는 각각 상기 제1횡슬릿(110), 상기 제2횡슬릿(120, 도 6 참조) 및 상기 가이드 홈(140)의 우측 단부에 위치한다.
도 6은 상기 힌지축(20)을 냉장고의 전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우측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힌지 브라켓(100)과 상기 조절 브라켓(200)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조절 브라켓(200)은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로서, 상기 체결 부재(300)는 상기 조절 슬릿(21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 위치 중 상단에 체결되고, 상기 제1가이드 보스(11)는 상기 종슬릿(220)의 상단 측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 리브(230)는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13)에 지지되어 하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 브라켓(200)이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힌지 브라켓(100)은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 슬릿(210)이 그 하단부에서 우측 사선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가능하다.
즉, 상기 조절 브라켓(200)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힌지 브라켓(100)과 체결되는 경우, 상기 체결 부재(300)의 체결 위치는 상기 조절 슬릿(210)의 중심에 형성되는 체결 위치에서 상단 우측에 형성되는 체결 위치로 변경되고, 이에 따라 힌지 브라켓(100)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힌지 브라켓(100)이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그 일측에 마련되는 힌지 리브(102) 및 상기 힌지 리브(102)에 삽입되는 힌지축(20)도 우측으로 이동(d')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 보스(11), 상기 제2가이드 보스(12) 및 상기 가이드 돌기(14)는 각각 상기 제1횡슬릿(110), 상기 제2횡슬릿(120) 및 상기 가이드 홈(140)의 좌측 단부에 위치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서 상술한 힌지 어셈블리의 작동 과정은 냉장고를 전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우측 도어의 상부 힌지축에 마련되는 힌지 어셈블리에 관한 실시예로서, 좌측 도어의 상부 힌지축에 마련되는 힌지 어셈블리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은 자명한 사실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힌지 어셈블리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와 동일한 구조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체결 부재(300)를 대체하여 가이드 부재(400)가 상기 힌지 브라켓(100) 상에서 돌출 형성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400)는 복수의 삽입 위치를 가지도록 상기 조절 브라켓(200)에 형성되는 조절 슬릿(212)에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 슬릿(212) 상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400)의 삽입 위치에 따라 상기 조절 브라켓(200) 및 상기 힌지 브라켓(100)이 이동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조절 브라켓(200)을 상기 힌지 브라켓(100)에 직접 체결하지 않고, 상기 힌지 브라켓(100) 상에서 코킹(caulking) 방식으로 고정되는 가이드 부재(400)를 상기 조절 슬릿(212)에 삽입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체결 과정이 생략되어 상기 힌지축(20)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 슬릿(212)은 그 중심에서 양측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힌지축(20)의 이동 위치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 슬릿(21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부에서 우측 사선 방향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중심에 이르러서는 좌측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 슬릿(212)에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 부재(400)에 삽입 위치가 더욱 다양해짐으로써 상기 힌지축(20)의 이동 위치가 다양하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조절 슬릿(212)의 사이에는 눈금선(240)이 마련되며, 상기 눈금선(240)은 상기 조절 브라켓(200)의 이동에 따른 상기 힌지 브라켓(100)의 이동 거리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냉장고 도어의 힌지축(20)을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그 이동 거리를 정확하게 알 수 있어 냉장고 도어 간의 간격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냉장고 본체 11: 제1가이드 보스
12: 제2가이드 보스 13: 삽입 돌기
14: 가이드 돌기 20: 힌지축
100: 힌지 브라켓 102: 힌지 리브
110: 제1횡슬릿 120: 제2횡슬릿
130: 삽입홀 140: 가이드 홈
150: 체결홀 200: 조절 브라켓
210: 조절 슬릿 220: 종슬릿
230: 가이드 리브 240: 눈금선
300: 체결 부재 400: 가이드 부재
500: 고정 부재

Claims (11)

  1. 냉장고 도어의 힌지축 상부가 삽입 고정되는 힌지 리브가 그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냉장고의 본체 상단부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힌지 브라켓;
    상기 힌지 브라켓 상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조절 슬릿이 적어도 일측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조절 브라켓; 및
    복수의 체결 위치를 가지도록 상기 조절 슬릿을 통하여 상기 조절 브라켓과 상기 힌지 브라켓을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의 체결 위치에 따라 상기 조절 브라켓이 전후 이동되고, 상기 조절 브라켓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힌지 브라켓이 좌우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
  2. 냉장고 도어의 힌지축 상부가 삽입 고정되는 힌지 리브가 그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냉장고의 본체 상단부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힌지 브라켓;
    상기 힌지 브라켓 상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조절 슬릿이 적어도 일측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조절 브라켓; 및
    상기 힌지 브라켓 상에서 돌출 형성되고, 복수의 삽입 위치를 가지도록 상기 조절 슬릿에 삽입 고정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삽입 위치에 따라 상기 조절 브라켓이 전후 이동되고, 상기 조절 브라켓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힌지 브라켓이 좌우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슬릿은 그 중심에서 양측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브라켓의 이동에 따른 상기 힌지 브라켓의 이동 거리를 표시하는 눈금선이 상기 조절 슬릿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브라켓에는 상기 냉장고 본체의 상단부에서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가이드 보스가 삽입되는 제1횡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 브라켓에는 상기 제1가이드 보스가 삽입되는 종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브라켓 및 상기 조절 브라켓을 상기 냉장고 본체의 상단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가이드 보스에 체결되는 고정 부재; 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브라켓에는 상기 냉장고 본체의 상단부에서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가이드 보스가 삽입되는 제2횡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브라켓에는 상기 냉장고 본체의 상단부에서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삽입 돌기가 삽입되도록 그 너비가 상기 삽입 돌기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브라켓의 타측에는 상기 냉장고 본체의 상단부에서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도록 그 너비가 상기 가이드 돌기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
KR1020130152953A 2013-12-10 2013-12-10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 KR101526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953A KR101526731B1 (ko) 2013-12-10 2013-12-10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953A KR101526731B1 (ko) 2013-12-10 2013-12-10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6731B1 true KR101526731B1 (ko) 2015-06-05

Family

ID=53500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953A KR101526731B1 (ko) 2013-12-10 2013-12-10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7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116B1 (ko) * 1998-12-25 2008-04-15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Cmp 연마제, cmp 연마제용 첨가액 및 기판의 연마방법
CN105178750A (zh) * 2015-08-13 2015-12-2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铰链组件及冰箱
CN114877605A (zh) * 2022-06-08 2022-08-09 安徽康佳同创电器有限公司 一种冰箱门体的锁紧结构及冰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593Y1 (ko) * 2003-01-14 2003-04-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도어의 상부 힌지 조립체
KR20050112670A (ko) * 2004-05-27 2005-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593Y1 (ko) * 2003-01-14 2003-04-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도어의 상부 힌지 조립체
KR20050112670A (ko) * 2004-05-27 2005-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힌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116B1 (ko) * 1998-12-25 2008-04-15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Cmp 연마제, cmp 연마제용 첨가액 및 기판의 연마방법
CN105178750A (zh) * 2015-08-13 2015-12-2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铰链组件及冰箱
CN114877605A (zh) * 2022-06-08 2022-08-09 安徽康佳同创电器有限公司 一种冰箱门体的锁紧结构及冰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66948B (zh) 冰箱
US7490384B2 (en) Door hinge apparatus of refrigerator
US9534833B2 (en) Basket for refrigerator
EP1903288A2 (en) Drawer Type Do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8029081B2 (en) Refrigerator
US8911040B2 (en) Refrigerator
KR20120106098A (ko) 냉장고
US11573046B2 (en) Refrigerator
KR101526731B1 (ko) 냉장고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
KR20130103944A (ko) 분리판을 구비하는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959558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
KR20190066721A (ko) 냉장고
JP2017075734A (ja) 冷蔵庫
JP2021183903A (ja) 冷蔵庫
JP7270837B2 (ja) 冷蔵庫
KR20160019125A (ko) 냉장고
CN112424549B (zh) 一种冰箱用支撑部件以及具备该支撑部件的冰箱
JP2019082286A (ja) 冷蔵庫
JP6476491B2 (ja) 冷蔵庫
JP2020034176A (ja) 冷蔵庫
KR101611610B1 (ko) 냉장고
KR20100026105A (ko) 선반 지지대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
KR20090133010A (ko) 냉장고의 냉기공급조절장치
WO2020052519A1 (zh) 冰箱
CN107429963B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