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663B1 -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 - Google Patents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663B1
KR101526663B1 KR1020130059614A KR20130059614A KR101526663B1 KR 101526663 B1 KR101526663 B1 KR 101526663B1 KR 1020130059614 A KR1020130059614 A KR 1020130059614A KR 20130059614 A KR20130059614 A KR 20130059614A KR 101526663 B1 KR101526663 B1 KR 101526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valve
valve
friction element
hydraulic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9230A (ko
Inventor
박상석
박진우
김진우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9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663B1/ko
Publication of KR20140139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2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involving adjustment of a pump or motor with adjustable output or capacity
    • F16H61/421Motor capacity control by electro-hydraulic control means, e.g. using solenoi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회로에 관한 것으로, 변속기에 구비된 5개의 마찰요소로 각각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라인과, 유압라인에 다수개 구비되어 마찰요소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유압라인에 구비되어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다수개의 스위치밸브와, 유압라인을 통해 유압을 공급받는 파킹해제유지밸브가 구비된 유압회로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솔레노이드밸브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솔레노이드밸브와 마찰요소를 연결하되, 스위치밸브를 통해 유압이 공급되면 솔레노이드밸브와 마찰요소를 차단하고 스위치밸브와 마찰요소를 연결시키는 작동밸브와, 스위치밸브 중 어느 하나가 작동되면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머지 스위치밸브를 가압하기 위하여 유압라인에 형성된 방지유로를 포함하며, 유압라인은 솔레노이드밸브와 연결된 제1분기유로와, 스위치밸브 작동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 또는 작동밸브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분기유로와, 스위치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ON/OFF솔레노이드밸브가 구비된 제3분기유로로 분기되어, 유압라인에 방지유로가 형성되므로, ON/OFF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작동되는 R스위치밸브, D스위치밸브, P스위치밸브의 오작동이 방지되어 정상작동 상태 또는 림프홈모드상태에서 SBW타입의 제어수단이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MULTI-STAGE-TRANSMISSION-HYDRAULIC-CIRCUIT EQUIPPED PREVENT-OIL-LINE POSSIBLE DRIVNG ON LIMP-HOME-MODE}
본 발명은 유압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해 특정조합으로 체결되는 다수개의 마찰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에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변속 조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R단, N단, D단, P의 마찰요소 조합이 가능하며, 림프홈모드시 변속 조작 신호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에 관한 것이다.
변속기에 사용되는 마찰요소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유압이 필요하며, 유압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전기신호가 필요하다.
차량 주행중 변속기 내부 이상 작동이 감지될 경우 변속기 손상 및 변속기 이상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변속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이 차단된다.
그런데, 주행중에 변속기가 불능이 되므로 고속 주행시, 내리막길 및 오르막길 주행시 차량이 예측 불가능한 상황이 되므로 더 큰 사고가 발생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변속기 불능에 따른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변속을 위해 인가되는 전원 차단시 변속기를 중립 또는 특정 단으로 고정하는 림프홈모드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림프홈모드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중립 또는 특정 단으로 변속단을 고정하는 기술이므로, 후진 주행 및 주차시 작동되는 마찰요소의 체결조합을 구현하기 어려운 한계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8742호(2011.02.24.)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SBW(SHIFT BY WIRE)타입의 변속레버가 적용된 차량의 림프홈모드시 유압회로에 구비된 추가적인 솔레노이드밸브와 스위치밸브가 변속 조작에 따라 R단, N단, D단, P의 마찰요소 작동 조합을 구현하도록 작동되어 전진, 후진, 파킹 변속이 가능해지는 림프홈모드 주행을 구현하며, 스위치밸브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에 따르면, 변속기에 구비된 5개의 마찰요소로 각각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라인과, 유압라인에 다수개 구비되어 마찰요소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유압라인에 구비되어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다수개의 스위치밸브와, 유압라인을 통해 유압을 공급받는 파킹해제유지밸브가 구비된 유압회로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솔레노이드밸브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솔레노이드밸브와 마찰요소를 연결하되, 스위치밸브를 통해 유압이 공급되면 솔레노이드밸브와 마찰요소를 차단하고 스위치밸브와 마찰요소를 연결시키는 작동밸브와, 스위치밸브 중 어느 하나가 작동되면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머지 스위치밸브를 가압하기 위하여 유압라인에 형성된 방지유로를 포함하며, 유압라인은 솔레노이드밸브와 연결된 제1분기유로와, 스위치밸브 작동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 또는 작동밸브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분기유로와, 스위치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ON/OFF솔레노이드밸브가 구비된 제3분기유로로 분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프홈모드 주행이 구현되는 변속기 유압회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에 의하면, 마찰요소를 체결하기 위해 유압라인을 통해 마찰요소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지속적으로 라인압을 공급받는 유압라인으로부터 분기된 라인에 추가적인 솔레노이드밸브 및 스위치밸브가 변속레버의 조작신호를 수신하여 마찰요소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도록 구비됨으로써, SBW(SHIFT BY WIRE)타입의 제어수단이 적용된 차량의 림프홈모드시 R단, N단, D단, P의 마찰요소 조합을 구현하여 차량의 전진, 후진, 파킹 변속이 가능해 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압라인에 방지유로가 형성되므로, ON/OFF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작동되는 R스위치밸브, D스위치밸브, P스위치밸브의 오작동이 방지되어 정상작동 상태 또는 림프홈모드상태에서 SBW타입의 제어수단이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의 개요도,
도 2는 도 1의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가 적용되는 변속기의 정상조건에서의 작동요소표,
도 3은 도 1의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가 적용되는 변속기의 림프홈모드 시의 작동요소표,
도 4는 도 1의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에 구비된 ON/OFF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상태표,
도 5는 제2 실시예의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에 적용되는 작동밸브의 개요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의 개요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변속기에 구비된 5개의 마찰요소(C)로 각각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라인(100)과, 유압라인(100)에 다수개 구비되어 마찰요소(C)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200)와, 유압라인(100)에 구비되어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다수개의 스위치밸브(500)와, 유압라인(100)을 통해 유압을 공급받는 파킹해제유지밸브(P)가 구비된 유압회로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솔레노이드밸브(200)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솔레노이드밸브(200)와 마찰요소(C)를 연결하되, 스위치밸브(500)를 통해 유압이 공급되면 솔레노이드밸브(200)와 마찰요소(C)를 차단하고 스위치밸브(500)와 마찰요소(C)를 연결시키는 작동밸브(300)와, 스위치밸브(500) 중 어느 하나가 작동되면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머지 스위치밸브(500)를 가압하기 위하여 유압라인(L)에 형성된 방지유로(121',122',123')를 포함한다.
또한, 유압라인(100)은 솔레노이드밸브(200)와 연결된 제1분기유로(110)와, 스위치밸브(500) 작동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200) 또는 상기 작동밸브(30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분기유로(120)와, 상기 스위치밸브(500)를 작동시키기 위한 ON/OFF솔레노이드밸브(400)가 구비된 제3분기유로(130)로 분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OFF솔레노이드밸브(400)는 제3분기유로(130)에 구비된 감압밸브(440)로부터 감압된 유압을 상시 공급받는다.
솔레노이드밸브(200)는 적어도 3개가 노말 오픈 타입으로 유압라인(10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밸브(200)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변속레버 조작에 따라 ON/OFF솔레노이드밸브(400)가 작동되어 마찰요소(C)가 R단, N단, D단 P에 해당하는 작동 상태가 되도록 작동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제1 마찰요소(C1), 제2 마찰요소(C2), 제3 마찰요소(C3), 제4 마찰요소(C4), 제5 마찰요소(C5)의 총 5개의 마찰요소의 체결 조합으로 변속비가 구현되는 다단 자동 변속기에 구비되는 유압회로이다.
제1 실시예의 유압라인(100)에는 각각의 마찰요소(C)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기 위하여 노말 오픈 타입인 제1 솔레노이드밸브(210), 노말 클로즈드 타입인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 노말 오픈 타입인 제3 솔레노이드밸브(230), 노말 클로즈드 타입인 제4 솔레노이드밸브(240), 노말 오픈 타입인 제5 솔레노이드밸브(250)가 구비된다.
제1분기유로(110)와 제1 솔레노이드밸브(210), 제4 솔레노이드밸브(240), 제5 솔레노이드밸브(250)가 연결되어 각각의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에 따라 제1 마찰요소(C1), 제4 마찰요소(C4), 제5 마찰요소(C5)로 작동압을 공급하게 된다.
제2분기유로(120)는 제1유로(121), 제2유로(122), 제3유로(123)로 분기 되며 각각의 유로에 스위치밸브(500)가 장착되어 총 3개의 스위치밸브(500)가 사용된다.
제1유로(121)에는 작동밸브(300)와 R스위치밸브(510)가 구비된다. 제2유로(122)에는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 및 제3 솔레노이드밸브(230)와 D스위치밸브(520)가 구비된다. 제3유로(123)에는 파킹해제유지밸브(P)와 P스위치밸브(530)가 구비된다.
제1감압분기유로(131)는 R스위치밸브(51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R-ON/OFF솔레노이드밸브(410)가 구비된다.
제2감압분기유로(132)는 D스위치밸브(5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D-ON/OFF솔레노이드밸브(420)가 구비된다.
제3감압분기유로(133)는 P스위치밸브(53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P-ON/OFF솔레노이드밸브(43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작동밸브(300)는 3포트 2위치로 구성되는데, 제4 솔레노이드밸브(240)와 제4 마찰요소(C4)를 연결하며 R스위치밸브(510)와 연결된 제1유로(121)를 차단하다가, R스위치밸브(510)이 작동되어, R스위치밸브(510)와 작동밸브(300) 사이에 유압이 공급됨과 동시에 제1유로(121)로 부터 작동밸브(300)의 일측을 가압하도록 분기된 연결유로(140)로 유압이 공급되어, 제4 솔레노이드밸브(240)와 제4 마찰요소(C4)를 차단하며 R스위치밸브(510)와 제4 마찰요소(C4)를 연결 하도록 위치변화된다.
제3분기유로(130)는 제1감압분기유로(131), 제2감압분기유로(132), 제3감압분기유로(133)로 분기되며, 각각의 감압분기유로에는 ON/OFF솔레노이드밸브(400)가 장착되어 총 3개의 ON/OFF솔레노이드밸브(400)가 사용된다.
한편, R-ON/OFF솔레노이드밸브(410) 작동시 즉, R스위치밸브(510)와 작동밸브(300) 연결시에 D스위치밸브(520)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R스위치밸브(510)와 작동밸브(300) 사이에 흐르는 유압이 D스위치밸브(520)를 가압하도록 제1유로(121)로부터 제1방지유로(121')가 분기되어 형성된다.
D-ON/OFF솔레노이드밸브(420) 작동시 즉, D스위치밸브(520)와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 및 제3 솔레노이드밸브(230) 연결시에 R스위치밸브(510)의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D스위치밸브(520)와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 및 제3 솔레노이드밸브(230) 사이에 흐르는 유압이 R스위치밸브(510)를 가압하도록 제2유로(122)로부터 제2방지유로(122')가 분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D-ON/OFF솔레노이드밸브(420) 작동시 즉, D스위치밸브(520)와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 및 제3 솔레노이드밸브(230) 연결시에 P스위치밸브(530)의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D스위치밸브(520)와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 및 제3 솔레노이드밸브(230) 사이에 흐르는 유압이 P스위치밸브(530)를 가압하도록 제2유로(122)로부터 제3방지유로(123')가 분기되어 형성된다.
이때, P스위치밸브(530)는 P-ON/OFF솔레노이드밸브(430)로 부터 공급된 유압에 의해 위치이동되는 3포트 4위치 밸브로 구성되는데, P스위치밸브(530)와 연결된 제2분기유로(120) 및 제3방지유로(123')에 흐르는 유압을 차단하거나 연결하기 위한 3개의 포트가 등간격으로 4위치에 배열되며, P스위치밸브(530) 내부에 장착된 스풀(미도시)이 P-ON/OFF솔레노이드밸브(430)로 가압됨에 따라 3개의 포트가 좌우로 1위치씩 이동가능하게 제작된다.
변속레버가 P 레인지에 놓여질 때는 P-ON/OFF솔레노이드밸브(430)에 전원이 차단되어 제2분기유로(120) 및 제3방지유로(123')에 흐르는 유압을 차단하도록 P스위치밸브(530)가 작동되며, 변속레버가 R, N, D 레인지에 놓여질 때는 제3유로(123)와 파킹해제유지밸브(P)가 통전되도록 작동된다.
특히, 변속레버가 D 레인지에 놓여질 때 제3방지유로(123')를 통해 P스위치밸브(530)에 형성된 포트로 유압이 유입된 후 배출되어 P스위치밸브(53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제3방지유로(123')가 형성된 것이 제1 실시예의 특징이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유압회로는 도 2,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요소의 체결이 조합되도록 정상상태 및 림프홈모드상태에서 작동된다.
도 2는 도 1의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가 적용되는 변속기의 정상조건에서의 작동요소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유압회로는 정상상태에서 변속레버가 P 내지 D 레인지에 있을 때, 마찰요소(C)가 P, R, N, D조합이 되도록 제어하는데, 변속레버가 D 레인지에 있을 때, 1속 에서 8속의 변속비가 구현되도록 유압회로가 작동된다.
변속레버가 P 레인지에 있을 때, 주차 상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모든 마찰요소(C)가 해제된 상태가 되어야 하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노말 오픈 타입인 제1 솔레노이드밸브(210) 및 제5 솔레노이드밸브(250)에 전원을 인가시켜 제1 마찰요소(C1) 및 제5 마찰요소(C5)로 유압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변속레버가 R 레인지에 있을 때, 후진 1속의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1 마찰요소(C1), 제4 마찰요소(C4), 제5 마찰요소(C5)가 체결되며, 파킹해제유지밸브(P)가 작동되어야 하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제4 솔레노이드밸브(240), P-ON/OFF솔레노이드밸브(430)에 전원이 인가되며, D-ON/OFF솔레노이드밸브(420) 및 R-ON/OFF솔레노이드밸브(410)에는 전원이 비인가된다.
이때, 감압밸브(440)를 통해 감압된 유압이 P-ON/OFF솔레노이드밸브(430)를 통해 P스위치밸브(530)를 작동시키게 된다.
P스위치밸브(530)가 작동됨으로써 파킹해제유지밸브(P)와 제3유로(123)가 연결되어 파킹해제유지밸브(P)로 유압이 공급된다.
변속레버가 N 레인지에 있을 때, 제4 마찰요소(C4), 제5 마찰요소(C5)가 체결되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제1 솔레노이드밸브(210), 제4 솔레노이드밸브(240) 및 P-ON/OFF솔레노이드밸브(430)에 전원이 인가되며, D-ON/OFF솔레노이드밸브(420) 및 R-ON/OFF솔레노이드밸브(410)에는 전원이 비인가된다.
변속레버가 D 레인지에 있을 때, 1속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3 마찰요소(C3), 제4 마찰요소(C4), 제5 마찰요소(C5)가 체결되어야 하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제1 솔레노이드밸브(210), 제4 솔레노이드밸브(240), D-ON/OFF솔레노이드밸브(420) 및 P-ON/OFF솔레노이드밸브(430)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1속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한 마찰요소로만 유압이 공급된다.
이때, 제2유로(122)로 부터 분기된 제2방지유로(122') 및 제3방지유로(123')로 유압이 공급되어 R스위치밸브(510)와 P스위치밸브(530)를 가압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변속레버가 D 레인지에 있을 때, 2속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2 마찰요소(C2), 제4 마찰요소(C4), 제5 마찰요소(C5)가 체결되어야 하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노말 오픈 타입인 제1 솔레노이드밸브(210), 노말 클로즈드 타입인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 노말 오픈 타입인 제3 솔레노이드밸브(230), 노말 클로즈드 타입인 제4 솔레노이드밸브(240), D-ON/OFF솔레노이드밸브(420) 및 P-ON/OFF솔레노이드밸브(430)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때, 감압밸브(440)를 통해 감압된 유압이 D-ON/OFF솔레노이드밸브(420)를 통해 D스위치밸브(520)를 가압하여 작동시키게 되며, D스위치밸브(520)와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 및 제3 솔레노이드밸브(230)가 연결되는데,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는 노말 클로즈드 타입이며, 제3 솔레노이드밸브(230)는 노말 오픈 타입으로,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 및 제3 솔레노이드밸브(230)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는 열고, 제3 솔레노이드밸브(230)는 닫음으로써 2속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한 마찰요소로만 유압이 공급된다.
이때, 제2유로(122)로 부터 분기된 제2방지유로(122') 및 제3방지유로(123')로 유압이 공급되어 R스위치밸브(510)와 P스위치밸브(530)를 가압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변속레버가 D 레인지에 있을 때, 3속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2 마찰요소(C2), 제3 마찰요소(C3), 제5 마찰요소(C5)가 체결되어야 하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제1 솔레노이드밸브(210),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 D-ON/OFF솔레노이드밸브(420) 및 P-ON/OFF솔레노이드밸브(430)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때, 감압밸브(440)를 통해 감압된 유압이 D-ON/OFF솔레노이드밸브(420)를 통해 D스위치밸브(520)를 가압하여 작동시키게 되며, D스위치밸브(520)와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 및 제3 솔레노이드밸브(230)가 연결되는데,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는 노말 클로즈드 타입이므로,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를 열음으로써, 3속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한 마찰요소로만 유압이 공급된다.
이때, 제2유로(122)로 부터 분기된 제2방지유로(122') 및 제3방지유로(123')로 유압이 공급되어 R스위치밸브(510)와 P스위치밸브(530)를 가압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변속레버가 D 레인지에 있을 때, 4속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1 마찰요소(C1), 제2 마찰요소(C2), 제5 마찰요소(C5)가 체결되어야 하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 제3 솔레노이드밸브(230), D-ON/OFF솔레노이드밸브(420) 및 P-ON/OFF솔레노이드밸브(430)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때,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는 노말 클로즈드 타입이고 제3 솔레노이드밸브(230)는 노말 오픈 타입으로,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 및 제3 솔레노이드밸브(230)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는 열고, 제3 솔레노이드밸브(230)는 닫음으로써, 4속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한 마찰요소로만 유압이 공급된다.
이때, 제2유로(122)로 부터 분기된 제2방지유로(122') 및 제3방지유로(123')로 유압이 공급되어 R스위치밸브(510)와 P스위치밸브(530)를 가압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변속레버가 D 레인지에 있을 때, 5속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1 마찰요소(C1), 제3 마찰요소(C3), 제5 마찰요소(C5)가 체결되어야 하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D-ON/OFF솔레노이드밸브(420) 및 P-ON/OFF솔레노이드밸브(430)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는 제1 내지 제5 솔레노이드밸브(250)에 인가되는 전원이 불필요한 구성으로, 림프홈모드에서 변속레버가 D 레인지에 있을 때, D단으로 작용된다.
또한, 제2유로(122)로 부터 분기된 제2방지유로(122') 및 제3방지유로(123')로 유압이 공급되어 R스위치밸브(510)와 P스위치밸브(530)를 가압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변속레버가 D 레인지에 있을 때, 6속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1 마찰요소(C1), 제2 마찰요소(C2), 제3 마찰요소(C3)가 체결되어야 하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 제5 솔레노이드밸브(250), D-ON/OFF솔레노이드밸브(420) 및 P-ON/OFF솔레노이드밸브(430)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때,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는 노말 클로즈드 타입이므로, 전원을 인가하여 열게되며, 제5 솔레노이드밸브(250)는 노말 오픈 타입이므로, 전원을 인가하여 닫음으로써, 6속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한 마찰요소로만 유압이 공급된다.
이때, 제2유로(122)로 부터 분기된 제2방지유로(122') 및 제3방지유로(123')로 유압이 공급되어 R스위치밸브(510)와 P스위치밸브(530)를 가압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변속레버가 D 레인지에 있을 때, 7속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1 마찰요소(C1), 제3 마찰요소(C3), 제4 마찰요소(C4)가 체결되어야 하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제4 솔레노이드밸브(240), 제5 솔레노이드밸브(250), D-ON/OFF솔레노이드밸브(420) 및 P-ON/OFF솔레노이드밸브(430)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때, D-ON/OFF솔레노이드밸브(420)가 열림으로써 D스위치밸브(520)가 작동되고 제3분기유로(130)와 제3 마찰요소(C3)가 노말 오픈 타입인 제3 솔레노이드밸브(230)를 통해 연결되므로, 7속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한 마찰요소로만 유압이 공급된다.
이때, 제2유로(122)로 부터 분기된 제2방지유로(122') 및 제3방지유로(123')로 유압이 공급되어 R스위치밸브(510)와 P스위치밸브(530)를 가압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변속레버가 D 레인지에 있을 때, 8속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1 마찰요소(C1), 제2 마찰요소(C2), 제4 마찰요소(C4)가 체결되어야 하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 제3 솔레노이드밸브(230), 제4 솔레노이드밸브(240), 제5 솔레노이드밸브(250), D-ON/OFF솔레노이드밸브(420) 및 P-ON/OFF솔레노이드밸브(430)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때,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는 노말 클로즈드 타입이고 제3 솔레노이드밸브(230)는 노말 오픈 타입으로,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 및 제3 솔레노이드밸브(230)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2 솔레노이드밸브(220)는 열고, 제3 솔레노이드밸브(230)는 닫음으로써, 8속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한 마찰요소로만 유압이 공급된다.
이때, 제2유로(122)로 부터 분기된 제2방지유로(122') 및 제3방지유로(123')로 유압이 공급되어 R스위치밸브(510)와 P스위치밸브(530)를 가압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도 3은 도 1의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가 적용되는 변속기의 림프홈모드 시의 작동요소표이고, 도 4는 도 1의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에 구비된 ON/OFF솔레노이드밸브(400)의 작동상태표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유압회로는 변속기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된 림프홈모드 상태에서 R단, N단, D단 간의 변속이 가능하도록 ON/OFF솔레노이드밸브(400)에 전원을 인가하여 마찰요소의 체결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림프홈모드 상태에서 변속레버가 R 레인지에 있을 때, 제1 마찰요소(C1), 제4 마찰요소(C4), 제5 마찰요소(C5)가 체결됨으로써 림프홈모드 R단 변속비가 구현된다.
이때, 제1 마찰요소(C1) 및 제5 마찰요소(C5)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제1 솔레노이드밸브(210) 및 제5 솔레노이드밸브(250)는 노말 오픈 타입임으로 그 공급에 차질이 없으며, 제4 마찰요소(C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ON/OFF솔레노이드밸브(410)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R스위치밸브(510)로부터 작동밸브(300)로 유압이 공급되어, 제4 마찰요소(C4)와 제4 솔레노이드밸브(240)를 차단함과 동시에 제4 마찰요소(C4)와 R스위치밸브(510)를 연결시키도록 작동밸브(300)가 작동되어 제4 마찰요소(C4)로 유압이 공급된다.
또한, P-ON/OFF솔레노이드밸브(430)로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P-ON/OFF솔레노이드밸브(430)를 통해 P스위치밸브(530)로 공급된 유압에 의해 P스위치밸브(530)가 가압되어 제3분기유로(130)와 파킹해제유지밸브(P)가 연결되어 파킹기어(미도시)가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림프홈모드 상태에서 R단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한 마찰요소로만 유압이 공급된다.
이때, 제1유로(121)로부터 분기된 제1방지유로(121')를 통해 D스위치밸브(520)를 가압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림프홈모드 상태에서 변속레버가 N 레인지에 있을 때, 제1 마찰요소(C1), 제5 마찰요소(C5)가 체결됨으로써 림프홈모드 N단이 구현된다.
이때, 제1 마찰요소(C1) 및 제5 마찰요소(C5)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제1 솔레노이드밸브(210) 및 제5 솔레노이드밸브(250)는 노말 오픈 타입임으로 그 공급에 차질이 없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ON/OFF솔레노이드밸브(430)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파킹기어(미도시)가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림프홈모드 상태에서 N단을 구현하기 위한 마찰요소로만 유압이 공급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림프홈모드 상태에서 변속레버가 D 레인지에 있을 때, 제1 마찰요소(C1), 제3 마찰요소(C3), 제5 마찰요소(C5)가 체결됨으로써 림프홈모드 D단 변속비가 구현된다.
이때, 제1 마찰요소(C1) 및 제5 마찰요소(C5)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제1 솔레노이드밸브(210) 및 제5 솔레노이드밸브(250)는 노말 오픈 타입임으로 그 공급에 차질이 없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D-ON/OFF솔레노이드밸브(420)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D-ON/OFF솔레노이드밸브(420)가 작동됨에 따라 열려진 D스위치밸브(520)와 노말 오픈 타입인 제3 솔레노이드밸브(230)를 통해 제2유로(122)와 제3 마찰요소(C3)가 연결되어 제3 마찰요소(C3)로 유압이 공급되며, P-ON/OFF솔레노이드밸브(430)에 전원이 인가되어 파킹기어(미도시)가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림프홈모드 상태에서 D단을 구현하기 위한 마찰요소로만 유압이 공급된다.
이때, 제2유로(122)로 부터 분기된 제2방지유로(122') 및 제3방지유로(123')로 유압이 공급되어 R스위치밸브(510)와 P스위치밸브(530)를 가압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변속레버가 P 레인지에 있을 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ON/OFF솔레노이드밸브(43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R-ON/OFF솔레노이드밸브(410) 및 D-ON/OFF솔레노이드밸브(42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파킹기어(미도시)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로써 림프홈모드 상태에서의 주차 상태를 구현하게 된다.
위에 기재된 도 2 내지 도 4의 설명으로부터 P-ON/OFF솔레노이드밸브(430)는 변속레버가 P 위치에 놓여있지 않을 때 작동되며, 다시 말해서 제1 솔레노이드밸브(210)를 경유하여 제1 마찰요소(C1)로 유압이 공급될 때, 또는 제5 솔레노이드밸브(250)를 경유하여 제5 마찰요소(C5)로 유압이 공급될 때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된다.
도 5는 제2 실시예의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에 적용되는 작동밸브(300)의 개요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구성에서 작동밸브(300)와 R스위치밸브(510)의 연결 위치에 차이가 있으며, 작동밸브(300)를 가압하는 연결유로(140)가 추가된다.
작동밸브(300) 일측에 구비된 연결유로(140)는 작동밸브(300)를 지속적으로 가압하여 제4 솔레노이드밸브(240)와 제4 마찰요소(C4)의 연결을 유지한다.
림프홈모드 상태에서 변속레버가 R 레인지에 놓여지면, R스위치밸브(510)로 부터 작동밸브(300)로 유압이 공급되어, 작동밸브(300)를 가압하던 연결유로(140)를 통해 공급된 유압과 상쇄되며 작동밸브(300)를 위치이동시키게 되고, 그로 인해 제4 솔레노이드밸브(240)와 제4 마찰요소(C4)는 차단됨과 동시에 R스위치밸브(510)와 제4 마찰요소(C4)가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때, 연결유로(140)를 통해 작동밸브(300)를 가압하던 유압의 크기는 R스위치밸브(510)로 부터 작동밸브(300)를 가압함과 동시에 제4 마찰요소(C4)로 공급되는 유압의 크기보다 작도록 감압밸브(440)를 통해 감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에서의 연결유로(140)는 감압밸브로(440)로 부터 감압된 유압을 상시 공급받을 수 있도록 감압밸브(440)와 R-ON/OFF솔레노이드밸브(410)를 연결하는 유로로부터 분기 되어 형성된다.
제2 실시예는 위에 기재된 연결유로(140) 및 작동밸브(300)와 R스위치밸브(510)의 연결 위치로 인한 유압의 흐름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겠다.
100: 유압라인 110: 제1분기유로
120: 제2분기유로 121: 제1유로
121': 제1방지유로 122: 제2유로
122': 제2방지유로 123: 제3유로
123': 제3방지유로 130: 제3분기유로
131: 제1감압분기유로 132: 제2감압분기유로
133: 제3감압분기유 140: 연결유로
200: 솔레노이드밸브 210: 제1 솔레노이드밸브
220: 제2 솔레노이드밸브 230: 제3 솔레노이드밸브
240: 제4 솔레노이드밸브 250: 제5 솔레노이드밸브
300: 작동밸브 400: ON/OFF솔레노이드밸브
410: R-ON/OFF솔레노이드밸브 420: D-ON/OFF솔레노이드밸브
430: P-ON/OFF솔레노이드밸브 440: 감압밸브
500: 스위치밸브 510: R스위치밸브
520: D스위치밸브 530: P스위치밸브
C: 마찰요소 C1: 제1 마찰요소
C2: 제2 마찰요소 C3:제3 마찰요소
C4: 제4 마찰요소 C5: 제5 마찰요소
P: 파킹해제유지밸브

Claims (7)

  1. 변속기에 구비된 제1 마찰요소, 제2 마찰요소, 제3 마찰요소, 제4 마찰요소, 제5 마찰요소로 각각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라인과, 상기 제1 마찰요소, 상기 제2 마찰요소, 상기 제3 마찰요소, 상기 제4 마찰요소, 상기 제5 마찰요소로 공급되는 각각의 유압을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유압라인에 구비된 노말 오픈 타입인 제1 솔레노이드밸브, 노말 클로즈드 타입인 제2 솔레노이드밸브, 노말 오픈 타입인 제3 솔레노이드밸브, 노말 클로즈드 타입인 제4 솔레노이드밸브, 노말 오픈 타입인 제5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유압라인에 구비되어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다수개의 스위치밸브와, 상기 유압라인을 통해 유압을 공급받는 파킹해제유지밸브가 구비된 유압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4 솔레노이드밸브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4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제4 마찰요소를 연결하되, 상기 스위치밸브를 통해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제4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제4 마찰요소를 차단하고 상기 스위치밸브와 상기 제4 마찰요소를 연결시키는 작동밸브;
    상기 유압라인에는 R스위치밸브, D스위치밸브, P스위치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밸브 중 어느 하나가 작동되면, 나머지 스위치밸브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유압라인에 형성된 방지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라인은 상기 제1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제4 솔레노이드밸브 및 상기 제5 솔레노이드밸브와 연결된 제1분기유로와, 상기 스위치밸브 작동에 따라 상기 제2 솔레노이드밸브 및 상기 제3 솔레노이드밸브 또는 상기 작동밸브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분기유로와, 상기 스위치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ON/OFF솔레노이드밸브가 구비된 제3분기유로로 분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기유로는 제1유로, 제2유로, 제3유로로 분기되며,
    상기 제1유로에는 상기 작동밸브로 유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R스위치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제2유로에는 상기 제2 솔레노이드밸브 및 상기 제3 솔레노이드밸브로 유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D스위치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제3유로에는 상기 파킹해제유지밸브로 유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P스위치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밸브를 지속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4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제4 마찰요소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유로로부터 연결유로가 분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분기유로는 제1감압분기유로, 제2감압분기유로, 제3감압분기유로로 분기되며,
    상기 제1감압분기유로에는 상기 R스위치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R-ON/OFF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제2감압분기유로에는 상기 D스위치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D-ON/OFF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제3감압분기유로에는 상기 P스위치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P-ON/OFF솔레노이드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스위치밸브와 상기 작동밸브 연결시 상기 제1유로를 흐르는 유압이 상기 D스위치밸브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1유로로부터 제1방지유로가 분기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스위치밸브와 상기 제2 솔레노이드밸브 및 상기 제3 솔레노이드밸브의 연결시 상기 제2유로를 흐르는 유압이 상기 R스위치밸브 및 상기 P스위치밸브를 각각 가압하도록 상기 제2유로로부터 제2방지유로 및 제3방지유로가 분기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
KR1020130059614A 2013-05-27 2013-05-27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 KR101526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614A KR101526663B1 (ko) 2013-05-27 2013-05-27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614A KR101526663B1 (ko) 2013-05-27 2013-05-27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230A KR20140139230A (ko) 2014-12-05
KR101526663B1 true KR101526663B1 (ko) 2015-06-05

Family

ID=52459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614A KR101526663B1 (ko) 2013-05-27 2013-05-27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6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5099A (ja) * 2009-09-04 2011-04-14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11190851A (ja) * 2010-03-12 2011-09-29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KR20120033182A (ko) * 2010-09-29 2012-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유압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5099A (ja) * 2009-09-04 2011-04-14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11190851A (ja) * 2010-03-12 2011-09-29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KR20120033182A (ko) * 2010-09-29 2012-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유압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230A (ko) 2014-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9560B1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automatic transmission
KR101575436B1 (ko) 페일세이프 및 림프홈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다단변속기 유압회로
KR101283049B1 (ko) 자동변속기 유압제어장치
US8070636B2 (en) Electroyhydraulic control device of a gear unit
US7431678B2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100204125B1 (ko) 유압작동식 변속기의 제어장치
JP2008180383A (ja) 自動化されたダブルクラッチ変速機のための液圧式制御装置
JP4085915B2 (ja) 油圧式機械装置の油圧制御装置
KR19980027185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유압 제어 시스템
KR101491253B1 (ko) 림프홈모드 상태에서 전/후진 주행이 가능한 변속기 유압회로
US6802792B2 (en) Oil pressure control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JP2658717B2 (ja) シフトバイワイヤ自動変速機用変速制御装置
KR101491254B1 (ko)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 및 림프홈모드에서의 변속 방법
JP4514020B2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KR101509894B1 (ko) Isg와 sbw 기능이 구현된 10속 변속기용 유압회로
KR960017258A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제어 시스템
KR101526663B1 (ko) 방지유로가 구비된 림프홈모드 주행이 가능한 다단 변속기 유압회로
KR101491267B1 (ko) 더블 클러치 변속기용 유압 제어 장치
JP5862607B2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2006234052A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2666645B2 (ja) シフトバイワイヤ自動変速機用油圧制御装置
JP6201435B2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KR20120028561A (ko) 자동변속기 유압제어장치
JPH0144849Y2 (ko)
KR101509906B1 (ko) Isg와 sbw 기능이 구현된 8속 변속기용 유압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