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644B1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644B1
KR101525644B1 KR1020110065852A KR20110065852A KR101525644B1 KR 101525644 B1 KR101525644 B1 KR 101525644B1 KR 1020110065852 A KR1020110065852 A KR 1020110065852A KR 20110065852 A KR20110065852 A KR 20110065852A KR 101525644 B1 KR101525644 B1 KR 101525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tenna
unit
statu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668A (ko
Inventor
류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5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644B1/ko
Publication of KR20130004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0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single receiver and antenna switching
    • H04B7/081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single receiver and antenna switching based on current reception conditions, e.g. switching to different antenna when signal level is below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6Weighted combining using weights depending on external parameters, e.g. direction of arrival [DOA], predetermined weights or beam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7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different recept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reception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안테나에 연결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와 연결 가능한 통신망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통신망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와 상기 통신망 사이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상기 통신망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결정된 통신 방식 각각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통신망과의 연결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통신 방식 가운데 통신망의 채널 상태에 최적화된 통신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통신 방식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통신망과 단말기 사이의 연결을 제어함으로써, 통신망의 채널 상태에 최적화된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통신망의 환경에 따라 최적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 중에 전화와 텍스트 메시지 송수신 등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로서, 특히 최근에는 빠른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기술의 도입에 따라 기존의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인터넷, 금융 서비스, 게임, 위치 기반 서비스, 네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데이터 통신에 기반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한가지 통신 방식에 의해 동작하는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달리, 복수의 통신 방식 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널리 보급된 스마트폰의 경우, 일반적인 이동 환경에서는 WCDMA와 같은 3G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망과 연결되며, 무선 인터넷 환경이 구축된 장소에서는 WIFI와 같은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망과 연결되어 3G 통신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안테나가 연결되는 통신망의 전파 환경에 대해 자동으로 최적의 안테나를 선택하지 못하며, 안테나가 고정된 구조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반사파가 많이 존재하는 도심 지역과 상대적으로 직접파가 많은 시골 지역과 같이 서로 다른 통신 환경을 갖는 지역에서 최적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신망의 전파 환경에 따라 통신 방식을 결정함으로써 통신 환경에 따른 최적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와 연결 가능한 통신망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통신망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와 상기 통신망 사이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상기 결정된 통신 방식 각각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통신망과의 연결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는 다이버시티(Diversity) 방식에 대응하는 제1안테나, 다중화(Multiplexing) 방식에 대응하는 제2안테나, 및 빔포밍(Beamforming) 방식에 대응하는 제3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통신망 내에서 반사파의 세기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제1안테나 및 상기 제2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통신망 내에서 반사파의 세기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3안테나를 선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측면에 의하면, 연결 가능한 통신망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망과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안테나 중 상기 결정된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안테나가 동작하는 통신 방식 각각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통신망과의 연결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통신 방식 결정 단계는 상기 통신망 내의 반사파 세기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크면 다이버시티(Diversity) 방식 및 다중화(Multiplexing)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망과의 통신 방식으로 결정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통신 방식 결정 단계는 상기 통신망 내의 반사파 세기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으면 빔포밍(Beamforming) 방식을 상기 통신망과의 통신 방식으로 결정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와 연결되는 통신망의 전파 환경을 포함한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망과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통신 방식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통신망과 연결함으로써, 전파 환경 및 기타 통신 환경에 최적화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통신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센서부(120), 제어부(130), 메모리부(140), 출력부(150), 및 입력부(160)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1의 블록도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구조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 요소 이외에 추가적인 구성 요소(ex> 통신 포트, 카메라부 등)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무선 통신부(110)는 통신망에 연결가능한 복수의 안테나(112a~c)와 연결되며, 무선 통신부(110)와 연결되는 복수의 안테나(112a~c) 각각은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망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버시티(Diversity) 방식에 의해 통신망에 연결되는 제1안테나(112a), 다중화(Multiplexing) 방식에 의해 통신망에 연결되는 제2안테나(112b), 및 빔포밍(Beamforming) 방식에 의해 통신망에 연결되는 제3안테나(112c)가 무선 통신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빔포밍 방식에 의해 동작하는 제3안테나(112c)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Adaptive Array Antenna) 또는 스위칭 빔 어레이 안테나(Switching Beam Array Antenna)와 같은 스마트 안테나일 수 있다. 또는, 빔포밍 방식에 의해 동작하는 제3안테나(112c) 이외에 별도의 스마트 안테나가 제4안테나(미도시)로 구비되어 무선 통신부(110)에 연결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센서부(120)는 무선 통신부(110)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연결가능한 통신망의 전파 환경 등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별도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없이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따라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망의 상태를 분석하는 방식에 비해, 전파 환경에 따른 아날로그 신호의 변동(variation)을 더욱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페이딩(fading) 현상에 따른 신호의 왜곡을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센서부(120)로부터 통신망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연결 가능한 통신망에 가장 효율적인 통신 방식을 선택한다. 일례로, 주변에 건물이 많은 도심 지역의 통신망과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하는 경우, 주변 건물로부터 생성되는 반사파로 인해 다이버시티(Diversity) 방식 또는 다중화(Multiplexing)가 효율적일 수 있다. 반대로 건물과 같이 반사파를 생성할 수 있는 개체가 상대적으로 적은 시골 지역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방식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연결 가능한 통신망에 가장 효율적인 통신 방식을 찾기 위해, 센서부(120)가 생성하는 통신망 상태 정보에 포함된 통신망 내의 반사파 세기를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통신망 내의 반사파 세기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크면, 반사파가 상대적으로 많이 존재하는 도심 지역과 같은 환경의 통신망에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다이버시티 방식 또는 다중화 방식을 선택하고, 통신망 내의 반사파 세기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으면, 반사파보다 직접파가 상대적으로 강한 시골 지역과 같은 환경의 통신망에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빔포밍 방식을 선택한다.
상기와 같이 무선 통신부(110)와 센서부(120)를 이용한 통신 제어 이외에도 제어부(130)는 메모리부(140)와 출력부(150), 및 입력부(160)를 제어하여 전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결정한다. 출력부(150)는 시각적 출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152)와 오디오 출력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통신부를 확대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부(110)는 복수의 안테나(112a~c)와 연결되는 안테나부(112), 복수의 안테나(112a~c) 각각에 대응되는 다이버시티(114a), 다중화(114b), 빔포밍(114c) 등의 통신 방식을 포함하는 통신 방식 결정부(114), 및 스위치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부(112)는 복수의 안테나(112a~c), 및 통신 방식 결정부(114)와 연결된다. 통신 방식 결정부(114)는 복수의 안테나(112a~c)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통신 방식(114a~c)을 제공하며, 스위치부(116)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통신 방식 결정부(114)가 제공하는 복수의 통신 방식(114a~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한다.
스위치부(116)는 제어부(13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며, 제어부(130)는 안테나부(112)와 연결된 센서부(120)가 생성하는 통신망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방식 결정부(114)가 제공하는 복수의 통신 방식(114a~c) 가운데 가장 효율적인 통신 방식을 선택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통신망에 반사파가 상대적으로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이버시티(114a) 또는 다중화(114b) 방식 및 그에 대응하는 안테나(112a, 112b)를 선택하고, 연결하고자 하는 통신망에 반사파보다 직접파가 상대적으로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빔포밍(114c) 방식 및 그에 대응하는 안테나(112c)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통신 방식(114a~c)과 별개로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 모드를 상호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음성 통신의 경우, CDMA, GSM 등과 같은 2G 송수신기, WCDMA 등의 3G 송수신기, LTE mobile VOIP의 4G 송수신기, 또는 WIFI 환경에서 동작하는 mobile VOIP 송수신기 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데이터 통신의 경우 LTE(또는 LTE Advanced)의 4G 송수신기, WIFI 송수신기, HSPA+ 송수신기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더욱 다양한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송수신기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예시에 기재되지 않은 다른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 모드를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어부(130)는 통신 방식 결정부(114)가 제공하는 각 통신 방식(114a~c)에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통신망과의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통신망 셀(cell)에 상대적으로 반사파가 강한 제1지역과 상대적으로 직접파가 강한 제2지역이 모두 포함된 경우를 가정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제1지역과 제2지역 사이에서 이동하는 경우, 다이버시티 또는 다중화 방식과 빔포밍 방식간의 상호 통신 방식 전환에 의해 통신이 끊기거나 통신 상태가 열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서로 다른 통신 환경을 갖는 복수의 셀 사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반사파와 직접파 중 어느 하나가 상대적으로 압도적인 비율을 갖지 않는 중간 지역에서, 제어부(130)가 각각의 통신 방식(114a~c)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우선 순위 스케쥴링(Priority Scheduling) 기법에 따라 통신망과의 연결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가정의 제1지역에서는 다이버시티(114a)에 30%, 다중화(114b)에 60%, 빔포밍(114c)에 10%의 가중치를 설정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점차 제2지역과 가까운 거리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다이버시티(114a) 및 다중화(114b)의 가중치를 낮추며 빔포밍(114c) 방식의 가중치를 높이는 형태로 연결 방식을 변경함으로써 통신 상태의 열화 및 끊김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빔포밍 방식의 일종인 스마트 안테나가 제4안테나(미도시)로 구비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4안테나에 고정된 이득(default gain)을 부여할 수 있다. 스마트 안테나의 경우, 직접파에 포함된 전파의 방향에 따라 능동적으로 수신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안테나 방식으로 동작하는 제4안테나에 고정된 이득을 부여함으로써, 통신 환경의 변화에 관계없이 어느 정도로 일정한 통신 감도를 보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방법은 통신망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시작한다(S300). 통신망의 상태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현재 연결된, 또는 연결 가능한 통신망의 통신 환경에 대한 정보로서, 일례로 통신망 내에 반사파의 세기, 직접파의 세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의 상태 정보는 무선 통신부(110)와 연결된 센서부(120)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센서부(120)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에 포함된 통신망의 반사파 세기를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한다(S310).
S310 단계에서 반사파 세기가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통신 방식으로 다이버시티(114a) 또는 다중화(114b) 방식을 선택한다(S320). 반대로, S310 단계에서 반사파의 세기가 임계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빔포밍(114c) 방식을 통신 방식으로 선택한다(S330). S320 또는 S330 단계에서 선택되는 통신 방식에 따라 제어부(13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통신망과의 연결 설정을 준비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S320 또는 S330 단계에서 선택되는 통신 방식에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선택되지 않은 통신 방식에 상대적으로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통신망과의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S340). 복수의 통신 방식(114a~c)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통신망과의 연결을 설정함으로써 서로 다른 통신 환경을 갖는 지역 사이에서 원활하고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방식(114a~c) 선택 및 가중치 부여가 완료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통신 방식 및 각 통신 방식에 부여된 가중치에 따라서 안테나(112a~c)를 선택하고(S350), 선택된 안테나(112a~c)를 통해 통신망과의 연결을 설정한다(S360).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S310 단계의 비교 결과 반사파의 세기가 직접파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것으로 판단되면 다이버시티 또는 다중화 방식에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반대로 직접파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강한 것으로 판단되면 빔포밍 방식에 상대적으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한다. 또한, 일정 시간 간격으로 통신망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S300), 생성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반사파의 세기를 임계값과 비교하여(S310) 그 결과에 따라 통신 방식에 대한 가중치를 변경함으로써 반사파가 강한 도심지역과 직접파가 강한 시골지역 사이에서도 효율적이고 원활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12a : 제1안테나 112b : 제2안테나
112c : 제3안테나 112 : 안테나부
114 : 통신 방식 결정부 116 : 스위치부
120 : 센서부 130 : 제어부

Claims (8)

  1.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안테나와 연결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에 연결 가능한 통신망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통신망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와 상기 통신망 사이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결정된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상기 통신망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서로 다른 통신 방식 각각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통신망과의 연결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다이버시티(Diversity) 방식에 대응하는 제1안테나, 다중화(Multiplexing) 방식에 대응하는 제2안테나, 및 빔포밍(Beamforming) 방식에 대응하는 제3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망의 상태 정보에 포함된 반사파의 세기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제1안테나 및 상기 제2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망의 상태 정보에 포함된 반사파의 세기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3안테나를 선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연결 가능한 통신망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망과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안테나 중 상기 결정된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서로 다른 통신 방식 각각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통신망과의 연결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방식 결정 단계는,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통신망 내의 반사파 세기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크면 다이버시티(Diversity) 방식 및 다중화(Multiplexing)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망과의 통신 방식으로 결정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방식 결정 단계는,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통신망 내의 반사파 세기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으면 빔포밍(Beamforming) 방식을 상기 통신망과의 통신 방식으로 결정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20110065852A 2011-07-04 2011-07-04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525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852A KR101525644B1 (ko) 2011-07-04 2011-07-04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852A KR101525644B1 (ko) 2011-07-04 2011-07-04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668A KR20130004668A (ko) 2013-01-14
KR101525644B1 true KR101525644B1 (ko) 2015-06-03

Family

ID=47836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852A KR101525644B1 (ko) 2011-07-04 2011-07-04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6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178B1 (ko) * 2013-12-11 2020-10-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선택 방법 및 장치
US10554240B2 (en) * 2015-12-28 2020-02-04 Apple, Inc. Wireless electronic device with radio-frequency sensors
WO2020067761A1 (ko) * 2018-09-28 2020-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4317A (ko) * 2009-09-28 2011-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주파수 대역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4317A (ko) * 2009-09-28 2011-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주파수 대역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668A (ko) 201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26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ase station cooperativ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543770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及びそれらに用いる送信ダイバーシチ適用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5270648B2 (ja) 分散アンテナシステム、基地局装置、アンテナ選択制御方法
CA2508695A1 (en) Automatic antenna selection for mesh backhaul network nodes
JP2009532936A (ja) 送信ギャップにおけるダイバーシチ受信パス測定を行う無線端末及び方法
JP2004104206A (ja) 空間分割多重アクセス制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移動局
WO2019179305A1 (zh) 信号接收方法及信号接收装置
US20150117421A1 (en) Adaptive dual band mimo wi-fi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341140B1 (ko) 이동통신 단말
JP2006324816A (ja) ダイバーシチ受信機及びダイバーシチ受信動作の制御方法
JP4905874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制御方法
KR10152564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JP2009049545A (ja) 通信システム
US20090253452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and Interference Wave Judging Method
CN101207847B (zh) 无线通信连接目的地选择方法和装置
EP2938008B1 (en) Wave beam selection method and base station
JP2005260502A (ja) 通信装置と通信制御方法
KR101337844B1 (ko) 기지국, 중계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US1136347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eam sweeping optimization based on a service threshold
JP4684068B2 (ja) 無線受信装置及び無線受信方法
JP2009219010A (ja) 基地局制御装置及び基地局制御方法
JP3639168B2 (ja) 通信制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移動局
US8224320B1 (en) Using RF conditions and handoff state to dynamically adjust a search window size
JP2005236368A (ja) ダイバーシティ装置
JP2004363812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