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538B1 - 에어 벤트 노즐 - Google Patents

에어 벤트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538B1
KR101524538B1 KR1020140092637A KR20140092637A KR101524538B1 KR 101524538 B1 KR101524538 B1 KR 101524538B1 KR 1020140092637 A KR1020140092637 A KR 1020140092637A KR 20140092637 A KR20140092637 A KR 20140092637A KR 101524538 B1 KR101524538 B1 KR 101524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wall
air
air vent
vent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완일
이범석
김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092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35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a pivoting frame
    • B60H1/3442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a pivoting frame the frame being spher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기로부터 공기통로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에어 벤트 노즐에 관한 것으로, 전방 고정부재(100), 후방 고정부재(200), 방향 조절부재(300), 회전부재(400), 회전 방지부재(500), 풍량 조절부재(600), 조작부재(700)으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에어 벤트 노즐{Air Vent Nozzle}
본 발명은 에어 벤트 노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송풍기로부터 공기통로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에어 벤트 노즐에 관한 것이다.
통상, 송풍기로부터 공기통로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해서는 에어벤트 노즐을 사용한다. 이러한 에어 벤트 노즐은 송풍량, 송풍방향 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으로, 차량과 같은 교통수단의 공조장치, 농수산물의 건조장치 등 공기의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에어 벤트 노즐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03028호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03028호에 개시된 발명은 통상의 에어 벤트 노즐이 구비하는 송풍량/송풍방향의 조절 기능 뿐만 아니라, 분사되는 공기를 확산시키거나 집중시킬 수 있는 기능을 더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03028호의 에어 벤트 노즐은 도 1 과 같이 외부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링 형태로 형성되되 내측으로는 날개부(12)가 + 형태로 형성되고 중심축상에 댐퍼축(14)이 형성되는 댐퍼(10)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댐퍼(10)의 댐퍼축(14)이 중심축상에 형성된 배기홀(26)로 삽입되되 하단부에는 상기 댐퍼(10)의 날개부(12)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22)이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회전부(20), 상하로 관통홀(32)이 형성된 항아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댐퍼(10)와 손잡이 회전부(20)가 결합된 후 내측에 설치되는 몸체(30)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손잡이 회전부(20)가 도면상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걸림단(34)과 제 2 걸림단(24)을 구비하고 있지만, 손잡이 회전부(2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결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에어 벤트 노즐은 하방으로 공기를 분사할 목적으로 버스의 천장 등에 설치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겠지만, 공기를 수평방향으로 분사할 경우에는 손잡이 회전부(20)가 몸체(30) 내부로 밀려 들어갈 수 있으므로 송풍량과 분출공기의 확산/집중을 의도한 대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댐퍼(10)의 나사산은 그 직경이 커서 나사에 이물질이 부착될 확률도 높고, 또한 나사가 서로 접촉하는 면적이 넓은 반면 손잡이 회전부(20)의 크기가 작아 송풍량 조절을 위해 손잡이 회전부(20)를 회전시키는데 많은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에어 벤트 노즐은 애완동물을 목욕시킨 후 애완동물의 털을 건조시키기 위한 애완동물용 건조기(도 2 참조)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애완동물 건조기는 애완동물이 위치하게 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수용부를 이루는 벽체에 다수 개의 에어 벤트 노즐이 부착되어 온풍을 분사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애완동물의 몸체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효율적으로 건조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건조기에 설치되는 에어 벤트 노즐이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이 송풍량, 송풍방향 뿐만 아니라 분출 공기의 확산 및 집중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수용부를 이루는 벽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어야만 수용부 내의 애완동물이 상처를 입지 않게 된다. 그리고, 송풍량, 송풍방향 뿐만 아니라 분출공기의 확산 및 집중을 쉽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의 에어 노즐은 수평으로 송풍하기 곤란하며, 또한 벽체로부터 손잡이 회전부(20)가 돌출되는 구조이므로 애완동물이 다칠 염려가 크며, 수용부 깊숙히 설치된 에어 벤트 노즐은 손잡이 회전부(20)를 파지하여 송풍량, 송풍방향 뿐만 아니라 분출공기의 확산 및 집중을 쉽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07-0003028 A, 2007.1.5., 도면 3a, 3b, 4a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에어 벤트 노즐이 어떠한 방향으로 설치되더라도 정확히 작동할 수 있으며, 설치된 벽체에서 심하게 돌출되지 않으며, 설치위치에 관계없이 송풍량, 송풍방향 뿐만 아니라 분출공기의 확산 및 집중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고장의 위험이 적고 내구성이 우수한 에어 노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에어 벤트 노즐은,
에어 벤트 노즐을 설치공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벽체로 이루어지며 설치공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고정부와 삽입부를 관통하는 제 1 통공과,
상기 삽입부 후방에 형성되는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1 통공의 후방 내면에 형성되며 전방이 후방보다 좁은 제 1 구면으로 이루어지는 전방 고정부재와;
제 2 통공과,
상기 제 2 통공의 내면에 형성되며 전방이 후방보다 넓은 제 2 구면과,
상기 제 2 통공을 이루는 벽체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체결부와 결합하는 제 2 체결부로 이루어지는 후방 고정부재와;
제 3 통공과,
상기 제 3 통공을 이루는 벽체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2 구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면접촉하는 제 3 구면과,
상기 제 3 통공을 이루는 벽체 후방에 형성되는 제 3 체결부와,
상기 제 3 통공을 이루는 벽체 전방에 형성되는 제 1 이탈 방지부로 이루어진 방향 조절부재와;
제 4 통공과,
상기 제 4 통공을 이루는 벽체의 전방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 2 이탈 방지부와,
상기 제 4 통공을 이루는 벽체에 형성되는 제 4 체결부와,
제 4 통공과 이격된 후방에 위치하며, 제 4 통공과 동일 중심축선 상에 위치하는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를 제 4 통공과 이격된 후방에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제 4 통공을 이루는 벽체와 너트부를 연결하는 제 1 방사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회전부재와;
중앙에 제 5 통공을 구비하고 방사형으로 연장된 제 2 방사 프레임과,
상기 제 5 통공의 내면에 형성된 회전방지 돌기와,
상기 제 2 방사 프레임의 각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3 체결부와 결합되는 제 5 체결부로 이루어진 회전 방지부재와;
전방이 좁고 후방이 넓은 원추부와,
상기 원추부의 중심축을 관통하는 제 6 통공과,
제 6 통공의 중심을 따라 원추부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너트부와 결합되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의 축방향을 따라 볼트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방지 돌기와 결합되는 가이드 홈과,
상기 원추부와 볼트부를 연결하는 제 3 방사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풍량 조절부재와;
디스크 형상의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형성된 제 7 통공과,
상기 제 7 통공을 후방으로 연장하는 벽체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 4 체결부와 결합하는 제 6 체결부와,
상기 제 1,2 이탈 방지부와 결합되는 제 3 이탈 방지부로 이루어진 조작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2,3 이탈 방지부는, 상기 조작부재를 방향 조절부재와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조작부재의 파지부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방향 조절부재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간극으로 배치되며;
제 7통공의 일부 지점에서의 내면의 크기는 상기 원추부 후방의 최대 크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이탈 방지부는 제 3 통공을 이루는 벽체 전방을 향해 돌출된 제 1 벽과, 제 3 통공의 내면을 향해 돌출된 제 1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이탈 방지부는 제 4 통공을 이루는 벽체의 전방 테두리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제 2 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3 이탈 방지부는 제 7 통공을 이루는 벽체 외면에 형성된 제 1 단턱과, 상기 제 7 통공을 에워싸는 원통으로 이루어진 제 3 벽과 상기 제 7 통공을 이루는 벽체 사이에 위치하는 오목 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벽은 상기 오목 홈에 삽입되며, 상기 제 2 벽과 제 1 단턱 사이에 상기 제 1 돌기가 삽입되되, 상기 제 1 벽과 오목 홈 사이의 간극과, 제 2 벽과 제 1 단턱이 제 1 돌기와 이루는 간극은 조작부의 파지부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방향 조절부재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크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풍량 조절부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원추부의 외면에는 제 2 단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원추부의 제 6 통공을 차단하여, 제 6 통공을 통해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어 벤트 노즐은 어떠한 방향으로 설치되더라도 정확히 작동할 수 있으며, 설치된 벽면에서 심하게 돌출되지 않으며, 설치위치에 관계없이 송풍량, 송풍방향 뿐만 아니라 분출공기의 확산 및 집중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고장의 위험이 적고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 벤트 노즐을 나타낸 도.
도 2는 애완동물용 건조기의 형태를 나타낸 도.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 에어 벤트 노즐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부재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일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A 부분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 에어 벤트 노즐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실시예 에어 벤트 노즐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 에어 벤트 노즐(1)은 전방 고정부재(100), 후방 고정부재(200), 방향 조절부재(300), 회전부재(400), 회전 방지부재(500), 풍량 조절부재(600), 조작부재(700)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각 부재(100~500)의 구성을 각 부재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 5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5의 전방 고정부재(100)는, 에어 벤터 노즐(1)을 설치공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전방 고정부재(100)는 에어 벤트 노즐(1)을 설치공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벽체로 이루어지며 설치공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120)와, 상기 고정부(110)과 삽입부(120)를 관통하는 제 1 통공(130)과, 상기 삽입부(120) 후방에 형성되는 제 1 체결부(140)와, 상기 제 1 통공(130)의 후방 내면에 형성되며 전방이 후방보다 좁은 제 1 구면(150)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상, 에어 벤트 노즐이 설치될 벽면 후방으로 덕트와 같은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은 공기 통로와 연통되도록 벽면에 설치공을 뚫고 그 설치공에 에어 벤트 노즐을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에어 벤트 노즐의 설치가 완료된다. 고정부(110)는 설치공에 에어 벤트 노즐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테두리에 설치공과 결합할 쇄기가 복수 개 구비되어 있다.
도 6의 후방 고정부재(200)는, 제 2 통공(210)과, 상기 제 2 통공(210)의 내면에 형성되며 전방이 후방보다 넓은 제 2 구면(220)과,상기 제 2 통공(210)을 이루는 벽체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체결부(140)와 결합하는 제 2 체결부(230)로 이루어져 있다.
후방 고정부재(200)는 제 1,2 체결부(140,230)에 의해 전방 고정부재(100)와 결합되어, 나머지 부재들이 에어 벤트 노즐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7의 방향 조절부재(300)는, 제 3 통공(310)과, 상기 제 3 통공(310)을 이루는 벽체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2 구면(150, 220)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면접촉하는 제 3 구면(320)과, 상기 제 3 통공(310)을 이루는 벽체 후방에 형성되는 제 3 체결부(330)와, 상기 제 3 통공(310)을 이루는 벽체 전방에 형성되는 제 1 이탈 방지부(340)로 이루어져 있다.
방향 조절부재(300)는, 전방 고정부재(100)의 제 1 구면(150) 및 후방 고정부재(200)의 제 2 구면(220)이 이루는 구면과 제 3 구면(32)이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면 접촉하고 있어, 에너 벤트 노즐의 송풍 방향의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도 8의 회전부재(400)는, 제 4 통공(410)과, 상기 제 4 통공(410)을 이루는 벽체의 전방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 2 이탈 방지부(420)와, 상기 제 4 통공(410)을 이루는 벽체에 형성되는 제 4 체결부(430)와, 제 4 통공(410)과 이격된 후방에 위치하며, 제 4 통공(410)과 동일 중심축선 상에 위치하는 너트부(440)와, 상기 너트부(440)를 제 4 통공(410)과 이격된 후방에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제 4 통공(410)을 이루는 벽체와 너트부(440)를 연결하는 제 1 방사형 프레임(450)으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부재(400)는 제 4 체결부(430)에 의해 이후 설명될 조작부재(700)의 제 6 체결부(730)과 결합되어, 조작부재(700)를 그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같이 회전하게 된다.
도 9의 회전 방지부재(500)는, 중앙에 제 5 통공(510)을 구비하고 방사형으로 연장된 제 2 방사 프레임(520)과, 상기 제 5 통공(510)의 내면에 형성된 회전방지 돌기(530)와, 상기 제 2 방사 프레임(520)의 각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방향 조절부재(300)의 제 3 체결부(330)와 결합되는 제 5 체결부(540)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 방지부재(500)는 이후 설명되는 풍량 조절부재(600)의 볼트부(63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5 통공(510)의 내면에 회전 방지 돌기(530)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회전방지 돌기(530)은 볼트부(630)에 형성된 가이드 홈(640)과 결합하여 볼트부(63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도 10의 풍량 조절부재(600)는, 전방이 좁고 후방이 넓은 원추부(610)와, 상기 원추부(610)의 중심축을 관통하는 제 6 통공(620)과, 제 6 통공(620)의 중심을 따라 원추부(610)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너트부(440)와 결합되는 볼트부(630)와, 상기 볼트부(630)의 축방향을 따라 볼트부(630)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방지 돌기(530)와 결합되는 가이드 홈(640)과, 상기 원추부(610)와 볼트부(630)를 연결하는 제 3 방사형 프레임(650)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1의 조작부재(700)는, 디스크 형상의 파지부(710)와, 상기 파지부(710)에 형성된 제 7 통공(720)과, 상기 제 7 통공(720)을 후방으로 연장하는 벽체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 4 체결부(430)와 결합하는 제 6 체결부(730)와, 상기 제 1,2 이탈 방지부(340, 420)와 결합되는 제 3 이탈 방지부(740)로 이루어져 있다.
도 12는 본 실시예의 단면도인데, 풍량 조절부재(600)가 최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송풍량이 최소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도 12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먼저 본 실시예의 에어 벤트 노즐의 조립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풍량 조절부재(600)의 볼트부(630)를 회전부재(400)의 너트부(440)과 조립하고, 너트부(440)를 통과한 볼트부(630)의 가이드 홈(640)을 회전 방지부재(500)의 회전방지 돌기(530)에 끼우면서 볼트부(630)을 회전방지 부재(500)의 제 5 통공(510)에 삽입한다.
회전 방지부재(500)의 제 2 방사 프레임(520)의 각 단부에 형성된 제 5 체결부(540)을 방향 조절부재(300)의 제 3 체결부(330)과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회전부재(400) 전방의 제 4 체결부(430)를 조작부재(700) 후방의 제 6 체결부(730)과 결합시켜, 회전부재(400)와 조작부재(700)를 결합시킨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400)와 조작부재(700)가 결합될 때, 조작부재(700)과 방향조절부재(300)는 방향 조절부재(300) 전방의 제 1 이탈방지부(340), 회전부재(400) 전방의 제 2 이탈방지부(420), 및 조작부재(700) 후방의 제 3 이탈방지부(740)에 의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제 1 이탈 방지부(340)는 제 3 통공(310)을 이루는 벽체 전방을 향해 돌출된 제 1 벽(311)과, 제 3 통공(310)의 내면을 향해 돌출된 제 1 돌기(312)로 이루어지며;
제 2 이탈 방지부(420)는 제 4 통공(410)을 이루는 벽체의 전방 테두리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제 2 벽(41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3 이탈 방지부(740)는 제 7 통공(720)을 이루는 벽체 외면에 형성된 제 1 단턱(721)과, 상기 제 7 통공(720)을 에워싸며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제 3 벽(722)과 상기 제 7 통공(720)을 이루는 벽체 사이에 위치하는 오목 홈(723)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3에서 제 3,4,7 통공(310,410, 720)에 대한 도면 부호의 표기를 생략하였으나, 도 7,8,11을 참조하면 그 위치나 구성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 벽(311)은 상기 오목 홈(723)에 삽입되며, 상기 제 2 벽(411)과 제 1 단턱(721) 사이에 상기 제 1 돌기(312)가 삽입된다.
상기 제 1 벽(311)과 오목 홈(723) 사이의 간극과, 제 2 벽(411)과 제 1 단턱(721)이 제 1 돌기(312)와 이루는 간극은 조작부재(700)의 파지부(71)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방향 조절부재(30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크기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부재(700)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방향 조절부재(300)은 회전하지 않는다.
회전부재(400) 및 방향조절부재(300)를 조작부재(700)와 결합시킬 때는 회전부재(400) 및 방향조절부재(300)와 조작부재(700) 사이에 전방 고정부재(100)을 끼워 넣은 형태로 결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결합에 의해 방향 조절부재(300) 외면에 형성된 제 3 구면(320)은 전방 고정부재(100)의 제 1 구면(150)과 면접촉을 이루게 된다.
이후, 전방 고정부재(100) 후방의 제 1 체결부(140)과 후방 고정부재(200)의 제 2 체결부(230)을 결합시키면, 에어 벤트 노즐의 조립이 완료된다.
전방 고정부재(100)와 후방 고정부재(200)가 결합하게 되면, 방향 조절부재(300)의 제 3 구면(320)은 전방 고정부재(100)의 제 1 구면(150) 및 후방 고정부재(200)의 제 2 구면(220)과 면 접촉을 이루게 된다. 제 2 구면(220)의 후방이 전방보다 좁기 때문에 방향 조절부재(300)는 에어 벤트 노즐의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제 1 구면(150)의 전방이 후방보다 좁기 때문에 방향 조절부재(300)는 에어 벤트 노즐의 전방으로 이탈하지도 않는다.
이하, 도 12, 14, 15를 참조하여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12는 송풍량이 최소이며 집중 분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4는 송풍량이 최대이며 확산 분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5는 송풍방향이 하단으로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 7 통공(720) 중 일부 지점(도 12에서 도면부호 'B'가 지시하는 지점)에서 내면의 크기는 풍량 조절부재(600)의 원추부(610)의 후방의 크기보다 작다. 따라서 풍량 조절부재(600)는 조절부재(700)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도 12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제 6통공(620)으로만 공기가 분출된다.
상기 원추부(610)의 제 6 통공(620)을 차단시키면, 제 6 통공을 통해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게 되므로, 도 12의 상태에서 에어 벤트 노즐을 통하여 공기의 배출을 차단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조절부재(700)의 파지부(71)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부재(400)이 회전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향 조절부재(300)는 회전하지 않는다.
회전부재(400)가 회전하면, 회전부재(400)의 너트부(44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방향 조절부재(300)와 체결되어 있는 회전 방지부재(500) 역시 회전하지 않게 되고, 회전 방지부재(500)의 회전방지 돌기(530)와 가이드 홈(640)이 결합되어 회전이 억제된 풍량 조절부재(600)의 볼트부(630)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원추부(610)의 외면에는 제 2 단턱(611)이 형성되어 풍량 조절부재(6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후방으로 이동되는 풍량 조절부재(600)는 원추부(610)의 후방이 회전부재(400)의 제 1 방사형 프레임(450)과 접촉되는 위치에 달하면 그 이동이 정지되며, 도 14와 같이 송풍량이 최대인 상태로 된다.
도 14에서는 제 6 통공(620) 뿐만 아니라, 제 7 통공(720)과 원추부(610) 외면 사이의 공간으로도 공기가 분출되어 최대 송풍량이 확보되며, 분출범위도 확산되게 되는 것이다.
도 15는 조작부재(700)의 파지부(710) 하단부를 후방으로 눌러 송풍방향이 하단으로 향하게 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전방 고정부재(100)의 제 1 구면(150) 및 후방 고정부재(200)의 제 2 구면(220)과 면 접촉을 이루고 있는 방향 조절부재(300)의 제 3 구면(320)은 서로 슬라이딩 되어 전방 고정부재(100)과 후방 고정부재(200)을 제외한 나머지 부재들은 일체로 하방을 향하게 되어, 송풍이 하방을 향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그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짐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 : 에어 벤트 노즐
100 : 전방 고정부재 110 : 고정부 120 : 삽입부 130 : 제 1 통공
140 : 제 1 체결부 150 : 제 1 구면
200 : 후방 고정부재 210 : 제 2 통공 220 : 제 2 구면
230 : 제 2 체결부
300 : 방향 조절부재 310 : 제 3 통공 311 : 제 1 벽 312 : 제 1 돌기
320 : 제 3 구면 330 : 제 3 체결부 340 : 제 1 이탈 방지부
400 : 회전부재 410 : 제 4 통공 411 : 제 2 벽 420 : 제 2 이탈 방지부
430 : 제 4 체결부 440 : 너트부 450 : 제 1 방사형 프레임
500 : 회전 방지부재 510 : 제 5 통공 520 : 제 2 방사 프레임
530 : 회전방지 돌기 540 : 제 5 체결부
600 : 풍량 조절부재 610 : 원추부 611 : 제 2 단턱 620 : 제 6 통공
630 : 볼트부 640 : 가이드 홈 650 : 제 3 방사형 프레임
700 : 조작부재 710 : 파지부 720 : 제 7 통공 721 : 제 1 단턱
722 : 제 3 벽 723 : 오목 홈 730 : 제 6 체결부 740 : 제 3 이탈 방지부

Claims (4)

  1. 에어 벤트 노즐(1)을 설치공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벽체로 이루어지며 설치공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120)와,
    상기 고정부(110)과 삽입부(120)를 관통하는 제 1 통공(130)과,
    상기 삽입부(120) 후방에 형성되는 제 1 체결부(140)와,
    상기 제 1 통공(130)의 후방 내면에 형성되며 전방이 후방보다 좁은 제 1 구면(150)으로 이루어지는 전방 고정부재(100)와;

    제 2 통공(210)과,
    상기 제 2 통공(210)의 내면에 형성되며 전방이 후방보다 넓은 형태의 제 2 구면(220)과,
    상기 제 2 통공(210)을 이루는 벽체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체결부(140)와 결합하는 제 2 체결부(230)로 이루어지는 후방 고정부재(200)와;

    제 3 통공(310)과,
    상기 제 3 통공(310)을 이루는 벽체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2 구면(150, 220)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면접촉하는 제 3 구면(320)과,
    상기 제 3 통공(310)을 이루는 벽체 후방에 형성되는 제 3 체결부(330)와,
    상기 제 3 통공(310)을 이루는 벽체 전방에 형성되는 제 1 이탈 방지부(340)로 이루어진 방향 조절부재(300)와;

    제 4 통공(410)과,
    상기 제 4 통공(410)을 이루는 벽체의 전방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 2 이탈 방지부(420)와,
    상기 제 4 통공(410)을 이루는 벽체에 형성되는 제 4 체결부(430)와,
    제 4 통공(410)과 이격된 후방에 위치하며, 제 4 통공(410)과 동일 중심축선 상에 위치하는 너트부(440)와,
    상기 너트부(440)를 제 4 통공(410)과 이격된 후방에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제 4 통공(410)을 이루는 벽체와 너트부(440)를 연결하는 제 1 방사형 프레임(450)으로 이루어진 회전부재(400)와;

    중앙에 제 5 통공(510)을 구비하고 방사형으로 연장된 제 2 방사 프레임(520)과,
    상기 제 5 통공(510)의 내면에 형성된 회전방지 돌기(530)와,
    상기 제 2 방사 프레임(520)의 각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3 체결부(330)와 결합되는 제 5 체결부(540)로 이루어진 회전 방지부재(500)와;

    전방이 좁고 후방이 넓은 원추부(610)와,
    상기 원추부(610)의 중심축을 관통하는 제 6 통공(620)과,
    제 6 통공(620)의 중심을 따라 원추부(610)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너트부(440)와 결합되는 볼트부(630)와,
    상기 볼트부(630)의 축방향을 따라 볼트부(630)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방지 돌기(530)와 결합되는 가이드 홈(640)과,
    상기 원추부(610)와 볼트부(630)를 연결하는 제 3 방사형 프레임(650)으로 이루어진 풍량 조절부재(600)와;

    디스크 형상의 파지부(710)와,
    상기 파지부(710)에 형성된 제 7 통공(720)과,
    상기 제 7 통공(720)을 후방으로 연장하는 벽체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 4 체결부(430)와 결합하는 제 6 체결부(730)와,
    상기 제 1,2 이탈 방지부(340, 420)와 결합되는 제 3 이탈 방지부(740)로 이루어진 조작부재(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2,3 이탈 방지부(340,420,740)는, 상기 조작부재(700)를 방향 조절부재(300)와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조작부재(700)의 파지부(710)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방향 조절부재(30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간극으로 배치되며;

    제 7통공(720) 중 일부 지점에서의 내면의 크기는 상기 원추부 (610)의 후방의 최대 크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벤트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탈 방지부(340)는 제 3 통공(310)을 이루는 벽체 전방을 향해 돌출된 제 1 벽(311)과, 제 3 통공(310)의 내면을 향해 돌출된 제 1 돌기(3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이탈 방지부(420)는 제 4 통공(410)을 이루는 벽체의 전방 테두리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제 2 벽(41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3 이탈 방지부(740)는 제 7 통공(720)을 이루는 벽체 외면에 형성된 제 1 단턱(721)과, 상기 제 7 통공(720)을 에워싸며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제 3 벽(722)과 상기 제 7 통공(720)을 이루는 벽체 사이에 위치하는 오목 홈(7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벽(311)은 상기 오목 홈(723)에 삽입되며, 상기 제 2 벽(411)과 제 1 단턱(721) 사이에 상기 제 1 돌기(312)가 삽입되되, 상기 제 1 벽(311)과 오목 홈(723) 사이의 간극과, 제 2 벽(411)과 제 1 단턱(721)이 제 1 돌기(312)와 이루는 간극은 조작부재(700)의 파지부(71)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방향 조절부재(30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크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벤트 노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부(610)의 외면에는 제 2 단턱(6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벤트 노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부(610)의 제 6 통공(620)은 차단되어, 제 6 통공(620)을 통해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벤트 노즐.

KR1020140092637A 2014-07-22 2014-07-22 에어 벤트 노즐 KR101524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637A KR101524538B1 (ko) 2014-07-22 2014-07-22 에어 벤트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637A KR101524538B1 (ko) 2014-07-22 2014-07-22 에어 벤트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4538B1 true KR101524538B1 (ko) 2015-06-01

Family

ID=5349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637A KR101524538B1 (ko) 2014-07-22 2014-07-22 에어 벤트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5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725B1 (ko) 2017-04-28 2018-10-10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에어덕트의 풍향제어장치
KR20210012741A (ko) 2019-07-26 2021-02-03 김영식 에어 벤트 그릴
WO2021206649A1 (en) * 2020-04-10 2021-10-14 Ecoplas Otomoti̇v San. Ve Ti̇c. A.Ş. Diffusor structure that enables to control airflow dir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4453A (ko) * 2010-04-12 2011-10-19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공기 환기 장치
KR200470793Y1 (ko) * 2012-04-16 2014-01-10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에어벤트
JP2014034280A (ja) * 2012-08-08 2014-02-24 Howa Kasei Kk レジスタ
JP2014088115A (ja) * 2012-10-30 2014-05-15 Howa Kasei Kk レジス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4453A (ko) * 2010-04-12 2011-10-19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공기 환기 장치
KR200470793Y1 (ko) * 2012-04-16 2014-01-10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에어벤트
JP2014034280A (ja) * 2012-08-08 2014-02-24 Howa Kasei Kk レジスタ
JP2014088115A (ja) * 2012-10-30 2014-05-15 Howa Kasei Kk レジス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725B1 (ko) 2017-04-28 2018-10-10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에어덕트의 풍향제어장치
KR20210012741A (ko) 2019-07-26 2021-02-03 김영식 에어 벤트 그릴
WO2021206649A1 (en) * 2020-04-10 2021-10-14 Ecoplas Otomoti̇v San. Ve Ti̇c. A.Ş. Diffusor structure that enables to control airflow dir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4538B1 (ko) 에어 벤트 노즐
US9707826B2 (en) Airflow outlet
CN204191840U (zh) 用于吹风理发设备的附件和配备有这种附件的设备
KR20090018994A (ko) 환기 시스템용 공기 통풍구
CN102454645A (zh) 风扇组件
CA2899061C (en) Blower
US20220032328A1 (en) Spray nozzle and sprayer
CN110173468B (zh) 通风装置及安装通风装置的方法
KR101551081B1 (ko) 천장형 실내기의 기류 확산팬
US20220226837A1 (en) Water sprayer
CN107614118B (zh) 涂装装置
GB2487628A (en) Aid for installing a vehicle ventilation nozzle to a duct
BR102016009262A2 (pt) mecanismo e método para ajuste de câmera, e, sistema de vigilância de aeronave
KR101507356B1 (ko) 화재 진압용 노즐 장치
NL2027341A (nl) Klepsamenstel voor een luchtkanaal in of aan een ventilatiesysteem
US11619418B2 (en) Air diffuser
KR101727695B1 (ko) 송풍기용 방화수 분사장치
US10286756B2 (en) Air outlet device, in particular for the supply of air into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EP3327367B1 (fr) Dispositif de ventilation notamment pour habitation
KR200460063Y1 (ko) 전등 커버의 고정장치
CN104165134B (zh) 风扇及其用于风扇的喷嘴
KR20160147605A (ko) 소방 노즐
JP3156404U (ja) ヘアードライヤー
JP2015169151A (ja) 扇風機および扇風機の羽根
KR102182899B1 (ko) 차량의 에어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