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899B1 - 차량의 에어벤트 - Google Patents

차량의 에어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899B1
KR102182899B1 KR1020140033550A KR20140033550A KR102182899B1 KR 102182899 B1 KR102182899 B1 KR 102182899B1 KR 1020140033550 A KR1020140033550 A KR 1020140033550A KR 20140033550 A KR20140033550 A KR 20140033550A KR 102182899 B1 KR102182899 B1 KR 102182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otating member
vehicle
wing
inl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9945A (ko
Inventor
이영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3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899B1/ko
Publication of KR20150109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35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a pivoting frame
    • B60H1/3442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a pivoting frame the frame being spher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공조기와 연결되어 상기 공조기로부터 공조된 공기를 유입 받는 유입부와, 상기 공조된 공기를 차실내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가지는 덕트와 상기 토출부에 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복수개의 날이 세로로 힌지결합되는 제1 윙과 상기 제1 윙보다 외측으로 상, 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공조된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여 차실내로 토출하는 노즐부 및 상기 토출부의 단부에 상기 노즐부를 고정시키도록 후크결합되는 베젤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공기가 토출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상기 중공부에 제2 윙이 가로로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이 상기 베젤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노즐부를 하측으로 회전시 상기 회전부재의 하측면에 형성된 유입홀을 통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차량의 에어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에어벤트{An AirVent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는 인프러스트 덕트에 설치되어 공조기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차실내로 토출시 상기 공기의 흐름방향을 조절시 상기 공기의 누기를 줄이기 위한 차량의 에어벤트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차실의 냉난방을 위한 에어컨이 구비되고, 상기 에어컨을 통해 공조된 공기의 흐름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에어벤트 장치가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에는 계기판, 오디오장치 및 글로브박스 등이 장착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구비된다.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에는 상기 에어컨을 통해 공조된 공기를 차실내로 송풍하는 송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벤트 장치는 상기 송풍구에 설치되어서 공조된 공기의 흐름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2는 도 1의 A-A를 종래 발명에 따라 나타낸 차량의 에어벤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을 참고하면, 공조기로부터 공조된 공기가 흐르는 덕트(10)와, 상기 덕트(10)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미도시)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된 공기의 흐름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노즐부(2)와, 상기 노즐부(2)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부(2)를 조절하는 노브부(3) 및 상기 토출구의 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노즐부(2)를 고정시키는 베젤(4)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부(2)는 상기 덕트(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 윙과 상기 제1 윙과 상기 베젤(4)사이에 제2 윙이 위치하여, 공기의 방향을 조절한다. 노브부(3)를 작동시켜 공기의 흐름을 상측 및 하측으로 제어시 상기 제2 윙이 회동하고, 좌측 및 우측으로 제어시 상기 제1 윙이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윙은 상측으로 회전시 상기 제2 윙의 외둘레면과 덕트(10)의 내벽 및 베젤(4)과의 조립공차에 따라 이격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이격을 줄이고자 상기 제2 윙은 반구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노브부(3)를 하측으로 작동시 제2 윙의 하측후면(2a)에 의해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2 윙의 하측후면(2a)과의 사이에서 와류(A)가 발생하게되어 상기 공기의 손실량이 증대되고,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 풍향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조기에서 공조된 공기가 차실내로 토출시 노즐부의 후면에 의해 토출되지 못하는 상기 공조된 공기를 차실내로 토출할 수있는 차량의 에어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벤트는, 공조기와 연결되어 상기 공조기로부터 공조된 공기를 유입 받는 유입부와, 상기 공조된 공기를 차실내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가지는 덕트와 상기 토출부에 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복수개의 날이 세로로 힌지결합되는 제1 윙과 상기 제1 윙보다 외측으로 상, 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공조된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여 차실내로 토출하는 노즐부 및 상기 토출부의 단부에 상기 노즐부를 고정시키도록 후크결합되는 베젤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부는, 상기 공기가 토출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상기 중공부에 제2 윙이 가로로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이 상기 베젤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노즐부를 하측으로 회전시 상기 회전부재의 하측면에 형성된 유입홀을 통하여 공기를 토출한다.
또한, 상기 유입홀은 상기 회전부재에 복수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입홀에서 통과된 공기를 차실내 방향으로 제어하도록 상기 유입홀과 근접하여 에어가이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는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가이드가 복수개로 형성시 상기 회전부재의 곡률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유입홀을 통과한 상기 공기의 토출 방향을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노즐부를 상측으로 회전시 공기가 상기 유입홀로 유입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공기의 토출 방향으로 소정각도를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홀은 상기 회전부재의 하측둘레면에 슬릿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윙과 상기 노즐부를 회동시키는 노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브부는 상기 제1 윙과 상기 노즐부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 회동시킨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2 윙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에어벤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노즐부의 회전시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조된 공기의 손실량이 줄어 풍향 및 풍량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손실량이 줄어들게 됨으로 에너지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차량의 덕트에 에어벤트가 장착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를 종래 발명의 차량의 에어벤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에 A-A를 본 발명의 따라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일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
도 5는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는 도 5의 일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의 에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차량의 덕트에 에어벤트가 장착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를 종래 발명의 차량의 에어벤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A-A를 본 발명의 따라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4는 도 3의 일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6는 도 5의 일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바람직한 차량의 에어벤트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에어벤트인 경우이다.
도 1은 차량의 덕트에 에어벤트가 장착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A-A를 본 발명의 따라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공조기(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공조기로부터 공조된 공기를 유입 받는 유입부(미도시)와, 상기 공조된 공기를 차실내로 토출하는 토출부(미도시)를 가지는 덕트(10)와 상기 토출부에 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복수개의 날이 세로로 힌지결합되는 제1 윙 및 상기 토출부의 단부둘레에 후크결합되는 베젤(20)에 상, 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여 차실내로 토출하는 노즐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부(40)는,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회전부재(50)와, 중공부에 복수개의 날이 가로로 제2 윙(46)이 배치되고, 회전부재(50)의 일측이 상기 베젤(2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설치되어, 노즐부(40)를 하측으로 회전시 회전부재(50)의 하측면에 형성된 유입홀(52)을 통하여 공조된 공기를 차실내로 토출한다.
덕트(10)는 공조기와 연결되어 공조기로부터 공조된 공기를 유입 받는 유입부와, 상기 공조된 공기를 차실내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가진다.
베젤(20)은 덕트(10)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토출되도록 중공되어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젤(20)은 상, 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노즐부(40)가 토출부에 결합된 후 단부둘레를 감싸도록 후크결합 되어 노즐부(40)의 이탈을 방지한다.
노즐부(40)는,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회전부재(50)와, 중공부에 복수개의 날이 가로로 제2 윙(46)이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재(50)의 일측이 베젤(2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설치되어, 노즐부(40)를 하측으로 회전시 회전부재(50)의 하측면에 형성된 유입홀(52)을 통하여 공조된 공기를 토출한다.
제1 윙은 토출부에 상, 하단을 회전중심으로 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복수개의 날이 세로로 힌지결합된다. 후술할 노브부(60)와 연결되어 노브부(60)의 작동시 제1 윙은 좌, 우로 회전됨으로 상기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게 된다.
제2 윙(46)은 중공부에 복수개의 날이 가로로 배치된다. 제2 윙(46)에 노브부(60)가 설치되어 제2 윙(46)을 좌,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 윙은 제2 윙(46)보다 덕트(10) 내로 더 삽입되어 배치되고, 제2 윙(46)은 제1 윙보다 차실쪽으로 이격되어 차실내에 노출된다.
이와 같이, 제1 윙 및 제2 윙(46)은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서, 제1 윙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좌우로 회전되면서 덕트(10) 내를 흐르는 공조된 공기의 방향을 좌우로 전환하여 상기 공기의 차실 내로 토출되는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고, 제2 윙(46)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좌우로 회전되면서 덕트(10)내를 흐르는 공조된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전환하여 상기 공기의 차실 내로 토출되는 방향을 상하로 조절한다.
제2 윙(46)은 제1 윙과 노즐부(40)를 회동시키는 노브부(60)를 더 포함하고, 노브부(60)는 제1 윙과 노즐부(40)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 회동시킨다. 사용자가 노브부(60)를 잡고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제2 윙(46)은 일제히 상측으로 회전되면서 차실 내로 토출되는 공조된 공기의 흐름을 상측으로 전환하고, 사용자가 노브부(60)를 잡고 하측으로 내리면 제2 윙(46)은 일제히 하측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차실 내로 토출되는 공조된 공기의 흐름을 하측으로 전환한다.
회전부재(50)는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다. 회전부재(50)는 중공부에 복수개의 날로 형성된 제2 윙(46)이 가로로 배치되고, 토출부의 내벽과 대응되도록 회전부재(50)의 외둘레면은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노브부(60)의 작동으로 노즐부(40)를 상, 하측으로 회전된다. 회전부재(50)는 제2 윙(46)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50)의 회전시 토출구의 내벽과 회전부재(50)의 외둘레면이 유격이 발생하게되면, 공기가 유출될 수 있어, 토출구의 내벽과 회전부재(50)의 외둘레면은 유격을 최소화되어 유출을 막는다.
이때, 회전부재(50)를 하측으로 회전시 곡률을 가지는 외둘레면의 하측면과 토출되는 공기와의 사이에서 와류가 발생하게 되어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지 못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풍향에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므로, 회전부재(50)를 하측으로 회전시에도 하측면에 형성된 유입홀(52)을 통하여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게 됨으로써 와류현상을 제거하여, 유입홀(52)을 통한 공조된 공기의 토출로 풍향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유입홀(52)은 회전부재(50)의 하측면에 형성된다. 유입홀(52)은 상기 회전부재(50)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홀(52)은 상기 회전부재(50)의 하측면에 슬릿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관통된 홈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유입홀(52)에서 통과된 공조된 공기를 차실내 방향으로 제어하도록 유입홀(52)과 근접하여 에어가이드(54,56)가 형성되어 공조된 공기의 방향을 제어한다.
에어가이드(54,56)는 회전부재(50)에 유입홀(52)과 근접하여 유입홀(52)에서 통과된 공기를 차실내 방향으로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에어가이드(54,56)는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복수개로 형성시 회전부재(50)의 곡률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에어가이드(54,56)는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에어가이드(54,56)는 복수개로 회전부재(50)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고, 돌출된 에어가이드(54,56)의 단부는 유입홀(52)을 통하여 통과된 공조된 공기가 차실내 방향으로 제어되도록 돌출부(54a,56a)가 형성된다. 즉, 에어가이드(54,56)는 회전부재(50)에 복수개로 형성된 유입홀(52)의 사이로 제1 에어가이드(54)가 형성되고, 회전부재(50)의 외측으로 제2 에어가이드(56)가 형성된다. 제1 에어가이드(54) 및 제2 에어가이드(56)는 공기의 토출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돌출하도록 각각 돌출부(54a,56a)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에어가이드(54) 및 제2 에어가이드(56)의 돌출부(54a,56a)는 유입홀(52)을 통과한 공기의 토출 방향을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노즐부(40)를 상측으로 회전시 공기가 유입홀(52)로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6는 도 5의 일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의하면, 동일 명칭 및 동일 작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에어가이드(154)는 유입홀(152)이 복수개로 형성된 사이로 에어가이드(154)가 형성되고, 에어가이드(154)는 유입홀(152)을 통과한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으로 돌출부(154a)가 형성되어 공조된 공기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에어가이드(54,56)는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으로 향할수록 작아지게 형성된다. 복수개의 에어가이드(54,56)에 의해서도 통과된다. 즉, 제1 에어가이드(54)가 제2 에어가이드(56)보다 작게 형성되어, 제2 에어가이드(56)와 근접한 유입홀에서 통과되는 공조된 공기가 제1 에어가이드(54)에 의해 막히지 않고 차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벤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1에 A-A를 본 발명의 따라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4는 도 3의 일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차량의 실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차량의 설치되는 공조기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공기를 생성하여 차실내로 토출할 수 있도록 덕트(10)가 구비된다. 덕트(10)는 상기 공조기로부터 상기 공조된 공기가 유입부로 유입된 후 토출부를 통하여 차실내로 토출된다.
즉, 상기 덕트(10)에 제1 윙과 노즐부(40)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노즐부(40)를 고정시키도록 베젤을 상기 토출부의 단부에 결합하면, 상기 공조된 공기가 제1 윙 및 상기 노즐부(40)로부터 방향이 제어되어 차실내로 토출된다.
상기 노브부(60)를 상측으로 작동시 상기 노즐부(40)의 차실과 대응되는 전면은 상측으로 회전하고, 이와 반대측인 후면 즉, 회전부재(50)는 차실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부(40)에 설치된 제2 윙(46)에 의해 상기 공조된 공기는 상측으로 향하여 토출된다.
상기 노브부(60)를 하측으로 작동시 상기 노즐부(40)의 전면은 하측으로 회전하고, 후면에 배치된 상기 회전부재(50)는 전면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제2 윙(46)을 통과하는 상기 공조된 공기는 차실내 하측을 향하여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부(40)가 하측으로 회전하였을 때 회전부재(50)의 곡률로 인해 상기 회전부재(50)의 일부가 상기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의 진로를 방해하게 된다. 결국 상기 회전부재(50)의 하측면에 의해 상기 공조된 공기가 원활하게 차실내로 토출하지 못하게 되고, 상기 회전부재(50)의 하측면에 상기 공조된 공기가 마찰되어 와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와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부재(50)의 하측면에 유입홀(52)을 형성시켜 상기 공조된 공기가 차실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부재(50)의 하측면에 형성된 상기 유입홀(52)을 통하여 상기 공조된 공기가 유입되어 차실 방향으로 원활하게 토출되어 와류가 발생하지 않게 되고, 사용자가 요구하는 풍향 및 풍량을 만족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공조된 공기가 상기 유입홀(52)을 통과한 후 토출방향으로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돌출부(54a)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홀(52)과 근접하여 에어가이드(54,56)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54,56)는 차실내 방향으로 상기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여 상기 공조된 공기의 손실을 줄이게 되어 에너지소비를 줄일 수 있다. 또, 에어가이드(54,56)의 돌출부(54a,56a)로 인하여 상기 노즐부(40)가 상측으로 회전시 상기 유입홀(52)로 상기 공조된 공기의 유입을 막게되어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덕트 20: 베젤
40: 노즐부 46: 제2 윙
50: 회전부재 52: 유입홀
54: 제1 에어가이드 56: 제2 에어가이드

Claims (8)

  1. 공조기와 연결되어 상기 공조기로부터 공조된 공기를 유입 받는 유입부와, 상기 공조된 공기를 차실내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가지는 덕트;
    상기 토출부에 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복수개의 날이 세로로 힌지결합되는 제1 윙;
    상기 제1 윙보다 외측으로 상, 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공조된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여 차실내로 토출하는 노즐부; 및
    상기 토출부의 단부에 상기 노즐부를 고정시키도록 후크결합되는 베젤;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공기가 토출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상기 중공부에 제2 윙이 가로로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이 상기 베젤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노즐부를 하측으로 회전시 상기 회전부재의 하측면에 형성된 유입홀을 통하여 공기를 토출하며,
    상기 유입홀은 상기 회전부재에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에서 통과된 공기를 차실내 방향으로 제어하도록 상기 유입홀과 근접하여 에어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유입홀의 사이에 형성된 제1 에어가이드 및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에 형성된 제2 에어가이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에어가이드 및 상기 제2 에어가이드는,
    상기 유입홀을 통과한 상기 공기의 토출 방향을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노즐부를 상측으로 회전시 공기가 상기 유입홀로 유입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공기의 토출 방향으로 소정각도를 돌출된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가이드 및 상기 제2 에어가이드는 상기 회전부재의 하측 외둘레면에 형성된 곡률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에어가이드는 상기 제2 에어가이드보다 작게 형성된 차량의 에어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은 상기 회전부재의 하측둘레면에 슬릿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량의 에어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윙과 상기 노즐부를 회동시키는 노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브부는 상기 제1 윙과 상기 노즐부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 회동시키는 차량의 에어벤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2 윙과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의 에어벤트.

KR1020140033550A 2014-03-21 2014-03-21 차량의 에어벤트 KR102182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550A KR102182899B1 (ko) 2014-03-21 2014-03-21 차량의 에어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550A KR102182899B1 (ko) 2014-03-21 2014-03-21 차량의 에어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945A KR20150109945A (ko) 2015-10-02
KR102182899B1 true KR102182899B1 (ko) 2020-11-25

Family

ID=54341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550A KR102182899B1 (ko) 2014-03-21 2014-03-21 차량의 에어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8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2583B2 (ja) * 1994-03-24 2003-08-04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レジス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967A (ja) * 1992-09-29 1994-04-19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空調吹出装置
KR20120024070A (ko) * 2010-09-03 2012-03-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2583B2 (ja) * 1994-03-24 2003-08-04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レジス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945A (ko)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55619A1 (zh) 空调器室内机及其控制方法
CN105682958A (zh) 空气喷嘴
CN106152437A (zh) 送风设备及其出风孔板
CN106594868B (zh) 空调器
CN105588186A (zh) 一种挂壁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20130005076A (ko) 에어벤트 장치
JP2019039375A (ja) 車両用空調装置のための遠心送風機
JP2019019762A (ja) 送風装置
KR102235819B1 (ko) 편류 저감형 디퓨져
KR101767054B1 (ko) 코안다 선풍기
KR102182899B1 (ko) 차량의 에어벤트
JP5994643B2 (ja) 送風装置
KR20140054655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JP5563687B2 (ja) 車両用の空調システムの吸気口
KR102131447B1 (ko) 차량의 에어벤트
JP6444678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121971B1 (ko)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인테이크 시스템
KR101724941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토출 풍향 조절 장치
CN111219775B (zh) 取暖器
CN210861635U (zh) 天花机的面板组件及具有其的天花机
EP3006850B1 (en) Vertical air-conditioner comprising a vertical air supply apparatus with airflow distribution assembly
JP2018079715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71479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유닛
JP6691664B2 (ja) 浴室換気乾燥装置
CN205117809U (zh) 蜗壳及具有其的涡流风机、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