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390B1 - 재생 장치, 표시 장치, 재생 방법 및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재생 장치, 표시 장치, 재생 방법 및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390B1
KR101523390B1 KR1020097013863A KR20097013863A KR101523390B1 KR 101523390 B1 KR101523390 B1 KR 101523390B1 KR 1020097013863 A KR1020097013863 A KR 1020097013863A KR 20097013863 A KR20097013863 A KR 20097013863A KR 101523390 B1 KR101523390 B1 KR 101523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deo
decoding
line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3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4335A (ko
Inventor
겐 이치무라
야스히사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94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buffer management, e.g. video decoder buffer or video display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2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2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audio buffe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텔레비전 수상기기(720)로부터 신호선(708)을 통하여 전송된 트랜스포트 신호는, 트랜스포트 신호 처리부(713)에 의해 분리되고, 영상 신호 복호부(714) 및 음성 신호 복호부(715)에 의해 복호된다. 복호된 영상 신호는 신호선(701)을 통하여 텔레비전 수상기기(720)에 전송된다. 텔레비전 수상기기(720)의 영상 처리 시간은 신호선(703)을 통하여 지연 정보 취득부(716)에 취득된다. 음성 신호 지연부(717)는, 지연 정보 취득부(716)에 의해 취득된 영상 처리 시간에 의거하여, 음성 신호 복호부(715)에 의해 복호된 음성 신호를 지연시켜서, 스피커(750)에 출력한다.
재생 장치, 표시 장치

Description

재생 장치, 표시 장치, 재생 방법 및 표시 방법{REPRODUCTION APPARATUS, DISPLAY APPARATUS, REPRODUCTION METHOD, AND DISPLAY METHOD}
본 발명은, 재생 장치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 신호나 영상 신호 등의 디지털 신호를 재생 출력하는 재생 장치, 표시 장치, 및, 이들에 있어서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음성 신호나 영상 신호 등의 디지털 신호를 취급하는 AV(Audio/Visual) 기기가 보급됨에 따라, 이들 AV 기기 사이에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다양한 방식의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로서는, 예를 들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1394 규격이나,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HDMI는 등록상표)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에 의해 AV 기기를 접속하는 경우, 텔레비전 수상기기에 의해 영상을 표시함과 함께, AV 앰프에 의해 음성을 출력한다는 사용 형태가 상정된다. 이 경우, 텔레비전 수상기기에서 영상 처리 시간과 AV 앰프에서의 음성 처리 시간이 다름에 의해, 영상과 음성 사이에 시간의 어긋남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해, 예를 들면, HDMI 규격에서 영상 처리에 필요로 하는 처리 시 간을 텔레비전 수상기기로부터 AV 앰프에 제공하고, 이에 따라 음성 신호의 처리를 지연시킴에 의해, 재생되는 영상과 음성 사이의 동기(립 싱크)를 행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 특개2007-267116호 공보(도 1)
특허 문헌 2 : 특개2006-033436호 공보(도 1)
AV 기기를 HDMI 규격에 의해 접속하는 경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는,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라고 불리는 시리얼 전송 방식에 의해 전송된다. 이 TMDS 전송에서는, 고속으로 전송을 행하기 위해, 전송 방향은 편방향(片方向)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기기의 접속의 양태에 의해서는 유저가 의도하는 기기로부터 음성을 출력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기기에 의해서는 자체 기기에서 독립하여 디지털 신호를 복호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는 타 기기에 복호 처리를 맡길 필요가 생긴다. 이 경우에도, 상술한 립 싱크는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HDMI 규격과 같이 편방향 전송을 기본으로 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의 복호 처리를 유연하게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그 제 1의 측면은, 부호화 영상 신호 및 부호화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스트림 신호를 스트림 생성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스트림 신호로부터 상기 부호화 영상 신호와 상기 부호화 음성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부호화 영상 신호를 복호하여 영상 신호로서 영상 출력 장치에 출력하는 영상 신호 복호 수단과, 상기 부호화 음성 신호를 복호하여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음성 신호 복호 수단과, 상기 영상 출력 장치에서의 상기 영상 신호의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영상 처리 시간으로서 취득하여 해당 영상 처리 시간에 의거하여 상기 음성 신호를 지연시킨 후에 해당 음성 신호를 음성 출력 장치에 공급하는 음성 신호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또는 그 재생 방법이다. 이로써, 스트림 생성 장치로부터 수신한 스트림 신호에 관해, 영상 출력 장치에서의 영상 신호의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에 맞추어서 음성 신호를 지연시킨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또한, 이 제 1의 측면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영상 출력 장치와의 사이에 접속된 제어 신호선로를 통하여 상기 영상 처리 시간을 취득하여도 좋다. 이 제어 신호선로는, HDMI 케이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DDC)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다.
또한, 이 제 1의 측면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스트림 생성 장치와의 사이에 접속된 데이터 신호선로를 통하여 상기 스트림 신호를 수신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상기 스트림 생성 장치가 상기 영상 출력 장치에 포함된다고 할 때, 상기 음성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데이터 신호선로를 통하여 상기 영상 처리 시간을 취득하여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 데이터 신호선로는, HDMI 케이블을 구성하는 리저브 라인 및 핫플러그 검출 라인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다.
또한, 이 제 1의 측면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 복호 수단이 상기 복호된 음성 신호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에 출력하여, 상기 음성 신호 처리 수단이 상기 영상 출력 장치로부터 반송된 음성 신호와 상기 음성 신호 복호 수단에 의해 복호된 상기 음성 신호와의 시간상의 차분(差分)을 상기 영상 처리 시간으로서 측정하여도 좋다. 이로써, 영상 출력 장치로부터 반송된 음성 신호와 복호된 음성 신호의 시간상의 차분에 의거하여, 복호된 음성 신호를 지연시킨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이 경우에, 상기 영상 출력 장치와의 사이에 접속된 데이터 신호선로를 통하여 수신한 차동 신호로부터 상기 스트림 신호를 추출하는 제 1의 수신 수단과, 상기 데이터 신호선로를 통하여 수신한 동상(同相) 신호로부터 상기 반송된 음성 신호를 추출하는 제 2의 수신 수단을 또한 구비하여도 좋다. 이로써, 스트림 신호와 음성 신호를 같은 데이터 신호선로를 통하여 전송시킨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 데이터 신호선로는, HDMI 케이블을 구성하는 리저브 라인 및 핫플러그 검출 라인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의 측면은, 부호화 영상 신호 및 부호화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스트림 신호를 생성하는 스트림 신호 생성 수단과, 다른 장치와의 사이의 접속 상태에 관한 접속 정보를 관리하는 접속 정보 관리 수단과, 상기 접속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스트림 신호를 복호하는 복호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복호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복호 장치에 상기 스트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전환하는 스트림 신호 전환 수단과, 상기 복호 장치에 의해 복호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서의 상기 영상 신호의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영상 처리 시간으로서 상기 복호 장치에 공급하는 영상 처리 시간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또는 그 표시 방법이다. 이로써, 다른 장치와의 사이의 접속 상태에 따라 다른 복호 장치에 복호 처리를 의뢰시킨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또한, 이 제 2의 측면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신호로부터 상기 부호화 영상 신호와 상기 부호화 음성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부호화 영상 신호를 복호하여 영상 신호로서 생성하는 영상 신호 복호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스트림 신호 전환 수단은, 상기 복호 장치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분리 수단에 상기 스트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전환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복호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복호 장치에 의해 복호된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고, 상기 복호 장치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영상 신호 복호 수단에 의해 복호된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켜도 좋다. 이로써, 표시 장치에서의 영상 신호 복호 수단 또는 다른 복호 장치의 어느 한쪽에 부호화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복호시킨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또한, 이 제 2의 측면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영상 신호를 복호하는 n개(n은 0 이상의 정수)의 영상 신호 복호 수단을 또한 구비하여도 좋다. 이로써, 상기 영상 신호 복호 수단의 수보다 많은 영상 신호에 상당하는 영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킨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또한, 이 제 2의 측면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시간 공급 수단은, 상기 복호 장치와의 사이에 접속된 제어 신호선로를 통하여 상기 영상 처리 시간을 공급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 신호선로는, HDMI 케이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DDC)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다.
또한, 이 제 2의 측면에 있어서, 상기 복호 장치에 의해 복호된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복호 장치에 의해 복호된 영상 신호가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타이밍에서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상기 복호 장치에 반송하는 음성 신호 반송 수단을 또한 구비하여도 좋다. 이로써, 표시 장치에서의 영상 신호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복호 장치에서 측정시킨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이 경우에, 상기 복호 장치와의 사이에 접속된 데이터 신호선로를 통하여 상기 스트림 신호를 차동 신호로서 상기 복호 장치에 송신하는 제 1의 송신 수단과, 상기 음성 신호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음성 신호를 동상 신호로서 상기 데이터 신호선로에 중첩하여 상기 복호 장치에 송신하는 제 2의 송신 수단을 또한 구비하여도 좋다. 이로써, 스트림 신호와 음성 신호를 같은 데이터 신호선로를 통하여 전송시킨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이 경우에, 상기 데이터 신호선로는, HDMI 케이블을 구성하는 리저브 라인 및 핫플러그 검출 라인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HDMI 규격과 같이 편방향 전송을 기본으로 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시스템에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의 복호 처리를 유연하게 행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HDMI 규격에 의한 인터페이스의 개념 구성도.
도 2는 HDMI 규격에 의한 커넥터의 핀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소스 기기(100) 및 싱크 기기(200)의 내부 구성예에 관해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소스측 송수신 회로(140) 및 싱크측 송수신 회로(250)의 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싱크 기종 검출 회로(110) 및 소스 기종 검출 회로(21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플러그 접속 검출 회로(120) 및 플러그 접속 전달 회로(22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재생 기기(71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텔레비전 수상기기(72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지연 정보 보존부(721)에 보존되는 데이터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재생 기기(710)의 처리 순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텔레비전 수상기기(720)의 처리 순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다른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다른 시스템 구성예에 의한 음성 신호의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화면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소스 기기(100) 및 싱크 기기(200)의 내부 구성의 변형예에 관해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소스측 송수신 회로(140) 및 싱크측 송수신 회로(250)의 구성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재생 기기(710)의 구성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텔레비전 수상기기(720)의 구성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재생 기기(710)의 처리 순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텔레비전 수상기기(720)의 처리 순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는, HDMI 규격에 의한 인터페이스를 상정하고, 이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는 기기 사이에서 복호 처리를 의뢰하는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HDMI 규격에 의한 인터페이스의 개념 구성도이다. HDMI 규격에서는, 기본이 되는 고속 전송 라인에 의한 전송 방향을 일방향으로 정하고 있고, 송신측의 기기를 소스 기기, 수신측의 기기를 싱크 기기라고 부르고 있다. 이 예로는, 소 스 기기(100) 및 싱크 기기(200)가 HDMI 케이블(30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소스 기기(100)에는 송신 동작을 행하는 트랜스미터(101)가 포함되고, 싱크 기기(200)에는 수신 동작을 행하는 레시버(201)가 포함되어 있다.
트랜스미터(101)와 레시버(201) 사이의 전송에는, TMDS 시리얼 전송 방식이 이용된다. HDMI 규격에서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는 3개의 TMDS 채널(310 내지 330)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즉, 어떤 수직 동기 신호로부터 다음의 수직 동기 신호까지의 구간중, 수평 귀선 구간 및 수직 귀선 구간을 제외한 구간인 유효 화상 구간에서, 비압축의 1화면분의 화상의 화소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가, TMDS 채널(310 내지 330)에 의해, 싱크 기기(200)를 향하여 일방향으로 송신된다. 또한, 수평 귀선 구간 또는 수직 귀선 구간에서는, 음성 데이터, 제어 데이터 또는 그 밖의 보조 데이터 등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가, TMDS 채널(310 내지 330)에 의해, 싱크 기기(200)를 향하여 일방향으로 송신된다.
또한, HDMI 규격에서는, 클록 신호가 TMDS 클록 채널(340)에 의해 전송된다. TMDS 채널(310 내지 330)의 각각에서는, TMDS 클록 채널(340)에 의해 전송되는 1클록의 동안에, 10비트분의 화소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HDMI 규격에서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DDC : Display Data Channel)(350)이 마련된다. 이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350)은, 싱크 기기(200)에서의 E-EDID(Enhance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정보를 소스 기기가 판독하기 위해 이용된다. E-EDID 정보란, 싱크 기기(200)가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에, 그 기종, 해상도, 색의 특성 및 타이밍 등의 설정이나 성능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E-EDID 정보는, 싱크 기기(200)의 EDID ROM(202)에 보존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소스 기기(100)도 싱크 기기(200)와 마찬가지로, E-EDID 정보를 기억하고, 필요에 따라 그 E-EDID 정보를 싱크 기기(20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HDMI 규격에서는, 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라인(361), 리저브 라인(362) 및 HPD(Hot Plug Detect) 라인(363) 등이 마련된다. CEC 라인(361)은, 기기 제어 신호의 쌍방향 통신을 행하기 위한 라인이다.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350)이 기기 사이를 1대1로 접속하는데 대해, 이 CEC 라인(361)은 HDMI에 접속되는 전(全) 기기를 직접 접속한다.
리저브 라인(362)은, HDMI 규격상에서는 이용되지 않은 라인이다. 또한, HPD 라인(363)은, HDMI의 케이블에 의해 다른 기기와 접속되어 있는 것(핫플러그)을 검지하기 위한 라인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 리저브 라인(362) 및 HPD 라인(363)을 이용하여 이서넷(등록상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상정한다.
도 2는, HDMI 규격에 의한 커넥터의 핀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타입 A라고 불리는 핀 배치에서의 핀 번호(301)와 신호 명칭(302)의 대응 관계가 나타나 있다.
TMDS 채널(310 내지 330) 및 TMDS 클록 채널(340)은, 각각 정극, 실드 및 부극의 3핀으로 구성되어 있고, 1 내지 3번 핀이 TMDS 채널(330), 4 내지 6번 핀이 TMDS 채널(320), 7 내지 9번 핀이 TMDS 채널(310), 10 내지 12번 핀이 TMDS 클록 채널(340)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또한, 13번 핀이 CEC 라인(361)에, 14번 핀이 리저브 라인(362)에, 19번 핀이 HPD 라인(363)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350)은, 시리얼 클록(SCL), 시리얼 데이터(SDA) 및 접지(그라운드)의 3핀으로 구성되어 있고, 15 내지 17번 핀이 각각 대응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350)의 접지(17번 핀)는, CEC 라인(361)의 접지와 공통화되어 있다. 18번 핀은 전원 공급 라인(+5V)에 대응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소스 기기(100) 및 싱크 기기(200)의 내부 구성예에 관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리저브 라인(362) 및 HPD 라인(363)에 관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소스 기기(100)는, 싱크 기종 검출 회로(110)와, 플러그 접속 검출 회로(120)와, 소스측 송수신 회로(140)와, 이서넷(등록상표) 송수신 회로(16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싱크 기기(200)는, 소스 기종 검출 회로(210)와, 플러그 접속 전달 회로(220)와, 싱크측 송수신 회로(250)와, 이서넷(등록상표) 송수신 회로(260)를 구비하고 있다.
리저브 라인(362)은, 상술한 바와 같이 HDMI 규격상에서는 이용되지 않은 라인이지만, 여기서는 핀의 유효 이용을 위해, 접속되는 기기의 기종을 검출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즉, 소스 기기(100)에서의 싱크 기종 검출 회로(110)에서는, 리저브 라인(362)을 통하여 싱크 기기(200)의 기종을 검출한다. 또한, 싱크 기기(200)에서의 소스 기종 검출 회로(210)에서는, 리저브 라인(362)을 통하여 소스 기기(100)의 기종을 검출한다. 여기에 말하는 기종으로서는, 예를 들면, HDMI 규격을 확장하여 리저브 라인(362) 및 HPD 라인(363)에 의해 이서넷(등록 상표) 신호를 쌍방향 전송하도록 한 기종(이하, HDMI 확장 기종이라고 한다)을 상정할 수 있다.
HPD 라인(363)은, 상술한 바와 같이 HDMI의 케이블에 의해 다른 기기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기 위한 라인이다. 싱크 기기(200)에서의 플러그 접속 전달 회로(220)는, HPD 라인(363)에 접속하는 단자를 소정의 전압으로 바이어스함에 의해, 싱크 기기(200)가 접속되어 있는 취지를 전달한다. 소스 기기(100)에서의 플러그 접속 검출 회로(120)는, HPD 라인(363)에 접속하는 단자의 전위를 기준 전위와 비교함에 의해, 싱크 기기(200)의 접속을 검출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갖는 리저브 라인(362) 및 HPD 라인(363)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소스측 송수신 회로(140) 및 싱크측 송수신 회로(250)를 접속한다. 즉, 소스 기기(100)에서의 소스측 송수신 회로(140)는, 콘덴서(131 및 132)와 저항(133)을 통하여 리저브 라인(362) 및 HPD 라인(363)에 접속한다. 또한, 싱크 기기(200)에서의 싱크측 송수신 회로(250)는, 콘덴서(231 및 232)와 저항(233)을 통하여 리저브 라인(362) 및 HPD 라인(363)에 접속한다.
소스측 송수신 회로(140)는, 리저브 라인(362) 및 HPD 라인(363)을 이용하여 쌍방향 전송되는 이서넷(등록상표) 신호를 이서넷(등록상표) 송수신 회로(160)에 접속하는 것이다.
싱크측 송수신 회로(250)는, 리저브 라인(362) 및 HPD 라인(363)을 이용하여 쌍방향 전송된 이서넷(등록상표) 신호를 이서넷(등록상표) 송수신 회로(260)에 접속하는 것이다.
이서넷(등록상표) 송수신 회로(160 및 260)는, 이서넷(등록상표) 신호를 송수신하는 회로이고, 예를 들면 인터넷 프로토콜(IP)에 준거한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것이다. 이 경우, 인터넷 프로토콜(IP)의 상위층으로서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나 UDP(User Datagram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이서넷(등록상표) 송수신 회로(160 및 260)는, 종래 기술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소스측 송수신 회로(140) 및 싱크측 송수신 회로(250)의 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싱크측 송수신 회로(250)는, 증폭기(510, 520, 530 및 550)와, 인버터(541)와, 가산기(542)를 구비하고 있다.
증폭기(510)는, 이서넷(등록상표) 송수신 회로(260)로부터 신호선(511 및 512)을 통하여 공급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이다. 신호선(511 및 512)의 신호는 차동 신호로 되어 있고, 증폭기(510)는 차동 입력에 의해 동작한다.
증폭기(520)는, 증폭기(510)의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기이다. 이 증폭기(520)의 출력은 차동 신호로 되어 있고, 리저브 라인(362)에는 정극의 신호가, HPD 라인(363)에는 부극의 신호가 각각 공급된다.
증폭기(530)는, 리저브 라인(362) 및 HPD 라인(363)으로부터의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이다. 리저브 라인(362) 및 HPD 라인(363)의 신호는 차동 신호로 되어 있고, 증폭기(530)는 차동 입력에 의해 동작한다.
인버터(541)는, 증폭기(510)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회로이다. 가산기(542)는, 인버터(541)의 출력과 증폭기(530)의 출력을 가산하는 회로이다. 즉, 인버터(541) 및 가산기(542)는, 리저브 라인(362) 및 HPD 라인(363)에서의 신호로부터 싱크 기기(200)의 출력 신호를 제거한 신호를, 증폭기(550)에 입력한다.
증폭기(550)는, 가산기(542)의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기이다. 이 증폭기(550) 출력은 차동 신호로 되어 있고, 신호선(558)에는 정극의 신호가, 신호선(559)에는 부극의 신호가 각각 공급된다. 신호선(558 및 559)에는 이서넷(등록상표) 송수신 회로(260)가 접속되어 있고, 리저브 라인(362) 및 HPD 라인(363)에서의 신호로부터 싱크 기기(200)의 출력 신호를 제거한 신호가 이서넷(등록상표) 송수신 회로(260)에 공급된다.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스측 송수신 회로(140)는, 증폭기(410, 420, 430 및 450)와, 인버터(441)와, 가산기(44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소스측 송수신 회로(140)는, 싱크측 송수신 회로(250)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고, 증폭기(410, 420, 430 및 450), 인버터(441), 및, 가산기(442)는, 각각 증폭기(510, 520, 530, 550), 인버터(541), 및, 가산기(542)와 동등하다. 증폭기(410 및 450)에는, 이서넷(등록상표) 송수신 회로(160)가 접속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싱크 기종 검출 회로(110) 및 소스 기종 검출 회로(21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싱크 기종 검출 회로(110)는, 저항(111 및 112)과, 콘덴서(113)와, 비교기(116)를 구비하고 있다. 저항(111)은, 리저브 라인(362)을 +5V로 풀업하는 것이다. 이 저항(111)은, 소스 기기(100)가 특정한 기종(예를 들면, HDMI 확장 기종)인 경우에만 존재하고, 소스 기기(100)가 특정한 기 종이 아닌 경우에는 풀업이 행하여지지 않는다. 저항(112) 및 콘덴서(113)는, 로우패스 필터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로우패스 필터의 출력은 신호선(114)에 공급된다. 비교기(116)는, 로우패스 필터로부터 신호선(114)에 공급된 직류 전위를, 신호선(115)에 주어진 기준 전위와 비교하는 것이다.
또한,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스 기종 검출 회로(210)는, 저항(211 및 212)과, 콘덴서(213)와, 비교기(216)를 구비하고 있다. 저항(211)은, 리저브 라인(362)을 접지 전위로 풀다운하는 것이다. 이 저항(211)은, 싱크 기기(200)가 특정한 기종인 경우에만 존재하고, 싱크 기기(200)가 특정한 기종이 아닌 경우에는 풀다운이 행하여지지 않는다. 저항(212) 및 콘덴서(213)는, 로우패스 필터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로우패스 필터의 출력은 신호선(215)에 공급된다. 비교기(216)는, 로우패스 필터로부터 신호선(215)에 공급된 직류 전위를, 신호선(214)에 주어진 기준 전위와 비교하는 것이다.
싱크 기기(200)가 특정한 기종이면 저항(211)에 의한 풀다운이 행하여져서 리저브 라인(362)의 전위가 2.5V가 되고, 싱크 기기(200)가 특정한 기종이 아니면 개방되어 5V가 된다. 따라서 신호선(115)의 기준 전위를 예를 들면 3.75V로 하면, 신호선(117)의 출력에 의거하여, 소스 기기(100)에서 싱크 기기(200)의 기종을 식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스 기기(100)가 특정한 기종이면 저항(111)에 의한 풀업이 행하여져서 리저브 라인(362)의 전위가 2.5V가 되고, 소스 기기(100)가 특정한 기종이 아니면 0V가 된다. 따라서 신호선(214)의 기준 전위를 예를 들면 1.25V로 하면, 신호선(217)의 출력에 의거하여, 싱크 기기(200)에서 소스 기기(100)의 기종을 식별할 수 있다.
이들 기종 검출을 위한 신호는 직류 바이어스 전위로 전달되기 때문에, 교류 신호로서 전달되는 이서넷(등록상표) 신호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플러그 접속 검출 회로(120) 및 플러그 접속 전달 회로(22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접속 전달 회로(220)는, 초크 코일(221)과, 저항(222 및 223)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초크 코일(221), 저항(222 및 223)은, HPD 라인(363)을 예를 들면 약 4V로 바이어스하는 것이다.
또한,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접속 검출 회로(120)는, 저항(121 및 122)과, 콘덴서(123)와, 비교기(126)를 구비하고 있다. 저항(121)은, HPD 라인(363)을 접지 전위로 풀다운하는 것이다. 저항(122) 및 콘덴서(123)는, 로우패스 필터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로우패스 필터의 출력은 신호선(124)에 공급된다. 비교기(126)는, 로우패스 필터로부터 신호선(124)에 공급된 직류 전위를, 신호선(125)에 주어진 기준 전위와 비교하는 것이다.
여기서, 신호선(125)에 기준 전위로서 예를 들면 1.4V를 주는 것으로 한다. 소스 기기(100)가 HPD 라인(363)에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입력 전위는 저항(121)에 의한 풀다운됨에 의해 신호선(124)의 전위는 신호선(125)의 기준 전위보다도 낮아진다. 한편, 소스 기기(100)가 HPD 라인(363)에 접속되어 있으면, 약 4V로 바이어스 되기 때문에, 신호선(124)의 전위는 신호선(125)의 기준 전위보다도 높아진 다. 따라서 신호선(127)의 출력에 의거하여, 소스 기기(100)에서 싱크 기기(200)의 접속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들 플러그 접속 검출을 위한 신호는 직류 바이어스 전위로 전달되기 때문에, 교류 신호로서 전달되는 이서넷(등록상표) 신호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다.
다음에, 상술한 인터페이스에 의해 HDMI 확장 기종을 접속한 경우의 시스템 구성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재생 기기(71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시스템 구성예에서는, 재생 기기(710)와 텔레비전 수상기기(720)가 상술한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재생 기기(710)가 소스 기기로서 동작하고, 텔레비전 수상기기(720)가 싱크 기기로서 동작한다. 신호선(701)은 TMDS 채널(310 내지 330)에 대응하고, 신호선(703)은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350)에 대응하고, 신호선(708)은 리저브 라인(362) 및 HPD 라인(363)에 대응한다. 또한, 재생 기기(710)에는, 아날로그 신호선(709)을 통하여 스피커(750)가 접속되어 있다.
재생 기기(710)는,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재생하는 플레이어부(730)와,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부(740)로 구성된다. 플레이어부(730)는, 기록 매체 액세스부(711)와, 입력 선택부(712)와, 트랜스포트 신호 처리부(713)와, 영상 신호 복호부(714)와, 음성 신호 복호부(71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앰프부(740)는, 지연 정보 취득부(716)와, 음성 신호 지연부(717)를 구비하고 있다.
기록 매체 액세스부(711)는, 기록 매체로부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포 함하는 신호를 판독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기록 매체로서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등록상표) : BD)를 상정한다. 블루레이 디스크에는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2의 트랜스포트 스트림(TS : Transport Stream) 방식에 의한 신호(트랜스포트 신호)가 기록되어 있고, 기록 매체 액세스부(711)는 이 트랜스포트 신호를 판독하여 입력 선택부(712)에 공급한다.
입력 선택부(712)는, 텔레비전 수상기기(720)로부터 신호선(708)을 통하여 공급된 트랜스포트 신호와 기록 매체 액세스부(711)로부터 공급된 트랜스포트 신호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트랜스포트 신호 처리부(713)에 공급하는 것이다.
트랜스포트 신호 처리부(713)는, 입력 선택부(712)에 의해 공급된 트랜스포트 신호로부터, 부호화 영상 신호 및 부호화 음성 신호를 분리하는 것이다. MPEG-2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방식에서는,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 등이 부호화되어 TS 패킷으로서 전송된다. 즉, 트랜스포트 신호 처리부(713)는, TS 패킷으로부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의 각각이 부호화된 엘리먼터리 스트림(ES : Elementary Stream)을 생성한다.
영상 신호 복호부(714)는, 트랜스포트 신호 처리부(713)에 의해 분리된 부호화 영상 신호를 복호하는 디코더이다. 이 영상 신호 복호부(714)에 의해 복호된 영상 신호는, 신호선(701)을 통하여 텔레비전 수상기기(720)에 전송된다.
음성 신호 복호부(715)는, 트랜스포트 신호 처리부(713)에 의해 분리된 부호화 음성 신호를 복호하는 디코더이다. 이 음성 신호 복호부(715)에 의해 복호된 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 지연부(717)에 공급된다.
지연 정보 취득부(716)는, 텔레비전 수상기기(720)에서 영상 신호의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영상 처리 시간)을, 텔레비전 수상기기(720)로부터 신호선(703)을 통하여, 지연 정보로서 취득하는 것이다. HDMI 규격에서는,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의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E-EDID(Enhance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데이터 구조의 일부로서 싱크 기기에 보존되고,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DDC)을 통하여 싱크 기기로부터 소스 기기에 공급된다. 단, 다른 실시의 형태로서, 이서넷(등록상표) 신호의 전송로(리저브 라인(362) 및 HPD 라인(363))을 이용하여 영상 처리 시간을 취득하여도 좋다.
음성 신호 지연부(717)는, 지연 정보 취득부(716)에 의해 취득된 지연 정보(영상 처리 시간)에 의거하여, 음성 신호 복호부(715)로부터 공급된 음성 신호를 지연시키는 것이다. 이 지연된 음성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로서 증폭되어, 아날로그 신호선(709)을 통하여 스피커(750)에 출력된다.
스피커(750)는, 음성 신호 지연부(717)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서 출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텔레비전 수상기기(72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재생 기기(710)와 텔레비전 수상기기(720) 사이의 접속 관계는, 도 7의 예와 마찬가지이다. 단, CEC 라인(361)에 대응하는 신호선(704)이 추가되어 있다. 텔레비전 수상기기(720)는, 지연 정보 보존부(721)와, 접속 기기 정보 관리부(722)와, 튜너(723)와, 트랜스포트 신호 전환부(724)와, 트랜스포트 신호 처리부(725)와, 영상 신호 복호부(726)와, 표시 제어부(727)와, 표시부(728)를 구비 한다.
지연 정보 보존부(721)는, 텔레비전 수상기기(720)의 특성 정보의 하나로서, 텔레비전 수상기기(720)에서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의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보존하는 것이다. 이 지연 정보 보존부(721)는, 예를 들면,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에 의해 실현된다. HDMI 규격에서는,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의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E-EDID 데이터 구조의 일부로서 싱크 기기에 보존되고,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DDC)을 통하여 싱크 기기로부터 소스 기기에 공급된다. 단, 다른 실시의 형태로서, 이서넷(등록상표) 신호의 전송로(리저브 라인(362) 및 HPD 라인(363))을 이용하여 영상 처리 시간을 전송하여도 좋다.
접속 기기 정보 관리부(722)는, 텔레비전 수상기기(720)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AV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기기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다. 각 기기에 관한 정보란, 예를 들면, 특정한 부호화 신호를 복호하는 디코더를 갖고 있는지의 여부 등의 정보가 상정된다. 이 예로는, 신호선(704)을 통하여 재생 기기(710)와 접속하여, 재생 기기(710)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HDMI 규격에서는, CEC 라인(361)을 통하여 다른 기기의 존재가 검출되고, 각 기기에서의 관리가 행하여진다.
튜너(723)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선국하는 것이다. 디지털 방송의 경우, MPEG-2의 트랜스포트 스트림(TS) 방식에 의한 신호(트랜스포트 신호)가 방송 신호로서 취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트랜스포트 신호 전환부(724)는, 튜너(723)에 의해 취득된 트랜스포트 신호를, 트랜스포트 신호 처리부(725) 또는 재생 기기(710)의 어느 한쪽에 전환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이 전환을 행할 때, 트랜스포트 신호 전환부(724)는, 접속 기기 정보 관리부(722)에서 관리되는 정보에 의거하여 어느 쪽에 출력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송 신호를 복호하는 디코더가 다른 기기에서 이용 가능하면, 그 기기에 복호 처리를 의뢰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전환에 관해서는, 접속 기기 정보 관리부(722)에서 관리되는 정보에 의거하여 자동적으로 행하는 외에, 유저로부터 지시에 의거하여 어느 하나의 기기에 복호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트랜스포트 신호 처리부(725)는, 트랜스포트 신호 전환부(724)에 의해 출력된 트랜스포트 신호로부터, 부호화 영상 신호 및 부호화 음성 신호를 분리하는 것이다. 이 트랜스포트 신호 처리부(725)의 처리 내용은 트랜스포트 신호 처리부(713)와 마찬가지이다.
영상 신호 복호부(726)는, 트랜스포트 신호 처리부(725)에 의해 분리된 부호화 영상 신호를 복호하는 디코더이다. 이 영상 신호 복호부(726)의 처리 내용은 영상 신호 복호부(714)와 마찬가지이다.
표시 제어부(727)는, 영상 신호 복호부(726)에 의해 복호된 영상 신호 또는 재생 기기(710)에 의해 복호된 영상 신호의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표시부(728)에 표시시키도록 출력하는 것이다. 이 선택할 때, 표시 제어부(727)는, 접속 기기 정보 관리부(722)에서 관리되는 정보에 의거하여 어느 쪽을 선택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송 신호를 복호하는 디코더가 다른 기기에서 이용 가능하면, 그 기기에 의해 복호된 영상 신호를 선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선택에 관해서는, 접속 기기 정보 관리부(722)에서 관리되는 정보에 의거하여 자동적으로 행하는 외에, 유저로부터 지시에 의거하여 어느 하나의 기기에 의해 복호된 영상 신호를 선택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표시부(728)는, 표시 제어부(727)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에 의해 실현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지연 정보 보존부(721)에 보존되는 데이터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데이터 구조는, HDMI 규격의 VSDB(Vendor-Specific Data Block)를 상정한 것이고, 벤더용 태그 코드와, 블록 길이와, 라이센서 식별자와, 물리 어드레스와, 확장 정보와, 비디오 지연량과, 오디오 지연량과, 인터레이스시(時) 비디오 지연량과, 인터레이스시 오디오 지연량이 포함되어 있다.
벤더용 태그 코드는, 이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번호를 보존하는 3비트의 영역이고, 「3」을 나타낸다. 블록 길이는, 이 데이터 구조의 바이트 수(N)를 보존한 5비트의 영역이다. 라이센서 식별자는, HDMI 규격의 조직에 부여된 식별자를 보존하는 3바이트의 영역이다. 물리 어드레스는, CEC 라인(361)에 의해 이용되는 소스 기기의 물리 어드레스를 보존하는 2바이트의 영역이다. 확장 정보는, 확장 기능의 서포트에 관한 정보를 보존하는 3바이트의 영역이다. 또한, 이 확장 정보에는, 이하의 지연량의 유효 비트가 포함된다.
비디오 지연량은, 영상 신호가 프로그레시브 형식인 경우에, 텔레비전 수상 기기(720)에서 영상 신호를 받고 나서 실제로 영상이 표시되기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영상 처리 시간)을 보존하는 1바이트의 영역이다. 오디오 지연량은, 영상 신호가 프로그레시브 형식인 경우에, 그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텔레비전 수상기기(720)에서 받고 나서 실제로 음성이 출력되기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을 보존하는 1바이트의 영역이다. 인터레이스시 비디오 지연량은, 영상 신호가 인터레이스 형식인 경우에, 텔레비전 수상기기(720)에서 영상 신호를 받고 나서 실제로 영상이 표시되기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을 보존하는 1바이트의 영역이다. 인터레이스시 오디오 지연량은, 영상 신호가 인터레이스 형식인 경우에, 그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텔레비전 수상기기(720)에서 받고 나서 실제로 음성이 출력되기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을 보존하는 1바이트의 영역이다.
또한, 인터레이스시 오디오 지연량에 계속된 영역은 예약 영역이고, 블록 길이(N 바이트)까지는 이 데이터 구조의 영역이다.
소스 기기인 재생 기기(710)는, 지연 정보 취득부(716)에 의해, 이 데이터 구조에서의 비디오 지연량 또는 인터레이스시 비디오 지연량을 지연 정보로서 취득한다. 즉, 영상 신호가 프로그레시브 형식인 경우에는 비디오 지연량이 지연 정보가 되고, 영상 신호가 인터레이스 형식인 경우에는 인터레이스시 비디오 지연량이 지연 정보가 된다. 음성 신호 지연부(717)는, 이와 같이 취득된 지연 정보로부터, 재생 기기(710)에서 음성 신호의 처리 시간(음성 처리 시간)을 공제한 시간분, 음성 신호 복호부(715)로부터 공급된 음성 신호를 지연시킨다. 이로써, 텔레비전 수상기기(720)에서 표시되는 영상과 스피커(75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동기하고, 립 싱크가 담보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재생 기기(710)의 처리 순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서, 우측이 플레이어부(730)에서의 처리 순서이고, 좌측이 앰프부(740)에서의 처리 순서이다. 여기서는, 입력 선택부(712)에서, 텔레비전 수상기기(720)로부터 출력된 트랜스포트 신호가 선택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트랜스포트 신호 처리부(713)는, 텔레비전 수상기기(720)로부터 출력된 트랜스포트 신호를, 입력 선택부(712)를 통하여 수신하면(스텝 S911), 그 트랜스포트 신호로부터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분리한다(스텝 S912). 영상 신호 복호부(714)는, 분리된 영상 신호를 복호하여 텔레비전 수상기기(720)에 전송한다(스텝 S913). 또한, 음성 신호 복호부(715)는 분리된 음성 신호를 복호하여 음성 신호 지연부(717)에 공급한다(스텝 S914).
지연 정보 취득부(716)는, 신호선(703)(DDC)을 통하여 텔레비전 수상기기(720)의 지연 정보를 수신한다(스텝 S921). 음성 신호 지연부(717)는, 취득된 지연 정보로부터, 재생 기기(710)에서의 음성 처리 시간을 공제한 시간을 지연량으로서 산출한다(스텝 S923). 그리고, 음성 신호 지연부(717)는, 음성 신호 복호부(715)로부터 공급된 음성 신호를 받아(스텝 S924), 지연량에 따라 음성 신호를 지연시켜서(스텝 S925), 스피커(750)에 출력한다(스텝 S926).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텔레비전 수상기기(720)의 처리 순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튜너(723)가 트랜스포트 신호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선국하면(스텝 S931), 트랜스포트 신호 전환부(724)는, 그 트랜스포트 신호를 텔레비전 수상기기(720) 내에서 복호하여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32). 그 때, 트랜스포트 신호 전환부(724)는, 접속 기기 정보 관리부(722)에서 관리되는 정보에 의거하여 판단하여도 좋고, 또한,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도 좋다.
텔레비전 수상기기(720) 내에서 복호한다고 판단된 경우(스텝 S932), 트랜스포트 신호 처리부(725)에 의해 트랜스포트 신호로부터 영상 신호가 분리되고, 그 분리된 영상 신호가 영상 신호 복호부(726)에 의해 복호된다(스텝 S933).
한편, 재생 기기(710)에 복호 의뢰를 한다고 판단된 경우(스텝 S932), 트랜스포트 신호 전환부(724)는,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트랜스포트 신호를 재생 기기(710)에 신호선(708)을 통하여 출력한다(스텝 S936). 이에 앞서서, 지연 정보 보존부(721)에 보존된 지연 정보가 신호선(703)(DDC)을 통하여 재생 기기(710)에 미리 출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스텝 S934). 표시 제어부(727)는, 재생 기기(710)에 의해 복호된 영상 신호를 수신한다(스텝 S937).
표시 제어부(727)는, 영상 신호 복호부(726)에 의해 복호된 영상 신호 또는 재생 기기(710)에 의해 복호된 영상 신호의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표시부(728)에 표시시킨다(스텝 S938).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지연 정보를 전송할 때, HDMI 규격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350)을 이용하는 것을 상정하였지만, 리저브 라인(362) 및 HPD 라인(363)을 이용한 이서넷(등록상표) 신호로서 지연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여도 좋 다.
다음에, 상술한 인터페이스에 의해 HDMI 확장 기종을 접속하는 경우의 다른 시스템 구성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다른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구성예에서는, PVR(Personal Video Recorder :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레코더)(810)과, STB(세트 톱 박스)(820)와, D-VHS(Data Video Home System) 재생 기기(830)와, AV 앰프(840)와, DVD(Digital Versatile Disk) 재생 기기(860)와, 텔레비전 수상기기(870)가 상술한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화살표의 근원이 소스 기기를 나타내고, 화살표의 끝이 싱크 기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AV 앰프(840)에는 스피커(850)가 아날로그 신호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통상의 HDMI 케이블인 경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는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에 대해 전송되기 때문에, 이 접속예에서는 DVD 재생 기기(860)에 의해 재생된 신호를 텔레비전 수상기기(870)로부터 출력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음성 신호를 스피커(850)로부터 출력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이에 대해, 도 3 내지 6에서 설명한 인터페이스에 의하면, 쌍방향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텔레비전 수상기기(870)로부터 AV 앰프(840)를 향하여 음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다른 시스템 구성예에 의한 음성 신호의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STB(820)에게 복호를 의뢰하고, 스피커(850)로부터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상정한다. DVD 재생 기기(860)에 의해 DVD로부터 판독된 부호화 영상 신호 및 부호화 음성 신호는, 이서넷(등록상표) 신호로서 리저브 라인(362) 및 HPD 라인(363)에 의해 STB(820)에 전송된다.
STB(820)는, 도 7에 의해 설명한 플레이어부(730)와 같은 구성에 의해, 부호화 영상 신호 및 부호화 음성 신호를 복호한다. STB(820)에서 복호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는, TMDS 채널(310 내지 330)에 의해 AV 앰프(840)에 전송된다.
AV 앰프(840)는, 영상 신호를 TMDS 채널(310 내지 330)에 의해 텔레비전 수상기기(870)에 전송함과 함께, 도 7에 의해 설명한 앰프부(740)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음성 신호를 지연시켜서 스피커(850)에 출력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HDMI 규격과 같이 편방향 전송을 기본으로 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기기의 접속 양태에 관계없이 유연한 재생을 행 수 있다. 또한, 그 때, 재생되는 영상과 음성 사이의 동기(립 싱크)를 담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복호 처리를 다른 기기에 의뢰할 수 있기 때문에, 자체기기에서의 디코더의 수나 버전의 제약을 받는 일 없이 유연한 재생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기(870)에서의 디코더의 수가 하나인 경우에도, 하나의 방송 신호에 관해서는 자체 기기에서 복호하고, 또 하나의 방송 신호에 관해서는 다른 기기에 복호를 의뢰함에 의해, 도 14의 화면(600)과 같이 복수의 방송의 화면 표시(610 및 620)를 행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부 및 음성 복호부의 수를 n(n은 0 이상의 정수)으로 한 경우, n보다 많은 영상 또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변형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소스 기기(100) 및 싱크 기기(200)의 내부 구성의 변형예에 관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도 3과 마찬가지로, 리저브 라인(362) 및 HPD 라인(363)에 관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구성예에 비하여, 소스 기기(100)에 SPDIF(Sony Philips Digital InterFace) 수신 회로(170)를 구비하고, 싱크 기기(200)에 SPDIF 송신 회로(270)를 구비하고 있다.
SPDIF 수신 회로(170) 및 SPDIF 송신 회로(270)는, SPDIF 규격에 준거한 단일 방향 통신을 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SPDIF 규격이란,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리얼타임으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규격이고,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 국제전기 표준회의)에서 「IEC60958」로서 규격화되어 있다. 이 SPDIF 규격에서 전송되는 SPDIF 신호는, 바이페이즈 마크 변조되기 때문에, 그 신호중에 클록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들 SPDIF 수신 회로(170) 및 SPDIF 송신 회로(270)는, 종래 기술에 의해 실현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소스측 송수신 회로(140) 및 싱크측 송수신 회로(250)의 구성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싱크측 송수신 회로(250)는, 증폭기(510, 520, 530 및 550)와, 인버터(541)와, 가산기(542, 571 및 572)를 구비하고 있다. 즉, 도 4(a)의 구성예와 비교하여, 가산기(571 및 572)가 추가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가산기(571)는, SPDIF 송신 회로(270)로부터 신호선(561)을 통하여 공급되는 신호와 증폭기(520)의 정극 출력을 가산하는 회로이다. 가산기(572)는, SPDIF 송신 회로(270)로부터 신호선(561)을 통하여 공급된 신호와 증폭기(520)의 부극 출력을 가산하는 회로이다.
즉, 증폭기(550)로부터 출력되는 이서넷(등록상표) 신호가 차동 신호인데 대해, 가산기(571 및 572)에 의해 중첩되는 SPDIF 신호는 동상(同相) 신호이다. 이로써, 이서넷(등록상표) 신호 및 SPDIF 신호의 양자는, 같은 한 쌍의 신호선(리저브 라인(362) 및 HPD 라인(363))에 의해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스측 송수신 회로(140)는, 증폭기(410, 420, 430 및 450)와, 인버터(441)와, 가산기(442 및 460)를 구비하고 있다. 즉, 도 4(b)의 구성예와 비교하여, 가산기(460)가 추가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가산기(460)는, 증폭기(420)의 출력의 정극의 신호와 부극의 신호를 가산하는 회로이다. 즉, 리저브 라인(362) 및 HPD 라인(363)에 의해 전송된 신호중, 차동 신호가 이서넷(등록상표) 신호로서 증폭기(430)에 의해 추출되고, 동상 신호가 SPDIF 신호로서 가산기(460)에 의해 추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 가산기(460)의 출력은, SPDIF 수신 회로(170)에 공급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재생 기기(710)의 구성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도 7의 구성예에 더하여, SPDIF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선(707) 및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선(702)이 추가되어 있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SPDIF 신호는 이서넷(등록상표) 신호와 중첩되고 같은 한 쌍의 신호선(리저브 라인(362) 및 HPD 라인(363))에 의해 전송 가능하기 때문에, 케이블을 물리적으로 추가하는 일 없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신호선(702)은, 신호선(701)과 함께 TMDS 채널(310 내지 330)에 의해 실현되기 때문에, 케이블을 물리적으로 추가하는 일 없이 실현할 수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도 7의 지연 정보 취득부(716)에 대신하여, 지연 시간 측정부(718)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음성 신호 복호부(715)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를 지연 시간 측정부(718)에 공급함과 함께, 신호선(702)을 통하여 텔레비전 수상기기(720)에도 공급하여 둔다. 지연 시간 측정부(718)는, 텔레비전 수상기기(720)로부터 신호선(707)을 통하여 반송된 음성 신호와 음성 신호 복호부(715)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와의 사이의 시간상의 차분(어긋남)을 영상 처리 시간으로서 측정한다.
이 경우, 지연 시간 측정부(718)는, 텔레비전 수상기기(720)로부터 반송된 음성 신호와 음성 신호 복호부(715)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 사이의 상호 상관(相關)에 의해 영상 처리 시간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신호로서 특정한 패턴을 갖는 측정용의 신호를 보내고, 그 측정용 신호에 대한 응답을 텔레비전 수상기기(720)로부터 지연 시간 측정부(718)에 반송함에 의해, 그 응답 시간을 영상 처리 시간으로서 구하여도 좋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텔레비전 수상기기(720)의 구성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재생 기기(710)와 텔레비전 수상기기(720) 사이의 접속 관계는, 도 17의 예와 마찬가지이다. 단, CEC 라인(361)에 대응하는 신호선(704)이 추가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도 8의 지연 정보 보존부(721)에 대신하여, 음성 신호 반송부(729)를 구비하고 있다. 음성 신호 반송부(729)는, 재생 기기(710)에서 복호된 영상 신호가 표시부(728)에 표시되는 타이밍에서, 그 영상 신호에 시간적으로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신호선(707)을 통하여 재생 기기(710)에 반송하는 것이다. 영상 신호가 표시부(728)에 표시되는 타이밍은, 표시 제어부(727)로부터 음성 신호 반송부(729)에 통지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재생 기기(710)의 처리 순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서, 우측이 도 17의 플레이어부(730)에서의 처리 순서이고, 좌측이 도 17의 앰프부(740)에서의 처리 순서이다. 따라서 동 도면 우측의 처리 순서는, 도 10의 우측의 처리 순서와 같게 되어 있다. 단, 스텝 S914에서 복호된 음성 신호가 텔레비전 수상기기(720)에 전송되는 점은 다르다.
지연 시간 측정부(718)는, 신호선(707)을 통하여 텔레비전 수상기기(720)로부터 반송된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스텝 S941), 반송된 음성 신호와 음성 신호 복호부(715)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 사이의 시간상의 차분을 지연 시간(영상 처리 시간)으로서 측정한다(스텝 S942). 음성 신호 지연부(717)는, 취득된 지연 시간으로부터, 재생 기기(710)에서의 음성 처리 시간을 공제한 시간을 지연량으로서 산출한다(스텝 S943). 그리고, 음성 신호 지연부(717)는, 음성 신호 복호부(715)로부터 공급된 음성 신호를 받아(스텝 S944), 지연량에 따라 음성 신호를 지연시켜서(스텝 S945), 스피커(750)에 출력한다(스텝 S946).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텔레비전 수상기기(720)의 처리 순서 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은, 도 18의 구성예를 상정한 것이다.
튜너(723)가 트랜스포트 신호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선국하면(스텝 S951), 트랜스포트 신호 전환부(724)는, 그 트랜스포트 신호를 텔레비전 수상기기(720) 내에서 복호하여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52). 텔레비전 수상기기(720) 내에서 복호한다고 판단된 경우, 트랜스포트 신호 처리부(725)에 의해 트랜스포트 신호로부터 영상 신호가 분리되고, 그 분리된 영상 신호가 영상 신호 복호부(726)에 의해 복호된다(스텝 S953). 이들의 처리는 도 11과 마찬가지이다.
한편, 재생 기기(710)에 복호 의뢰를 한다고 판단된 경우(스텝 S952), 트랜스포트 신호 전환부(724)는,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트랜스포트 신호를 재생 기기(710)에 신호선(708)을 통하여 출력한다(스텝 S956). 이에 앞서서, 음성 신호 반송부(729)는, 재생 기기(710)로부터 신호선(702))을 통하여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스텝 S954), 재생 기기(710)에서 복호된 영상 신호가 표시부(728)에 표시되는 타이밍에서, 그 영상 신호에 시간적으로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신호선(707)을 통하여 재생 기기(710)에 반송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스텝 S955). 표시 제어부(727)는, 재생 기기(710)에 의해 복호된 영상 신호를 수신한다(스텝 S957).
이 변형예에 의하면, 텔레비전 수상기기(720)에서 지연 정보를 보존하여 두는 일 없이, 실제로 지연 시간을 측정함에 의해, 재생되는 영상과 음성 사이의 동기를 담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을 구현화하기 위한 한 예를 나타낸 것이고,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허청구의 범위에서의 발명 특정 사항과 각각 대응 관계를 갖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형을 행할 수 있다.
즉, 청구항 제 1항에서, 스트림 생성 장치 및 영상 출력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기(720)에 대응한다. 또한, 분리 수단은 예를 들면 트랜스포트 신호 처리부(713)에 대응한다. 또한, 영상 신호 복호 수단은 예를 들면 영상 신호 복호부(714)에 대응한다. 또한, 음성 신호 복호 수단은 예를 들면 음성 신호 복호부(715)에 대응한다. 또한, 음성 신호 처리 수단은 예를 들면 앰프부(740)에 대응한다.
또한, 청구항 제 8항에서, 제 1의 수신 수단은 예를 들면 증폭기(430)에 대응한다. 또한, 제 2의 수신 수단은 예를 들면 가산기(460)에 대응한다.
또한, 청구항 제 10항에서, 스트림 신호 생성 수단은 예를 들면 튜너(723)에 대응한다. 또한, 접속 정보 관리 수단은 예를 들면 접속 기기 정보 관리부(722)에 대응한다. 또한, 스트림 신호 전환 수단은 예를 들면 트랜스포트 신호 전환부(724)에 대응한다. 또한, 표시 수단은 예를 들면 표시부(728)에 대응한다. 또한, 표시 제어 수단은 예를 들면 표시 제어부(727)에 대응한다. 또한, 영상 처리 시간 공급 수단은 예를 들면 지연 정보 보존부(721)에 대응한다.
또한, 청구항 제 11항에서, 분리 수단은 예를 들면 트랜스포트 신호 처리부(725)에 대응한다. 또한, 영상 신호 복호 수단은 예를 들면 영상 신호 복호부(726)에 대응한다.
또한, 청구항 제 12항에서, 영상 신호 복호 수단은 예를 들면 영상 신호 복 호부(726)에 대응한다.
또한, 청구항 제 15항에서, 음성 신호 반송 수단은 예를 들면 음성 신호 반송부(729)에 대응한다.
또한, 청구항 제 16항에서, 제 1의 송신 수단은 예를 들면 증폭기(520)에 대응한다. 또한, 제 2의 송신 수단은 예를 들면 가산기(571 및 572)에 대응한다.
또한, 청구항 제 18항에서, 수신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11에 대응한다. 또한, 분리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12에 대응한다. 또한, 영상 신호 복호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13에 대응한다. 또한, 음성 신호 복호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14에 대응한다. 또한, 영상 처리 시간 취득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21에 대응한다. 또한, 음성 신호 지연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23 내지 S926에 대응한다.
또한, 청구항 제 19항에서, 접속 정보 관리 수단은 예를 들면 접속 기기 정보 관리부(722)에 대응한다. 또한, 표시 수단은 예를 들면 표시부(728)에 대응한다. 또한, 표시 제어 수단은 예를 들면 표시 제어부(727)에 대응한다. 또한, 스트림 신호 생성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31에 대응한다. 또한, 판단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32에 대응한다. 또한, 영상 처리 시간 공급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34에 대응한다. 또한, 스트림 신호 전환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36에 대응한다. 또한, 표시 제어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37 및 S938에 대응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설명한 처리 순서는, 이들 일련의 순서를 갖는 방법으로서 파악하여도 좋고, 또한, 이들 일련의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내지 그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록 매체로서 파악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HDMI 규격과 같이 편방향 전송을 기본으로 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시스템에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의 복호 처리를 유연하게 행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Claims (19)

  1. 부호화 영상 신호 및 부호화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스트림 신호를 스트림 생성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스트림 신호로부터 상기 부호화 영상 신호와 상기 부호화 음성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부호화 영상 신호를 복호하여 복호된 영상 신호를 영상 출력 장치에 출력하는 영상 신호 복호 수단과,
    상기 부호화 음성 신호를 복호하여 복호된 음성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복호된 음성 신호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에 출력하는 음성 신호 복호 수단과,
    상기 영상 출력 장치로부터 반송된 음성 신호와 상기 음성 신호 복호 수단에 의해 복호된 상기 음성 신호와의 시간상의 차분을 영상 처리 시간으로서 측정하고, 상기 영상 처리 시간으로부터 재생 장치에서 음성 신호 처리 시간을 공제한 시간만큼 상기 음성 신호를 지연시킨 후에 해당 음성 신호를 음성 출력 장치에 공급하는 음성 신호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영상 출력 장치와의 사이에 접속된 제어 신호선로를 통하여 상기 영상 처리 시간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선로는, HDMI 케이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DD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스트림 생성 장치와의 사이에 접속된 데이터 신호선로를 통하여 상기 스트림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생성 장치는 상기 영상 출력 장치에 포함되고,
    상기 음성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데이터 신호선로를 통하여 상기 영상 처리 시간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선로는, HDMI 케이블을 구성하는 리저브 라인 및 핫플러그 검출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장치와의 사이에 접속된 데이터 신호선로를 통하여 수신한 차동 신호로부터 상기 스트림 신호를 추출하는 제 1의 수신 수단과,
    상기 데이터 신호선로를 통하여 수신한 동상 신호로부터 상기 반송된 음성 신호를 추출하는 제 2의 수신 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선로는, HDMI 케이블을 구성하는 리저브 라인 및 핫플러그 검출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10. 부호화 영상 신호 및 부호화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스트림 신호를 생성하는 스트림 신호 생성 수단과,
    다른 장치와의 사이의 접속 상태에 관한 접속 정보를 관리하는 접속 정보 관리 수단과,
    상기 접속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스트림 신호를 복호하는 복호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복호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복호 장치에 상기 스트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전환하는 스트림 신호 전환 수단과,
    상기 복호 장치에 의해 복호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서의 상기 영상 신호의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영상 처리 시간으로서 상기 복호 장치에 공급하는 영상 처리 시간 공급 수단과,
    상기 복호 장치에 의해 복호된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성기 복호 장치에 의해 복호된 영상 신호가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타이밍에서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상기 복호 장치에 반송하는 음성 신호 반송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신호로부터 상기 부호화 영상 신호와 상기 부호화 음성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부호화 영상 신호를 복호하여 영상 신호로서 생성하는 영상 신호 복호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스트림 신호 전환 수단은, 상기 복호 장치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분리 수단에 상기 스트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전환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복호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복호 장치에 의해 복호된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고, 상기 복호 장치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영상 신호 복호 수단에 의해 복호된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삭제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시간 공급 수단은, 상기 복호 장치와의 사이에 접속된 제어 신호선로를 통하여 상기 영상 처리 시간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선로는, HDMI 케이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DD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삭제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 장치와의 사이에 접속된 데이터 신호선로를 통하여 상기 스트림 신호를 차동 신호로서 상기 복호 장치에 송신하는 제 1의 송신 수단과,
    상기 음성 신호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음성 신호를 동상 신호로서 상기 데이터 신호선로에 중첩하여 상기 복호 장치에 송신하는 제 2의 송신 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선로는, HDMI 케이블을 구성하는 리저브 라인 및 핫플러그 검출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부호화 영상 신호 및 부호화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스트림 신호를 스트림 생성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순서와,
    상기 스트림 신호로부터 상기 부호화 영상 신호와 상기 부호화 음성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순서와,
    상기 부호화 영상 신호를 복호하여 복호된 영상 신호를 영상 출력 장치에 출력하는 영상 신호 복호 순서와,
    상기 부호화 음성 신호를 복호하여 복호된 음성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복호된 음성 신호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에 출력하는 음성 신호 복호 순서와,
    상기 영상 출력 장치로부터 반송된 음성 신호와 상기 음성 신호 복호 순서에 의해 복호된 상기 음성 신호와의 시간상의 차분을 영상 처리 시간으로서 측정하는 영상 처리 시간 취득 순서와,
    상기 영상 처리 시간으로부터 재생 장치에서 음성 신호 처리 시간을 공제한 시간만큼 상기 음성 신호를 지연시킨 후에 해당 음성 신호를 음성 출력 장치에 공급하는 음성 신호 지연 순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19. 다른 장치와의 사이의 접속 상태에 관한 접속 정보를 관리하는 접속 정보 관리 수단과, 영상 신호를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부호화 영상 신호 및 부호화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스트림 신호를 생성하는 스트림 신호 생성 순서와,
    상기 접속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스트림 신호를 복호하는 복호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순서와,
    상기 복호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서의 상기 영상 신호의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영상 처리 시간으로서 상기 복호 장치에 공급하는 영상 처리 시간 공급 순서와,
    상기 복호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복호 장치에 상기 스트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전환하는 스트림 신호 전환 순서와,
    상기 복호 장치에 의해 복호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순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KR1020097013863A 2007-11-22 2008-11-17 재생 장치, 표시 장치, 재생 방법 및 표시 방법 KR101523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03186A JP5050807B2 (ja) 2007-11-22 2007-11-22 再生装置、表示装置、再生方法および表示方法
JPJP-P-2007-303186 2007-11-22
PCT/JP2008/070863 WO2009066634A1 (ja) 2007-11-22 2008-11-17 再生装置、表示装置、再生方法および表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335A KR20100094335A (ko) 2010-08-26
KR101523390B1 true KR101523390B1 (ko) 2015-05-27

Family

ID=4066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3863A KR101523390B1 (ko) 2007-11-22 2008-11-17 재생 장치, 표시 장치, 재생 방법 및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364004B2 (ko)
EP (1) EP2211545B1 (ko)
JP (1) JP5050807B2 (ko)
KR (1) KR101523390B1 (ko)
CN (1) CN101589621B (ko)
WO (1) WO20090666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71838B (zh) 2005-04-28 2011-06-0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口形同步修正装置及口形同步修正方法
JP5109978B2 (ja) 2006-11-07 2012-12-26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情報送信方法および制御情報受信方法
KR101488729B1 (ko) * 2008-05-13 2015-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와 그 방법들
JP2010193247A (ja) * 2009-02-19 2010-09-02 Sanyo Electric Co Ltd Hdmi機器
JP5040943B2 (ja) * 2009-03-12 2012-10-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音声供給装置、画像音声供給システム、画像音声供給方法、及び画像音声供給用プログラム
JP5372643B2 (ja) * 2009-07-29 2013-12-18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ディレイ調整システム
JP2011172156A (ja) * 2010-02-22 2011-09-01 Sony Corp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受信装置、音声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692937B2 (en) * 2010-02-25 2014-04-08 Silicon Image, Inc. Video frame synchronization
JP5754080B2 (ja) * 2010-05-21 2015-07-22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データ受信方法
JP2012119924A (ja) * 2010-11-30 2012-06-21 Toshiba Corp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音声再生装置及び音声再生方法、映像音声同期制御システム
JP2012191583A (ja) * 2011-03-14 2012-10-04 Yamaha Corp 信号出力装置
US9537644B2 (en) * 2012-02-23 2017-01-03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Transmitting multiple differential signals over a reduced number of physical channels
JP5969779B2 (ja) * 2012-03-09 2016-08-17 ローム株式会社 オーディオ出力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オーディオ用集積回路
US9230505B2 (en) 2013-02-25 2016-01-05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lock and data signaling
KR102201617B1 (ko) * 2014-01-07 2021-01-12 삼성전자 주식회사 Av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9871516B2 (en) 2014-06-04 2018-01-16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Transmitting apparatus with source termination
KR20160022096A (ko) * 2014-08-19 2016-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인 컨트롤러에 서브 유닛이 연결되었는지를 검사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6060474A1 (ko) * 2014-10-14 2016-04-21 엘지전자(주) Hdm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956354B2 (ja) * 2018-08-30 2021-11-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映像信号出力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587546B (zh) * 2018-11-27 2020-09-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16389794A (zh) * 2019-02-20 2023-07-04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启用超高清联盟指定参考模式(uhda-srm)的技术
CN112449278B (zh) * 2019-09-03 2022-04-22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校准延时输出声音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323766B2 (en) * 2019-10-03 2022-05-03 Dolby International Ab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udio/video content to a render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9987A (ja) * 1995-08-30 1997-03-11 Hitachi Ltd 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機
JP2001028748A (ja) * 1999-07-12 2001-01-30 Sony Corp データ再生伝送装置及びデータ再生伝送方法
JP2002176643A (ja) * 2000-12-06 2002-06-21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映像・音声復号処理における映像・音声の同期再生方式
JP2006033436A (ja) * 2004-07-16 2006-02-02 Sony Corp 映像音声処理システム、アンプ装置および音声遅延処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0410B2 (ja) * 1999-12-06 2008-12-24 ソニー株式会社 機器選択装置及び機器選択方法
JP2002344898A (ja) * 2001-05-17 2002-11-29 Pioneer Electronic Corp 映像表示装置、音声調整装置及び映像音声出力装置、並びに映像音声同期方法
JP2007533189A (ja) 2004-04-07 2007-11-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ビデオ・オーディオ同期
KR100584615B1 (ko) * 2004-12-15 2006-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비디오 동기 자동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766496B1 (ko) * 2005-07-08 2007-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이치디엠아이 전송 시스템
US7884836B2 (en) * 2005-08-30 2011-02-08 Ati Technologies Ulc Notifying a graphics subsystem of a physical change at a display device
JP2007221422A (ja) * 2006-02-16 2007-08-30 Onkyo Corp 映像音声再生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構成するavセンターならびにモニター
JP4575324B2 (ja) * 2006-03-29 2010-11-04 株式会社東芝 Av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2088780B1 (en) * 2006-11-07 2015-11-04 Sony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content reproducing method, and content decoding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9987A (ja) * 1995-08-30 1997-03-11 Hitachi Ltd 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機
JP2001028748A (ja) * 1999-07-12 2001-01-30 Sony Corp データ再生伝送装置及びデータ再生伝送方法
JP2002176643A (ja) * 2000-12-06 2002-06-21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映像・音声復号処理における映像・音声の同期再生方式
JP2006033436A (ja) * 2004-07-16 2006-02-02 Sony Corp 映像音声処理システム、アンプ装置および音声遅延処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11545B1 (en) 2018-10-03
CN101589621A (zh) 2009-11-25
US20120128319A1 (en) 2012-05-24
JP5050807B2 (ja) 2012-10-17
EP2211545A4 (en) 2013-08-28
KR20100094335A (ko) 2010-08-26
CN101589621B (zh) 2011-09-28
US9247289B2 (en) 2016-01-26
WO2009066634A1 (ja) 2009-05-28
JP2009130607A (ja) 2009-06-11
US8364004B2 (en) 2013-01-29
US20100067877A1 (en) 2010-03-18
EP2211545A1 (en) 201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390B1 (ko) 재생 장치, 표시 장치, 재생 방법 및 표시 방법
JP5428186B2 (ja) 電子機器
JP5003389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における制御方法
KR100687595B1 (ko) 데이터 중계 장치, 데이터 중계 방법, 데이터 전송 시스템
EP2362643B1 (en) Content reproduction system, content receiving apparatus, sound reproduction apparatus, content reproduction method and program
US8887210B2 (en) Transmission appar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060208929A1 (en)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evice and output control method thereof
US10593337B2 (e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reception method
US20170094287A1 (en) Encoding device, encoding method, sending device, sending method, receiving device, receiving method, and program
JP5522332B1 (ja) 受信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477506B1 (ja) 送信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11012736B2 (e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reception method
JP5910660B2 (ja) 送信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910661B2 (ja) 受信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