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356B1 - 음료 공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음료 공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356B1
KR101523356B1 KR1020150016002A KR20150016002A KR101523356B1 KR 101523356 B1 KR101523356 B1 KR 101523356B1 KR 1020150016002 A KR1020150016002 A KR 1020150016002A KR 20150016002 A KR20150016002 A KR 20150016002A KR 101523356 B1 KR101523356 B1 KR 101523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beverage container
actuator
controlle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길
김용덕
고기철
Original Assignee
(주) 넥스인테크놀러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넥스인테크놀러지스 filed Critical (주) 넥스인테크놀러지스
Priority to KR1020150016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B67D1/000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3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automatic fluid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맥주나 쥬스, 탄산음료 등의 음료를 전용 용기(컵)의 바닥면을 통해 자동으로 주입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시스템은, 바닥부의 하부면에 주입구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입구의 하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링 형태로 된 홀딩자성체와, 상기 주입구의 상측에서 상기 홀딩자성체와의 자력에 의해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개폐자성체를 구비한 음료 용기와; 상기 음료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음료 용기가 안착부에 안착될 때 상기 개폐자성체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면서 주입구 내측으로 삽입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을 통해 음료저장탱크 내의 음료를 강제로 이송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음료 용기가 안착부(20)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음료 용기의 홀딩자성체 또는 개폐자성체의 자력을 감지하여 음료 용기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액츄에이터와 노즐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음료 용기 내로 공급되는 음료의 양이 설정된 양에 도달하게 되면 유로를 폐쇄하는 전자밸브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음료 용기가 감지될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를 자동으로 작동시키고, 음료 용기 내로 공급되는 음료의 양이 설정된 양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료 공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System for Supplying Bever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료를 컵에 공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맥주나 쥬스, 탄산음료 등의 음료를 전용 용기(컵)의 바닥면을 통해 주입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는 캔이나 병, 팩 같은 용기에 담겨 진다. 이러한 음료는 대형 보관 탱크에 보존되었다가 소비를 위해 스파우트(spout), 호스(hose), 파셋토, 수도꼭지 또는 주입관을 통하여 캔이나 병 같은 작은 용기에 주입된다.
통상적으로 음료의 용기 주입은 용기의 입구 즉, 용기의 상부를 통하여 주입되게 되는데 용기 상부로부터의 주입은 탄산음료의 경우 거품을 증가시키게 되고, 거품의 증가로 주입되는 음료가 용기 외측으로 넘쳐 흘리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당량의 음료를 낭비하게 된다. 또한, 음료를 낭비하지 않기 위해서는 주입시 거품이 안정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재주입하는 것을 반복해야 하므로 주입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기의 상부를 통하여 주입하는 방법은 용기의 적절한 위치 결정, 음료의 유동개시, 음료의 유동정지 및 용기의 분리를 포함하는 다수의 공정이 필요하고, 각 공정을 거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각 공정의 조작 및 제어에 주의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개특허 제2014-0115749호에 음료 용기의 바닥부에 음료가 주입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에 자기흡입력에 의해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는 2개의 자성체 부재를 구성하며, 상기 음료 용기의 하측에서 자성체 부재를 작동시켜 개구부를 개방시키고 노즐을 통해 음료를 공급함으로써 음료 용기의 하부에서부터 음료를 공급할 수 있는 유체 이송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공개특허의 유체 이송 장치를 비롯한 종래의 음료 공급 장치는 음료 용기와 노즐이 접속된 상태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음료를 공급하고, 공급된 음료의 양을 측정하여 음료의 공급을 중지시킬 수 있는 구성은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공급량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인식할 수 밖에 없고, 따라서 공급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고, 음료 공급 작업 중 다른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음료 공급 장치는 음료를 외부로 토출하는 코크밸브(cock valve)가 본체의 상부에 구성되어 수동으로 작동하며, 냉각기를 통과한 음료를 코크밸브로 공급하는 호스나 배관이 길어야 하며 구조가 복잡한 문제도 있다.
공개특허 제2014-0115749호(2014. 10. 01.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맥주나 쥬스, 탄산음료 등의 음료를 전용 용기(컵)의 바닥면을 통해 주입할 수 있으며, 음료 용기를 음료 주입 위치에 구성된 노즐에 접속하였을 때 음료 용기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정해진 양을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시스템은, 바닥부의 하부면에 주입구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입구의 하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링 형태로 된 홀딩자성체와, 상기 주입구의 상측에서 상기 홀딩자성체와의 자력에 의해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개폐자성체를 구비한 음료 용기와; 상기 음료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한 본체부와; 상기 안착부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음료 용기가 안착부에 안착될 때 상기 개폐자성체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면서 주입구 내측으로 삽입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을 통해 음료저장탱크 내의 음료를 강제로 이송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음료 용기가 안착부(20)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음료 용기의 홀딩자성체 또는 개폐자성체의 자력을 감지하여 음료 용기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액츄에이터와 노즐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음료 용기 내로 공급되는 음료의 양이 설정된 양에 도달하게 되면 유로를 폐쇄하는 전자밸브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음료 용기가 감지될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를 자동으로 작동시키고, 음료 용기 내로 공급되는 음료의 양이 설정된 양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음료 공급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은, (a) 안착부에 음료 용기를 안착시키는 단계와; (b) 감지센서가 음료 용기에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음료 용기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단계와; (c) 컨트롤러가 액츄에이터 및 전자밸브를 작동시켜 노즐을 통해 음료 용기 내에 음료를 공급하는 단계와; (d) 음료 용기 내의 음료의 양이 설정된 양에 도달하게 되면 컨트롤러가 전자밸브를 폐쇄 작동시키고,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빈 음료 용기를 안착부에 안착시켜 노즐에 접속시키면, 자동으로 음료 용기를 감지하여 액츄에이터 및 전자밸브가 작동하여 음료가 공급되고, 음료 용기 내에 설정된 양의 음료가 채워지게 되면 자동으로 전자밸브가 폐쇄되고 액츄에이터의 작동이 정지되어 음료의 공급이 중단된다.
따라서, 음료의 공급과 중단을 자동화할 수 있게 되어 항상 정량의 음료가 공급될 수 있게 되며, 사용자가 음료 공급이 진행되는 도중 다른 일을 할 수 있으므로 일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트롤패널을 조작하여 전원을 인가하면 음료 공급 장치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냉각기에도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동이 편리한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료 공급 시스템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료 공급 시스템의 주요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음료 공급 시스템의 주요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음료 공급 시스템의 주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음료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1의 음료 공급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시스템은, 바닥부의 하부면에 주입구(11)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음료 용기(10)와, 상기 음료 용기(10)가 안착되는 안착부(20)를 구비한 본체부(1)와, 상기 안착부(20)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음료 용기(10)의 주입구(11)를 통해 음료 용기(10)의 하부에 접속되어 음료를 공급하는 노즐(30)과, 음료가 저장된 음료저장탱크(T) 내의 음료를 강제로 이송하여 상기 노즐(30)로 공급하는 액츄에이터(40)와, 상기 음료 용기(10)가 안착부(20)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음료 용기(10)를 감지하는 감지센서(50)와, 상기 액츄에이터(40)를 통해 노즐(30)로 공급되는 음료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60)와, 상기 유량센서(60)와 노즐(30) 사이에 설치되어 관로를 개폐하는 전자밸브(70)와, 상기 액츄에이터(40) 및 전자밸브(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80)를 포함한다.
상기 음료 용기(10)는 바닥부의 하부면에 주입구(11)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컵 형태를 갖는다. 상기 음료 용기(10)는 바닥면에 주입구(11)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음료 용기(10) 내로의 음료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상기 주입구(11)가 항상 안정적으로 폐쇄되어야 하고, 음료 용기(10) 내부로 음료를 공급할 때에는 주입구(11)가 쉽게 개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음료 용기(10)의 주입구(11)의 하부면에는 링 형태로 된 홀딩자성체(12)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주입구(11)의 상측에는 상기 홀딩자성체(12)와의 자력에 의해 상기 주입구(11)를 개폐하는 원반형의 개폐자성체(13)가 설치된다.
상기 홀딩자성체(12)와 개폐자성체(13)는 모두 자석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지만, 홀딩자성체(12)와 개폐자성체(13) 중 어느 하나만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음료 용기(10)가 안착되는 안착부(20)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측 모서리 부분에는 음료 용기(10)에서 흘러 넘친 음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홀(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부(20)는 드레인홀(22)이 형성된 방향으로 음료가 흘러내릴 수 있도록 드레인홀(2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부(20)의 중앙부에는 상기 노즐(30)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20)에는 상기 감지센서(50)에 의해 음료 용기(10)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컨트롤러(8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90)는 LED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30)은 상기 안착부(20)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음료 용기(10)가 안착부(20)에 안착될 때 상기 개폐자성체(13)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면서 주입구(11)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노즐(30)은 상기 주입구(11)의 내경보다는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노즐(30)의 내부에는 액츄에이터(40)와 연결되어 음료를 공급받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노즐(30)의 양측면부에는 상기 유로와 연통되어 음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구(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40)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작동되어 음료가 저장되어 있는 음료저장탱크(T) 내의 음료를 노즐(30) 쪽으로 강제 이송하는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40)는 공지의 펌프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 내에는 액츄에이터(40)에 의해 유동하는 음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2)(도 7 참조)가 구성된다. 상기 냉각기(2)는 압축기와 응축기, 감압기, 증발기 등을 이용한 공지의 냉각사이클장치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50)는 상기 안착부(20)의 하측 중 노즐(30)과 인접한 부분에 설치되어, 안착부(20)에 음료 용기(10)가 안착되었을 때 음료 용기(10)의 홀딩자성체(12) 또는 개폐자성체(13)의 자력을 감지하여 음료 용기(10)를 감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감지센서(50)로는 자기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유량센서(60)와 전자밸브(70)는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량센서(60)는 액츄에이터(40)와 연결된 관로에 연결되어 액츄에이터(40)에서 노즐(30)로 공급되는 음료의 양을 감지하고, 감지된 음료의 양에 따라 컨트롤러(80)에 펄스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전자밸브(70)는 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량센서(60)의 바로 하류측, 즉 유량센서(60)와 노즐(30)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러(8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유로를 개폐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감지센서(50) 및 유량센서(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마이콤(MICOM)을 통해 전자밸브(70) 및 액츄에이터(40) 등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상기 컨트롤러(80)는 타이머를 구비하여 시간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40) 및 전자밸브(70)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러(80)는 본체부(1)에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게 구성된 컨트롤패널(8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컨트롤패널(85)에 구비된 설정 버튼을 통해 음료 용기(10)의 용량에 따라 상기 유량센서(60)의 설정값을 가변시키거나, 유량센서(60)를 통해 음료 용기(10)에 공급되는 음료의 양의 제어할 것인지, 타이머(timer)를 통해 음료 용기(10)에 공급되는 음료의 양을 제어할 것인지, 또는 수동으로 음료 용기(10)에 공급되는 음료의 양의 제어할 것인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본체부(1) 내에 구성된 냉각기(2)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냉각기(2)에 전원을 공급하며, 사용자가 컨트롤패널(85)의 전원 버튼을 누르면 액츄에이터(40)와 감지센서(50)를 비롯한 음료 공급 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인가함과 동시에 냉각기(2)에도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음료 공급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료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빈 음료 용기(10)를 안착부(20)에 안착시키면, 노즐(30)이 음료 용기(10) 바닥면의 주입구(11)를 통해 삽입되면서 개폐자성체(13)를 들어 올리게 되고, 음료 용기(10)가 개방된다.
이 때, 감지센서(50)가 음료 용기(10)의 홀딩자성체(12) 및/또는 개폐자성체(13)의 자력에 의해 음료 용기(10)를 감지하게 되고, 컨트롤러(80)에 감지 신호가 전송된다.
이에 컨트롤러(80)는 액츄에이터(40)를 작동시켜 음료저장탱크(T) 내의 음료를 강제로 이송함과 동시에 전자밸브(70)를 개방 작동시켜 노즐(30)을 통해 음료 용기(10) 내에 음료를 공급한다. 이 때, 컨트롤러(80)는 상기 발광소자(90)를 점등시켜 사용자에게 음료 공급이 진행되고 있다는 정보를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액츄에이터(40)가 작동하여 음료가 공급되는 동안, 유량센서(60)는 노즐(30)로 공급되는 음료의 유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컨트롤러(80)에 펄스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유량센서(60)로부터 컨트롤러(80)에 전송된 펄스 신호가 설정된 값에 도달하게 되면, 컨트롤러(80)는 음료 용기(10) 내에 설정된 양의 음료가 공급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전자밸브(70)를 폐쇄 작동시키고, 액츄에이터(4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컨트롤러(80)는 발광소자(90)를 점멸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음료의 공급이 종료되었음을 알린다.
음료 용기(10) 내로의 음료 공급이 완료되어 사용자가 음료 용기(10)를 들어 올리면, 노즐(30)이 음료 용기(10)의 주입구(11)에서 이탈되고, 개폐자성체(13)가 음료 용기(10)의 주입구(11)를 폐쇄시키면서 홀딩자성체(12)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음료의 누출이 방지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유량센서(60)에 의해 감지된 음료의 유량이 설정값에 도달하게 되면 컨트롤러(80)가 전자밸브(70)를 폐쇄 작동시키고, 액츄에이터(4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다르게 컨트롤러(80)의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음료 공급 시간이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즉 상기 액츄에이터(40)를 작동시킨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전자밸브(70)를 폐쇄 작동시키고 액츄에이터(40)의 작동을 중지시켜 음료 공급을 중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감지센서(50)가 음료 용기(10)의 용량(대, 중, 소 등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컨트롤패널(85)을 통해 음료 용기(10)의 용량을 선택할 경우, 상기 유량센서(60)의 펄스 신호 설정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거나 동작 시간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음료 용기(10)의 용량에 따라 음료 공급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빈 음료 용기(10)를 안착부(20)에 안착시켜 노즐(30)에 접속시키면, 자동으로 음료 용기(10)를 감지하여 액츄에이터(40) 및 전자밸브(70)가 작동하여 음료가 공급되고, 음료 용기(10) 내에 설정된 양의 음료가 채워지게 되면 자동으로 전자밸브(70)가 폐쇄되고 액츄에이터(40)의 작동이 정지되어 음료의 공급이 중단된다.
따라서, 음료의 공급과 중단을 자동화할 수 있게 되어 항상 정량의 음료가 공급될 수 있게 되며, 사용자가 음료 공급이 진행되는 도중 다른 일을 할 수 있으므로 일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 : 음료저장탱크 1 : 본체부
10 : 음료 용기 11 : 주입구
12 : 홀딩자성체 13 : 개폐자성체
20 : 안착부 22 : 드레인홀
30 : 노즐 31 : 토출구
40 : 액츄에이터 50 : 감지센서
60 : 유량센서 70 : 전자밸브
80 : 컨트롤러 85 : 컨트롤패널
90 : 발광소자

Claims (8)

  1. 바닥부의 하부면에 주입구(11)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입구(11)의 하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링 형태로 된 홀딩자성체(12)와, 상기 주입구(11)의 상측에서 상기 홀딩자성체(12)와의 자력에 의해 상기 주입구(11)를 개폐하는 개폐자성체(13)를 구비한 음료 용기(10)와;
    상기 음료 용기(10)가 안착되는 안착부(20)를 구비한 본체부(1)와;
    상기 안착부(20)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음료 용기(10)가 안착부(20)에 안착될 때 상기 개폐자성체(13)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면서 주입구(11) 내측으로 삽입되는 노즐(30)과;
    음료가 저장된 음료저장탱크(T) 내의 음료를 강제로 이송하여 상기 노즐(30)로 공급하는 액츄에이터(40)와;
    상기 음료 용기(10)가 안착부(20)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음료 용기(10)의 홀딩자성체(12) 또는 개폐자성체(13)의 자력을 감지하여 음료 용기(10)를 감지하는 감지센서(50)와;
    상기 액츄에이터(40)와 노즐(30)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음료 용기(10) 내로 공급되는 음료의 양이 설정된 양에 도달하게 되면 유로를 폐쇄하는 전자밸브(70)와;
    상기 감지센서(50)에 의해 음료 용기(10)가 감지될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40)를 자동으로 작동시키고, 음료 용기(10) 내로 공급되는 음료의 양이 설정된 양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액츄에이터(4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컨트롤러(80)와;
    상기 액츄에이터(40)를 통해 노즐(30)로 공급되는 음료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60)와;
    상기 유량센서(60)와 노즐(30) 사이에 설치되어 관로를 개폐하는 전자밸브(70);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유량센서(60)에 의해 측정된 유량이 설정된 값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전자밸브(70)가 관로를 폐쇄하도록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20)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센서(50)에 의해 음료 용기(10)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컨트롤러(8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본체부(1)에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게 구성된 컨트롤패널(8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컨트롤패널(85)을 조작하여 전원을 인가하면 컨트롤러(80)를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40)와 감지센서(50)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본체부(1) 내에 구성된 냉각기에도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80)는 타이머를 더 구비하여, 시간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40) 및 전자밸브(7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시스템.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료 공급 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a) 안착부(20)에 음료 용기(10)를 안착시키는 단계와;
    (b) 감지센서(50)가 음료 용기(10)에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음료 용기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단계와;
    (c) 컨트롤러(80)가 액츄에이터(40) 및 전자밸브(70)를 작동시켜 노즐(30)을 통해 음료 용기(10) 내에 음료를 공급하는 단계와;
    (d) 음료 용기(10) 내의 음료의 양이 설정된 양에 도달하게 되면 컨트롤러(80)가 전자밸브(70)를 폐쇄 작동시키고, 액츄에이터(4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감지센서(50)에 의해 감지되는 음료 용기(10)의 용량에 따라 액츄에이터(40)의 작동 중지 조건을 다르게 설정하여 액츄에이터(4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감지센서(50)가 음료 용기(10)를 감지하게 되면 발광소자(90)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광소자(90)를 작동시키고, (d) 단계가 종료되면 발광소자(90)가 점멸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삭제
KR1020150016002A 2015-02-02 2015-02-02 음료 공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23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002A KR101523356B1 (ko) 2015-02-02 2015-02-02 음료 공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002A KR101523356B1 (ko) 2015-02-02 2015-02-02 음료 공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356B1 true KR101523356B1 (ko) 2015-05-28

Family

ID=53395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002A KR101523356B1 (ko) 2015-02-02 2015-02-02 음료 공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35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154A1 (ko) * 2016-03-07 2017-09-14 엔피씨㈜ 음료 용기 어셈블리
FR3063423A1 (fr) * 2017-03-03 2018-09-07 Mickaël Doutreligne Contenant avec systeme de remplissage par le fond du type obturateur magnetique
KR20200006670A (ko) * 2018-07-11 2020-01-21 김영철 음료 냉각 장치를 이용한 대화형 서비스 시스템
US11230467B2 (en) 2019-11-04 2022-01-25 Marmon Foodservice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ly detecting a sold-out state for beverage dispensers
KR102609761B1 (ko) * 2023-05-26 2023-12-05 (주)진스랩 시약 플레이트 간이 생산 설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4636A (ko) * 1993-04-06 1994-11-18 강희준 셀프 음료판매시스템
JP2002019887A (ja) * 2000-07-13 2002-01-23 Sanyo Electric Co Ltd 飲料供給装置
KR20090054585A (ko) * 2007-11-27 2009-06-01 차승호 적색 엘이디 센서를 이용한 액상음료 배출기
KR101243382B1 (ko) * 2011-09-27 2013-03-21 문하규 음료컵 주입구 차단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4636A (ko) * 1993-04-06 1994-11-18 강희준 셀프 음료판매시스템
JP2002019887A (ja) * 2000-07-13 2002-01-23 Sanyo Electric Co Ltd 飲料供給装置
KR20090054585A (ko) * 2007-11-27 2009-06-01 차승호 적색 엘이디 센서를 이용한 액상음료 배출기
KR101243382B1 (ko) * 2011-09-27 2013-03-21 문하규 음료컵 주입구 차단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154A1 (ko) * 2016-03-07 2017-09-14 엔피씨㈜ 음료 용기 어셈블리
FR3063423A1 (fr) * 2017-03-03 2018-09-07 Mickaël Doutreligne Contenant avec systeme de remplissage par le fond du type obturateur magnetique
WO2018158548A1 (fr) 2017-03-03 2018-09-07 DEMARSY, Laurence Contenant avec systeme de remplissage par le fond du type obturateur magnetique
KR20200006670A (ko) * 2018-07-11 2020-01-21 김영철 음료 냉각 장치를 이용한 대화형 서비스 시스템
KR102084313B1 (ko) 2018-07-11 2020-03-03 김영철 음료 냉각 장치를 이용한 대화형 서비스 시스템
US11230467B2 (en) 2019-11-04 2022-01-25 Marmon Foodservice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ly detecting a sold-out state for beverage dispensers
KR102609761B1 (ko) * 2023-05-26 2023-12-05 (주)진스랩 시약 플레이트 간이 생산 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356B1 (ko) 음료 공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1161729B2 (en) Empty keg detection for carbonated beverages
JP5890326B2 (ja) 分注システム及び分注システムを制御する方法
RU2430010C2 (ru) Емкость для напитка и узел в сборе из такой емкости и выдач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EP3737242A2 (en) Custom beverage cre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8657161B2 (en) Beverages dispenser and a method for dispensing beverages
US11472694B2 (en) FOB system for intelligent flow detection and dispense control
US9399568B2 (en) Arrangement for dispensing an additive into a liquid stream
WO2006001277A1 (ja) 飲料ディスペンサ
JP5980487B2 (ja) 流路の遮断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飲料サーバシステム
JP2022507638A (ja) 導管をパージする飲料ディスペンサ
JP2006264716A (ja) ディスペンスヘッド、飲料通路洗浄装置
US20060231574A1 (en) Self-contained pneumatic beverage dispensing system
JP2007015766A (ja) ディスペンスヘッ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泡性飲料供給装置
US11001488B2 (en) Flui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JP6023609B2 (ja) 飲料サーバシステムにおける飲料注出制御装置
KR20220088470A (ko) 디스펜스 헤드 및 음료 공급 시스템
US11613455B1 (en) Automated venting of gas/foam from foam on beer detector for carbonated beverages
JP6552854B2 (ja) 飲料サーバ
JP3110486U (ja) ディスペンスヘッド
US11673787B1 (en) Empty keg detection for carbonated beverages
KR20210092809A (ko)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JP2023551079A (ja) インテリジェントな流れ検出および注出制御のためのfobシステム
KR101575205B1 (ko) 세정 및 살균 작업이 용이한 음료 정량 공급장치
SI24249A (sl) Točilna naprava za pijače, zlasti tiste s peno, kot npr. piv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