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704B1 - 분절식 문 - Google Patents

분절식 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704B1
KR101522704B1 KR1020120154967A KR20120154967A KR101522704B1 KR 101522704 B1 KR101522704 B1 KR 101522704B1 KR 1020120154967 A KR1020120154967 A KR 1020120154967A KR 20120154967 A KR20120154967 A KR 20120154967A KR 101522704 B1 KR101522704 B1 KR 101522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ember
door
main link
main
hi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645A (ko
Inventor
박정원
Original Assignee
박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원 filed Critical 박정원
Priority to PCT/KR2013/00468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180455A1/ko
Publication of KR20130133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분절식 문은 문짝부 및 한 쌍의 링크 조립체들을 포함한다. 문짝부는 문틀의 내부공간에 일렬로 배열되는 제1,2 문짝을 포함한다. 링크 조립체들은 문짝부의 양측에 설치되며 제1,2 문짝을 연동시켜 문틀의 내부 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게 접힘 또는 펼침 동작한다. 각각의 링크 조립체는 제1,2 메인 링크부재 및 제1,2 서브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제1 메인 링크부재는 제1 문짝의 일측 면에 장착되고 제1,2 단부를 갖는다. 제2 메인 링크부재는 제2 문짝의 일측 면에 장착되고 제1,2 단부를 갖는다. 제1 서브 링크부재는 제1 단부가 제1 메인 링크부재의 제1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고 제2 단부가 제2 메인 링크부재의 제1 단부에 힌지 결합된다. 제2 서브 링크부재는 제1 단부가 제1 메인 링크부재의 제2 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제2 단부가 제2 메인 링크부재의 제2 결합부에 힌지 결합된다. 제1,2 결합부의 각 위치는 제1,2 메인 링크부재가 서로 일직선으로 펼쳐진 상태로부터 수직하게 각각 회전하면서 서로 접힌 상태가 될 수 있게 설정된다.

Description

분절식 문{Segmented door}
본 발명은 건축물 등에서 사람이 드나드는 개구부나, 채광 등을 위한 개구부에 설치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분절식 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등에서 사람이 드나드는 개구부나, 채광 등을 위한 개구부에는 각종 문이 설치되어 개폐된다. 문은 개폐 방식에 따라 여닫이 방식의 문, 미닫이 방식의 문, 접이 방식 문 등으로 구분된다. 개방율을 높일 필요가 있는 곳에는 여닫이 방식의 문 또는 접이 방식 문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여닫이 방식의 문은 활짝 열린 상태에서 후방 또는 전방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효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기존의 접이 방식 문은 일명 자바라 방식의 문으로서 문짝들 사이를 경첩으로 연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각 문짝의 양 옆에 경첩이 설치되어 시각적으로 보이기 때문에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측면이 있을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39297호(2001.01.15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개방율을 높이고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정적인 개폐 동작을 할 수 있는 분절식 문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절식 문은, 문틀의 내부공간에 일렬로 배열되는 제1,2 문짝을 포함한 문짝부, 및 상기 문짝부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2 문짝을 연동시켜 상기 문틀의 내부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게 접힘 또는 펼침 동작하는 한 쌍의 링크 조립체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링크 조립체는, 상기 제1 문짝의 일측 면에 장착되고 제1,2 단부를 갖는 제1 메인 링크부재와, 상기 제2 문짝의 일측 면에 장착되고 제1,2 단부를 갖는 제2 메인 링크부재와, 제1 단부가 상기 제1 메인 링크부재의 제1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고 제2 단부가 상기 제2 메인 링크부재의 제1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1 서브 링크부재, 및 제1 단부가 상기 제1 메인 링크부재의 제2 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제2 단부가 상기 제2 메인 링크부재의 제2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2 서브 링크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2 결합부의 각 위치는 상기 제1,2 메인 링크부재가 서로 일직선으로 펼쳐진 상태로부터 수직하게 각각 회전하면서 서로 접힌 상태가 될 수 있게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절식 문을 여닫이 방식에 적용하는 경우, 링크 조립체들이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문짝들이 문틀의 전방 또는 후방 면에 대해 모두 수직하게 젖혀져 포개어지므로, 문틀의 전방 또는 후방 공간을 덜 차지하면서도, 문틀의 내부공간을 개방하는 개방율이 최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문틀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 사람의 출입이 편리할 수 있고, 부피가 큰 물건 등도 손쉽게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문짝들 중 일부가 접힌 상태에서, 문짝들 사이의 틈새로 빈 공간만 존재하게 되므로, 미관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절식 문을 미닫이 방식에 적용하는 경우, 문짝들이 모두 포개어진 상태로, 개구부의 일측에 비교적 좁은 좌우 폭을 갖는 벽 속의 공간으로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분절식 문은 벽의 좌우 폭이 좁은 곳에서도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절식 문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링크 조립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분절식 문의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절식 문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있어서, 링크 조립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도 6의 분절식 문의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0은 도 6에 있어서, 미닫이 방식에 적용되는 분절식 문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0의 분절식 문의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4 및 도 15는 도 6에 있어서, 제1 내지 제4 서브 링크부재가 기어 수단에 의해 회전 안내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도 6에 있어서, 링크 조립체들을 동시에 접힘 또는 펼침 동작시키기 위한 연동 기구가 포함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분절식 문은 문틀의 내부공간을 좌우로 개폐시키도록 설치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문틀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분절식 문은 방문, 대문, 창문 등과 같이 다양한 문들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절식 문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링크 조립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분절식 문은 문짝부(110), 및 한 쌍의 링크 조립체(120)들을 포함한다.
문짝부(110)는 제1 문짝(111) 및 제2 문짝(112)을 포함한다. 제1,2 문짝(111)(112)은 문틀(10)의 내부공간에 좌우로 일렬로 배열되어 문틀(10)의 내부공간을 좌우로 개폐한다. 제1,2 문짝(111)(112)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문틀(10)의 내부공간을 폐쇄할 수 있는 크기로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 문짝(111)(112)은 동일한 좌우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제1 문짝(111)의 좌우 폭이 제2 문짝(112)의 좌우 폭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등, 기능과 목적 등을 고려해서 다양한 크기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2 문짝(111)(112)은 유리가 끼워진 형태 등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문짝(111)이 회전 동작하게만 링크 조립체(120)들에 의해 문틀(10)에 설치되는 경우, 즉 분절식 문이 여닫이 방식에 적용되는 경우, 제2 문짝(112)의 오른쪽 전후면에는 손잡이(116)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문틀(10)은 가로 부재(11)들과 세로 부재(12)들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건축물 등의 개구부의 안쪽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링크 조립체(120)들은 문짝부(110)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제1,2 문짝(111)(112)을 연동시켜 문틀(10)의 내부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게 접힘 또는 펼침 동작한다. 각각의 링크 조립체(120)는 제1 메인 링크부재(121), 제2 메인 링크부재(122), 제1 서브 링크부재(123), 및 제2 서브 링크부재(124)를 포함한다. 한 쌍의 링크 조립체(120)들은 문짝부(110)의 상하측에 각각 동일한 형태로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한 쌍의 링크 조립체(120)들 중 문짝부(110)의 하측에 설치되는 링크 조립체(120)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제1 메인 링크부재(121)의 제1 단부는 좌측 단부에 해당되고, 제1 메인 링크부재(121)의 제2 단부는 우측 단부에 해당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메인 링크부재(122)와 제1,2 서브 링크부재(123)(123)의 제1,2 단부도 좌,우측 단부에 해당된다.
제1 메인 링크부재(121)는 제1 문짝(111)의 하면에 장착된다. 제1 메인 링크부재(121)의 중앙부는 제1 문짝(111)의 하면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갖고 연장되어 제1 문짝(111)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분절식 문이 여닫이 방식에 적용되는 경우, 제1 메인 링크부재(121)의 좌측 단부(121a)는 문틀(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2 메인 링크부재(122)는 제2 문짝(112)의 하면에 장착된다.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중앙부는 제2 문짝(112)의 하면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갖고 연장되어 제2 문짝(112)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메인 링크부재(122)는 제1 메인 링크부재(121)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분절식 문이 여닫이 방식에 적용되는 경우,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좌측 단부(122a)는 문틀(10)의 하측 가로부재(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1 서브 링크부재(123)는 좌측 단부(123a)가 제1 메인 링크부재(121)의 제1 결합부(121c)에 힌지 결합되고, 우측 단부(123b)가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좌측 단부(122a)에 힌지 결합된다. 제2 서브 링크부재(124)는 좌측 단부(124a)가 제1 메인 링크부재(121)의 우측 단부(121b)에 힌지 결합되고, 우측 단부(124b)가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제2 결합부(122c)에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제1,2 결합부(121c)(122c)의 각 위치는 제1,2 메인 링크부재(121)(122)가 서로 일직선으로 펼쳐진 상태로부터 수직하게 각각 회전하면서 서로 접힌 상태가 될 수 있게 설정된다.
제1,2 문짝(111)(112)이 문틀(10)의 후방 공간 쪽으로 돌출되면서 문틀(10)의 내부공간을 개방하는 경우, 링크 조립체(12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제1 서브 링크부재(123)는 제1 메인 링크부재(121)의 폭보다 작은 폭, 예컨대 제1 메인 링크부재(121)의 폭에 대해 대략 절반 폭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2 메인 링크부재(121)(122)가 서로 일직선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제1 서브 링크부재(123)는 제1 메인 링크부재(121)의 전방 영역에 겹쳐지고, 제1 메인 링크부재(121)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브 링크부재(123)는 좌측 단부(123a)가 제1 메인 링크부재(121)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치우친 제1 결합부(121c)에 힌지 결합되고, 우측 단부(123b)가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좌측 단부(122a)에서 전방으로 치우친 부위에 힌지 결합된다.
제2 서브 링크부재(124)는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폭보다 작은 폭, 예컨대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폭에 대해 대략 절반 폭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2 메인 링크부재(121)(122)가 서로 일직선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제2 서브 링크부재(124)는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후방 영역에 겹쳐지고, 제2 메인 링크부재(121)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서브 링크부재(124)는 좌측 단부(124a)가 제1 메인 링크부재(121)의 우측 단부(121b)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부위에 힌지 결합되고, 우측 단부(124b)가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제2 결합부(122c)에 힌지 결합된다.
제1,2 서브 링크부재(123)(124)가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1,2 문짝(111)(112)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제1,2 서브 링크부재(123)(124)는 제1,2 메인 링크부재(121)(122)에 겹쳐져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메인 링크부재(121)의 우측 단부(121b)는 제2 서브 링크부재(124)와 힌지 결합되는 후방 부위가 전방 부위보다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좌측 단부(122a)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좌측 단부(122a)는 제1 서브 링크부재(123)와 힌지 결합되는 전방 부위가 후방 부위보다 제1 메인 링크부재(121)의 우측 단부(121b)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메인 링크부재(121)의 우측 단부(121b)의 후방 부위는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좌측 단부(122a)의 후방 부위로 인입되고,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좌측 단부(122a)의 전방 부위는 제1 메인 링크부재(121)의 우측 단부(121b)의 전방 부위로 인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2 문짝(111)(112)가 완전히 접힘 동작할 때, 제1 메인 링크부재(121)와 제2 메인 링크부재(122) 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제1 문짝(111)과 제2 문짝(112)이 최대한 서로 근접되어 접힌 상태가 될 수 있다.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좌측 단부(122a)에는 슬라이딩 부재(130)가 장착되고, 슬라이딩 부재(130)는 문틀(10)의 가로부재(11)에 형성된 가이드 홈(11a)에 의해 슬라이딩 안내될 수 있다. 가이드 홈(11a)은 슬라이딩 부재(130)들이 수용된 상태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로 부재(11)의 안쪽 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홈(11a)은 슬라이딩 부재(130)가 슬라이딩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입구 쪽이 좁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130)는 일 예로,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좌측 단부(122a)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본체(131)와, 슬라이딩 본체(131)가 가이드 홈(11a) 내에서 좌우로 원활히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롤러(132)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롤러(132)들은 가이드 홈(11a)의 입구를 기준으로 양쪽 내벽을 따라 회전하도록 슬라이딩 본체(131)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의 분절식 문의 동작 예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 문짝(112)을 당겨서 링크 조립체(120)를 완전히 펼침 동작시키면, 제1 문짝(111)이 연계되어 펼쳐지면서 제2 문짝(112)과 함께 문틀(10)의 내부공간을 완전히 폐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 문짝(112)을 후방으로 밀어서 링크 조립체(120)를 접힘 동작시키면, 제2 문짝(112)은 피벗(pivot) 동작함과 동시에 좌측으로 슬라이딩하게 되며, 제1 문짝(111)은 문틀(10)에 힌지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피벗 동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문틀(10)의 우측공간이 개방됨과 동시에 제1 문짝(111)과 제2 문짝(112) 사이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제1,2 문짝(111)(112) 사이의 틈새로 빈 공간만 존재하게 되므로, 제1,2 문짝(111)(112)이 일부 접힌 상태에서 미관이 향상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 문짝(112)을 최대한 밀어서 링크 조립체(120)를 완전히 접힘 동작시키면, 제1,2 문짝(111)(112)은 서로 포개지면서 문틀(10)의 내부공간이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제1,2 메인 링크부재(121)(122)가 수직하게 각각 회전하면서 서로 접힌 상태가 되므로, 제1,2 문짝(111)(112)은 문틀(10)의 후방 면에 대해 모두 수직하게 젖혀져 포개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문틀(10)의 후방 공간을 덜 차지하면서도, 문틀(10)의 내부공간을 개방하는 개방율이 최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문틀(10)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 사람의 출입이 편리할 수 있고, 부피가 큰 물건 등도 손쉽게 통과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절식 문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에 있어서, 링크 조립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한 도면의 참조번호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분절식 문에서, 문짝부(210)는 제2 문짝(112)과 인접한 우측에 배치된 제3 문짝(113)을 더 포함한다. 제3 문짝(113)은 제2 문짝(112)과 동일하거나, 제2 문짝(112)의 좌우 폭과 다른 좌우 폭을 갖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문틀(20)은 전술한 실시예의 문틀(10)과 비교하여 폭만 다를 뿐 다른 부분은 동일하게 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폭을 갖고 그에 맞게 제1,2,3 문짝(111)(112)(113)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각각의 링크 조립체(220)는 제3 문짝(113)을 제1,2 문짝(111)(112)과 연동시켜 문틀(20)의 내부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제3 메인 링크부재(125)와, 제3 서브 링크부재(126), 및 제4 서브 링크부재(127)를 더 포함한다. 문짝부(210)의 하측에 위치한 링크 조립체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 메인 링크부재(125)는 제3 문짝(113)의 하면에 장착된다. 제3 메인 링크부재(125)는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제3 메인 링크부재(125)의 좌측 단부(125a)는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좌측 단부(122a)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메인 링크부재(125)는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우측 단부(122b)와 인접한 좌측 단부(125a)가 문틀(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3 메인 링크부재(125)의 좌측 단부(125a)에는 슬라이딩 부재(130)가 장착되어, 슬라이딩 부재(130)와 가이드 홈(11a)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3 서브 링크부재(126)는 좌측 단부(126a)가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제3 결합부(122d)에 힌지 결합되고, 우측 단부(126b)가 제3 메인 링크부재(125)의 좌측 단부(125a)에 힌지 결합된다.
제4 서브 링크부재(127)는 좌측 단부(127a)가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우측 단부(122b)에 힌지 결합되고, 우측 단부(127b)가 제3 메인 링크부재(125)의 제4 결합부(125c)에 힌지 결합된다. 여기서,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우측 단부(122b)는 제1 메인 링크부재(121)의 우측 단부(121b)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3,4 결합부(122d)(125c)의 각 위치는 제2,3 메인 링크부재(122)(125)가 서로 일직선으로 펼쳐진 상태로부터 수직하게 각각 회전하면서 서로 접힌 상태가 될 수 있게 설정된다.
제3,4 서브 링크부재(126)(127)는 제1,2,3 문짝(111)(112)(113)의 폭 차이에 따라 제1,2 서브 링크부재(123)(124)와 길이가 각각 다를 수 있으나, 그 외 부분은 동일한 형태로 각각 이루어져 제2,3 메인 링크부재(122)(125)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문짝(113)과 제2 문짝(112) 간의 연계 동작은 제1 문짝(111)과 제2 문짝(112) 간의 연계 동작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2,3 문짝(111)(112)(113)이 문틀(20)의 후방 공간 쪽으로 돌출되면서 문틀(20)의 내부공간을 개방하는 경우, 제3 결합부(122d)는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중앙에서 제2 결합부(122c)보다 전방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링크 조립체(220)의 접힘 또는 펼침 동작시 제2 서브 링크부재(124)와 제3 서브 링크부재(126) 간에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의 분절식 문의 동작 예를 도 8 및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3 문짝(113)을 당겨서 링크 조립체(120)를 완전히 펼침 동작시키면, 제1 문짝(111)이 연계되어 펼쳐지면서 제2 문짝(112)과 함께 문틀(10)의 내부공간을 완전히 폐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3 문짝(113)을 최대한 밀어서 링크 조립체(220)를 완전히 접힘 동작시키면, 제1,2,3 문짝(111)(112)(123)은 서로 포개지면서 문틀(20)의 내부공간이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제1,2,3 메인 링크부재(121)(122)(125)가 수직하게 각각 회전하면서 서로 접힌 상태가 되므로, 제1,2,3 문짝(111)(112)(113)은 문틀(20)의 후방 면에 대해 모두 수직하게 젖혀져 포개어질 수 있다. 따라서, 문틀(20)의 후방 공간을 덜 차지하면서도, 문틀(20)의 내부공간을 개방하는 개방율이 최대가 될 수 있다.
한편, 문짝부(210)는 제3 문짝(113)과 인접한 우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짝이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확장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링크 조립체는 제3 문짝(113)과 추가되는 문짝 간의 연계 동작을 위한 구성은 제2 문짝(112)과 제3 문짝(113) 간의 연계 동작을 위한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절식 문은 미닫이 방식에 적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링크 조립체(220)들 중 하측에 위치한 링크 조립체(220)에는 바퀴(230)들이 장착된다. 바퀴(230)들은 제1,2,3 문짝(111)(112)(113)이 원활하게 개폐 또는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분절식 문의 동작 예를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3 문짝(113)을 우측으로 밀어 링크 조립체(220)를 완전히 펼침 동작시키면, 제2 문짝(112)과 제1 문짝(111)이 차례로 편평하게 펼쳐진다.
이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3 문짝(113)을 좌측으로 밀면, 제3 문짝(113)이 제2 문짝(112)에 대해 회전하면서 제2 문짝(112)에 포개어진다. 이어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서로 포개어진 제2,3 문짝(112)(113)을 좌측으로 밀게 되면, 제2,3 문짝(112)(113)이 함께 회전하면서 제1 문짝(111)에 포개어진다. 이에 따라, 분절식 문이 개구부에 설치되는 경우, 개구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2,3 문짝(111)(112)(113)은 모두 포개어진 상태로, 개구부의 일측에 마련된 벽 속의 공간으로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벽 속의 공간은 좌우 폭이 비교적 좁아도 되므로, 벽의 좌우 폭이 좁은 곳에서도 분절식 문의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4 서브 링크부재(123)(124)(126)(127)는 기어 수단에 의해 회전 안내될 수 있다. 도 7과 함께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서브 링크부재(123)의 양측 단부 중 제1 메인 링크부재(121)의 제1 결합부(121c)에 힌지 결합된 좌측 단부(123a)에는 제1 기어부(141)가 구비된다. 제1 서브 링크부재(123)의 폭은 대략 제1 메인 링크부재(121)의 1/3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메인 링크부재(121)에는 제1 기어부(141)와 치합되는 제1 가이드 기어(151)가 설치된다. 제1 가이드 기어(151)는 제1 메인 링크부재(121)의 폭 방향으로 중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브 링크부재(124)의 양측 단부 중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제2 결합부(122c)에 힌지 결합된 우측 단부(124b)에는 제2 기어부(142)가 구비된다. 제2 서브 링크부재(124)의 폭은 대략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1/3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메인 링크부재(122)에는 제2 기어부(142)와 치합되는 제2 가이드 기어(152)가 설치된다. 제2 가이드 기어(152)는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폭 방향으로 중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서브 링크부재(126)의 양측 단부 중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제3 결합부(122d)에 힌지 결합된 좌측 단부(126a)에는 제3 기어부(143)가 구비된다. 제3 기어부(143)는 제2 가이드 기어(152)와 치합된다. 제3 서브 링크부재(126)의 폭은 대략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1/3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제4 서브 링크부재(127)의 양측 단부 중 제3 메인 링크부재(125)의 제4 결합부(125c)에 힌지 결합된 우측 단부(127b)에는 제4 기어부(144)가 구비된다. 제4 서브 링크부재(127)의 폭은 대략 제3 메인 링크부재(125)의 1/3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메인 링크부재(125)에는 제4 기어부(144)와 치합되는 제3 가이드 기어(153)가 설치된다. 제3 가이드 기어(153)는 제3 메인 링크부재(125)의 폭 방향으로 중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문짝부(210)의 상하측에서 각각의 링크 조립체(220)가 펼침 또는 접힘 동작할 때, 제1 서브 링크부재(123)는 제1 가이드 기어(151)에 제1 기어부(141)가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회전 안내될 수 있다. 제2,3 서브 링크부재(124)(126)는 제2 가이드 기어(152)에 제2,3 기어부(142)(143)가 각각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회전 안내될 수 있다. 제4 서브 링크부재(127)는 제3 가이드 기어(153)에 제4 기어부(144)가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회전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제1,2,3 문짝(111)(112)(113)은 상하측이 균형 잡힌 상태로 안정되게 개폐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제1,2 문짝(111)(112)만 있는 경우, 제1 서브 링크부재(123)는 제1 가이드 기어(151)에 제1 기어부(141)가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회전 안내될 수 있고, 제2 서브 링크부재(124)는 제2 가이드 기어(152)에 제2 기어부(142)가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회전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제1,2 문짝(111)(112)은 상하측이 균형 잡힌 상태로 안정되게 개폐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분절식 문은 문틀(20)의 내부 공간을 자동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는 자동개폐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자동개폐기구는 제2 메인 링크부재(122)의 좌측 단부(122a) 또는 제3 메인 링크부재(125)의 좌측 단부(125a) 중 어느 하나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거나, 제1 메인 링크부재(121)를 피벗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절식 문은 링크 조립체(220)들을 동시에 접힘 또는 펼침 동작시키기 위한 연동 기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동 기구(160)는 적어도 하나의 연동 축(161)을 포함한다. 연동 축(161)들은 링크 조립체(220)들 사이에 배치된다. 제2,3 메인 링크부재(122)(125)들의 좌측 단부(122a)(125a)들이 문틀(20)에 슬라이딩 지지되는 경우, 연동 축(161)은 양단이 제1 메인 링크부재(121)들의 우측 단부(121b)들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동 축(161)은 양단이 제2 메인 링크부재(122)들의 우측 단부(122b)들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제2,3 메인 링크부재(122)(125)들의 좌측 단부(122a)(125a)들이 문틀(20)에 슬라이딩 지지되지 않는 경우, 연동 축(161)은 양단이 제2 메인 링크부재들(122)의 좌측 단부(122a)들에 연결되거나, 양단이 제3 메인 링크부재(125)들의 좌측 단부(125a)들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연동 축(161)은 중앙 부위가 분리되고, 분리된 부위들이 연결 바(16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바(162)는 링크 조립체(220)들의 간격에 따라 교체되게 구성된다. 연결 바(162)는 양단이 연동 축(161)의 분리된 부위들에 끼움 결합될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연동 축(161)의 분리된 부위들에 연결 바(162)가 끼워지게 끼움 홈이 형성되거나, 연결 바(162)에 연동 축(161)의 분리된 부위들이 끼워지게 끼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연동 기구(160)에 의해, 링크 조립체(220)들은 상호 연동되어 동시에 접힘 또는 펼침 동작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는 제1,2,3 문짝(111)(112)(113)을 부드럽게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연동 기구(160)가 도 6에 도시된 링크 조립체(220)들에 적용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링크 조립체(120)들에 적용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210..문짝부 111..제1 문짝
112..제2 문짝 113..제3 문짝
120,220..링크 조립체 121..제1 메인 링크부재
122..제2 메인 링크부재 123..제1 서브 링크부재
124..제2 서브 링크부재 125..제3 메인 링크부재
126..제3 서브 링크부재 127..제4 서브 링크부재
130..슬라이딩 부재 141..제1 기어부
142..제2 기어부 143..제3 기어부
144..제4 기어부 151..제1 가이드 기어
152..제2 가이드 기어 153..제3 가이드 기어
160..연동 기구 161..연동 축

Claims (6)

  1. 문틀의 내부공간에 일렬로 배열되는 제1,2 문짝을 포함한 문짝부, 및
    상기 문짝부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2 문짝을 연동시켜 상기 문틀의 내부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게 접힘 또는 펼침 동작하는 한 쌍의 링크 조립체들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링크 조립체는,
    상기 제1 문짝의 일측 면에 장착되고 제1,2 단부를 갖는 제1 메인 링크부재와, 상기 제2 문짝의 일측 면에 장착되고 제1,2 단부를 갖는 제2 메인 링크부재와, 상기 제1,2 메인 링크부재가 서로 일직선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메인 링크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제1 메인 링크부재에 겹쳐지도록 제1 단부가 상기 제1 메인 링크부재의 제1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고 제2 단부가 상기 제2 메인 링크부재의 제1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1 서브 링크부재, 및 상기 제1,2 메인 링크부재가 서로 일직선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2 메인 링크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제2 메인 링크부재에 겹쳐지도록 제1 단부가 상기 제1 메인 링크부재의 제2 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제2 단부가 상기 제2 메인 링크부재의 제2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2 서브 링크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2 결합부의 각 위치는 상기 제1,2 메인 링크부재가 서로 일직선으로 펼쳐진 상태로부터 수직하게 각각 회전하면서 서로 접힌 상태가 될 수 있게 설정된 분절식 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링크부재의 제1 단부에는 제1 기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메인 링크부재에는 상기 제1 기어부와 치합되는 제1 가이드 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서브 링크부재의 제2 단부에는 제2 기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메인 링크부재에는 상기 제2 기어부와 치합되는 제2 가이드 기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절식 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짝부는 상기 제2 문짝과 인접한 측에 배치된 제3 문짝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링크 조립체는,
    상기 제3 문짝의 일측 면에 장착되고 제1,2 단부를 갖는 제3 메인 링크부재와, 상기 제2,3 메인 링크부재가 서로 일직선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2 메인 링크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제2 메인 링크부재에 겹쳐지도록 제1 단부가 상기 제2 메인 링크부재의 제3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고 제2 단부가 상기 제3 메인 링크부재의 제1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3 서브 링크부재, 및 상기 제2,3 메인 링크부재가 서로 일직선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3 메인 링크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제3 메인 링크부재에 겹쳐지도록 제1 단부가 상기 제2 메인 링크부재의 제2 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제2 단부가 상기 제3 메인 링크 부재의 제4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4 서브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4 결합부의 각 위치는 상기 제2,3 메인 링크부재가 서로 일직선으로 펼쳐진 상태로부터 수직하게 각각 회전하면서 서로 접힌 상태가 될 수 있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절식 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링크부재의 제1 단부에는 제1 기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메인 링크부재에는 상기 제1 기어부와 치합되는 제1 가이드 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서브 링크부재의 제2 단부에는 제2 기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메인 링크부재에는 상기 제2 기어부와 치합되는 제2 가이드 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제3 서브 링크부재의 제1 단부에는 상기 제2 가이드 기어와 치합되는 제3 기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서브 링크부재의 제2 단부에는 제4 기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3 메인 링크부재에는 상기 제4 기어부와 치합되는 제3 가이드 기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절식 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링크 부재의 제1 단부는 상기 문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 메인 링크 부재의 제1 단부는 상기 문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절식 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조립체들 사이에서 양단이 상기 제1 메인 링크부재들의 제2 단부들에 각각 연결되거나 양단이 상기 제2 메인 링크부재들의 제1 단부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연동 축을 구비하여, 상기 링크 조립체들을 동시에 접힘 또는 펼침 동작시키는 연동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절식 문.
KR1020120154967A 2012-05-29 2012-12-27 분절식 문 KR101522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4686 WO2013180455A1 (ko) 2012-05-29 2013-05-29 분절식 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890 2012-05-29
KR20120056890 2012-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645A KR20130133645A (ko) 2013-12-09
KR101522704B1 true KR101522704B1 (ko) 2015-05-22

Family

ID=49981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967A KR101522704B1 (ko) 2012-05-29 2012-12-27 분절식 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7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407B1 (ko) * 2015-07-29 2018-09-07 박정원 양방향 개방 도어 시스템
KR101705600B1 (ko) * 2016-07-29 2017-02-13 이근수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수납형 도어
CN212716344U (zh) * 2018-07-27 2021-03-16 襄阳市思想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单向门
TWI739671B (zh) * 2020-11-20 2021-09-11 陳柏穎 折疊門結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3561A (ja) * 2007-06-06 2008-12-18 Benitsukusu Kk ヒンジユニット
KR20110120847A (ko) * 2008-11-07 2011-11-04 박정원 다용도 창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3561A (ja) * 2007-06-06 2008-12-18 Benitsukusu Kk ヒンジユニット
KR20110120847A (ko) * 2008-11-07 2011-11-04 박정원 다용도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645A (ko)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704B1 (ko) 분절식 문
JP4818362B2 (ja) 引戸具
KR200390848Y1 (ko) 회전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KR101630300B1 (ko)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ITPD20120117A1 (it) Chiusura a battente per porte, finestre o simili
JP4569318B2 (ja) エレベータ装置
TWI635213B (zh) Folding door with door lock
US20210131165A1 (en) Coplanar bi-fold and sliding door
KR101993172B1 (ko) 연동 게이트
JP3726512B2 (ja) 連動引戸
CN111201360B (zh) 具有门锁的折叠门
JP3499842B2 (ja) 引戸連動機構
JP5649530B2 (ja) 隠し蝶番
JP6389369B2 (ja) 引き折戸装置
KR200448040Y1 (ko) 폴딩도어
US20210396057A1 (en) Foldback door and system
KR102358115B1 (ko) 폴딩 도어
KR20190118768A (ko) 접이식 스윙도어
JP2006312817A (ja) 3連式引戸を備えた開口部装置
WO2013180455A1 (ko) 분절식 문
JP5542365B2 (ja) ドア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浴室構造
KR200345029Y1 (ko) 안전도어 개폐장치
KR101754763B1 (ko) 접이식 문 연결구조
KR200474646Y1 (ko) 좌우 개폐 방식의 열림판을 갖는 절첩식 컨테이너
KR20070119595A (ko) 폴딩 도어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