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580B1 - 러기지보드 제작을 위한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러기지보드 제작을 위한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580B1
KR101522580B1 KR1020130161124A KR20130161124A KR101522580B1 KR 101522580 B1 KR101522580 B1 KR 101522580B1 KR 1020130161124 A KR1020130161124 A KR 1020130161124A KR 20130161124 A KR20130161124 A KR 20130161124A KR 101522580 B1 KR101522580 B1 KR 101522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weight
board
talc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동일
최동혁
정인찬
Original Assignee
동국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국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1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0Silicon-containing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러기지보드 제작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정된 수치 이하의 변위량을 갖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차량용 러기지보드를 제작하는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PP)에 6 내지 8중량%이하의 에틸렌을 포함하며, 15중량%이하의 탈크 또는 5중량%이하의 침상형 탈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수지 조성물로 제작한 러기지보드의 중량은 3700 내지 3800g이며, 사이즈는 세로 639 내지 892㎜이며, 가로 978 내지 1076㎜임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러기지보드 제작을 위한 수지 조성물{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러기지보드 제작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정된 수치 이하의 변위량을 갖는 러기지보드 제작을 위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헤드 라이너, 리어 쉘프, 러기지 트림 등에는 여러 종류의 플라스틱으로 된 시트 또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으로 된 시트를 사용한다.
그러나, 플라스틱 시트 또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 시트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무겁다는 단점을 갖고 있으며, 차음성과 단열성도 불량하다. 최근 고유가로 인해 자동차 업계에서 경량화 및 단열화된 부품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러한 단점에 대한 개선은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한편, 발포시트는 무게가 가볍고 차음성과 단열성이 양호한 재료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발포시트를 자동차용 기재로 적용하는 경우, 강도와 탄성율 등 기계적 물성이 불량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기계적 물성이 양호한 자동차용 복합기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305392호(발명의 명칭: 부직포를 이용한 자동차용 복합기재의 제조방법)는 (S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수지와 발포제를 포함하는 발포체 원료 조성물을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압출하여 압출시트를 제조한 다음, 상기 발포제를 발포시켜 발포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S2) 폴리프로필렌계 섬유들과 유리섬유들이 혼합된 부직포를 준비하는 단계 및 (S3) 상기 발포시트의 양면에 부직포를 적층하고 가열하여 열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복합기재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며, 특히 유리섬유의 함량은 부직포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6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305391호(발명의 명칭: 압출시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복합기재의 제조방법)는 S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수지와 발포제를 포함하는 발포체 원료 조성물을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압출하여 제1 압출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S2)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유리섬유들을 분산시킨 원료 조성물을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압출하여 제2 압출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S3) 상기 제1 압출시트의 양면에 제2 압출시트를 적층하고 가열하여 열접착시키는 단계 및 (S4) 상기 발포제를 발포시켜 제1 압출시트를 발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복합기재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며, 특히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부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러기지보드는 상온에서 80㎏의 힘을 24시간 가한 후 변위량이 10㎜ 이내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수지 조성물로 제작한 러기지보드보다 상대적으로 변위량이 작은 러기지보드를 제작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설정된 수치 이하의 변위량을 갖는 러지기보드를 제작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상대적으로 중량이 가벼우면서 설정된 수치 이하의 변위량을 갖는 러기지보드를 제작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차량용 러기지보드를 제작하는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PP)에 6 내지 8중량%이하의 에틸렌을 포함하며, 15중량%이하의 탈크 또는 5중량%이하의 침상형 탈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수지 조성물로 제작한 러기지보드의 중량은 3700 내지 3800g이며, 사이즈는 세로 639 내지 892㎜이며, 가로 978 내지 1076㎜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한 차량용 러기지보드는 상대적으로 중량이 가벼우면서 강도가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수지 조성물로 제작한 러지지 보드는 높은 하중에 의한 휨 현상이나 파손의 위험이 감소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러기지보드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실험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러기지보드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실험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러기지보드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실험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러기지보드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중앙이 있는 베이스부재 상단에 러기지보드를 안착시킨다. 이후 러지기보드의 중앙에 일정 중량을 갖는 추를 올려놓고, 24시간이 경과된 후 러기지보드가 얼마나 휘어졌는지 그 값을 측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에 사용 가능한 러기지보드의 변위량은 80㎏의 하중을 갖는 추를 24시간동안 올려놓은 후 러기지보드의 변위량을 측정한다. 또한, 실험 대상인 러지기보드의 두께는 15mm 내외이며, 세로 639 내지 892㎜이며, 가로 978 내지 1076㎜의 사이즈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러기지보드의 중량이 무거울수록 변위량은 작으나, 차량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서는 러기지보드의 중량 역시 작을수록 양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중량은 가벼우면서 변위량은 작은 러기지보드 및 러기지보드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안한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지와 에틸렌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제작한 러지기보드의 변위량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실험 대상 러지기보드의 두께는 15mm이며, 세로 639 내지 892㎜이며, 가로 978 내지 1076㎜이다. 또한 B310은 PP(폴리프로필렌)+에틸렌6 내지 8중량%가 함유된 수지조성물이며, B110은 PP로 구성된 수지조성물이다.
Figure 112013117499694-pat00001
표 1에 의하면 B310과 탈크만으로 러기지보드 제작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B310과 탈크 이외에 다른 첨가제가 첨가된 러지기 보드용 수지 조성물의 중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확인된다. 즉, B310과 탈크만으로 러기지보드용 수지 조성물은 설정된 변위량 이하의 변위량을 갖기 위해서는 최소 3815g의 중량이 요구된다.
하지만, B310과 탈크 이외에 B110과 위스크 탈크(침상형 탈크)를 첨가한 경우 3685g의 중량에서도 설정된 변위량 이하의 변위량을 갖는다. 물론 B310과 탈크 이외에 B110이 첨가된 경우에는 각 조성물의 중량%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최소 3700g의 중량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4)

  1. 차량용 러기지보드를 제작하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PP)에 6 내지 8중량%이하의 에틸렌을 포함하며, 15중량%이하의 탈크 및 5중량%이하의 침상형 탈크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크는 10 내지 15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탈크의 중량%는 상기 침상형 탈크의 중량%보다 상대적으로 큼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KR1020130161124A 2013-12-23 2013-12-23 러기지보드 제작을 위한 수지 조성물 KR101522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124A KR101522580B1 (ko) 2013-12-23 2013-12-23 러기지보드 제작을 위한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124A KR101522580B1 (ko) 2013-12-23 2013-12-23 러기지보드 제작을 위한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2580B1 true KR101522580B1 (ko) 2015-05-26

Family

ID=53395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124A KR101522580B1 (ko) 2013-12-23 2013-12-23 러기지보드 제작을 위한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5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899A (ko) * 2002-12-18 2004-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자동차 내장재용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07231136A (ja) * 2006-02-28 2007-09-13 Kyoraku Co Ltd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ならびにその組成物からなるブロー成形パネルおよびそのブロー成形パネルからなる自動車用デッキボード
JP5204480B2 (ja) * 2005-03-31 2013-06-05 キョーラク株式会社 自動車用内装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81487A (ko) * 2012-01-09 2013-07-17 영보화학 주식회사 압출시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복합기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899A (ko) * 2002-12-18 2004-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자동차 내장재용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5204480B2 (ja) * 2005-03-31 2013-06-05 キョーラク株式会社 自動車用内装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31136A (ja) * 2006-02-28 2007-09-13 Kyoraku Co Ltd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ならびにその組成物からなるブロー成形パネルおよびそのブロー成形パネルからなる自動車用デッキボード
KR20130081487A (ko) * 2012-01-09 2013-07-17 영보화학 주식회사 압출시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복합기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655B1 (ko) 탄소나노튜브 적용 발포 우레탄 폼을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
Patil et al. Compressive behavior of fly ash based 3D printed syntactic foam composite
WO2017110533A1 (ja) 構造体の製造方法
JP2013512804A5 (ko)
KR102291202B1 (ko) 발포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제품의 제조방법
US6680349B2 (en) Organohybrid-based damping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damping improver for damping material
JP2011256290A (ja) 芳香族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発泡体
KR101371848B1 (ko)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우레탄 발포조성물
KR101522580B1 (ko) 러기지보드 제작을 위한 수지 조성물
KR101421674B1 (ko) 자동차용 플로어 카페트
Brütting et al. A review on semi-crystalline polymer bead foams from stirring autoclave: Processing and properties
KR101989437B1 (ko) 파우더 슬러쉬 몰딩용 폴리염화비닐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JP6392657B2 (ja) 発泡粒子及び発泡成形体
KR102002987B1 (ko) 차량용 언더 커버
CN103804857A (zh) 热塑性聚酯弹性体组合物及其用途
KR20120040305A (ko) 자동차 내장재용 다층 구조물
KR101763242B1 (ko) 자동차 플로어 카페트용 폼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13229A (ko) 스킨층을 갖는 발포 수지 입자 및 이를 이용한 발포 수지 성형물
KR101529085B1 (ko) 문짝 선틀재
KR101574638B1 (ko) 자동차 플로어 카페트용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수지조성물과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3615A (ko) 차량 내장용 탄성 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EP4155046A1 (en) Foamed assembly
JP7340610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およびそれを形成する方法
KR20130044858A (ko) 에폭시계 발포수지를 이용한 고강도 경량화 폴리머 알로이 제조방법
WO2018131601A1 (ja) ポリプロピレン系発泡シートおよび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