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563B1 - 욕창 예방용 쿠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욕창 예방용 쿠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563B1
KR101522563B1 KR1020140001265A KR20140001265A KR101522563B1 KR 101522563 B1 KR101522563 B1 KR 101522563B1 KR 1020140001265 A KR1020140001265 A KR 1020140001265A KR 20140001265 A KR20140001265 A KR 20140001265A KR 101522563 B1 KR101522563 B1 KR 101522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ushion
plate film
film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현
Original Assignee
강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39536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2256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강승현 filed Critical 강승현
Priority to KR1020140001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15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odular blocks, or inserts, with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23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ut-outs or depressions in order to relieve the pressure on a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69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6Filling of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창 예방용 쿠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욕창 예방용 쿠션은 소정의 공기격자 모양의 공기격자식 셀(cell)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격자식 셀 내에 폴리우레탄 폼이 충전되어 형성되며, 일측의 공기주입부에 공기 조절용 밸브가 설치되는 상판 필름; 및 상기 상판 필름과 접합되는 하판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격자식 셀은, 상기 상판 필름의 표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완충 기능을 제공하되 이웃된 것끼리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완충 돌기부; 및 상기 다수의 완충 돌기부들을 이웃된 것끼리 연결하는 다수의 돌기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욕창 예방용 쿠션 및 그 제조방법{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욕창 예방용 쿠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셀(cell)이 찢어지거나 터지더라도 환자의 몸이 침상 등의 바닥에 강하게 부딪혀 충격을 받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욕창 예방용 쿠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욕창(bedsore)이란 병상에 오래 누워 있는 환자의 등, 허리, 어깨, 팔꿈치가 바닥면과 접촉되어 생기는 피부 상해를 가리킨다.
욕창은 오랫동안 병상에 있어서 쇠약해진 환자나 뇌척수신경의 장애로 체위를 자유롭게 바꿀 수 없는 환자에게서 볼 수 있으며, 체중으로 압박받는 부위, 특히 뼈가 드러난 곳에서 생기기 쉽다. 부목(副木)이나 깁스에 압박받아 욕창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압박된 부분의 피부는 혈행이 나빠지기 때문에 처음에는 창백해지고, 주위가 붉어져 압통이 생기게 되며, 나중에는 수포(물집)가 생기고 더 진행하면 거무스름해지며 괴저(壞疽)를 일으킨 부분은 탈락하고, 궤양을 형성하여 악취가 나는 분비물이 나오게 된다.
심해진 욕창은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욕창이 생기지 않도록 평소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욕창을 예방하려면 환자의 몸을 자주 닦아 주어 언제나 깨끗이 해야 한다. 초기에 피부가 붉어졌을 때는 반드시 체위를 바꾸어야 하며, 또한 환부에 도넛 모양의 똬리 등을 대어 압박받지 않도록 연구하고, 가볍게 마사지를 하여 혈행을 촉진시킬 필요가 있다. 만약, 궤양화된 경우는 국소를 끊임없이 깨끗이 하고 살균제가 든 연고를 바른다.
특히, 욕창을 예방하려면 하루에 몇 번씩 환자의 체위를 바꿔주어야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이때 사용되는 침구는 풀을 먹이지 않은 부드러운 것을 쓰며, 이불이나 쿠션 등은 가벼우면서도 일정한 완충이 있는 것으로 사용해야 한다.
이렇듯 환자에게 있어 욕창은 대단히 위험한 피부 상해이기 때문에 환자가 사용하는 쿠션 역시, 이를 예방하기 위한 것들을 사용하게 된다.
현재, 시중에는 욕창 예방을 위한 다양한 쿠션들이 판매되고 있고, 또한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3-000549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03318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13830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127793호 등의 특허 문헌에도 다양한 형태의 욕창 예방용 쿠션이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현재까지 알려지고 있는 욕창 예방용 쿠션의 경우, 그 대부분이 물놀이 때 사용되는 공기 주입 튜브(tube) 형태의 구조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파손에 따른 환자의 충격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부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욕창 예방용 쿠션은 볼록볼록한 다수의 셀(cell)을 구비하는 구조를 가지며, 공기 펌프를 사용하여 적정한 압력이 될 때까지 모든 셀(cell)에 공기를 주입한 후, 공기주입구를 막고 사용하게 되는데, 만약 셀이 찢어지거나 터졌을 때는 셀을 지지하는 수단이 없어 환자의 몸이 침상 등의 바닥에 강하게 부딪혀 충격을 받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기술에 따른 욕창 예방용 쿠션의 경우, 공기의 주입을 위해서는 반드시 공기 펌프가 필요하기 때문에 공기 펌프의 보관상 문제와 더불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으므로 새롭고 진보적인 욕창 예방용 쿠션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3-000549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03318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13830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12779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셀(cell)이 찢어지거나 터지더라도 환자의 몸이 침상 등의 바닥에 강하게 부딪혀 충격을 받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욕창 예방용 쿠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소정의 공기격자 모양의 공기격자식 셀(cell)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격자식 셀 내에 폴리우레탄 폼이 충전되어 형성되며, 일측의 공기주입부에 공기 조절용 밸브가 설치되는 상판 필름; 및 상기 상판 필름과 접합되는 하판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격자식 셀은, 상기 상판 필름의 표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완충 기능을 제공하되 이웃된 것끼리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완충 돌기부; 및 상기 다수의 완충 돌기부들을 이웃된 것끼리 연결하는 다수의 돌기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예방용 쿠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상판 필름과 상기 하판 필름은 모두가 TPU(열가소성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완충 돌기부의 돌출 높이가 상기 돌기 연결부의 돌출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판 필름보다 상기 하판 필름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폼은 상기 완충 돌기부와 상기 돌기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완충 돌기부와 상기 돌기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면에는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항균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TPU(열가소성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적용되는 상판 필름과 하판 필름을 준비하는 필름 준비단계; 상기 상판 필름에 소정의 공기격자 모양의 공기격자식 셀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 필름을 성형하는 상판 필름 성형단계; 상기 공기격자식 셀이 형성된 상판 필름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주입부를 가공하는 공기주입부 가공단계; 상기 상판 필름의 공기격자식 셀 내에 폴리우레탄 폼을 충전하는 폴리우레탄 폼 충전단계; 상기 폴리우레탄 폼이 충전된 상기 상판 필름과 상기 하판 필름을 접합시키는 필름 접합단계; 및 상기 공기주입부에 공기 조절용 밸브를 설치하는 공기 조절용 밸브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예방용 쿠션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공기격자식 셀은, 상기 상판 필름의 표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완충 기능을 제공하되 이웃된 것끼리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완충 돌기부; 및 상기 다수의 완충 돌기부들을 이웃된 것끼리 연결하는 다수의 돌기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완충 돌기부의 돌출 높이가 상기 돌기 연결부의 돌출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판 필름보다 상기 하판 필름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셀(cell)이 찢어지거나 터지더라도 환자의 몸이 침상 등의 바닥에 강하게 부딪혀 충격을 받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체 복원력으로 인해 공기 펌프 없이도 공기의 자동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으며, 특히, 종전보다 적정한 압력으로 공기량을 자동 조절할 수 있어 환자의 체형과 몸무게에 따라 가장 효과적으로 완충 기능을 제공하여 욕창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용 쿠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욕창 예방용 쿠션을 제조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욕창 예방용 쿠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용 쿠션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용 쿠션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용 쿠션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용 쿠션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4 내지 도 9는 욕창 예방용 쿠션을 제조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그리고 도 10은 욕창 예방용 쿠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용 쿠션(100)은 공기격자식 셀(cell, 121,122)이 찢어지거나 터지더라도 환자의 몸이 침상 등의 바닥에 강하게 부딪혀 충격을 받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호 접합되는 상판 필름(110)과 하판 필름(1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판 필름(110)과 하판 필름(130) 모두는 TPU(열가소성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열가소성폴리우레탄(TPU ; Thermoplastic Polyurethane)은 폴리우레탄(PU)의 한 종류이다.
폴리우레탄은 소재의 특성상 반응이 끝나면 제품화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염화비닐, 프로필렌 같은 다른 플라스틱 소재처럼 다시 녹여 사용하기 어렵고 열을 가하면 녹지 않고 타게 된다.
이와 같은 폴리우레탄의 단점을 보완하여 여러 번 녹여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열가소성폴리우레탄인데, 아래와 같은 다양한 장점을 갖는다.
열가소성폴리우레탄은 다양한 경도 변화가 가능하며, 충격, 마찰, 절단, 찢김에 탁월하다. 마찰 마모에서 스틸(steel)과 고무(rubber)에 비해 월등히 높다.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가 우수하고, 유연성 및 형상 기억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흡음 및 진동 흡수력이 우수하여 다양한 기능 제품에 적용되기에 충분하다.
이와 같이 우수한 소재인 열가소성폴리우레탄을 상판 필름(110)과 하판 필름(130)으로 적용함으로써, 위의 다양한 기능들, 특히 충격, 마찰, 절단, 찢김에 탁월할 뿐만 아니라 흡음 및 진동 흡수력이 우수한 욕창 예방용 쿠션(100)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상판 필름(110)과 하판 필름(130)이 충격, 마찰, 절단, 찢김에 탁월한 열가소성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되기는 하지만 반복 사용 시 찢어지거나 터질 수 있는데, 특히 공기격자식 셀(121,122) 부분이 찢어지거나 터질 수 있는데, 그렇다 하더라도 본 실시예의 욕창 예방용 쿠션(100)은 종전과 다른 구조적인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환자의 몸이 침상 등의 바닥에 강하게 부딪혀 충격을 받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상판 필름(110)은 표면에 공기격자 모양의 공기격자식 셀(121,1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판 필름(110)의 일측에는 공기주입부(110a)가 형성되는데, 추후 공기주입부(110a)에는 공기 조절용 밸브(140)가 설치된다.
공기격자식 셀(121,122)은 상판 필름(110)의 표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완충 기능을 제공하되 이웃된 것끼리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완충 돌기부(121)와, 다수의 완충 돌기부(121)들을 이웃된 것끼리 연결하는 다수의 돌기 연결부(122)를 포함한다.
이때, 완충 돌기부(121)를 중심으로 하여 돌기 연결부(122)들의 폭은 모두가 동일할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완충 돌기부(121)의 돌출 높이가 돌기 연결부(122)의 돌출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이는 완충 돌기부(121)가 넓은 면적을 형성하고, 실질적으로 환자의 하중을 균등하게 완충 가능하게 지지하기 때문이다.
공기격자식 셀(121,122) 내에 폴리우레탄 폼이 충전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폴리우레탄 폼은 완충 돌기부(121)와 돌기 연결부(122) 모두에 충전된다.
공기격자식 셀(121,122) 내에 충전되는 폴리우레탄 폼은 자충매트의 원리를 이용한 발포폼인데, 압축하거나 접어두면서 공기 조절용 밸브(140)를 닫으면 작은 부피를 유지하지만 공기 조절용 밸브(140)를 여는 순간 공기가 자동으로 들어가 원래의 부피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포폼으로서의 폴리우레탄 폼이 공기격자식 셀(121,122) 내에 충전되기 때문에 설사 공기격자식 셀(121,122)이 찢어지거나 터지더라도 사용자의 몸을 지지해 아래바닥과 부딪히는 충격을 완화시켜준다.
뿐만 아니라 폴리우레탄 폼의 자체 복원력으로 인해 종전처럼 공기 펌프 없이 공기가 자동으로 충전될 수 있으며, 공기격자식 셀(121,122)들 간의 공기 유동 속도가 높지 않아 적정 공기압을 유지하거나 조절하기가 매우 용이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공기격자식 셀(121,122)들이 형성되는 상판 필름(110)과 달리 하판 필름(130)은 단순 평평한 플레이트 타입으로 마련되며, 상판 필름(110)과 접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용이한 성형과 안정적인 지지력 확보를 위해 상판 필름(110)보다 하판 필름(130)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용 쿠션(100)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4처럼 TPU(열가소성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적용되는 상판 필름(110)과 하판 필름(130)을 준비한다(S11).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상판 필름(110)보다 하판 필름(130)의 두께가 더 두꺼운 것을 선택한다.
다음, 도 5처럼 상판 필름(110)에 소정의 공기격자 모양의 공기격자식 셀(121,122)이 형성되도록 상판 필름(110)을 성형한다(S12). 상판 필름(110)의 성형은 별도의 성형기를 이용한다.
상판 필름(110)이 성형되고 나면 도 6처럼 공기격자식 셀(121,122)이 형성된 상판 필름(110)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주입부(110a)를 가공한다(S13).
욕창 예방용 쿠션(100)의 사이즈가 큰 경우, 공기주입부(110a)를 다수 개 형성시키는 것이 사용상 유리할 수 있는데, 욕창 예방용 쿠션(100)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는 한 개의 공기주입부(110a)를 형성해도 무방하다.
다음, 별도의 충전기를 이용하여 도 7처럼 상판 필름(110)의 공기격자식 셀(121,122) 내에 폴리우레탄 폼을 충전한다(S14).
폴리우레탄 폼의 충전이 완료되면, 도 8처럼 폴리우레탄 폼이 충전된 상기 상판 필름(110)과 상기 하판 필름(130)을 접합시킨다(S15).
그런 다음, 도 9처럼 공기주입부(110a)에 공기 조절용 밸브(140)를 설치한다(S16). 공기 조절용 밸브(140)의 본체는 황동 재질로 제작하면서 별도의 플라스틱 마개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공기 조절용 밸브(140)를 설치할 수 있는데, 공기 조절용 밸브(140)의 설치가 완료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용 쿠션(100)의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용 쿠션(100)에 따르면, 공기격자식 셀(121,122)이 찢어지거나 터지더라도 환자의 몸이 침상 등의 바닥에 강하게 부딪혀 충격을 받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용 쿠션(100)에 따르면, 자체 복원력으로 인해 공기 펌프 없이도 공기의 자동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으며, 특히, 종전보다 적정한 압력으로 공기량을 자동 조절할 수 있어 환자의 체형과 몸무게에 따라 가장 효과적으로 완충 기능을 제공하여 욕창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용 쿠션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욕창 예방용 쿠션(200) 역시, 상호 접합되는 상판 필름(210)과 하판 필름(230)을 포함하며, 상판 필름(210)에 공기격자식 셀(221,222)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본 실시예의 욕창 예방용 쿠션(200)에는 폴리우레탄 폼이 완충 돌기부(221) 측에만 충전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욕창 예방용 쿠션(200)이 적용되더라도 공기격자식 셀(221,222)이 찢어지거나 터지더라도 환자의 몸이 침상 등의 바닥에 강하게 부딪혀 충격을 받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체 복원력으로 인해 공기 펌프 없이도 공기의 자동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으며, 특히, 종전보다 적정한 압력으로 공기량을 자동 조절할 수 있어 환자의 체형과 몸무게에 따라 가장 효과적으로 완충 기능을 제공하여 욕창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용 쿠션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욕창 예방용 쿠션(300) 역시, 상호 접합되는 상판 필름(310)과 하판 필름(330)을 포함하며, 상판 필름(310)에 공기격자식 셀(321,322)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본 실시예의 욕창 예방용 쿠션(300)에서 완충 돌기부(321)와 돌기 연결부(322)의 내면에는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항균재(325)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항균재(325)는 완충 돌기부(321)와 돌기 연결부(322)의 내면 모두에 마련되나 어느 일측에만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항균재(325)가 마련되는 경우, 공기가 폴리우레탄 폼으로 들고 나는 과정에서 폴리우레탄 폼이 오염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항균재(325)는 완충 돌기부(321)와 돌기 연결부(322)의 내면에 부착되는 시트 타입일 수도 있고, 아니면 완충 돌기부(321)와 돌기 연결부(322)의 내면에 도포되는 액상 혹은 젤 타입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욕창 예방용 쿠션(300)이 적용되더라도 공기격자식 셀(321,322)이 찢어지거나 터지더라도 환자의 몸이 침상 등의 바닥에 강하게 부딪혀 충격을 받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체 복원력으로 인해 공기 펌프 없이도 공기의 자동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으며, 특히, 종전보다 적정한 압력으로 공기량을 자동 조절할 수 있어 환자의 체형과 몸무게에 따라 가장 효과적으로 완충 기능을 제공하여 욕창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용 쿠션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욕창 예방용 쿠션(400) 역시, 상호 접합되는 상판 필름(410)과 하판 필름(430)을 포함하며, 상판 필름(410)에 공기격자식 셀(421,422)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본 실시예의 욕창 예방용 쿠션(400)에서 완충 돌기부(421)의 표면에는 내부에 공기가 들어 있는 다수의 엠보돌기(425)가 더 형성된다. 이처럼 완충 돌기부(421)의 표면에 다수의 엠보돌기(425)가 더 형성될 경우, 다수의 엠보돌기(425)로 인해 지압의 효과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욕창 예방용 쿠션(400)이 적용되더라도 공기격자식 셀(421,422)이 찢어지거나 터지더라도 환자의 몸이 침상 등의 바닥에 강하게 부딪혀 충격을 받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체 복원력으로 인해 공기 펌프 없이도 공기의 자동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으며, 특히, 종전보다 적정한 압력으로 공기량을 자동 조절할 수 있어 환자의 체형과 몸무게에 따라 가장 효과적으로 완충 기능을 제공하여 욕창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400 : 욕창 예방용 쿠션 110 : 상판 필름
110a : 공기주입부 121 : 완충 돌기부
122 : 돌기 연결부 130 : 하판 필름
140 : 공기 조절용 밸브

Claims (6)

  1. 하판 필름; 및
    상기 하판 필름의 상부에 접합되되, 상기 하판 필름 상부에 일정한 형태의 공기격자식 셀(cell)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격자식 셀 내에 폴리우레탄 폼이 충전되어 형성되며, 일측의 공기주입부에 공기 조절용 밸브가 설치되는 상판 필름; 을 포함하되,
    상기 공기격자식 셀은 상부로 돌출 형성되도록 상기 하판 필름과 상기 상판 필름 사이로 상기 폴리우레탄 폼이 충전되어 완충 기능을 제공하되, 이웃된 것끼리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완충 돌기부와, 상기 다수의 완충 돌기부들을 이웃된 것끼리 서로 연결하고 상기 완충 돌기부의 돌출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다수의 돌기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 필름은 안정적인 지지력 확보를 위해 상기 상판 필름보다 더 두껍게 형성하되, 상기 상판 필름과 상기 하판 필름은 각각 TPU(열가소성폴리우레탄) 필름으로 형성하고,
    상기 완충 돌기부와 상기 돌기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면에는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항균재가 더 배치되고, 상기 완충 돌기부의 표면에는 다수의 엠보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예방용 쿠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001265A 2014-01-06 2014-01-06 욕창 예방용 쿠션 및 그 제조방법 KR101522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265A KR101522563B1 (ko) 2014-01-06 2014-01-06 욕창 예방용 쿠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265A KR101522563B1 (ko) 2014-01-06 2014-01-06 욕창 예방용 쿠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2563B1 true KR101522563B1 (ko) 2015-05-26

Family

ID=53395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265A KR101522563B1 (ko) 2014-01-06 2014-01-06 욕창 예방용 쿠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56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716B1 (ko) * 2015-09-22 2017-03-20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욕창 예방용 쿠션
KR101761157B1 (ko) * 2016-03-14 2017-07-25 김치하 체압 분산 매트
KR20170111264A (ko) * 2016-03-25 2017-10-12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체압 분산 매트리스
KR101790620B1 (ko) * 2015-10-21 2017-10-26 주식회사 우레나 에어셀을 포함하는 침구류용 쿠션
GB2577323A (en) * 2018-09-24 2020-03-25 The Helping Hand Company Ledbury Ltd Segmented foam cushion
KR20220102318A (ko) 2021-01-13 2022-07-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압이 조절되는 팔꿈치 보호대 및 발 뒤꿈치 보호대
KR102596338B1 (ko) * 2022-12-29 2023-10-31 키핀 주식회사 욕창방지방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759A (ja) * 1999-09-30 2001-06-19 Matsumoto Giken Kk 床ずれ防止エアマット
KR20040020697A (ko) * 2002-09-02 2004-03-09 전영식 이중 쿠션 매트릭스
JP2004113309A (ja) * 2002-08-23 2004-04-15 Jen-Hsiu Tsai 組立式エアマット
KR20050029577A (ko) * 2003-09-23 2005-03-28 주식회사 순강 건강매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759A (ja) * 1999-09-30 2001-06-19 Matsumoto Giken Kk 床ずれ防止エアマット
JP2004113309A (ja) * 2002-08-23 2004-04-15 Jen-Hsiu Tsai 組立式エアマット
KR20040020697A (ko) * 2002-09-02 2004-03-09 전영식 이중 쿠션 매트릭스
KR20050029577A (ko) * 2003-09-23 2005-03-28 주식회사 순강 건강매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716B1 (ko) * 2015-09-22 2017-03-20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욕창 예방용 쿠션
KR101790620B1 (ko) * 2015-10-21 2017-10-26 주식회사 우레나 에어셀을 포함하는 침구류용 쿠션
KR101761157B1 (ko) * 2016-03-14 2017-07-25 김치하 체압 분산 매트
KR20170111264A (ko) * 2016-03-25 2017-10-12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체압 분산 매트리스
KR101992262B1 (ko) * 2016-03-25 2019-06-25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체압 분산 매트리스
GB2577323A (en) * 2018-09-24 2020-03-25 The Helping Hand Company Ledbury Ltd Segmented foam cushion
GB2577323B (en) * 2018-09-24 2022-08-10 The Helping Hand Company Ledbury Ltd Segmented foam cushion
KR20220102318A (ko) 2021-01-13 2022-07-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압이 조절되는 팔꿈치 보호대 및 발 뒤꿈치 보호대
KR20230110689A (ko) 2021-01-13 2023-07-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압이 조절되는 발 뒤꿈치 보호대
KR102596338B1 (ko) * 2022-12-29 2023-10-31 키핀 주식회사 욕창방지방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563B1 (ko) 욕창 예방용 쿠션 및 그 제조방법
CA2648272C (en) Mattress or mattress pad with gel section
KR101717716B1 (ko) 욕창 예방용 쿠션
KR101992262B1 (ko) 체압 분산 매트리스
US6159574A (en) Laminated visco-elastic support
US7716766B2 (en) Therapeutic mattress
US8025964B2 (en) Laminated visco-elastic support
US8668977B2 (en) Support structures and methods
CA2781365C (en) Cushioning device for large animals
TW201907833A (zh) 床墊構造體
JP5573806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0467315Y1 (ko) 층간소음방지용 슈즈
KR101252721B1 (ko) 이중구조 에어볼을 이용한 매트리스
KR20100024109A (ko) 충격 감소 부재
KR20180070424A (ko) 욕창방지용 2중 쿠션 에어셀
KR20160004011U (ko) 욕창 예방 방석
KR101761157B1 (ko) 체압 분산 매트
JP3569517B2 (ja) 除圧マットレスカバー
JP2015188624A (ja) 吸収性物品
GB2413487A (en) Patient support structures
JP2004065284A (ja) 褥瘡予防用エアクッションおよび褥瘡予防用エアクッションを備えたおむつ
JPH0246341Y2 (ko)
KR20060031326A (ko) 욕창방지용 방석 및 그 제조방법
WO2019098818A1 (es) Colchón multicapa
JPH0549525A (ja) ウオーターベツ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5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6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066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00302

Effective date: 2020052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066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302

Effective date: 2020052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1504;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00515

Effective date: 20200624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5399;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00813

Effective date: 2021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