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338B1 - 욕창방지방석 - Google Patents

욕창방지방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338B1
KR102596338B1 KR1020220189717A KR20220189717A KR102596338B1 KR 102596338 B1 KR102596338 B1 KR 102596338B1 KR 1020220189717 A KR1020220189717 A KR 1020220189717A KR 20220189717 A KR20220189717 A KR 20220189717A KR 102596338 B1 KR102596338 B1 KR 102596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ushion
space forming
cushion layer
form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9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비
Original Assignee
키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키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89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15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odular blocks, or inserts, with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0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tegral, body-bearing projections or protuber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23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ut-outs or depressions in order to relieve the pressure on a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Abstract

본 발명의 일정한 탄성을 갖는 쿠션층과 상기 쿠션층의 하측에 위치하면서 쿠션층이 접촉되는 지지부의 일측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공간형성층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쿠션층과 공간형성층은 접합수단을 통하여 수직방향에서 위치결정토록 설치되어 체압을 분산토록 하는 욕창방지방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욕창방지방석{THE CUSHION WHICH PREVENTING BEDSORE}
본 발명의 일정한 탄성을 갖는 쿠션층과 상기 쿠션층의 하측에 위치하면서 쿠션층이 접촉되는 지지부의 일측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공간형성층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쿠션층과 공간형성층은 접합수단을 통하여 수직방향에서 위치결정토록 설치되어 체압을 분산토록 하는 욕창방지방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경조직이 손상되거나, 노화에 의하여 감각기관이 퇴화되었고 침상 및 좌식생활이 많은 장애인, 노인, 수술 전후 환자, 당뇨환자들의 경우 장시간 동일한 체위로 있어도 압력을 받는 곳에 불쾌감을 느끼지 못하며, 불쾌감을 느낀다 해도 환자 자신이 체위를 바꿀 기력이 없기 때문에 압력에 의한 손상을 입는 압박궤양인 욕창이 빈번히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욕창은 뼈가 돌출되어 있는 신체부위에 몸무게에 의해 가해지는 계속적인 압박 및 신체부위와 접촉면과의 전단력에 의해 혈액순환이 잘 안 되어 조직이 죽게 됨으로써 발병될 수 있다.
또한, 욕창예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위험인자 및 원인 발생 억제, 말초혈관의 혈액 순환장애를 초래하는 최소압력이하로 피부표면의 압력을 유지하여야 한다.
더하여, 피부표면의 압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욕창예방용 시트쿠션이 이용되고 있으며, 욕창예방용 시트쿠션은 피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대한 넓은 부위에 등압력으로 분포하도록 하여 욕창을 예방한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 종래의 특허 제386373호에 욕창방지용 방석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방석(1)은, 공기가 충진되어 적정한 부피를 유지하는 다수개의 에어셀(3)과, 상기 다수개의 에어셀(3)이 각각 접착되는 다수개의 결합홈(2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측판(2)과, 상기 상측판(2)과 접착되어 상기 에어셀(3) 각변에 공기통로(5)를 형성한 하측판(4)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에어셀(3)은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비례하여 하중의 분산이 용이하도록 다수개로 구성하고, 공기주입구(7)를 통하여 충분히 주입된 공기를 에어셀의 내부(3a)에 충전시켜 적절한 부피 유지와 완충작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상측판(2)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다수개의 결합홈(2a)에 상기 에어셀(3)을 고주파 접착방식으로 각각 접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석은, 공기주입구(7)를 통하여 주입된 공기를 에어셀의 내부(3a)에 충전시키는 구성으로 지면에 놓여질 때 접촉되는 피부에 일정한 압력을 형성함으로써 피부에 전해지는 압력을 제거하지 못하여 욕창의 예방효과를 저하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시마다 에어셀에 일정한 압력을 제공토록 하여 그 사용이 불편하게 되고, 정형화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용도에 적용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속적인 압박에 의한 욕창을 최소화 하도록 하며, 체압의 분산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 무게중심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쏠림을 방지하여 자세의 안정적 유지가 가능토록 하며, 변형이 용이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욕창방지방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한 탄성을 갖는 쿠션층과 상기 쿠션층의 하측에 위치하면서 쿠션층에 접촉되는 지지부의 일측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공간형성층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쿠션층과 공간형성층은 접합수단을 통하여 위치결정토록 설치되는 욕창방지방석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접합수단은, 접촉부에 구비되는 메직테입, 쿠션층과 공간형성층이 수납되는 커버, 미끄럼방지부재, 후크중에서 선택되는 욕창방지방석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공간형성층은, 공간을 형성하도록 둘레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의 적층구조/ 지지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구성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중에서 선택되는 욕창방지방석을 제공한다.
더하여, 상기 공간형성층은, 지지블럭 또는 지지부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단위블럭의 연결구조로 이루어지며, 쿠션층 또는 지지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접합수단을 통하여 위치결정토록 설치되는 욕창방지방석을 제공한다.
계속하여, 상기 공간형성층은, 쿠션층이 적층되는 지지부 또는 지지블럭의 적어도 일측에 공간을 외부와 연결하는 연결홀이 일체로 구비되는 욕창방지방석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속적인 압박에 의한 욕창을 최소화 하며, 체압의 분산성능을 개선하고, 무게중심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쏠림을 방지하여 자세의 안정적 유지가 가능하며, 변형이 용이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욕창방지용 방석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욕창방지 방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창방지 방석의 분해상태도 및 적용상태도이다.
도5 내지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욕창방지 방석의 분해도와 결합상태도 및 적용상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석의 병변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창방지 방석의 결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9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욕창방지용 방석(100)은, 일정한 탄성을 갖는 쿠션층(110)과 상기 쿠션층의 하측에 위치하면서 쿠션층에 접촉되는 지지부(131)의 일측에 공간(133)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공간형성층(130)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쿠션층(110)과 공간형성층(130)은 접합수단(150)을 통하여 수직방향에서 틀어짐이 없이 위치결정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쿠션층(110)은, 상부에 분할되는 에어포켓이나 졸이나 겔상 탄성돌기를 갖는 분산체(111)가 하부에 접촉부(115)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합수단(150)은, 접촉부(115) 또는 지지부(131)에 구비되는 메직테입(151), 쿠션층과 공간형성층이 수납되는 커버(153), 마찰력을 부여하는 미끄럼방지부재(미도시), 후크(단추:미도시) 중에서 선택된다.
또한, 상기 공간형성층(130)은, 지지부(131)의 내경측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도록 하거나 일정깊이로 함몰하는 구성으로 공간(133)을 형성하는 단일체로 이루어져도 좋다.
더하여, 상기 공간형성층(130)은, 지지부(131)을 형성하도록 분할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블럭(132)과 상기 지지블럭이 접합토록 그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134)의 적층 연결구조로 이루어져도 좋다.
이때, 상기 공간형성층(130)은, 지지블럭 또는 지지부가 다양한 형상을 구비하면서 상호 분리가능토록 연결되는 단위블럭의 연결구조로 이루어지며, 지지블럭 또는 지지플레이트에 상호 대응토록 설치되는 접합수단(150)을 통하여 수직방향에서 위치결정되어 움직임 없이 고정토록 설치된다.
계속하여, 상기 공간형성층(130)은, 지지부 또는 지지블럭의 적어도 일측에 공간(133)을 외부와 연결하는 연결홀(139)이 일체로 구비되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쿠션층의 재질은,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수지 발포체, 스펀지, 겔 또는 졸, 우레탄, 실리콘등 선택되는 하나인 탄성체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체는 전체가 덩어리로 이루어져도 좋으며 덩어리의 외측에 커버가 더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또한, 상기 공간형성층의 재질은, 변형이 최소화 되는 탄성체 재질로 이루어져 착좌자의 하중에 상관없이 공간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체압을 용이하게 분산토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9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욕창방지방석(100)은, 일정한 탄성을 갖는 쿠션층(110)과 상기 쿠션층의 하측에 위치하면서 쿠션층에 접촉되는 지지부(131)의 내측에 함몰되는 공간(133)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공간형성층(130)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환자가 사용시 돌출되는 지지부(131)에 의해 체압을 지지토록 할 때 그 내측에서 함몰되는 공간에 의해 체압의 집중을 방지하여 욕창을 방지하게 된다.
즉, 본원발명은 도8과 같이 욕창이 발생되는 주요부위의 둘레에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부(131)를 형성함으로써 그 내측에 위치하는 공간(133)이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여 압력집중에 의한 욕창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체압분산용 공간(133)을 형성하는 공간형성층(130)은 도3과 같이 정형화되어 형성되어도 좋으며, 도5와 같이 복수개로 분할 설치되는 지지블럭(132)이 도8과 같이 욕창의 발생위치에 대응토록 지지플레이트(134)의 일정위치에 다양한 형상으로 접합되어 공간을 형성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쿠션층(110)과 공간형성층(130)은 접합수단(150)을 통하여 수직방향에서 틀어짐이 없이 위치결정토록 되어 원하는 위치에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쿠션층(110)은, 상부에 분할되는 에어포켓이나 졸이나 겔상 탄성돌기를 갖는 분산체(111)가 형성되어 환자로 부터의 하중을 용이하게 흡수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쿠션층(110)은, 에어포켓의 경우 외부에서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을 통하여 공기압이 조절토록 되어도 좋다.
이때, 상기 쿠션층(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접촉부(115)에는 접합수단(150)이 일체로 구비되어 그 하부의 공간형성층(130)과 일체로 접합토록 되고, 상기 쿠션층 역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쿠션층과 공간형성층이 메직테입등의 접합수단을 통하여 위치결정되면서 별도의 커버로 이루어진 접합수단이 불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합수단(150)은, 도5와 같이 접촉부(115)와 지지부(131)에 구비되는 메직테입(151)으로 이루어져 부착 및 탈착이 가능토록 되고, 도4와 같이 쿠션층과 공간형성층이 적층되는 상태로 수납되는 커버(153)로 이루어져 수납시 위치결정토록 된다.
또한, 상기 공간형성층(130)은, 도3과 같이 지지부(131)의 내경측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거나 일정깊이로 함몰하는 구성으로 공간(133)을 형성하는 단일체로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욕창의 발생부위에 대응하여 적용가능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공간형성층(130)은, 지지부(131)을 형성하도록 분할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블럭(132)과 상기 지지블럭이 접합토록 그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134)의 연결구조로 이루어져 원하능 임의의 위치에 지지블럭(132)을 접합하여 원하는 공간형성층의 형상을 구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간형성층(130) 역시 접합수단(150)을 통하여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결정토록 된다.
계속하여, 상기 공간형성층(130)은, 지지부 또는 지지블럭의 적어도 일측에 공간(133)을 외부와 연결하도록 하나 이상의 연결홀(139)이 일체로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쿠션층의 재질은,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수지 발포체, 스펀지, 겔 또는 졸, 우레탄, 실리콘등 선택되는 하나인 탄성체 재질로 이루어져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간형성층의 재질은, 변형이 최소화 되는 탄성체 재질로 이루어져 착좌자의 하중에 상관없이 공간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체압을 용이하게 분산시키게 되는 것이다.
100...방석 110...쿠션층
130...공간형성층 132...지지블럭
133...공간 139...연결홀
150...접합수단

Claims (5)

  1. 일정한 탄성을 갖는 쿠션층과
    상기 쿠션층의 하측에 위치하면서 쿠션층이 접촉되는 지지부의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공간형성층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쿠션층과 공간형성층은, 접합수단을 통하여 수직방향에서 위치결정토록 설치되며,
    상기 공간형성층은, 공간을 형성토록 상호 연결토록 지지플레이트의 상측에 접합수단을 통하여 위치결정토록 접합되는 복수의 지지블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합수단은, 대응되는 접촉부에 구비되는 메직테입으로 이루어지는 욕창방지방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층은, 지지부의 내경측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구성/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구성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중에서 선택되어 쿠션층의 하측에 접합수단을 통하여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방석.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층은, 지지부 또는 지지블럭의 적어도 일측에 공간을 외부와 연결하는 연결홀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방석.
KR1020220189717A 2022-12-29 2022-12-29 욕창방지방석 KR102596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9717A KR102596338B1 (ko) 2022-12-29 2022-12-29 욕창방지방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9717A KR102596338B1 (ko) 2022-12-29 2022-12-29 욕창방지방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338B1 true KR102596338B1 (ko) 2023-10-31

Family

ID=88543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9717A KR102596338B1 (ko) 2022-12-29 2022-12-29 욕창방지방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33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067A (ko) * 2004-11-23 2006-05-26 황금복 로테이션 몰딩에 의해 성형되는 욕창방지방석 및 그욕창방지방석의 제조방법
KR101522563B1 (ko) * 2014-01-06 2015-05-26 강승현 욕창 예방용 쿠션 및 그 제조방법
KR101714982B1 (ko) * 2016-08-25 2017-03-09 조영숙 국소 신체압력 분산 기구
KR101717716B1 (ko) * 2015-09-22 2017-03-20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욕창 예방용 쿠션
KR20170111264A (ko) * 2016-03-25 2017-10-12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체압 분산 매트리스
KR20190111576A (ko) * 2018-03-23 2019-10-02 대양의료기(주) 욕창 방지 방석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067A (ko) * 2004-11-23 2006-05-26 황금복 로테이션 몰딩에 의해 성형되는 욕창방지방석 및 그욕창방지방석의 제조방법
KR101522563B1 (ko) * 2014-01-06 2015-05-26 강승현 욕창 예방용 쿠션 및 그 제조방법
KR101717716B1 (ko) * 2015-09-22 2017-03-20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욕창 예방용 쿠션
KR20170111264A (ko) * 2016-03-25 2017-10-12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체압 분산 매트리스
KR101714982B1 (ko) * 2016-08-25 2017-03-09 조영숙 국소 신체압력 분산 기구
KR20190111576A (ko) * 2018-03-23 2019-10-02 대양의료기(주) 욕창 방지 방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5830B2 (en) Wheelchair cushion
KR100645658B1 (ko) 신체지지 시스템 및 이에 따른 에너지 소실 시스템
US5836654A (en) Wheelchair seat assembly with contoured seat pan and cushion and method
US5893184A (en) Pressure reducing backrest cushion with selective pressure point relief
US7509698B2 (en) Therapeutic mattress
AU694297B2 (en) Modular cushion construction with detachable pommel
CA2592512C (en) Multi-layer cushion and cover
US5282286A (en) Sealed composite cushion having multiple indentation force deflection zones
CA2922187C (en) Cushioning structures for body parts
US6739008B1 (en) Variable density therapeutic cushion
US7614704B2 (en) Wheelchair seat cushion
US6502263B1 (en) Seat cushion and positioning assembly including inflatable air cell pressure compensation insert
JP2000511441A (ja) 定常圧力座席システム
TW201907833A (zh) 床墊構造體
KR102596338B1 (ko) 욕창방지방석
JP2002223901A (ja) ベッド用マットレス
KR20160004011U (ko) 욕창 예방 방석
CN217245352U (zh) 一种保健理疗复合型可调节枕
JP2014223264A (ja) エアセル本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エアマットレス
JP2003019152A (ja) 紙おむつ用褥瘡予防シールおよび車椅子用及び携帯用クッション
GB2424182A (en) Person Suppor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