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067B1 -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067B1
KR101522067B1 KR1020117015528A KR20117015528A KR101522067B1 KR 101522067 B1 KR101522067 B1 KR 101522067B1 KR 1020117015528 A KR1020117015528 A KR 1020117015528A KR 20117015528 A KR20117015528 A KR 20117015528A KR 101522067 B1 KR101522067 B1 KR 101522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ontinuous sheet
arc
fastening tape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5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599A (ko
Inventor
요시카즈 오가사와라
노리아키 이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8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56Applying tabs, strips, tapes, loops; Knotting the ends of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89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of discrete laminae to single face of additional lamin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89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of discrete laminae to single face of additional lamina
    • Y10T156/1092All laminae planar and face to face
    • Y10T156/1093All laminae planar and face to face with covering of discrete laminae with additional lamina
    • Y10T156/1095Opposed laminae are running length we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시트와 워크를 적절히 접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워크를 유지하기 위한 원호형 유지면을 가지며, 이동하는 연속 시트의 한쪽면과 대향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회전 부재로서, 워크를 그 원호형 유지면에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워크를 상기 한쪽면과 상기 원호형 유지면 사이에 끼이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회전 부재와, 상기 워크가 상기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연속 시트의 다른쪽면에 접촉하여, 그 연속 시트를 상기 원호형 유지면을 향해 압박함으로써, 상기 연속 시트와 상기 워크를 접합시키는 압박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할 수 있는 롤러이며, 그 롤러가 상기 다른쪽면에 접촉할 때에 그 롤러의 중심축 방향이 상기 원호형 유지면의 원 중심의 중심축 방향과 교차하고, 상기 롤러의 외표면이 그 롤러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가상면과 교차하는 교선은 원호형의 곡선이며, 상기 롤러의 중심축 방향 중앙부에서의 그 롤러의 직경은 그 롤러의 중심축 단부에서의 그 롤러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DEVICE FOR MANUFACTURING ABSORPTIVE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BSORPTIVE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라인에서는, 워크와 연속 시트가 접합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그 접합 공정을 실행하기 위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로서, 워크를 유지하기 위한 원호형 유지면을 가지며, 이동하는 연속 시트의 한쪽면과 대향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회전 부재로서, 워크를 그 원호형 유지면에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워크를 상기 한쪽면과 상기 원호형 유지면 사이에 끼이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회전 부재와, 상기 워크가 상기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연속 시트의 다른쪽면에 접촉하여, 그 연속 시트를 상기 원호형 유지면을 향해 압박함으로써, 상기 연속 시트와 상기 워크를 접합시키는 압박 부재를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04-12183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98193호 공보를 참조).
종래, 전술한 회전 부재 및 압박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에 의해, 워크와 연속 시트가 접합될 때에, 접합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접합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는 것에 기인하여, 한쪽이 한 쪽으로 감기는 현상이 생기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적절한 접합이 실현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가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연속 시트와 워크를 적절히 접합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워크를 유지하기 위한 원호형 유지면을 가지며, 이동하는 연속 시트의 한쪽면과 대향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회전 부재로서, 워크를 그 원호형 유지면에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워크를 상기 한쪽면과 상기 원호형 유지면 사이에 끼이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회전 부재와,
상기 워크가 상기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연속 시트의 다른쪽면에 접촉하여, 그 연속 시트를 상기 원호형 유지면을 향해 압박함으로써, 상기 연속 시트와 상기 워크를 접합시키는 압박 부재
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할 수 있는 롤러이며,
그 롤러가 상기 다른쪽면에 접촉할 때에 그 롤러의 중심축 방향은 상기 원호형 유지면의 원 중심의 중심축 방향과 교차하고,
상기 롤러의 외표면이 그 롤러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가상면과 교차하는 교선은 원호형의 곡선이며, 상기 롤러의 중심축 방향 중앙부에서의 그 롤러의 직경은 상기 롤러의 중심축 단부에서의 그 롤러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본 명세서 및 첨부도면의 기재를 통해 명백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 시트와 워크를 적절히 접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기저귀(1)의 전개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A를 따라 취한 도면이다.
도 3a는 기저귀(1)의 착용 형태를 도시한 제1 도면이다.
도 3b는 기저귀(1)의 착용 형태를 도시한 제2 도면이다.
도 4는 제조 장치(31)의 일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조 장치(31)를 A 방향에서 봤을 때의 모식도이다.
도 6은 해머 롤 유닛(39)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조 장치(31)를 A 방향에서 본 양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예에 따른 제조 장치(31)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제조 장치(31)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도면의 기재를 통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백해진다.
워크를 유지하기 위한 원호형 유지면을 가지며, 이동하는 연속 시트의 한쪽면과 대향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회전 부재로서, 워크를 그 원호형 유지면에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워크를 상기 한쪽면과 상기 원호형 유지면 사이에 끼이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회전 부재와,
상기 워크가 상기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연속 시트의 다른쪽면에 접촉하여, 그 연속 시트를 상기 원호형 유지면을 향해 압박함으로써, 상기 연속 시트와 상기 워크를 접합시키는 압박 부재
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할 수 있는 롤러이며,
그 롤러가 상기 다른쪽면에 접촉할 때에 그 롤러의 중심축 방향은 상기 원호형 유지면의 원 중심의 중심축 방향과 교차하고,
상기 롤러의 외표면이 그 롤러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가상면과 교차하는 교선은 원호형의 곡선이며, 상기 롤러의 중심축 방향 중앙부에서의 그 롤러의 직경은 상기 롤러의 중심축 단부에서의 그 롤러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에 의하면, 연속 시트와 워크를 적절히 접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워크는 상기 연속 시트와 접합될 때에 그 연속 시트와 접착하는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연속 시트의 다른쪽면 상에서, 상기 한쪽면측에 상기 접착부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에 접촉하여, 그 연속 시트를 상기 원호형 유지면을 향해 압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연속 시트와 워크와의 접합시에, 주름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연속 시트의 다른쪽면 상에서, 상기 한쪽면측에 상기 워크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에 접촉하여, 그 연속 시트를 상기 원호형 유지면을 향해 압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연속 시트와 워크의 접합시에, 주름 발생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중심축 방향으로 자유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에 의하면, 압박 부재가 회전 부재로부터 받는 충격력이 적절히 완화되게 된다.
또한, 워크를 유지하기 위한 원호형 유지면을 가지며, 이동하는 연속 시트의 한쪽면과 대향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회전 부재가, 워크를 그 원호형 유지면에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워크를 상기 한쪽면과 상기 원호형 유지면 사이에 끼이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단계와,
압박 부재가, 상기 워크가 상기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연속 시트의 다른쪽면에 접촉하여, 그 연속 시트를 상기 원호형 유지면을 향해 압박함으로써, 상기 연속 시트와 상기 워크를 접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할 수 있는 롤러이며,
그 롤러가 상기 다른쪽면에 접촉할 때에 그 롤러의 중심축 방향이 상기 원호형 유지면의 원 중심의 중심축 방향과 교차하고,
상기 롤러의 외표면이 그 롤러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가상면과 교차하는 교선은 원호형의 곡선이며, 상기 롤러의 중심축 방향 중앙부에서의 그 롤러의 직경은 상기 롤러의 중심축 단부에서의 그 롤러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연속 시트와 워크를 적절히 접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31)는 예컨대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라인에 사용된다. 상기 제조 장치(31)를 설명하기 전에, 먼저 일회용 기저귀[이하, 간단히 기저귀(1)라고 함]의 구성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기저귀(1)의 전개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A를 따라 취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기저귀(1)의 착용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기저귀(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측을 피부면측, 그 반대측을 이면측으로 부른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는 소위 오픈형의 것이고, 전개된 형태(도 1 참조)로부터 착용 형태(도 3a 및 도 3b 참조)로 접힌 상태로 이용된다. 이 기저귀는 착용자의 배측에 위치하는 띠형의 배측 띠 부재(3)와, 등측에 위치하는 띠형의 등측 띠 부재(5)와, 가랑이에 닿는 뇨 등의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성 본체(7)와, 등측 띠 부재 및 배측 띠 부재를 연결하는 패스닝 테이프 부재(9)(흔히 플랩이라고 불린다)를 구비한다.
전개된 상태의 기저귀(1)의 외관 형상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에서 봤을 때 대략 H 형상을 이룬다. 즉, 배측 띠 부재(3)와 등측 띠 부재(5)가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나열되고, 이들 사이에 흡수성 본체(7)의 긴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걸쳐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흡수성 본체(7)는 그 긴 길이 방향의 중앙부를 접는 위치로 하여 둘로 접히고, 이 둘로 접은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배측 띠 부재(3) 및 등측 띠 부재(5)는 패스닝 테이프 부재(9)를 통해 환상으로 연결된다. 이 때, 패스닝 테이프 부재(9)는 등측으로부터 배측으로 돌아 들어가 착용자의 옆구리 부근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배측 띠 부재(3)와 등측 띠 부재(5)와의 연결에 의해, 기저귀(1)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착용 형태가 된다. 착용 형태의 상태에서는, 배측 띠 부재(3), 등측 띠 부재(5), 및 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착용자의 허리 둘레를 덮게 된다.
흡수성 본체(7)는 두께 방향에서 봤을 때 직사각형상이 되는 적층 시트이며, 뇨 등의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체(11)와, 흡수체(11)를 착용자의 피부측에서 덮는 표면 시트 부재(13)와, 흡수체(11)를 표면 시트 부재(13)의 반대측으로부터 덮는 기저귀(1)의 외장을 겸하는 이면 시트 부재(15)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면 시트 부재(15)와 표면 시트 부재(13) 사이에 흡수체(11)를 둔 상태에서, 흡수체(11)의 네 변으로부터 외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부분에서, 이면 시트 부재(15)와 표면 시트 부재(13)가 액자형으로 접합되고, 이것에 의해 흡수성 본체(7)가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 부재(13)와 흡수체(11) 사이와, 이면 시트 부재(15)와 흡수체(11) 사이에, 티슈 페이퍼 등의 액투과성 시트(1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면 시트 부재(15)의 폭방향의 양단부에는 긴 길이 방향을 따라 개더부를 형성하기 위한 실고무(19)가 부착된다.
배측 띠 부재(3)와 등측 띠 부재(5)는 모두 부직포 등의 유연한 시트를 소재로 하고, 두께 방향에서 봤을 때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여기서는, 부직포를 2장 중첩하여 띠 부재를 형성한다. 각 띠 부재는, 각각 흡수성 본체(7)의 긴 길이 방향의 대응하는 단부에 접착되고, 그 흡수성 본체(7)와 교차하도록 고정된다. 또한, 2장 중첩된 부직포 사이에, 흡수성 본체(7)의 긴 길이 방향의 단부가 끼인 상태로 고정된다.
등측 띠 부재(5)의 피부면측 표면에는, 그 긴 길이 방향단(端)보다 약간 중앙 근처 위치에 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접착된다. 한편, 배측 띠 부재(3)의 이면측 표면에는, 그 긴 길이 방향 일단부터 타단에 걸쳐 타겟 테이프(도시 생략)가 접착된다. 이 타겟 테이프는 패스닝 테이프 부재(9)의 후술하는 고정부(9c)가 고정되는 표면을 구비한 부직포이다.
패스닝 테이프 부재(9)는 부직포 등의 유연한 시트(9a)를 소재로 하고, 기저귀의 중앙선(교차 방향의 중앙을 통과하는 가상선)에 관해서 좌우 대칭으로 하나씩 구비되어 있다. 이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 부재(9) 각각은 기저귀 착용 전에는 그 기저귀의 중앙측에 되접혀 접힌 상태에 있고, 착용시 외측으로 펴진다. 이 펴진 상태에서 피부면측에 오는 시트(9a) 표면의 선단에는, 보강재(9b)를 개재하여 면 패스너의 수(雄)부재 등의 고정부(9c)가 접착된다. 한편, 각 패스닝 테이프 부재(9)의 고정단측의 단부는 산 모양으로 되접혀 등측 띠 부재(5)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즉, 고정단측의 단부에는, 접착부(9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기저귀(1)의 출하 시점에서 분단되어 있지 않고 이어져 한 장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출하 시점에서는,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 부재(9)를 구성하는 한 장의 부직포가 부착되어 있고, 그 부직포의 중앙(교차 방향에서의 중앙)에는 분단선으로서의 재봉선이 형성되어 있다. 착용자는 기저귀를 착용함에 있어서 상기 분단선을 따라 상기 부직포를 분단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부직포로부터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기저귀(1)는 제조 라인을 연속해서 흐르는 기저귀(1)의 기재에 대하여 각종 구성 부품이 접합되어 완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조 장치(31)는 그 한 공정을 담당한다.
그 제조 장치(31)가 담당하는 공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그 제조 장치(31)는 전술한 패스닝 테이프 부재(9)의 기재로서, 복수의 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연속된 상태의 패스닝 테이프 기재(21)(도 4 참조)를 절단하여, 패스닝 테이프 부재(9)를 형성한다. 그리고, 형성된 패스닝 테이프 부재(9)(워크에 상당)를, 전술한 등측 띠 부재(5)[더 구체적으로는, 2장이 중첩된 부직포인 등측 띠 부재(5)의 피부면측의 부직포(5a), 도 2 참조]의 기재로서, 복수의 등측 띠 부재(5)[피부면측의 부직포(5a)]가 연속된 상태의 등측 띠 기재(23)(연속 시트에 상당, 도 4 참조)에 접착한다.
도 4는 이 제조 장치(31)의 일부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 도 4에는, 제조 장치(31)의 구성 부재로서, 무단 벨트(33), 회전 부재의 일례로서의 하측 롤(35), 상측 롤(37)이 도시되어 있다.
무단 벨트(33)는 등측 띠 기재(23)를 하측 롤(35)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 무단 벨트(33)는 그 위에 배치되어 있는 등측 띠 기재(23)를, 회전함으로써 하측 롤(35)에 공급한다(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D2 방향으로 반송한다).
상측 롤(37) 및 하측 롤(35)은 서로 접근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통형의 부재이다. 상측 롤(37) 및 하측 롤(35)은 협동하는 것에 의해, 패스닝 테이프 기재(21)를 절단하여, 패스닝 테이프 부재(9)를 형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측 롤(37)은 하측 롤(35)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쌍방의 회전축 방향은 서로 대략 평행하며, MD2 방향과 교차한다(CD2 방향을 따름).
하측 롤(35)은 패스닝 테이프 기재(21)의 절단시에, 절단 대상물의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고, 한편 상측 롤(37)은 절단 부재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하측 롤(35)은 회전함으로써, 무단 벨트(33)에 의해 공급된 등측 띠 기재(23)를 둘레면에 유지한 상태에서 그 등측 띠 기재(23)를 상측 롤(37)[더 구체적으로는, 상측 롤(37)과 하측 롤(35) 사이]에 보낸다. 상측 롤(37)의 둘레면에는, 그 상측 롤(37)의 회전축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블레이드(37a)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측 롤(37)이 회전함으로써 이동하는 그 블레이드(37a)가 하측 롤(35)과 근접했을 때에, 쌍방의 롤 사이에 위치하는 등측 띠 기재(23)를 절단한다.
도 5는 도 4의 제조 장치(31)를 A 방향에서 봤을 때의 모식도이다. 이 도 5에는, 제조 장치(31)의 구성 부재로서, 상기 하측 롤(35) 외에도, 압박 부재의 일례로서의 해머 롤(41)을 갖는 해머 롤 유닛(39), 석션부(47) 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은 해머 롤 유닛(39)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제조 장치(31)를 A 방향에서 본 양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하측 롤(35)은 상측 롤(37)과의 협동에 의한 전술한 패스닝 테이프 기재 절단 기능 외에, 패스닝 테이프 기재(21)가 절단됨으로써 얻어진 패스닝 테이프 부재(9)를 둘레면(35b)(워크를 유지하기 위한 원호형 유지면에 상당)에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패스닝 테이프 부재(9)와 등측 띠 기재(23)와의 접합을 위해, 패스닝 테이프 부재(9)를 등측 띠 기재(23)의 바로 위까지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그 등측 띠 기재(23)는 도시하지 않는 반송 기구에 의해, 이동 방향(MD1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4 참조). 그리고, 등측 띠 기재(23)와 하측 롤(35)과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는, 하측 롤(35)이 그 등측 띠 기재(23)의 위쪽에 위치하고, 하측 롤(35)의 둘레면(35b)이 등측 띠 기재(23)의 표면(23a)(한쪽면에 상당)과 대향한 상태, 또 회전축 방향이 상기 이동 방향(MD1 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즉, 패스닝 테이프 기재(21)가 절단됨으로써 얻어진 패스닝 테이프 부재(9)는 그 길이 방향이 하측 롤(35)의 회전축 방향을 따르는 상태에서 하측 롤(35)에 유지된다. 그리고, 패스닝 테이프 부재(9)는 하측 롤(35)이 회전함으로써, 하측 롤(35)에 유지된 상태에서 아래를 향해(또한 MD2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한다[이동중인 패스닝 테이프 부재(9)를 도 5에 도시함]. 그리고, 그 패스닝 테이프 부재(9)는 이윽고 등측 띠 기재(23)의 바로 위, 즉 등측 띠 기재(23)에 가장 접근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그 위치에 위치한 패스닝 테이프 부재(9)도 이동중인 패스닝 테이프 부재(9)와 함께, 도 5에 도시한다]. 그리고, 이 위치에서, 패스닝 테이프 부재(9)는 등측 띠 기재(23)의 표면(23a)과 하측 롤(35)의 둘레면(35b) 사이에 끼인다(여기서, 「끼인다」란, 2개의 부재가 접촉하여 끼우는 것뿐만 아니라, 2개의 부재와의 간격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끼우는 것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전술한 패스닝 테이프 부재(9)의 이동중에, 등측 띠 기재(23)는 MD1 방향으로 계속 이동한다.
해머 롤 유닛(39)은 2개의 해머 롤(41)과 상기 해머 롤(4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롤러(43)를 구비한다. 해머 롤(41) 및 지지 롤러(43)는 이동하는 등측 띠 기재(23)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해머 롤(41)은 등측 띠 기재(23)의 이면(23b)(다른쪽면에 상당)에 접촉하여 그 등측 띠 기재(23)를 하측 롤(35)의 둘레면(35b)을 향해 압박하는 압박 부재이다. 이 해머 롤(41)은 등측 띠 기재(23)를 둘레면(35b)을 향해 압박하고, 등측 띠 기재(23)를 위쪽으로 옮김으로써, 등측 띠 기재(23)를 패스닝 테이프 부재(9)에 접합한다[등측 띠 기재(23)와 패스닝 테이프 부재(9)를 접합시킨다].
해머 롤(41)은 경질 고무제의 롤러이며, 롤러의 중심축 방향의 길이는 그 롤러의 최대 직경보다 길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러의 중심축 방향 중앙부에서의 롤러의 직경이 롤러의 중심축 단부에서의 롤러의 직경보다 작다. 더 구체적으로는, 롤러의 직경은 롤러의 중심축 방향 한가운데에서 가장 작고, 롤러의 중심축 방향단에 근접할수록 롤러의 직경이 서서히 커진다. 즉, 환언하면, 롤러의 외표면(41a)이 중심축(41b)을 포함하는 가상면과 교차하는 교선(L)이 곡선이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교선(L)이 원호형(반경 약 12 ㎝의 원 상당)의 곡선이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러의 외표면(41a)의 형상이 원통형의 하측 롤(35)의 둘레면(35b)의 형상을 따른다.
또한, 해머 롤(41)은 그 중심축 방향이 원호형 유지면[둘레면(35b)]의 원 중심의 중심축 방향[즉, 하측 롤(35)의 회전축 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그 롤러가 등측 띠 기재(23)의 이면(23b)에 접촉할 때는, 그 롤러의 중심축 방향이 둘레면(35b)의 원 중심의 중심축 방향[하측 롤(35)의 회전축 방향]에 교차한 상태에서 접촉한다.
또한, 해머 롤(41)은 지지 롤러(43)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 롤러(43)가 회전함으로써 위쪽으로 이동하여, 등측 띠 기재(23)에 접촉한다. 즉, 지지 롤러(43)는 그 회전축 방향에 해머 롤(41)의 중심축 방향이 따르도록, 그 직경 방향에서의 단부에서 해머 롤(41)을 지지하고, 도시하지 않는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 도 5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지지 롤러(4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해머 롤(41)은 지지 롤러(43)의 중심축(43a)을 중심으로 공전 운동을 하여 위쪽으로 이동하고, 등측 띠 기재(23)의 이면(23b)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해머 롤(41)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롤러(43)에 의해 베어링 등의 베어링 부재(44)를 통해 지지되고, 중심축(41b)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해머 롤(41)은 지지 롤러(43)에 자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해머 롤(41)은 중심축 방향으로 자유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심축 방향에서의 해머 롤(41)의 단부(41c)와 지지 롤러(43)의 내벽(43b) 사이에는, 칼라(45)가 설치되지만, 그 칼라(45)와 상기 단부(41c) 사이에는 공극(G)(도 6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즉, 칼라(45)의 중심축 방향에서의 길이가 공극(G)이 형성될 정도로 짧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해머 롤(41)이 쌍방이 지지 롤러(43)의 중심축(43a)을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이 되는 배치로, 지지 롤러(43)에 지지되고, 지지 롤러(43)가 회전하면, 쌍방의 해머 롤(41)이 교대로 등측 띠 기재(23)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조 장치(31)에는, 2개의 해머 롤(41)과 지지 롤러(43)를 갖는 해머 롤 유닛(39)이 2개 구비되고, 쌍방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 롤(35)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양단부에 대응한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그 해머 롤(41)은 이하와 같이 하여, 등측 띠 기재(23)와 패스닝 테이프 부재(9)를 접합시킨다. 즉, 전술한 대로, 패스닝 테이프 부재(9)는 하측 롤(35)이 회전함으로써, 하측 롤(35)의 둘레면(35b)에 유지된 상태에서 아래를 향해 서서히 이동하여, 이윽고, 등측 띠 기재(23)의 표면(23a)과 하측 롤(35)의 둘레면(35b) 사이에 끼이는 위치[이하, 편의상 끼인 위치로 함)에 이르게 된다(그 끼인 위치에 이를 때에, 패스닝 테이프 부재(9)는 해머 롤(41)의 중심축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그 끼인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해머 롤(41)은 등측 띠 기재(23)의 이면(23b)에 접촉한다[즉, 하측 롤(35)의 회전 속도나 지지 롤러(43)의 회전 속도 등이, 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끼인 위치에 이르는 타이밍에 해머 롤(41)이 등측 띠 기재(23)의 이면(23b)에 접촉할 수 있게 되도록 조절되어 있다]. 또한, 해머 롤(41)이 등측 띠 기재(23)에 접촉할 때는, 등측 띠 기재(23)도 MD1 방향, 즉 해머 롤(41)의 중심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상기 끼인 위치에 이르렀을 때는, 패스닝 테이프 부재(9)의 접착부(9d)[등측 띠 기재(23)와 접합될 때에 그 등측 띠 기재(23)와 접착하는 부분]의 접착면(여기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음)은 아래쪽을 향해, 등측 띠 기재(23)의 표면(23a)과 대향한다(도 5 참조). 그리고, 이러한 때에, 해머 롤(41)이 등측 띠 기재(23)의 이면(23b)에 접촉하면, 등측 띠 기재(23)는 둘레면(35b)을 향해 압박되어, 위쪽, 즉 패스닝 테이프 부재(9)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등측 띠 기재(23)가 패스닝 테이프 부재(9)쪽으로 이동하면, 접착제가 도포된 패스닝 테이프 부재(9)의 접착면이 등측 띠 기재(23)의 표면(23a)에 접착하여, 등측 띠 기재(23)와 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접합되게 된다.
쌍방이 접합되면, 상기 둘레면(35b)에 의한 패스닝 테이프 부재(9)의 유지가 해제되고, 패스닝 테이프 부재(9)는 등측 띠 기재(23)의 표면(23a)에 접합한 상태에서 등측 띠 기재(23)와 함께 MD1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패스닝 테이프 부재(9)의 유지는, 하측 롤(35) 내에 설치되어 있는 흡인 기구에 의해 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둘레면(35b)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흡인됨으로써, 실현된다. 이 때문에, 그 유지력은 등측 띠 기재(23)와 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접합될 때에 유지가 해제될 정도로 약해져, 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원활하게 등측 띠 기재(23)쪽으로 인도되게 된다. 또한, 그 인도를 더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하측 롤(35) 내에는 배출 기구도 구비되어 있다. 즉, 둘레면(35b)에 형성된 상기 구멍이 하측 롤(35)의 회전에 의해 도 7에서 기호 X로 표시한 존에 이른 경우에는, 상기 배출 기구로부터 그 구멍을 통해 외측에 블로우(공기의 배출)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되는 그 공기의 패스닝 테이프 부재(9)에의 작용에 의해, 패스닝 테이프 부재(9)의 등측 띠 기재(23)에의 인도가 더 원활하게 실시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머 롤(41)은 등측 띠 기재(23)의 이면(23b) 상의 부위 중에서도, 표면(23a)측에 상기 접착부(9d)[다시 말해, 패스닝 테이프 부재(9) 자체도]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이하 편의상, 비존재 부위(23c)라 함]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 부재(9)는 하측 롤(35)의 둘레면(35b)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중앙에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끼인 위치에 이르지만, 해머 롤(41)은 상기 회전축 방향에서, 상기 패스닝 테이프 부재(9)[의 단(9e)]보다 더 외측 위치[비존재 부위(23c)]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즉, 해머 롤(41)은 등측 띠 기재(23)를 접착부(9d)[다시 말해, 패스닝 테이프 부재(9)]에 직접적으로 압박하는 것이 아니라, 표면(23a)측에서 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존재하지 않는 비존재 부위(23c)를 누름으로써, 비존재 부위(23c)와 인접하는 이면(23b) 위의 부위를 접착부(9d)[패스닝 테이프 부재(9)]에 압박한다.
또한, 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상기 끼인 위치에 이르렀을 때는, 접착면뿐만 아니라 고정부(9c)도 아래쪽을 향해, 등측 띠 기재(23)의 표면(23a)과 대향한다(도 5 참조). 그래서, 해머 롤(41)이 등측 띠 기재(23)의 이면(23b)에 접촉하여 등측 띠 기재(23)를 둘레면(35b)을 향해 압박할 때에 고정부(9c)가 등측 띠 기재(23)에 고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석션부(47)가 2개의 해머 롤 유닛(39)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그 석션부(47)는 해머 롤(41)이 등측 띠 기재(23)에 접촉할 때에, 등측 띠 기재(23)를 하측에[즉, 등측 띠 기재(23)가 고정부(9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흡인한다. 즉, 만약에 석션부(47)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머 롤(41)이 등측 띠 기재(23)를 둘레면(35b)을 향해 압박할 때에, 등측 띠 기재(23)가 위쪽으로 이동하는 것에 기인하여 고정부(9c)가 등측 띠 기재(23)에 달라붙어 버릴 가능성이 있지만, 그 석션부(47)에 의해 상기 흡인이 이루어짐으로써, 이러한 문제의 발생이 확실하게 방지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31)의 유효성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31)는 패스닝 테이프 부재(9)를 유지하기 위한 둘레면(35b)을 가지며, 이동하는 등측 띠 기재(23)의 표면(23a)과 대향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하측 롤(35)로서, 패스닝 테이프 부재(9)를 상기 둘레면(35b)에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패스닝 테이프 부재(9)를 상기 표면(23a)과 상기 둘레면(35b) 사이에 끼이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하측 롤(35)과, 상기 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상기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등측 띠 기재(23)의 이면(23b)에 접촉하여, 그 등측 띠 기재(23)를 상기 둘레면(35b)을 향해 압박함으로써, 그 등측 띠 기재(23)와 상기 패스닝 테이프 부재(9)를 접합시키는 해머 롤(41)을 갖는다. 그리고, 해머 롤(41)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할 수 있는 롤러이며, 그 롤러가 상기 이면(23b)에 접촉할 때에 상기 롤러의 중심축 방향이 둘레면(35b)의 원 중심의 중심축 방향[하측 롤(35)의 회전축 방향]에 교차하고, 상기 롤러의 외표면(41a)이 그 롤러의 중심축(41b)을 포함하는 가상면과 교차하는 교선(L)은 원호형의 곡선이며, 상기 롤러의 중심축 방향 중앙부에서의 그 롤러의 직경은 상기 롤러의 중심축 단부에서의 그 롤러의 직경보다 작다. 이것에 의해, 등측 띠 기재(23)와 패스닝 테이프 부재(9)를 적절히 접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와 종래예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를 비교하면서,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7에 대응한 도면이고, 종래예에 따른 제조 장치(31)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종래예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와 마찬가지로, 패스닝 테이프 부재(9)를 유지하기 위한 둘레면(35b)을 가지며, 이동하는 등측 띠 기재(23)의 표면(23a)과 대향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하측 롤(35)로서, 패스닝 테이프 부재(9)를 그 둘레면(35b)에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패스닝 테이프 부재(9)를 상기 표면(23a)과 상기 둘레면(35b) 사이에 끼이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하측 롤(35)과, 상기 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상기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등측 띠 기재(23)의 이면(23b)에 접촉하여, 그 등측 띠 기재(23)를 상기 둘레면(35b)을 향해 압박함으로써, 상기 등측 띠 기재(23)와 상기 패스닝 테이프 부재(9)를 접합시키는 해머 롤(41)을 갖는다. 또한, 해머 롤(41)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할 수 있는 롤러이며, 그 롤러가 상기 이면(23b)에 접촉할 때에 그 롤러의 중심축 방향이 둘레면(35b)의 원 중심의 중심축 방향[하측 롤(35)의 회전축 방향]에 교차하는 점에 대해서도 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종래예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에서는, 상기 롤러의 외표면(41a)이 그 롤러의 중심축(41b)을 포함하는 가상면과 교차하는 교선(L)이 원호형의 곡선이며, 상기 롤러의 중심축 방향 중앙부에서의 그 롤러의 직경이 그 롤러의 중심축 단부에서의 그 롤러의 직경보다 작다고 하는 구성을 갖고 있지 않다. 즉, 그 제조 장치에서는, 롤러의 외표면(41a)이 그 롤러의 중심축(41b)을 포함하는 가상면과 교차하는 교선(L)이 직선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는, 해머 롤(41)이 상기 등측 띠 기재(23)의 이면(23b)에 접촉하여, 등측 띠 기재(23)를 상기 둘레면(35b)을 향해 압박할 때에, 등측 띠 기재(23)의 짧은 길이 방향(즉, 폭방향)에서의 중앙부(C)에의 압박력과 단부(E)에의 압박력이 현저히 상이하게 된다[환언하면, 단부(E)에의 압박력이 불충분해진다]. 그리고, 이러한 사상은, 당연하지만, 등측 띠 기재(23)와 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접합될 때의 접합의 적절함에 영향을 준다. 즉, 패스닝 테이프 부재(9)의 짧은 길이 방향(즉, 폭방향)에서의 중앙부는 등측 띠 기재(23)에 대하여 충분히 접합되는 데 대하여, 단부의 접합은 불충분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등측 띠 기재(23)와 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적절히 접합되지 않으면, 한쪽이 한 쪽으로 감긴다고 하는 감김 현상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의 외표면(41a)이 그 롤러의 중심축(41b)을 포함하는 가상면과 교차하는 교선(L)이 원호형의 곡선이며, 상기 롤러의 중심축 방향 중앙부에서의 그 롤러의 직경이 상기 롤러의 중심축 단부에서의 그 롤러의 직경보다 작다는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롤러의 외표면(41a)의 형상을, 원통형의 하측 롤(35)의 둘레면(35b)의 형상을 따르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해머 롤(41)이 상기 등측 띠 기재(23)의 이면(23b)에 접촉하고, 등측 띠 기재(23)를 상기 둘레면(35b)을 향해 압박할 때에, 등측 띠 기재(23)의 짧은 길이 방향(즉, 폭방향)에서의 중앙부(C)에의 압박력과 단부(E)에의 압박력이 균일해진다[환언하면, 단부(E)에의 압박력이 충분하게 된다]. 이 때문에 패스닝 테이프 부재(9)의 짧은 길이 방향(즉, 폭방향)에서의 중앙부 및 단부 중 어디에서도 접합이 충분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등측 띠 기재(23)와 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적절히 접합되면, 상기 감김 현상의 발생도 적절히 방지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해머 롤(41)은 등측 띠 기재(23)의 이면(23b) 상의 부위 중에서도, 표면(23a)측에 상기 접착부(9d)[다시 말해, 패스닝 테이프 부재(9) 자체도]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비존재 부위(23c)]에 접촉하여, 그 등측 띠 기재(23)를 상기 둘레면(35b)을 향해 압박하기 때문에, 등측 띠 기재(23)와 패스닝 테이프 부재(9)의 접합시에, 주름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해머 롤(41)이 상기 이면(23b)에 접촉할 때[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상기 끼인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는, 패스닝 테이프 부재(9)는 해머 롤(41)의 중심축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편, 등측 띠 기재(23)는 그 중심축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접합되는 등측 띠 기재(23) 및 패스닝 테이프 부재(9)는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서, 만약에 해머 롤(41)이 등측 띠 기재(23)의 이면(23b) 상에서, 표면(23a)측에 접착부(9d)[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존재하는 부위(존재 부위)에 접촉한다면, 접촉 순간에, 등측 띠 기재(23) 및 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해머 롤(41)과 상기 둘레면(35b) 사이에 직접적으로 끼이고 또 압박된 상태[이러한 상태에서는, 패스닝 테이프 부재(9)의 등측 띠 기재(23)에 대한 상대 이동이 허용되지 않는 상황임]에서, 등측 띠 기재(23) 및 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사상이 생긴다. 그리고, 이러한 사상은 주름 발생을 초래하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합되는 등측 띠 기재(23) 및 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황에서, 해머 롤(41)이 상기 비존재 부위(23c)에 접촉하기 때문에, 접촉 순간에, 등측 띠 기재(23) 및 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해머 롤(41)과 상기 둘레면(35b) 사이에 직접적으로 끼이고 또 압박된 상태가 되지 않아, 패스닝 테이프 부재(9)의 등측 띠 기재(23)에 대한 약간의 상대 이동이 허용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약간의 상대 이동이 주름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해머 롤(41)은 중심축 방향으로 자유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롤러인 것으로 했기 때문에, 이하의 우위점이 생긴다. 즉, 해머 롤(41)이 상기 이면(23b)에 접촉할 때에 하측 롤(35)은 그 회전에 의해 해머 롤(41)을 그 해머 롤(41)의 중심축 방향으로 누르고, 해머 롤(41)은 그 중심축 방향의 충격력을 하측 롤(35)로부터 받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때에, 해머 롤(41)은 그 중심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충격력이 적절히 완화되게 된다.
==그 외의 실시형태==
이상, 상기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등을 설명했지만, 상기한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 개량되고,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일회용 기저귀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생리용품 등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연속 시트로서 등측 띠 기재(23)를 예시하고, 워크로서 패스닝 테이프 부재(9)를 예시했지만, 연속 시트 및 워크는 흡수성 물품의 구성 부품이라면, 전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전술한 배측 띠 부재(3)의 연속 기재인 배측 띠 기재를 연속 시트로 하고, 상기 타깃 테이프를 워크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해머 롤(41)은 등측 띠 기재(23)의 이면(23b) 상의 부위 중에서도, 표면(23a)측에 상기 접착부(9d)[다시 말해, 패스닝 테이프 부재(9) 자체도]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비존재 부위(23c)]에 접촉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이면(23b) 상의 부위 중, 상기 패스닝 테이프 부재(9)가 존재하지만 접착부(9d)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에, 접촉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접착부(9d)가 존재하는 부위에 접촉하는 경우에 비해, 주름 발생이 억제된다. 단, 상기 실시형태가 주름 발생이 한층 더 억제되는 점에서,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해머 롤(41)이 지지 롤러(43)에 지지되고, 지지 롤러(43)가 회전하면, 쌍방의 해머 롤(41)이 교대로 등측 띠 기재(23)에 접촉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일의 해머 롤(41)이 지지 롤러(43)에 지지되는 것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워크를 유지하기 위한 원호형 유지면으로서 하측 롤(35)의 둘레면(35b)을 예시했다. 즉, 하측 롤(35) 자체가 원통형의 형상을 갖고, 이 둘레면(35b)에 워크가 유지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회전 부재(이것은 원통형의 형상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에 원호형 유지면을 갖는 워크 유지 부재로서의 유지 펠릿이 탑재되어 있고, 이 원호형 유지면에 워크가 유지되는 예(유지 펠릿의 예로서, 특허문헌 2 참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더 설명한다. 도 9는 도 7에 대응한 도이며,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제조 장치(31)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제조 장치(31)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제조 장치(31)와 마찬가지로, 이동하는 등측 띠 기재(23)의 표면과 대향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회전 부재로서의 하측 롤(35)과,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할 수 있는 롤러인 압박 부재로서의 해머 롤(41)을 구비한다. 하측 롤(35)은 그 둘레면(35b)에 회전축(51a)을 통해 유지 펠릿(51)을 구비한다[또한, 유지 펠릿(51)은 하측 롤(35)의 둘레 방향에서 방사상으로 복수 개 구비되어 있지만, 도 9에서는, 하나의 유지 펠릿(51)만을 표시하고, 다른 유지 펠릿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음]. 그리고, 유지 펠릿(51)에는, 패스닝 테이프 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원호형 유지면(51b)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 롤(35)은 패스닝 테이프 부재를 원호형 유지면(51b)에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회전축 방향은 도 9에서 좌우 방향이다. 도 9에 회전축(35a)을 도시함], 패스닝 테이프 부재를 등측 띠 기재(23)의 표면과 원호형 유지면(51b) 사이에 끼이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또한, 이러한 이동 도중에, 유지 펠릿(51)은 회전축(51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패스닝 테이프 부재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되어 있다]. 해머 롤(41)은 패스닝 테이프 부재가 상기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등측 띠 기재(23)의 이면에 접촉하여, 그 등측 띠 기재(23)를 원호형 유지면(51b)을 향해 압박함으로써, 등측 띠 기재(23)와 패스닝 테이프 부재를 접합시킨다.
그리고, 해머 롤(41)(롤러)이 상기 이면에 접촉할 때에, 그 롤러의 중심축 방향(도 9에서, 좌우 방향)은 상기 원호형 유지면(51b)의 원 중심의 중심축 방향(도 9에서, 지면을 관통하는 방향)과 교차한다.
그리고, 전술한 제조 장치(31)의 구성에서도,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러의 외표면(41a)이 그 롤러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가상면과 교차하는 교선(L)이, 원호형의 곡선이며, 상기 롤러의 중심축 방향 중앙부에서의 그 롤러의 직경이 그 롤러의 중심축 단부에서의 그 롤러의 직경보다 작게 하면, 전술한 효과, 즉 등측 띠 기재와 패스닝 테이프 부재를 적절히 접합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발휘된다.
1: 기저귀(흡수성 물품) 3: 배측 띠 부재
5: 등측 띠 부재 5a: 피부면측 부직포
7: 흡수성 본체 9: 패스닝 테이프 부재(워크)
9a: 시트 9b: 보강재
9c: 고정부 9d: 접착부
9e: 단 11: 흡수체
13: 표면 시트 부재 15: 이면 시트 부재
17: 액투과성 시트 19: 실고무
21: 패스닝 테이프 기재 23: 등측 띠 기재(연속 시트)
23a: 표면(한쪽면) 23b: 이면(다른쪽면)
23c: 비존재 부위 31: 제조 장치
33: 무단 벨트 35: 하측 롤(회전 부재)
35a: 회전축 35b: 둘레면(원호형 유지면)
37: 상측 롤 37a: 블레이드
39: 해머 롤 유닛 41: 해머 롤(압박 부재)
41a: 외표면 41b: 중심축
41c: 단부 43: 지지 롤러
43a: 중심축 43b: 내벽
44: 베어링 부재 45: 칼라
47: 석션부 51: 유지 펠릿
51a: 회전축 51b: 원호형 유지면
L: 교선 G: 공극
C: 중앙부 E: 단부

Claims (5)

  1. 워크를 유지하기 위한 원호형 유지면을 가지며, 이동하는 연속 시트의 한쪽면과 대향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회전 부재로서, 워크를 그 원호형 유지면에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워크를 상기 한쪽면과 상기 원호형 유지면 사이에 끼이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회전 부재와,
    상기 워크가 상기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연속 시트의 다른쪽면에 접촉하여, 그 연속 시트를 상기 원호형 유지면을 향해 압박함으로써, 상기 연속 시트와 상기 워크를 접합시키는 압박 부재
    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할 수 있는 롤러이며,
    그 롤러가 상기 다른쪽면에 접촉할 때에 그 롤러의 중심축 방향은 상기 원호형 유지면의 원 중심의 중심축 방향과 교차하고,
    상기 롤러의 외표면이 그 롤러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가상면과 교차하는 교선은 원호형의 곡선이며, 상기 롤러의 중심축 방향 중앙부에서의 그 롤러의 직경은 상기 롤러의 중심축 단부에서의 그 롤러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압박 부재는 중심축 방향으로 자유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는 상기 연속 시트와 접합될 때에 그 연속 시트와 접착하는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연속 시트의 다른쪽면 상에서, 상기 한쪽면측에 상기 접착부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에 접촉하여, 그 연속 시트를 상기 원호형 유지면을 향해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연속 시트의 다른쪽면 상에서, 상기 한쪽면측에 상기 워크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에 접촉하여, 그 연속 시트를 상기 원호형 유지면을 향해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4. 삭제
  5. 워크를 유지하기 위한 원호형 유지면을 가지며, 이동하는 연속 시트의 한쪽면과 대향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회전 부재가, 워크를 그 원호형 유지면에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워크를 상기 한쪽면과 상기 원호형 유지면 사이에 끼이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단계와,
    압박 부재가, 상기 워크가 상기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연속 시트의 다른쪽면에 접촉하여, 그 연속 시트를 상기 원호형 유지면을 향해 압박함으로써, 상기 연속 시트와 상기 워크를 접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할 수 있는 롤러이며,
    그 롤러가 상기 다른쪽면에 접촉할 때에 그 롤러의 중심축 방향은 상기 원호형 유지면의 원 중심의 중심축 방향과 교차하고,
    상기 롤러의 외표면이 그 롤러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가상면과 교차하는 교선은 원호형의 곡선이며, 상기 롤러의 중심축 방향 중앙부에서의 그 롤러의 직경은 상기 롤러의 중심축 단부에서의 그 롤러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압박 부재는 중심축 방향으로 자유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0117015528A 2008-12-18 2009-12-02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KR101522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22778A JP5193839B2 (ja) 2008-12-18 2008-12-18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JP-P-2008-322778 2008-12-18
PCT/JP2009/070253 WO2010071022A1 (ja) 2008-12-18 2009-12-02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599A KR20110088599A (ko) 2011-08-03
KR101522067B1 true KR101522067B1 (ko) 2015-05-20

Family

ID=42268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5528A KR101522067B1 (ko) 2008-12-18 2009-12-02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8663421B2 (ko)
EP (1) EP2371332A4 (ko)
JP (1) JP5193839B2 (ko)
KR (1) KR101522067B1 (ko)
CN (1) CN102256578B (ko)
AU (1) AU2009328033A1 (ko)
BR (1) BRPI0917044A2 (ko)
CA (1) CA2745617A1 (ko)
CO (1) CO6382102A2 (ko)
EA (1) EA201100952A1 (ko)
MA (1) MA32971B1 (ko)
MX (1) MX2011006552A (ko)
SG (1) SG171936A1 (ko)
UA (1) UA102006C2 (ko)
WO (1) WO2010071022A1 (ko)
ZA (1) ZA2011044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6283A1 (ja) * 2013-09-30 2015-04-02 株式会社瑞光 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装置及び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CN114346593B (zh) * 2021-11-26 2023-04-25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异形零件的加工制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1524A (ja) * 2002-05-30 2004-01-08 Xerox Corp 可撓性画像形成部材のシーム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20050023449A (ko) * 2002-08-06 2005-03-09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착용 물품의 연속적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20022176L (no) * 2001-05-16 2002-11-18 Sca Hygiene Prod Ab Absorberende gjenstand og fremgangsmÕte for fremstilling av denne
US6905572B2 (en) * 2002-05-30 2005-06-14 Xerox Corporation Flexible imaging member seam treatment apparatus
JP2005075639A (ja) 2003-09-04 2005-03-24 Fuji Photo Film Co Ltd シート体貼着ヘッド及び装置
JP4141398B2 (ja) * 2004-03-04 2008-08-2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3898195B2 (ja) 2004-04-15 2007-03-28 東亜機工株式会社 ワーク搬送装置
US7811403B2 (en) * 2005-03-09 2010-10-12 Curt G. Joa, Inc. Transverse tab application method and apparatus
JP4682085B2 (ja) * 2006-05-12 2011-05-11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1524A (ja) * 2002-05-30 2004-01-08 Xerox Corp 可撓性画像形成部材のシーム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20050023449A (ko) * 2002-08-06 2005-03-09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착용 물품의 연속적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56578B (zh) 2013-11-06
CA2745617A1 (en) 2010-06-24
CN102256578A (zh) 2011-11-23
EA201100952A1 (ru) 2012-01-30
EP2371332A4 (en) 2013-06-19
WO2010071022A1 (ja) 2010-06-24
JP2010142416A (ja) 2010-07-01
SG171936A1 (en) 2011-07-28
AU2009328033A1 (en) 2011-07-28
KR20110088599A (ko) 2011-08-03
US8663421B2 (en) 2014-03-04
MA32971B1 (fr) 2012-01-02
ZA201104412B (en) 2012-02-29
MX2011006552A (es) 2011-07-20
JP5193839B2 (ja) 2013-05-08
CO6382102A2 (es) 2012-02-15
BRPI0917044A2 (pt) 2018-02-06
EP2371332A1 (en) 2011-10-05
UA102006C2 (ru) 2013-05-27
US20120090774A1 (en)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8061B2 (ja) 接合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2006193337A (ja) 回転装置、着用物品の搬送方法、ウェブの折り方法、ウェブの折り装置および使い捨て着用物品
JP5624868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WO2013061917A1 (ja) 伸縮性シートの製造方法
JP5385591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KR101709359B1 (ko)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
WO2017064763A1 (ja) 吸収性物品に係る単票状シートの搬送方法、及び搬送装置
JP5089752B2 (ja) 伸縮性シートの製造方法
WO2010113610A1 (ja) 吸収性物品に係る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TWI487512B (zh) Production method of stretchable sheet body
JP4965157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KR101522067B1 (ko)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JP5243305B2 (ja) ウェブ搬送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TWI511711B (zh) Fiber mesh joining device and fiber mesh joining method
JPH04218158A (ja) 使捨ておむつ製造装置及び方法
JP6751710B2 (ja) 搬送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5806839B2 (ja) 伸縮性シートの製造方法
JP5089761B2 (ja) 伸縮性シートの製造方法
US70595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breaking a web perforation
JP6378835B2 (ja) 搬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5732243B2 (ja) 伸縮性シートの製造方法
JPH1189866A (ja) 体液吸収パッドの製造装置及び体液吸収パッドの製造方法
JPH11244328A (ja) 吸収性製品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