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275B1 - 레일바이크용 분기기 - Google Patents

레일바이크용 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275B1
KR101521275B1 KR1020130140650A KR20130140650A KR101521275B1 KR 101521275 B1 KR101521275 B1 KR 101521275B1 KR 1020130140650 A KR1020130140650 A KR 1020130140650A KR 20130140650 A KR20130140650 A KR 20130140650A KR 101521275 B1 KR101521275 B1 KR 101521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plate
coupled
rotar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경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경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경기업
Priority to KR1020130140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5/00Autocar-like self-drivers; Runway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레일바이크용 분기기에 관한 것으로, 레일 위를 주행하는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포인트부, 리드부 및 크로싱부를 포함하는 레일바이크용 분기기에 있어서, 크로싱부는, 침목 위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 고정플레이트 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 회전플레이트 위에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을 결정하는 회전레일; 및 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레일바이크가 분기기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충격 및 소음이 감소되고 레일바이크의 내구성 및 승차감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레일바이크용 분기기{Turnout for Railbike}
본 발명은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분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바이크가 분기기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충격이 감소되는 레일바이크용 분기기이다.
분기기(分岐器, Turnout)는 일반 철도에서 열차를 한 궤도에서 다른 궤도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궤도상에 설치되는 설비로서, 통상 분기기는 포인트부, 리드부, 크로싱부의 3부분으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의 분기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분기기를 구성하는 포인트부(100)는 기본레일(stock rail, 120)과 텅레일(tongue rail, 140)로 이루어지고, 리드부(200)는 주레일(main rail, 220)과 리드레일(lead rail, 240)로 이루어지며, 크로싱부(300)는 주레일(220) 및 크로싱(crossing, 330)으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가드레일(guard rail, 3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상기 크로싱은 V자형 노스레일(nose rail, 332) 및 X자형 윙레일(wing rail, 334)로 이루어진다.
최근 철도 고속화로 인해 기존 철로가 폐선되고, 이러한 폐선 부지에 레이바이크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레일바이크(Railbike)는 철로 위에서 탑승자가 페달을 밟아 철로 위를 움직이는 탈것의 하나로,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철로에 설치되어 놀이기구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철도용인 폐선된 기존 철로에 레일바이크를 운영하는 경우 여러가지 부조화가 발생된다. 특히 분기기의 윤연로(輪綠路, flange way)에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서 레일바이크가 손상되고 승차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레일바이크용 분기기에 관한 특허문헌으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2350호가 있으나, 등록특허 제10-1232350호 역시 분기기의 윤연로에서 충격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분기기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기존 철로의 분기기 크로싱부의 윤연로를 제거하여 레일바이크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하고자 한다.
둘째, 레일바이크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키고, 승차감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셋째, 레일바이크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분기기는, 레일 위를 주행하는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포인트부, 리드부 및 크로싱부를 포함하는 레일바이크용 분기기에 있어서, 크로싱부는 침목 위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분기기의 크로싱부는, 고정플레이트 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분기기의 크로싱부는, 회전플레이트 위에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을 결정하는 회전레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분기기의 크로싱부는, 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분기기의 크로싱부는, 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분기기에 있어서, 회전플레이트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분기기에 있어서, 회전플레이트는, 길이방향의 양측에 고정플레이트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지지롤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분기기에 있어서, 고정플레이트는, 길이방향 양측 상면에 회전레일과 연결되는 리드레일 및 주레일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분기기에 있어서, 회전플레이트의 하부에는 걸림돌기가 결합되고, 고정플레이트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걸림돌기가 관통 돌출되며 하부에는 고정돌기가 결합되고, 고정돌기에 일측이 결합되고 돌출된 걸림돌기에 타측이 결합되는 탄성체를 구비하여 회전레일이 기준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분기기에 있어서, 레버부는, 일측에 손잡이가 결합된 레버바 및 회전플레이트가 회전되도록 일측은 레버바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힌지의 중심축 또는 회전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되는 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분기기에 있어서, 회전레일은, 양단부가 뾰족한 형상 또는 호상으로 형성되고, 회전레일과 연결되는 리드레일 및 주레일은 회전레일의 양단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분기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기존 철로의 분기기 크로싱부의 윤연로를 제거하여 레일바이크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레일바이크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키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레일바이크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분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분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일부확대도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분기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분기기의 작동 구조를 나타낸 하부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분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분기기를 구성하는 포인트부(100)는 기본레일(120)과 텅레일(140)로 이루어지고, 리드부(200)는 주레일(220)과 리드레일(240)로 이루어지며, 크로싱부(300)는 주레일(220) 및 크로싱(330)으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가드레일(3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분기기는 좌측부터 포인트부(100), 리드부(200) 및 크로싱부(300) 순으로 구분되고, 주레일(220)은 제1 내지 제4주레일(222, 224, 325, 326)로 구성되며, 리드레일(240)은 제1 내지 제2리드레일(242, 244)로 구성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상기 크로싱은 침목(20)에 고정 설치되는 V자형 노스레일(332) 및 X자형 윙레일(334)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일반적인 분기기에서 상기 크로싱(330)을 대신하여 레일바이크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회전레일(380)을 구비한 레일바이크용 분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분기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분기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분기기는, 레일 위를 주행하는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포인트부(100), 리드부(200) 및 크로싱부(300)를 포함하는 레일바이크용 분기기에 있어서,
상기 크로싱부(300)는,
침목(20) 위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340);
상기 고정플레이트(340) 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350)로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360);
상기 회전플레이트(360) 위에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을 결정하는 회전레일(380); 및
상기 회전플레이트(360)를 회전시키는 레버부(390) 또는 구동부(3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분기기는 침목(20), 고정플레이트(340), 회전플레이트(360) 및 회전레일(380) 순으로 아래에서 위로 배치되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플레이트(340)는 상기 침목(20) 위에 설치되는 장방형의 판재로서, 중심 부분에 힌지(35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홈(342)이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측에 호상(弧狀)의 가이드홈(344)이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다수의 체결홈(346)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플레이트(340)는 상기 체결홈(346)을 통해 볼트 등을 이용해서 상기 침목(20)에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플레이트(340)는, 길이방향 양측 상면에 상기 회전레일(380)과 연결되는 리드레일(240) 및 주레일(220)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레일(380)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리드레일(242) 및 제2리드레일(244)이 상기 고정플레이트(340)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레일(380)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3주레일(325) 및 제4주레일(326)이 상기 고정플레이트(340)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플레이트(36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340)의 상부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장방형의 판재로서, 중심 부분에 상기 힌지(35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361)이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측에 지지롤러(364)가 상기 고정플레이트(340)의 윗면에 접할 수 있도록 롤러홈(360)이 형성되며, 아랫면에 걸림돌기(365)가 결합된다.
즉, 상기 회전플레이트(360)는 상기 결합홈(361)을 통해 볼트 등을 이용해서 상기 힌지(350)에 결합되고, 윗면에 상기 회전레일(380)이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롤러지지부(363)에 결합된 지지롤러(364)가 상기 롤러홈(360)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340)의 윗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회전레일(38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레일(380)은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회전플레이트(360)의 윗면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길이방향 양측에 가해지는 하중은 상기 지지롤러(364)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부(390)는, 일측에 손잡이(392)가 결합된 레버바(394); 및 상기 회전플레이트(360)가 회전되도록 일측은 상기 레버바(394)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힌지(350)의 중심축 또는 상기 회전플레이트(360)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되는 링크(396);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부(390)는 상기 회전레일(380)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 상기 회전플레이트(360)를 회전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손잡이(392)를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36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레버바(394)의 일측에 결합된 손잡이(392)를 움직이면 상기 레버바(394)의 타측에 결합된 상기 링크(396)에 의해 상기 회전플레이트(360)가 회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396)는 일측이 상기 레버바(394)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힌지(350)의 중심축 또는 상기 회전플레이트(360)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링크(396)의 타측이 상기 힌지(350)의 중심축에 결합된 경우 상기 링크(396)가 상기 힌지(350)의 중심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플레이트(36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링크(396)의 타측이 상기 회전플레이트(360)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회전플레이트(360)가 직접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링크(396)의 타측은 상기 힌지(350)의 중심축 또는 상기 회전플레이트(360)의 길이방향 일측에 힌지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랙 과 피니언(rack and pinion) 등의 기어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396) 이외에 유압실린더 등을 이용해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부(390) 대신 상기 회전플레이트(36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39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레버부(390)가 수동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360)을 회전시킨다면, 상기 구동부(391)는 자동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360)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391)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393); 및 상기 회전플레이트(360)가 회전되도록 상기 동력발생부(393)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힌지(350)의 중심축 또는 상기 회전플레이트(360)의 길이방향 일측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9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동력발생부(393)는 모터, 유압실린더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동력전달부(395)는 상기 링크(396)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기어, 체인, 풀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동력전달부(395)는 상기 힌지(350)의 중심축을 직접 회전시킬 수도 있고, 상기 회전플레이트(360)을 회전시킬 수도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391)는 상기 회전레일(380)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 상기 회전플레이트(360)를 회전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동력발생부(393)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동력전달부(395)를 통해 상기 회전플레이트(360)에 전달하여 직접 회전플레이트(360)을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발생부(393)가 상기 동력전달부(395)를 움직이면 상기 회전플레이트(360)가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동력전달부(395)는 일측이 상기 동력발생부(393)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힌지(350)의 중심축 또는 상기 회전플레이트(360)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동력전달부(395)의 타측이 상기 힌지(350)의 중심축에 결합된 경우 상기 동력전달부(395)가 상기 힌지(350)의 중심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플레이트(36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동력전달부(395)의 타측이 상기 회전플레이트(360)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회전플레이트(360)가 직접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395)의 타측은 상기 힌지(350)의 중심축 또는 상기 회전플레이트(360)의 길이방향 일측에 힌지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랙 과 피니언(rack and pinion) 등의 기어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자동 분기기는 레일바이크의 진행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플레이트(36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입력되는 신호 또는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상기 구동부(39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레일바이크의 진행방향에 따라서 상기 구동부(391)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플레이트(360)를 회전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391)를 제어하거나,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구동부(39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관제요원 또는 레일바이크의 탑승자가 원하는 방향을 선택하는 신호를 발신하면 제어부는 상기 신호에 따라 구동부(391)를 작동시켜 상기 탑승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레일바이크가 진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미리 레일바이크가 진행되는 방향을 결정하는 프로그램을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여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레일바이크가 진행하는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분기기는 상기 회전플레이트(360)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고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는 레일바이크가 상기 회전레일(380) 위를 통과할 때 상기 회전레일(38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중심축, 회전플레이트(360) 또는 회전레일(380)의 회전을 방지하여 상기 레일바이크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중심축, 회전플레이트(360) 또는 회전레일(38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스톱퍼(미도시)를 설치하거나, 상기 레버바(394) 또는 링크(396)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스톱퍼(미도시)를 설치함으로써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분기기는 상기 회전플레이트(360)의 하부에는 걸림돌기(365)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340)는 가이드홈(344)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365)가 관통 돌출되며 고정플레이트(340)의 하부에는 고정돌기(370)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돌기(370)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돌출된 걸림돌기(365)에 타측이 결합되는 탄성체(372)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레일(380)이 기준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림돌기(365)와 고정돌기(370)에 상기 탄성체(372)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36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가 기준위치에 해당하며, 상기 회전플레이트(360)가 상기 레버부(390)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탄성체(372)가 늘어나게 되어 상기 탄성체(372)가 수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회전플레이트(360)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회전플레이트(360)는 상기 기준위치로 원상복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370)는 지면(10) 또는 침목(20)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준위치는 제1리드레일(242), 회전레일(380) 및 제3주레일(325)이 일렬로 배치되는 위치에 해당하며, 상기 탄성체(372)는 스프링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레일(380)은, 양단부가 뾰족한 형상 또는 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레일(380)과 연결되는 리드레일(240) 및 주레일(220)은 상기 회전레일(380)의 양단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레일(380)의 양단부 형상을 수직면이 아닌 뾰족한 형상 또는 호상으로 형성하여 레일바이크가 상기 회전레일(380)과 리드레일(240)의 연결부분 및 상기 회전레일(380)과 주레일(220)의 연결부분을 통과할 때 차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레일(380)과 연결되는 리드레일(240) 및 주레일(220)은 상기 회전레일(380)의 양단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단부가 뾰족한 형상 또는 호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분기기를 실시하기 위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지면 20 : 침목
100 : 포인트부 120 : 기본레일
140 : 텅레일 200 : 리드부
220 : 주레일 222 : 제1주레일
224 : 제2주레일 240 : 리드레일
242 : 제1리드레일 244 : 제2리드레일
300 : 크로싱부 310 : 가드레일
325 : 제3주레일 326 : 제4주레일
330 : 크로싱 332 : V자형 노스레일
334 : X자형 윙레일 340 : 고정플레이트
342 : 회전홈 344 : 가이드홈
346 : 체결홈 350 : 힌지
360 : 회전플레이트 361 : 결합홈
362 : 롤러홈 363 : 롤러지지부
364 : 지지롤러 365 : 걸림돌기
370 : 고정돌기 372 : 탄성체
380 : 회전레일 390 : 레버부
391 : 구동부 392 : 손잡이
393 : 동력발생부 394 : 레버바
395 : 동력전달부 396 : 링크

Claims (10)

  1. 레일 위를 주행하는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포인트부, 리드부 및 크로싱부를 포함하는 레일바이크용 분기기에 있어서,
    상기 크로싱부는,
    침목 위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 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
    상기 회전플레이트 위에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을 결정하는 회전레일; 및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레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하부에는 걸림돌기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관통 돌출되며 고정플레이트의 하부에는 고정돌기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돌기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돌출된 걸림돌기에 타측이 결합되는 탄성체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레일이 기준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용 분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 대신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용 분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용 분기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길이방향의 양측에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지지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용 분기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길이방향 양측 상면에 상기 회전레일과 연결되는 리드레일 및 주레일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용 분기기.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일은, 양단부가 뾰족한 형상 또는 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레일과 연결되는 리드레일 및 주레일은 상기 회전레일의 양단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용 분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일측에 손잡이가 결합된 레버바; 및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회전되도록 일측은 상기 레버바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힌지의 중심축 또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되는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용 분기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 및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회전되도록 상기 동력발생부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힌지의 중심축 또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일측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용 분기기.
  10. 제2항에 있어서,
    레일바이크의 진행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입력되는 신호 또는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용 분기기.
KR1020130140650A 2013-11-19 2013-11-19 레일바이크용 분기기 KR101521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650A KR101521275B1 (ko) 2013-11-19 2013-11-19 레일바이크용 분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650A KR101521275B1 (ko) 2013-11-19 2013-11-19 레일바이크용 분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275B1 true KR101521275B1 (ko) 2015-05-20

Family

ID=53394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650A KR101521275B1 (ko) 2013-11-19 2013-11-19 레일바이크용 분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2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386B1 (ko) * 2016-02-05 2016-11-03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힌지결합형 가동노즈가 구비된 크로싱 장치 및 그 보수방법
CN109159712A (zh) * 2018-09-03 2019-01-08 李昭强 一种自充电变轨式车位检测机构
CN112791421A (zh) * 2020-12-30 2021-05-14 北京中冶设备研究设计总院有限公司 旋转换轨装置及轨道
KR102369959B1 (ko) 2021-08-10 2022-03-03 주식회사 한국이앤텍 레일 자동 분기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396A (ko) * 2001-10-17 2003-04-26 서태길 턴 레일 system. ( v형 )
KR101062917B1 (ko) * 2010-11-19 2011-09-07 (주)한국에이앤지 레일바이크용 분기장치
KR20110126203A (ko) * 2010-05-16 2011-11-23 이준해 철도 분기기 크로싱부에 회전레일을 설치하여 차량을 통과시키는 회전크로싱
KR101232350B1 (ko) * 2011-09-20 2013-02-08 강남훈 레일바이크용 분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396A (ko) * 2001-10-17 2003-04-26 서태길 턴 레일 system. ( v형 )
KR20110126203A (ko) * 2010-05-16 2011-11-23 이준해 철도 분기기 크로싱부에 회전레일을 설치하여 차량을 통과시키는 회전크로싱
KR101062917B1 (ko) * 2010-11-19 2011-09-07 (주)한국에이앤지 레일바이크용 분기장치
KR101232350B1 (ko) * 2011-09-20 2013-02-08 강남훈 레일바이크용 분기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386B1 (ko) * 2016-02-05 2016-11-03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힌지결합형 가동노즈가 구비된 크로싱 장치 및 그 보수방법
CN109159712A (zh) * 2018-09-03 2019-01-08 李昭强 一种自充电变轨式车位检测机构
CN109159712B (zh) * 2018-09-03 2023-08-29 李昭强 一种自充电变轨式车位检测机构
CN112791421A (zh) * 2020-12-30 2021-05-14 北京中冶设备研究设计总院有限公司 旋转换轨装置及轨道
KR102369959B1 (ko) 2021-08-10 2022-03-03 주식회사 한국이앤텍 레일 자동 분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275B1 (ko) 레일바이크용 분기기
EP2832926B1 (en) Fast track switch
KR101055167B1 (ko) 궤도계 교통 시스템의 분기 장치
CN105040533A (zh) 枢轴型道岔结构及道岔转辙的方法
AU2018236831B2 (en) Car with rotatably mounted wheel axle for a fairground ri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otatably mounted wheel axle of such a car
CN1124482A (zh) 有轨车辆的自动导向装置
KR100586537B1 (ko) 궤도차량용 전차대 회전장치
US3927619A (en) Double tiered conveyor track and safety switch
CN107190587B (zh) 一种胶轮路轨转盘道岔的施工建造方法
TW201427853A (zh) 單軌電車之切換系統
CN208745662U (zh) 一种可伸缩驱动轮结构
KR101192661B1 (ko) 선로 분기 시스템
KR100426522B1 (ko) 철도 선로 분기 장치
JP2644936B2 (ja) シーサス分岐器の回転桁
KR101032332B1 (ko) 차상 제어 분기장치 및 분기방법
SU150763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ворота колес полуприцепа
US861830A (en) Automobile-track and means for holding an automobile thereon.
KR20040040676A (ko) 궤도차량용 분기장치
CN210530422U (zh) 钢丝绳牵引车台走圆弧轨迹的装置
KR102154903B1 (ko) 모노레일 바이크
JP3577425B2 (ja) 軌道装置
US822055A (en) Tramway-point.
JP2006241686A (ja) 軌道系交通システムの分岐装置
KR930002947Y1 (ko) 놀이용 기차
KR200382627Y1 (ko) 모노레일 바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