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868B1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868B1
KR101520868B1 KR1020080095400A KR20080095400A KR101520868B1 KR 101520868 B1 KR101520868 B1 KR 101520868B1 KR 1020080095400 A KR1020080095400 A KR 1020080095400A KR 20080095400 A KR20080095400 A KR 20080095400A KR 101520868 B1 KR101520868 B1 KR 101520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light source
unit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5986A (ko
Inventor
정태진
류승렬
조원
정비용
안병길
박종영
이장훈
Original Assignee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5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868B1/ko
Priority to US12/569,221 priority patent/US8360592B2/en
Publication of KR20100035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986A/ko
Priority to US13/750,267 priority patent/US869037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1Illuminating devices for spatial active dimm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의 발광블럭들 및 광원 구동부를 포함한다. 발광블럭들은 서로 직교하는 제1 및 제2 방향들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발광칩을 갖는 광원유닛 및 광원유닛에서 발생된 광을 측면으로 입사받아 상부로 출사시키는 도광판을 포함한다. 광원 구동부는 발광블럭들의 광원유닛들을 로컬디밍(local dimming)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발광시킨다. 이와 같이, 광원 구동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발광블럭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됨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발광블럭, 도광판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BACK-LIGHT UNIT}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 표시장치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장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패널 및 상기 액정 표시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 표시패널은 박막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전극들을 구비하는 제1 기판, 상기 화소전극들과 대응되는 컬러필터들 및 기판 전면에 형성된 공통전극을 구비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수납용기, 상기 수납용기 내에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램프들, 및 상기 램프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램프들에서 발생된 광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광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부재는 광을 확산시켜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한다.
상기 광학부재는 광의 확산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상기 램프들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 광학부재가 상기 램프들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두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의 발광블럭들 및 광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블럭들은 서로 직교하는 제1 및 제2 방향들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발광칩을 갖는 광원유닛 및 상기 광원유닛에서 발생된 광을 측면으로 입사받아 상부로 출사시키는 도광판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 구동부는 상기 발광블럭들의 광원유닛들을 로컬디밍(local dimming)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발광시킨다.
상기 발광블럭들의 도광판들 각각은 도광 몸체부 및 상부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하부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광 몸체부는 측면이 상기 광원유닛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광원유닛에서 발생된 광을 상부로 출사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상부 커버부는 상기 도광 몸체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광원유닛을 커버한다. 상기 하부 지지부는 상기 일측과 반대방향인 상기 도광 몸체부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이웃하는 도광판의 상부 커버부를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커버부의 연장길이는 상기 하부 지지부의 연장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광 몸체부는 상기 일측에서 상기 일측과 반대방향인 상기 도광 몸체부의 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쐐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블럭들 각각은 상기 도광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유닛은 상기 발광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칩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구동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칩은 상기 구동기판 상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발광칩들은 상기 광원 구동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발광칩은 백색광을 발생시키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발광칩은 적색광을 발생시키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광을 발생시키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광을 발생시키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광을 발생시키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의 발광블럭들 및 광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블럭들은 서로 직교하는 제1 및 제2 방향들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발광칩을 갖는 광원유닛 및 상기 광원유닛에서 발생된 광을 측면으로 입사받아 상부로 출사시키는 도광판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 구동부는 상기 발광블럭들의 광원유닛들을 로컬디밍(local dimming)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발광시킨다.
상기 표시장치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영상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백라이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발광블럭들이 제1 및 제2 방향들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됨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블럭들이 광원 구동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됨에 따라, 상기 발광블럭들을 구동하는 데 소요되는 소비전력이 보다 감소될 수 있고, 표시장치에서의 영상의 명암비 및 선명도도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 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신호 처리유닛(100), 디스플레이 유닛(200) 및 백라이트 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신호 처리유닛(100)은 외부로부터 영상 데이터 및 영상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신호(10)를 인가받는다. 상기 신호 처리유닛(100)은 상기 영상신호(10)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신호(20)를 출력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3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백라이트 제어신호(30)를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상기 신호 처리유닛(100)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신호(20)를 인가받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신호(20)에 응답하여 영상을 외부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패널 구동부(210) 및 표시패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구동부(210)는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신호(20)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패널(220)을 구동하기 위한 패널 구동신호(40)를 출력한다. 상기 표시패널(220)은 상기 패널 구동부(210)로부터 상기 패널 구동신호(40)를 인가받고, 상기 패널 구동신호(40)에 응답하여 영상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패널(220)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300)에서 발생된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패널일 수 있다.
상기 액정 표시패널은 제1 기판(미도시),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미도시) 및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기판은 신호선들, 상기 신호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화소전극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컬러필터들 및 기판 전면에 형성된 공통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층은 상기 화소전극 및 상기 공통전극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광의 투과율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300)은 상기 신호 처리유닛(100)으로부터 상기 백라이트 제어신호(30)를 인가받고, 상기 백라이트 제어신호(30)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패널(220)로 광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백라이트 유닛(300)은 광원 구동부(310) 및 복수의 발광블럭들(320)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 구동부(310)는 상기 백라이트 제어신호(30)에 응답하여, 상기 발광블럭들(320)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광원 구동신호들(50)을 출력한다. 상기 발광블럭들(320)은 상기 광원 구동신호들(50)에 각각 응답하여 개별적으 로 광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발광블럭들(320)은 로컬디밍(local dimming) 방식으로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백라이트 유닛을 확대해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블럭들(320)은 제1 방향(DI1) 및 상기 제1 방향(DI1)과 직교하는 제2 방향(DI2)에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도 1 및 도 2에는 상기 발광블럭들(320)이 4 x 4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광원 구동부(310)는 예를 들어, 구동부 제어부(312) 및 적어도 하나의 LED 구동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 제어부(312)는 상기 신호 처리유닛(100)으로부터 상기 백라이트 제어신호(30)를 인가받고, 상기 백라이트 제어신호(30)에 응답하여 상기 LED 구동부(314)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 제어신호(60)를 출력한다.
상기 LED 구동부(314)는 상기 구동부 제어부(312)로부터 상기 구동부 제어신호(60)를 인가받고, 상기 구동부 제어신호(60)에 응답하여 상기 광원 구동신호들(50)을 상기 발광블럭들로 제공한다.
일례로, 상기 LED 구동부(314)의 개수는 4개일 수 있다. 즉, 상기 LED 구동부들(314) 각각이 한 라인에 배열된 4개의 발광블럭들(32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LED 구동부(314)의 개수는 상기 발광블럭들(320)의 개수와 일치할 수 있고, 하나의 LED 구동부(314)가 발광블럭들(320) 모두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광원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블럭들(320) 각각은 도광판(322), 광원유닛(324) 및 반사시트(326)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도광판(322)은 도광 몸체부(322a) 및 상부 커버부(322b)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하부 지지부(32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광 몸체부(322a)는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DI1, DI2)을 따라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도광 몸체부(322a)는 상기 제1 방향(DI1) 또는 상기 제2 방향(DI2)으로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측면들, 즉 입광면 및 대광면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입광면은 광이 인가되는 측면을 의미하고, 상기 대광면은 상기 입광면의 반대측에 배치된 측면을 의미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상기 입광면 및 상기 대광면이 상기 제1 방향(DI1)을 따라 마주보도록 배치되었다.
상기 상부 커버부(322b)는 상기 도광 몸체부(322a)의 일측, 즉 상기 입광면에서 외곽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상부 커버부(322b)의 두께는 상기 도광 몸체부(322a)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그 결과, 상기 상부 커버부(322b)의 하부에는 소정의 수납공간(7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부(322c)는 상기 일측의 반대방향인 상기 도광 몸체부(322a)의 타측, 즉 상기 대광면에서 외곽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하부 커버부(322c)는 이웃하는 도광판(320)의 상부 커버부(322)의 하부에 형성된 수납공간(70) 내로 배치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이웃하는 상부 커버부(322b)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커버부(322c)의 연장길이는 상기 이웃하는 상부 커버부(322b)의 연장길이보다 짧고, 그로 인해 상기 수납공간(70) 내에는 상기 광원유닛(324)이 수납될 수 있는 여유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부(322c)의 두께 및 상기 이웃하는 상부 커버부(322b)의 두께의 합은 상기 도광 몸체부(322a)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광원유닛(324)은 상기 도광 몸체부(322a)의 입광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광원유닛(324)은 상기 LED 구동부(314)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광원 구동신호(50)에 응답하여 상기 입광면을 향하여 광을 출사시킨다. 상기 광원유닛(324)에서 출사된 광은 상기 입광면으로 입사되고, 상기 도광 몸체부(322a)의 내부에서 가이드되어 상부면으로 출사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면과 대향하는 상기 도광 몸체부(322a)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반사도트들(DOT)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도트들(DOT)은 상기 입광면으로 입사된 광을 굴절, 산란 또는 전반사시켜 광의 이동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도트들(DOT)은 상기 입광면에서 멀어질수록 조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광원유닛(324)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칩(324a) 및 구동기판(32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기판(324b)은 상기 도광 몸체부(322a)의 입광면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기판(324b)은 상기 LED 구동부(314)와 전기적 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원 구동신호(50)를 인가받는다.
상기 발광칩(324a)은 상기 구동기판(324b) 상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구동신호(50)에 응답하여 광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발광칩(324a)은 상기 구동기판(324b)으로부터 구동전원을 인가받아 광을 발생킬 수 있다. 상기 발광칩(324a)은 일례로, 상기 구동기판(324b)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발광칩들(324a)은 동일한 광원 구동신호(50)에 의해 동일한 휘도의 광이 발생하도록 동일하게 제어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다르게 서로 다른 복수의 광원 구동신호들(50)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발광칩(324a)은 백색광을 발생시키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발광칩(324a)은 적색광을 발생시키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광을 발생시키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광을 발생시키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반사시트(326)는 상기 도광 몸체부(322a)의 하부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반사시트(326)는 상기 하부면으로 출사되는 광을 반사시켜 상기 도광 몸체부(322a) 내로 재입사시켜 광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표시장치 중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도광판(320)의 도광 몸체부(322a)의 형상을 제 외하면,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실시예 1의 표시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도광판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겠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도광 몸체부(322a)는 일측에서 상기 일측과 반대방향인 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쐐기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도광 몸체부(322a)의 두께는 광이 입사되는 입광면에서 상기 입광면과 대향하는 대광면으로 갈수록 감소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도광판(320)은 실시예 1에서와 같은 상부 커버부(322b)를 포함할 수 있지만,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하부 커버부(322c)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신에, 상기 도광 몸체부(322a)의 하부에 별도의 도광판 지지부(328)가 배치되어, 상기 도광 몸체부(322a)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광판 지지부(328)는 상기 도광 몸체부(322a)의 대광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발광블럭들이 제1 및 제2 방향들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발광블럭들 각각이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배치된 발광칩으로 구성됨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의 두께가 보다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블럭들이 광원 구동부에 의해 로컬디밍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제어됨에 따라, 상기 발광블럭들을 표시패널에 대응하여 영역별로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발광블럭들을 구동하는 데 소요되는 소비전력이 보다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블럭들이 상기 로컬디밍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제어될 경우, 표시장치에서 발생되는 영상의 명암비 및 선명도도 향상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백라이트 유닛을 확대해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광원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표시장치 중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신호 처리유닛 200 : 디스플레이 유닛
210 : 패널 구동부 220 : 표시패널
300 : 백라이트 유닛 310 : 광원 구동부
312 : 구동부 제어부 314 : LED 구동부
320 : 발광블럭 322 : 도광판
322a : 도광 몸체부 322b : 상부 커버부
322c : 하부 커버부 324 : 광원유닛
324a : 발광 다이오드 324b : 구동기판
326 : 반사시트

Claims (12)

  1. 서로 직교하는 제1 및 제2 방향들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발광칩을 갖는 광원유닛 및 상기 광원유닛에서 발생된 광을 측면으로 입사받아 상부로 출사시키는 도광판을 포함하는 복수의 발광블럭들; 및
    상기 발광블럭들의 광원유닛들을 로컬디밍(local dimming)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발광시키는 광원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블럭들의 도광판들 각각은
    측면이 상기 광원유닛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광원유닛에서 발생된 광을 상부로 출사되도록 가이드하는 도광 몸체부; 및
    상기 도광 몸체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광원유닛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블럭들의 도광판들 각각은 상기 일측과 반대방향인 상기 도광 몸체부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이웃하는 도광판의 상부 커버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부의 연장길이는 상기 하부 지지부의 연장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몸체부는
    상기 일측에서 상기 일측과 반대방향인 상기 도광 몸체부의 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쐐기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블럭들 각각은
    상기 도광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유닛은
    상기 발광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칩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구동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칩은 상기 구동기판 상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발광칩들은 상기 광원 구동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칩은
    백색광을 발생시키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칩은
    적색광을 발생시키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광을 발생시키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광을 발생시키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1. 광을 발생시키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서로 직교하는 제1 및 제2 방향들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발광칩을 갖는 광원유닛 및 상기 광원유닛에서 발생된 광을 측면으로 입사받아 상부로 출사시키는 도광판을 포함하는 복수의 발광블럭들; 및
    상기 발광블럭들의 광원유닛들을 로컬디밍(local dimming)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발광시키는 광원 구동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광블럭들의 도광판들 각각은
    측면이 상기 광원유닛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광원유닛에서 발생된 광을 상부로 출사되도록 가이드하는 도광 몸체부; 및
    상기 도광 몸체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광원유닛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블럭들의 도광판들 각각은 상기 일측과 반대방향인 상기 도광 몸체부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이웃하는 도광판의 상부 커버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부의 연장길이는 상기 하부 지지부의 연장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인가된 영상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제 어하기 위한 백라이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80095400A 2008-09-29 2008-09-29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520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400A KR101520868B1 (ko) 2008-09-29 2008-09-29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12/569,221 US8360592B2 (en) 2008-09-29 2009-09-29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3/750,267 US8690372B2 (en) 2008-09-29 2013-01-25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400A KR101520868B1 (ko) 2008-09-29 2008-09-29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986A KR20100035986A (ko) 2010-04-07
KR101520868B1 true KR101520868B1 (ko) 2015-05-18

Family

ID=42213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400A KR101520868B1 (ko) 2008-09-29 2008-09-29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8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86506B2 (en) 2016-03-28 2020-03-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low power consump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9171A (ko) * 2003-03-31 2005-12-20 오스람 옵토 세미컨덕터스 게엠베하 조명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조명 장치
KR20060106774A (ko) * 2005-04-01 2006-10-12 아바고 테크놀로지스 제너럴 아이피 (싱가포르) 피티이 리미티드 발광 장치, 액정 디스플레이 및 실질적 투명 도광판
KR20080016188A (ko) * 2006-08-18 2008-02-21 최귀송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장치
KR20080073950A (ko) * 2007-02-07 2008-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포함한 액정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9171A (ko) * 2003-03-31 2005-12-20 오스람 옵토 세미컨덕터스 게엠베하 조명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조명 장치
KR20060106774A (ko) * 2005-04-01 2006-10-12 아바고 테크놀로지스 제너럴 아이피 (싱가포르) 피티이 리미티드 발광 장치, 액정 디스플레이 및 실질적 투명 도광판
KR20080016188A (ko) * 2006-08-18 2008-02-21 최귀송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장치
KR20080073950A (ko) * 2007-02-07 2008-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포함한 액정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86506B2 (en) 2016-03-28 2020-03-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low power consump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986A (ko)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934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5142495B2 (ja) 液晶表示装置
JP4589368B2 (ja) 液晶表示装置
US20060078267A1 (en) Light illuminating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5230984B2 (ja) 液晶表示装置
KR2007008156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WO2011048830A1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と、そ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並びに、駆動方法
US8690372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8041637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KR2011009708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EP2806208B1 (en) Light unit with light guide plate
JP2015026599A (ja) 表示装置用ライ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
US20150247964A1 (en)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same
US8698976B2 (en) Light emitting device, illumin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WO2018066513A1 (ja) 表示装置
JP2008293826A (ja) 面状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20070032429A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모듈
US20130300981A1 (en) Planar light source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JP5417031B2 (ja) 液晶表示装置
KR101520868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2007059168A (ja) バックライト
KR20130009342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JP2010113982A (ja) 液晶表示装置
JP4997402B2 (ja) チップ状点光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面状光源装置、液晶表示装置
JP4421575B2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