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004B1 - 푸드 카의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푸드 카의 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004B1
KR101520004B1 KR1020140170718A KR20140170718A KR101520004B1 KR 101520004 B1 KR101520004 B1 KR 101520004B1 KR 1020140170718 A KR1020140170718 A KR 1020140170718A KR 20140170718 A KR20140170718 A KR 20140170718A KR 101520004 B1 KR101520004 B1 KR 101520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voltage
battery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봉균
Original Assignee
오봉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봉균 filed Critical 오봉균
Priority to KR1020140170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2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shop, cafeteria or display the object being a theatre or s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K2016/003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solar power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0Energy harvesting concepts as power supply for auxiliaries' energy consumption, e.g. photovoltaic sun-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드 카의 전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충방전 사이클이 긴 리튬인산철 축전지를 이용하고 방전심도를 관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푸드 카에서 사용되는 전원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을 발생시키는 발전부, 발전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충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제 1배터리부, 제 1배터리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변환하는 제 1전압변환부, 제 1전압변환부의 전압에 따라 전원을 분배하는 전원분배부, 발전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발전부와 제 1배터리부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감지하여 누적 전력을 계산하고 저장하는 제어부 및 전원분배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각종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푸드 카의 전원 장치{Power Device of Food Car}
본 발명은 차량에서 각종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푸드 카의 전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방전 사이클이 긴 리튬인산철 축전지를 이용하고 방전심도를 관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푸드 카에서 사용되는 전원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카의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트럭 등에서 각종 음식물을 조리하여 판매하는 푸드 카과, 차량에 각종 전기 기기들을 구비하고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캠핑 카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상기한 푸드 카는, 차량의 발전기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이용하거나, 이동용 발전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주변의 AC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전기 기기를 작동시키고 있다.
한편, 캠핑 카의 경우에는, 통상 캠핑장에 구비된 AC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각종 전기 기기들을 작동시키고 있다.
그런데 차량의 발전기를 이용하여 전기 기기들을 작동시키는 종래의 방식은, 차량의 발전기에 무리를 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차량의 발전기는 용량에 한계가 있으므로, 푸드 카에 냉장고, 에어컨, 제빙기 등 대용량의 전기를 사용하는 기기가 구비될 경우에는 사용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이동용 발전기를 사용하여 각종 전기 기기들을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이동용 발전기에서 소음 및 연소가스가 발생하게 되고, 지속적으로 주유를 해주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푸드 카에서 LPG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스 레인지만 사용할 수 있을 뿐 다른 전기 기기들은 사용할 수 없고, 폭발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푸드 카에서 전기는 이동 발전기와 축전지를 이용하고, 조리기구는 LPG를 이용하는 방안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은, 차량에서 LPG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복잡한 승인과정을 거쳐야 하고, 주기적으로 LPG를 교체하여야 하며, 여전히 폭발의 위험을 안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21043호(2010. 02. 24. 공개) :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111968호(2014. 09. 22. 공고) : 한국 등록특허 제10-1436003호(2014. 09. 25.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이 가능한 무소음 발전기와 축전지시스템을 이용한 푸드 카의 전원설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LPG 없이도 조리기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정 전력 이상의 전기를 선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전기의 구동으로 인한 소음의 발생을 줄이고, LPG 교체에 따른 불편과 폭발의 위험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축전지를 자주 교체할 필요가 없고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전심도를 관리하는 제어부를 도입하여 전원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을 발생시키는 발전부; 발전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충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제 1배터리부; 제 1배터리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변환하는 제 1전압변환부; 제 1전압변환부의 전압에 따라 전원을 분배하는 전원분배부; 발전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발전부와 제 1배터리부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감지하여 누적 전력을 계산하고 저장하는 제어부; 및 전원분배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각종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발전전압, 배터리 전압 및 소비전력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발전부의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전류를 변환시켜 상기 제 1배터리부에 출력하는 전류 변환부; 상기 전원분배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2전압변환부; 및 상기 제 2전압변환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충전하여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제 2배터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발전부의 발전전압을 표시하는 발전전압 표시부; 상기 제 1배터리부의 배터리전압을 표시하는 배터리전압 표시부; 및 상기 소비전력을 표시하는 소비전력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푸드 카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전전압 표시부에 상기 발전부의 동작 여부를 표시등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전압 표시부에 상기 제 1배터리부의 충전 상태를 표시등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전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룸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인 경우 송풍 동작을 수행하는 송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전부와 상기 제 1배터리부의 출력전압과 출력전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발전부와 상기 제 1배터리부의 소비전력을 계산하고 저장하는 누적 전력 계산/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전부의 발열과 과부하에 대응하여 상기 발전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 1배터리부의 전압을 감지하여 기 설정된 충전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발전부의 동작을 중단시켜 충전을 중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출력부는, 대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하는 제 1출력부, 제 2출력부; 및 저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하는 제 3출력부, 제 4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부는, 리튬인산철 축전지, 리튬이온 축전지, 리튬폴리머 축전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이 가능한 무소음 발전기와 축전지시스템을 이용한 푸드 카의 전원설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LPG 없이도 조리기구를 사용할 수 있고, 특정 전력(예컨대, 5KW) 이상의 전기를 선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소음 발전기를 충전시만 잠시 사용하고 계속적으로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발전기의 사용으로 인한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LPG 교체에 따른 불편과 폭발의 위험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방전 사이클 수명이 긴(예컨대, 2,000회) 리튬인산철 축전지를 채용함으로써, 축전지를 자주 교체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DOD(Deep of Discharge; 방전심도)를 관리하는 제어부를 도입함으로써 축전지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드 카의 전원 장치에 관한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드 카의 전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드 카의 전원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푸드 카에는, 냉장고, 제빙기, 커피머신, 조리시설, 포스시스템, 싱크대, 냉/온풍기, 환풍기, 모니터, 물탱크, 물펌프, 오폐수 시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부품들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드 카의 전원 장치 및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푸드 카의 전원설비(100)(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체 시스템을 '전원설비'라 칭하기로 한다)는, 발전부(10), 태양전지판(20), 제어부(30), 표시부(40), 충전부(110), 전류 변환부(120), 제 1배터리부(130), 제 1전압변환부(140), 전원분배부(150), 제 2전압변환부(160), 송풍부(170) 및 복수의 출력부(190~19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30)는, 감지부(310)와, 누적 전력 계산/저장부(320)를 포함한다. 그리고, 표시부(40)는 발전전압 표시부(410), 배터리전압 표시부(420) 및 소비전력 표시부(43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발전부(10)에서 전원을 발생시켜 충전부(110)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충전부(110)의 전원은 전류 변환부(120)를 거쳐 제 1배터리부(130)에 적합한 충전전압으로 공급된다.
이때, 전류 변환부(120)는 제 1배터리부(130)의 충전상태에 따라 전류를 변환시켜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부(110)는 태양전지판(20)과 발전부(10)를 통해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제 1배터리부(130)의 충전전압은 제 1전압변환부(140)에 공급된다.
상기 제 1전압변환부(140)는, 제 1배터리부(130)의 충전전압을 입력받아, 푸드 카 내에 설치된 각종 전기 기기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전원분배부(150)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분배부(150)는, 제 1출력부(190), 제 2출력부(191), 제 3출력부(192) 및 제 4출력부(193)로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분배부(150)는, 제 2전압 변환부(160)로 전원을 공급하여 제 2배터리부(194)를 충전시킨다.
상기 제 2전압변환부(160)는 제 2배터리부(194)를 충전하기 위한 것이고, 제 2배터리부(194)는 물펌프나 환풍기 등을 동작시키기 위한 직류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배터리이다.
또한, 제어부(30)는 발전부(10)의 시동 온/오프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0)는, 감지부(310)를 통해 발전부(10)의 출력전압을 감지하여, 충전부(110)와 전류변환부(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감지부(310)를 통해 제 1배터리부(130)의 전압 및 출력 전류를 감지한다.
제어부(30)의 누적 전력 계산/저장부(320)는, 발전부(10)와 제 1배터리부(130)의 소비전력을 계산하고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30)는, 표시부(40)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발전전압 표시부(410), 배터리전압 표시부(420) 및 소비전력 표시부(430)에 해당 감지 값 또는 계산 값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발전부(10)의 동작 여부와 충전부(110)의 동작 여부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30)는 감지부(310)와 누적 전력 계산/저장부(320)의 출력에 대응하여 송풍부(170)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도 2 및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푸드 카의 내부에서 전원설비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여 각종 전기 기기들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푸드 카 내부에 구비된 발전전압 표시부(410), 배터리 전압 표시부(420) 및 소비전력 표시부(430)을 통해, 전원설비의 동작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먼저, 제어부(30)에 발전부(10)의 동작을 위한 제 1배터리부(130)의 기준전압을 설정한다.(단계 S1)
그리고, 제어부(30)에 송풍부(170)의 동작을 위한 기준온도를 설정한다.(단계 S2)
또한, 제어부(30)에 발전부(10)의 동작을 중단하기 위한 기준전압을 설정한다.(단계 S3)
상기 단계 이후에 사용자는 푸드 카 내의 전원설비를 운영하게 된다.(단계 S4)
다음으로, 제어부(30)의 감지부(310)는, 제 1배터리부(130)의 출력전압, 출력전류를 감지하고, 발전부(10)의 출력전압 및 전원설비의 내부온도를 감지한다.(단계 S5)
그리고 제어부(30)는, 누적 전력 계산/저장부(320)를 통해 발전부(10)의 출력전압과 제 1배터리부(130)의 전압과, 소비전력을 계산하고, 계산된 현재의 전압 및 소비전력을 표시부(4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6)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푸드 카 내부에 구비된 표시부(430)를 통해 소비전력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전력을 누적하여 저장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푸드 카의 사용자와 판매자 간에 계약된 무상 유지보수 기간을 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30)는, 감지부(310)에서 감지된 제 1배터리부(130)의 전압과 발전부(10)의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전압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
제 1배터리부(130)와 발전부(10)의 전압이 동작 전압에 도달한 경우에는 발전부(10)를 동작시킨다.(단계 S8)
만약, 제 1배터리부(130)와 발전부(10)의 전압이 동작 전압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이전 단계로 되돌아가게 된다.
그리고, 제 1배터리부(130)와 발전부(10)의 전압이 동작 전압에 도달하여 발전부(10)가 동작하게 되면, 충전부(110)와 전류 변환부(120)를 통해 제 1배터리부(130)를 충전한다.
제어부(30)는, 발전부(10)의 발열과 과부하를 감안하여 발전부(10)가 동작되고 온도가 상승하거나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전류변환부(120)의 전류를 감소시켜 발전부(10)의 부담을 줄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30)는 발전부(10)의 동작 시간이 기 설정된 동작시간에 도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9)
발전부(10)에 구동 시간이 동작시간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전류변환부(S10)의 전류를 변환시켜 전류를 감소시킨다.(단계 S10)
그리고, 제어부(30)는 전원설비의 온도가 내부 기준온도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
전원설비의 온도가 기 설정된 내부 기준온도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30)는 송풍부(170)가 동작을 개시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12)
전원설비의 온도가 내부 기준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제어부(30)는 제 1전압변환부(140)를 통해 AC 전압을 출력한다.(단계 S13)
제어부(30)의 감지부(310)는, 전원설비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에 도달할 경우, 제어부(30)로 온도 데이터를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30)는, 송풍부(170)를 동작시켜 전원설비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킨다.
다음으로, 제어부(30)의 감지부(310)는 제 1배터리부(130)의 전압을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제 1배터리부(130)의 전압이 기 설정된 충전완료 전압에 도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4)
제 1배터리부(130)의 전압이 발전부(10)의 발전 중단 기준전압에 도달된 경우, 제어부(30)는 발전부(10)의 동작을 중단시켜 충전 동작을 중단한다.(단계 S15)
즉, 제 1배터리부(130)에 충전이 되는 중이거나 충전이 완료되면, 제 1전압변환부(140)는 푸드 카에 적합한 AC 전압으로 변환하여 전원분배부(150)에 전원을 공급한다.(단계 S16)
한편, 태양전지판(20)을 이용하는 발전의 경우, 제 1배터리부(130)의 전압이 충전부(110)에 기 설정된 충전전압에 도달되면, 전위차에 의해 자연적으로 충전을 중단하게 된다.
이후에, 전원분배부(150)는 제 1출력부(190) 내지 제 4출력부(193)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 2전압변환부(160)에 전원을 공급한다.(단계 S17)
여기서, 상기 제 1출력부(190)와 제 2출력부(191)의 출력 전원은, 대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전원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 3출력부(192)와 제 4출력부(193)의 출력 전원은, 저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전원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푸드 카 내의 다양한 용량의 각종 전기 기기 및 조리기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18)
그리고 제 2전압변환부(160)는, 전원분배부(150)로부터 AC 전원을 공급받아(단계 S19) 제 2배터리부(194)를 충전시킨다.(단계 S20)
그러면, 제 2배터리부(194)는, 푸드 카 내에서 사용하는 물 펌프와 환풍기,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단계 S21)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카의 전원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전원설비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평상시의 전원 제어 흐름을 나타내고, 도 4의 전원설비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비상시의 전원 흐름을 나타낸다.
즉, 평상시에는 발전기를 통해 충전기를 충전시키고, 상용전원을 통해 전원분배반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상용전원과 전원분배반(콘센트)은 약 10 미터의 거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비상시에는 발전기에서 전원 분배반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용전원을 통해 충전기를 충전시킨다.
그리고 제어부는, 발전기, 충전기, 축전지, 전원 분배반, 룸 온도/쿨링 팬 및 표시부 등의 구성에 대해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발전기의 AC 전압을 감지하여 발전기가 동작하고 특정 시간(예를 들어, 20분) 이후에 충전기에 공급되는 전류(예를 들어, 10A)를 차단하여 충전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축전지의 전압을 감지하여 축전지의 DC 전압이 특정 전압(예를 들면, 48V)에 도달하는 경우 자동으로 발전기의 시동을 온(ON) 시킨다.
그리고 제어부는, 온도 센서 등을 통해 전원설비의 룸 온도를 감지하여 룸 온도가 특정온도(예를 들면, 60도) 이상인 경우 쿨링 팬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푸드 카의 전원설비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발전기의 출력전압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발전부의 동작 여부를 표시등을 통해 표시부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에 붉은 표시등이 켜지는 경우 발전부가 동작하는 것을 나타내고, 초록 표시등이 켜지는 경우 발전부가 동작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축전지 입력전류 감지 센서 등을 통해 축전지의 전압을 감지하여 축전지의 충전 상태를 표시등을 통해 표시부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에 초록 표시등이 켜지는 경우 축전지의 충전이 완료된 상태임을 나타낸다.
그리고 제어부는, 전원 분배반 입력전류 감지센서 등을 통해 전원 분배반의 입력전류를 감지하여, 전원분배반의 사용전력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전원 분배반의 사용전력이 2.8KW 인 것을 숫자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푸드 카 내부에 장착되는 상기 표시부에 의해 사용자는 전원설비의 상태를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푸드 카를 예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은, 상술한 푸드 카 뿐만 아니라 차량에서 각종 전기 기기를 사용하는 캠핑 카의 전원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10: 발전부 20: 태양전지판
30: 제어부 40: 표시부
100: 전원설비 110: 충전부
120: 전류변환부 130: 제 1배터리부
140: 제 1전압변환부 150: 전원분배부
160: 제 2전압변환부 170: 송풍부
190: 제 1출력부 191: 제 2출력부
192: 제 3출력부 193: 제 4출력부
194: 제 2배터리부 310: 감지부 320: 누적 전력계산/저장부 410: 발전전압 표시부 420: 배터리전압 표시부 430: 소비전력 표시부

Claims (11)

  1. 전원을 발생시키는 발전부(10);
    상기 발전부(1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충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제 1배터리부(130);
    상기 제 1배터리부(13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변환하는 제 1전압변환부(140);
    상기 제 1전압변환부(140)의 전압에 따라 전원을 분배하는 전원분배부(150);
    상기 발전부(1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발전부(10)와 상기 제 1배터리부(130)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감지하여 누적 전력을 계산하고 저장하는 제어부(30);
    상기 전원분배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각종 전기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출력부;
    상기 제어부(3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발전전압, 배터리 전압 및 소비전력을 표시하는 표시부(40);
    상기 발전부(10)의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부(110);
    상기 충전부(11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전류를 변환시켜 상기 제 1배터리부(130)에 출력하는 전류 변환부(120);
    상기 전원분배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2전압변환부(160);
    상기 제 2전압변환부(16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충전하여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제 2배터리부(194);
    상기 충전부(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전지판; 및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룸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인 경우 송풍 동작을 수행하는 송풍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푸드 카의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 1배터리부(130)의 출력전압과 출력전류, 발전부(10)의 출력전압 및 전원설비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부(310)와,
    상기 발전부(10)와 상기 제 1배터리부(130)의 소비전력을 계산하고 저장하는 누적 전력 계산/저장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감지부(310)에서 감지된 제 1배터리부(130)의 전압과 발전부(10)의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전압에 도달하면, 발전부(10)를 동작시켜 충전부(110)와 전류 변환부(120)를 통해 제 1배터리부(130)를 충전하고,
    상기 발전부(10)의 발열과 과부하를 감안하여 온도가 상승되거나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전류변환부(120)의 전류를 감소시키며,
    상기 제 1배터리부(130)의 전압을 감지하여 기 설정된 충전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발전부(10)의 동작을 중단시켜 충전을 중지시키고,
    충전이 완료되면, 제1 전압변환부(140)가 전원을 푸드 카에 적합한 AC 전압으로 변환하여 전원분배부(150)에 공급하며,
    발전전압 표시부(410)에 상기 발전부(10)의 동작 여부를 표시등으로 표시하고, 배터리전압 표시부에 상기 제 1배터리부의 충전 상태를 표시등으로 표시하며,
    상기 복수의 출력부는,
    대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하는 제 1출력부(190) 및 제 2출력부(191); 및 저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하는 제 3출력부(192) 및 제 4출력부(193)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40)는,
    상기 발전부(10)의 발전전압을 표시하는 발전전압 표시부(410)와,
    상기 제 1배터리부(130)의 배터리전압을 표시하는 배터리전압 표시부(420) 및 소비전력을 표시하는 소비전력 표시부(430)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110)는,
    리튬인산철 축전지, 리튬이온 축전지, 리튬폴리머 축전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드 카의 전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40170718A 2014-12-02 2014-12-02 푸드 카의 전원 장치 KR101520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718A KR101520004B1 (ko) 2014-12-02 2014-12-02 푸드 카의 전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718A KR101520004B1 (ko) 2014-12-02 2014-12-02 푸드 카의 전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0004B1 true KR101520004B1 (ko) 2015-05-14

Family

ID=5339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718A KR101520004B1 (ko) 2014-12-02 2014-12-02 푸드 카의 전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0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454B1 (ko) * 2016-05-11 2018-02-26 그레이스이엔지(주) 가정용 이동가능 다목적 태양광 충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0110B2 (ja) * 2010-03-18 2012-12-2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電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0110B2 (ja) * 2010-03-18 2012-12-2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電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454B1 (ko) * 2016-05-11 2018-02-26 그레이스이엔지(주) 가정용 이동가능 다목적 태양광 충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3866B2 (en) Energy storage and power supply system with reserve mode and override
CN102782508B (zh) 能量显示系统
US8581545B2 (en) Power exchange system
EP2538516A1 (en) Power system for residence
US20110218680A1 (en) Demand response system
KR10157068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5874502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
JP2015173592A (ja) 分電盤装置
JP5737962B2 (ja) 輸送用冷凍装置
JP2011019363A (ja) 充電手段付き電気機器、電力供給選択機器、充電手段付き電気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57172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1258176A (ja) 電力消費制御システム
JP2012186963A (ja) 建物用エネルギーシステム
CN101634469B (zh) 一种便携式取暖器
JP2012112632A (ja) 給湯機リモコ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給湯機
CN107210622B (zh) 冰箱
JP5851143B2 (ja) 熱源装置
CN107110573B (zh) 冷却装置
JP2016044849A (ja) 太陽光発電装置連携ヒートポンプ貯湯式給湯システム
KR101520004B1 (ko) 푸드 카의 전원 장치
JP5964254B2 (ja) 分散型電源の出力平準化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分散型電源システム
JP6828160B2 (ja) 電圧変換器を含む電気ラジエータ型暖房装置
GB2466700A (en) Battery power supply
JPH11111442A (ja) 誘導加熱装置
JP6462371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