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629B1 -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629B1
KR101516629B1 KR1020140051272A KR20140051272A KR101516629B1 KR 101516629 B1 KR101516629 B1 KR 101516629B1 KR 1020140051272 A KR1020140051272 A KR 1020140051272A KR 20140051272 A KR20140051272 A KR 20140051272A KR 101516629 B1 KR101516629 B1 KR 101516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lifter
unit
guid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부곤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1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6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concave surfaces, e.g.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6Drums, rollers, or wheels with projections engaging abutments on belts or chains, e.g. sprocket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83Position of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붐에 설치되는 리프터부와, 리프터부에 내장되고 리프터부의 하방으로 노출되는 포스트부와, 포스트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프라켓부와, 스프라켓부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고 버켓이 장착되는 체인부와, 리프터부에 장착되고, 상기 체인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체인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EXCAVATION DEVICE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본 발명은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인의 이탈을 억제하여 설비 손상을 방지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고로조업시 원연료로 사용되는 철광석과 석탄은 선박으로 수송되어 부두에서 하역작업을 거친 후, 벨트컨베이어 등의 운송설비를 통하여 공장의 야적장까지 운송된다. 선박에 적재되어 있는 석탄이나 철광석 같은 연원료는 연속식 하역기에 의해 선박의 외부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20731호(2000.04.15 공개, 발명의 명칭: 버켓 엘리베이터 형식의 연속식 하역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체인의 이탈을 억제하여 설비 손상을 방지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는: 붐에 설치되는 리프터부; 상기 리프터부에 내장되고, 상기 리프터부의 하방으로 노출되는 포스트부; 상기 포스트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프라켓부; 상기 스프라켓부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고, 버켓이 장착되는 체인부; 및 상기 리프터부에 장착되고, 상기 체인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는: 상기 리프터부에 장착되고, 상기 체인부의 위치를 교정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체인부와의 접촉에 의한 상기 체인부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플라스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리프터부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리프터부에 장착되고, 상기 체인부의 설계위치에 상기 체인부가 유도되도록 돌출되는 중앙돌출부; 및 상기 중앙돌출부의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설계위치를 이탈한 상기 체인부를 상기 중앙돌출부로 안내하도록 경사를 갖는 경사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리프터부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체인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하부측정부; 및 상기 리프터부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체인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상부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는 센서부가 체인부의 이탈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는 가이드부가 체인부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는 가이드부가 체인부보다 강도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져, 이들간의 접촉에 의한 체인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는 가이드부의 상하방에 각각 상부측정부와 하부측정부가 배치되어 체인부의 위치를 감지하므로, 가이드부를 통과한 체인부의 위치 교정 여부를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에서 가이드부와 센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에서 하부측정부가 체인부의 설계위치 이탈을 감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에서 체인부가 가이드부에 의해 설계위치로 유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에서 상부측정부가 체인부의 설계위치 이탈을 감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1)는 리프터부(10)와, 포스트부(20)와, 스프라켓부(30)와, 체인부(40)와, 센서부(50)를 포함한다.
연속식 하역기(100)는 부두(101)를 따라 이동하는 주행부(102)의 상측에 수평 방향으로 붐(103)이 연결되며, 붐(103)의 하측으로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1)가 설치된다.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1)는 선박의 저장고(107)에 저장된 철광석 또는 석탄 등의 연원료를 굴착하여 붐(103)에 구비된 벨트컨베이어로 전달한다. 붐(103)을 따라 이송되는 연원료는 주행부(102)의 하측에 구비된 지상벨트컨베이어(108)로 이동된 후 야적장으로 이동된다.
리프터부(10)는 붐(103)에 설치되고,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리프터부(10)는 내부가 중공된 형상을 한다. 포스트부(20)는 리프터부(10)에 상부가 내장된다. 포스트부(20)의 하부는 리프터부(10)의 외부로 노출되고 수평하게 배치된다. 포스트부(20)는 유압실린더가 장착되어 수평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포스트부(20)의 상단부는 리프터부(10)의 내측에 결합되어 리프터부(10)와 연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리프터부(10)의 길이가 변화됨에 따라 포스트부(20)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스프라켓부(30)는 포스트부(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포스트부(2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스프라켓부(30)는 포스트부(2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스프라켓부(30)에는 체인부(40)가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고, 체인부(40)에는 버켓(41)이 장착된다.
센서부(50)는 리프터부(10)에 장착되고, 체인부(40)의 위치를 감지한다. 센서부(50)에서 체인부(40)의 이탈을 감지하면, 작업자에게 체인부(40)의 이탈을 알려줄 수 있다. 일 예로, 경고음 또는 경고등을 통해 체인부(40)의 이탈을 알려줄 수 있다. 체인부(40)의 이탈을 인지한 작업자는 체인부(40)의 상하 이동을 반복하여 스프라켓부(30)에 체인부(40)가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에서 가이드부와 센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에서 하부측정부가 체인부의 설계위치 이탈을 감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에서 체인부가 가이드부에 의해 설계위치로 유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에서 상부측정부가 체인부의 설계위치 이탈을 감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1)는 가이드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60)는 리프터부(10)에 장착되고, 체인부(40)의 위치를 교정한다. 가이드부(60)와 체인부(40)와의 접촉에 의한 체인부(4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가이드부(60)는 플라스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60)의 손상 발생시 가이드부(60)만을 교체하기 위해, 가이드부(60)는 리프터부(10)에 탈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부(60)는 리프터부(1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60)는 중앙돌출부(61)와 경사돌출부(62)를 포함한다. 중앙돌출부(61)는 리프터부(10)에 장착되고 체인부(40)의 설계위치(45)에 체인부(40)가 유도되도록 돌출된다. 경사돌출부(62)는 중앙돌출부(61)의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설계위치(45)를 이탈한 체인부(40)를 중앙돌출부(61)로 안내하도록 경사를 갖는다. 체인부(40)와 가이드부(60)간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도록, 경사돌출부(62)는 완만한 경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50)는 하부측정부(51)와, 상부측정부(52)를 포함한다. 하부측정부(51)는 리프터부(10)에 장착되고, 가이드부(60)의 하방에 배치되어 체인부(40)의 위치를 감지한다. 상부측정부(52)는 리프터부(10)에 장착되고, 가이드부(60)의 상방에 배치되어 체인부(40)의 위치를 감지한다. 일 예로, 하부측정부(51)와 상부측정부(52)는 설계위치(45)에 체인부(40)가 위치되어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가이드부(60)를 통과한 체인부(40)가 안정적으로 설계위치(45)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프터부(10)의 내측면에 가이드부(60)를 조립하고, 가이드부(60)의 상하방에 각각 상부측정부(52)와 하부측정부(51)를 설치한다. 한 쌍의 체인부(40)가 리프터부(10)의 내부를 통과하므로, 하부측정부(51)와 상부측정부(52)를 포함하는 센서부(50)와, 가이드부(60)의 설치개수는 각 체인부(40)의 개수와 대응될 수 있다. 일 예로,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체인부(40)에 대한 이탈을 해소하도록, 최소 4개의 가이드부(60)가 리프터부(10)의 수평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체인부(40)에 감긴 어느 하나의 스프라켓부(30)를 구동시키면, 체인부(40)는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되어 연원료를 불출한다. 한편, 체인부(40)가 이동되는 동안 센서부(50)는 체인부(40)가 설계위치(45)를 따라 이동되고 있는지를 감지한다.
만일, 하부측정부(51)가 체인부(40)의 설계위치(45) 이탈을 감지하면(도 4 참조), 작업자는 체인부(40)를 상승시킨다(도 5 참조). 그리하면, 체인부(40)가 상승하면서 가이드부(60)를 따라 설계위치(45)에 도달되어 인근의 스프라켓부(30)에 감길 수 있다. 그러나, 체인부(40)가 가이드부(60)를 통과하더라도 설계위치(45)에 도달되지 않아 상부측정부(52)에 감지되는 경우(도 6 참조), 작업자는 체인부(40)를 하방 이동시킨다.
마찬가지로, 상부측정부(52)가 체인부(40)의 설계위치(45) 이탈을 감지하면(도 6 참조), 작업자는 체인부(40)를 하방 이동시킨다(도 5 참조). 그리하면, 체인부(40)가 하강하면서 가이드부(60)를 따라 설계위치(45)에 도달되어 인근의 스프라켓부(30)에 감길 수 있다. 그러나, 체인부(40)가 가이드부(60)를 통과하더라도 설계위치(45)에 도달되지 않아 하부측정부(51)에 감지되는 경우(도 4 참조), 작업자는 체인부(40)를 상방 이동시킨다.
한편, 하부측정부(51) 또는 상부측정부(52)에서 설계위치(45)에 체인부(40)가 도달됨을 감지할 때 까지, 작업자는 체인부(40)를 상하 반복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1)는 센서부(50)가 체인부(40)의 이탈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1)는 가이드부(60)가 체인부(40)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1)는 가이드부(60)가 체인부(40)보다 강도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져, 이들간의 접촉에 의한 체인부(4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1)는 가이드부(60)의 상하방에 각각 상부측정부(52)와 하부측정부(51)가 배치되어 체인부(40)의 위치를 감지하므로, 가이드부(60)를 통과한 체인부(40)의 위치 교정 여부를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리프터부 20 : 포스트부
30 : 스프라켓부 40 : 체인부
41 : 버켓 45 : 설계위치
50 : 센서부 51 : 하부측정부
52 : 상부측정부 60 : 가이드부
61 : 중앙돌출부 62 : 경사돌출부

Claims (5)

  1. 붐에 설치되는 리프터부;
    상기 리프터부에 내장되고, 상기 리프터부의 하방으로 노출되는 포스트부;
    상기 포스트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프라켓부;
    상기 스프라켓부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고, 버켓이 장착되는 체인부; 및
    상기 리프터부에 장착되고, 상기 체인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부에 장착되고, 상기 체인부의 위치를 교정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체인부와의 접촉에 의한 상기 체인부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플라스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리프터부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리프터부에 장착되고, 상기 체인부의 설계위치에 상기 체인부가 유도되도록 돌출되는 중앙돌출부; 및
    상기 중앙돌출부의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설계위치를 이탈한 상기 체인부를 상기 중앙돌출부로 안내하도록 경사를 갖는 경사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리프터부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체인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하부측정부; 및
    상기 리프터부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체인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상부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
KR1020140051272A 2014-04-29 2014-04-29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 KR101516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272A KR101516629B1 (ko) 2014-04-29 2014-04-29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272A KR101516629B1 (ko) 2014-04-29 2014-04-29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629B1 true KR101516629B1 (ko) 2015-05-06

Family

ID=53393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272A KR101516629B1 (ko) 2014-04-29 2014-04-29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6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9081A (ja) * 1987-04-27 1988-11-07 Sumitomo Heavy Ind Ltd 連続式アンローダの船底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9081A (ja) * 1987-04-27 1988-11-07 Sumitomo Heavy Ind Ltd 連続式アンローダの船底検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085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감지장치
KR101298750B1 (ko)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20110060008A (ko) 연속식언로더
KR10151662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굴착장치
KR101344323B1 (ko) 연속하역장비용 낙광 제거장치
KR101504932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KR101246321B1 (ko)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
KR101176005B1 (ko) 연속하역기의 급수장치
JP6607799B2 (ja) 連続アンローダの衝突防止装置
JP5936516B2 (ja) 連続アンローダの非常時退避装置
KR101257462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송물 넘침 방지장치
KR101167130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1159592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1572371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2057780B1 (ko) 버켓 이탈 감지장치
KR101167127B1 (ko) 연속식 하역장치
CN106458227B (zh) 散装材料装载货车
KR102224863B1 (ko) 연속식 하역기의 케이블 손상 감지장치
KR101399859B1 (ko) 연속식 하역기
KR10178727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JP5434723B2 (ja) ヤード移動機
KR102043553B1 (ko) 컨베이어용 철편 검출 장치
KR20130046581A (ko)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2588140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1546273B1 (ko) 레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4